묵호항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철도노선 변경)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나라 = {{국기|대한민국}}
|나라 = {{국기|대한민국}}
|체계 =  
|체계 =  

2020년 7월 9일 (목) 17:56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1303
영업거리 5.9km
역 수 2 (3)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시설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40년 8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 1
전기 비전철
신호 ATS


개요

강원도 동해시동해역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묵호역사이의 0.8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동해-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역사

1967년 북평선을 통해 수송된 시멘트를 묵호항을 통하여 운송하기 위해 틀:날짜/출력에 착공하여 영동선 옆에 추가로 더 건설하여 틀:날짜/출력에 완공한 선로가 바로 이 묵호항선이다. 당시 북평선 종점인 삼화역에서 생산된 시멘트가 묵호항을 통하여 해상수송을 하였었는데 연간 130만톤이 넘어가는 어마무시한 규모여서 도저히 단선철도인 영동선만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았던 것.

역 목록

km 역명 접속노선 소재지
0.0 동해 東海 영동선
삼척선
북평선
강원도 동해시
5.1 묵호항 墨湖港
5.9 묵호 墨湖 영동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