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종합시험선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4번째 줄: 34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2010년]] [[8월 30일]] : 예비타당성 평가 통과. (B/C = 0.809, AHP = 0.517)<ref>[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11577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사업], KDI</ref>
* [[2010년]] [[8월 30일]]: 예비타당성 평가 통과. (B/C = 0.809, AHP = 0.517)<ref>[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11577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사업], KDI</ref>
* [[2010년]] [[12월 30일]]: 제2차 철도안전종합계획(2011~2015)에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 반영<ref>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04호</ref>
* [[2010년]] [[12월 30일]]: 제2차 철도안전종합계획(2011~2015)에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 반영<ref>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04호</ref>
* [[2012년]] [[11월 7일]] :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사업 기본계획 고시<ref>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758호</ref>
* [[2012년]] [[11월 7일]]: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사업 기본계획 고시<ref>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758호</ref>
* [[2013년]] [[5월 9일]] : 턴키 입찰공고<ref>[http://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52&boardSeq=18259&lev=0&m=040102&searchType=S&statusYN=C&page=1&s=krhome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턴키)』발주], 한국철도시설공단 보도·해명자료</ref>
* [[2013년]] [[5월 9일]]: 턴키 입찰공고<ref>[http://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52&boardSeq=18259&lev=0&m=040102&searchType=S&statusYN=C&page=1&s=krhome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턴키)』발주], 한국철도시설공단 보도·해명자료</ref>
* [[2014년]] [[9월 23일]] : 착공
* [[2014년]] [[9월 23일]]: 착공
* [[2014년]] [[11월 10일]] : 국토부 등 5개 공공기관과 3개 철도관련 대학, 21개 철도관련 업체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운영 협의체 발족<ref>[http://kr.or.kr/boardCnts/view.do?m=040102&boardID=52&viewBoardID=52&boardSeq=1100699&lev=0&statusYN=W&page=1 세계 최고의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을 위한 결의 다져], 한국철도시설공단</ref>
* [[2014년]] [[11월 10일]]: 국토부 등 5개 공공기관과 3개 철도관련 대학, 21개 철도관련 업체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운영 협의체 발족<ref>[http://kr.or.kr/boardCnts/view.do?m=040102&boardID=52&viewBoardID=52&boardSeq=1100699&lev=0&statusYN=W&page=1 세계 최고의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을 위한 결의 다져], 한국철도시설공단</ref>
* [[2015년]] [[3월 6일]] :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사업 실시계획 승인 고시<ref>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125호</ref>
* [[2015년]] [[3월 6일]]: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사업 실시계획 승인 고시<ref>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125호</ref>
* [[2019년]] [[3월 15일]] : 준공
* [[2019년]] [[3월 15일]]: 준공


== 특징 ==
== 특징 ==

2020년 6월 30일 (화) 03:51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시험철도
영업거리 12.990km
역 수 4[1]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개통일 2019년 3월 15일
시설 정보
궤간 표준궤 1,435 mm
선로 2 (전 구간)

대한민국의 철도용품 및 시스템의 적용 평가와 해외수출 열차의 성능시험을 위한 시험노선이며, 세계 최초로 교류전력(AC)과 직류전력(DC)을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시험선이다.[2]

이전에는 시험선이 없어 대불선을 대신 사용했다.

역사

특징

  • 급곡선(회전반경 250m)·급구배(경사 35‰) 및 교량(9개)·터널(6개) 등이 설치되어 있다.
  • 철도 차량과 용품, 시스템, 소음 등 모두 447종에 대한 성능검증 시험을 할 수 있다.
  • 전동신호장 근처에서 경부선으로 합류하며, 철도종합시험선로·경부선·오송선·오송정비기지선이 순환선을 이루어 연속적인 실험이 가능하다.
  • 준공 전 시험운전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구 1005편성 전동차를 사용하였다.

참고 자료

각주

  1.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 현황, DBpia
  2. 철도종합시험선로 준공…철도안전·산업발전 기반 마련, 정부24 기관소식
  3.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사업, KDI
  4.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04호
  5.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758호
  6. 『철도종합시험선로 건설공사(턴키)』발주, 한국철도시설공단 보도·해명자료
  7. 세계 최고의 “철도종합시험선로” 구축을 위한 결의 다져, 한국철도시설공단
  8.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12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