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병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경부선/지선#대전선]]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대전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209
|구간    = [[대전역|대전]] ~ [[서대전역|서대전]]
|영업거리 = 5.7 km
|역수    = 2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 1911년 7월 10일 (구 호남선)<br />1978년 1월 1일 (대전선)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1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
|비고    =
}}
 
'''대전선'''은 [[경부선]] [[대전역]]과 [[호남선]] [[서대전역]]을 잇는 [[삼각선]]이다. 원래 [[호남선]]의 일부였던 노선으로, 호남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연결과 쌀 수탈이 주 목적이었기 때문에, 대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당시만 해도 대전역에서 열차를 세운 뒤 기관차의 방향을 돌려서 붙였고, 그 때문에 정차시간이 꽤 되어서 대전역 가락국수가 한동안 명물이 되었고, 현재도 그 이름이 남아있는 배경이 되었다.
 
== 역사 ==
광복 이후 서울 중심의 교통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경부선 [[오정신호장]]에서 호남선 [[서대전역]]을 지장 없이 잇는 노선인 [[#오정선|오정선]]이 지어진다. 이후 오정선은 '''대전선'''으로 대체되었고, 열차들 대부분이 대전선 - 호남선 경로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열차의 방향을 돌릴 일이 없어지니 대전역 가락국수도 이름만 남게 되었다. 사실상 대전선에 열차가 거의 다니지 않게 되고, 호남선의 비중이 훨씬 더 당시 대전선 쪽으로 쏠린 탓에, 그 경로를 호남선으로 바꾸고, 원래 호남선이었던 서대전 ~ 대전 구간을 경부선의 지선인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래도 한동안 대전선을 경유하는 열차가 남아있었다. 호남선 구간 열차가 대전역 발착으로 운행했었는데, [[경부고속선]] 시내 구간 개통 이후 배선이 평면교차를 해야만 여객취급을 할 수 있을 수준으로 바뀌어 버린 탓에, 더 이상 여객 영업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대전역 수하물 취급소라도 여객화 하지 않는 이상에야 여객 영업 부활도 어렵게 되었다. 여러모로 안습한 구간.
 
2017년 하반기부터 홍도지하차도 착공으로 대전선이 차단되었고 모든 건널목을 막고 대전천철교를 철거했다. 수 년 동안 방치된 대전선을 모두 철거하고 해당 지역을 도심공원으로 재개발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그런데 [[국가철도공단]]에서는 대전천철교를 철거하고 재건축을 할 계획이라고 하였고, [[한국철도공사]]도 폐선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2024년 이후 몇 년 이내에 재개통 될 것으로 보인다.
 
=== 연혁 ===
* 1911년 7월 10일: [[호남선]] [[대전역|대전]] ~ [[연산역|연산]] 구간 개통<ref>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205호</ref>
* 1965년 6월 16일: [[#오정선|오정선]] 개통<ref>철도청훈령 제893, 894호</ref>
* 1978년 1월 1일: 오정선 및 [[오정신호장]]을 폐지하고, 대전선([[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서대전역|서대전]]) 개통<ref>철도청고시 제41호</ref>
* 2004년 4월 1일: 대전선의 구간을 [[대전역|대전]] ~ [[서대전역|서대전]]으로 변경<ref>철도청 고시 제2004-5호</ref>
* 2014년 3월 1일: 경부고속철도 대전 도심 통과구간 건설로 운행이 중지된 대전선의 운행을 재개<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781156?sid=101 대전역∼서대전역 내달부터 운행 재개], 연합뉴스</ref>
* 2015년: 대전선 여객 취급 중지.
* 2016년: 화물 취급 중지.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대전역|대전]]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5.7
| [[서대전역|서대전]]
| style="text-align: left;" | [[호남선]] (연결)
|}
 
== 오정선 ==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오정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철도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구간    = [[오정신호장|오정]] ~ [[오정신호장|오정]]
|영업거리 = 1.1 km
|역수    = 1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운영자  = [[철도청]]
|개통일  = 1965년 7월 1일
|폐지일  = 1978년 1월 1일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선로    = 1
|전기    =
|신호    = 불명
|비고    =
}}
 
'''오정선'''은 (구)대전선(대전조차장 ~ 서대전)의 전신 노선으로, [[경부선]] [[회덕역]]과 [[대전역]] 사이의 오정신호장에서 호남선을 바로 연결하는 노선이었다. 1978년 대전선이 개통함과 동시에 폐지되었다.
 
=== 오정선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오정신호장|오정]]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1.1
| [[오정신호장|오정]]
| style="text-align: left;" | [[호남선]] (연결)
|-
|}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24년 6월 7일 (금) 00:21 기준 최신판

대전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9
구간 대전 ~ 서대전
영업거리 5.7 km
역 수 2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11년 7월 10일 (구 호남선)
1978년 1월 1일 (대전선)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1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ATP

대전선경부선 대전역호남선 서대전역을 잇는 삼각선이다. 원래 호남선의 일부였던 노선으로, 호남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연결과 쌀 수탈이 주 목적이었기 때문에, 대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당시만 해도 대전역에서 열차를 세운 뒤 기관차의 방향을 돌려서 붙였고, 그 때문에 정차시간이 꽤 되어서 대전역 가락국수가 한동안 명물이 되었고, 현재도 그 이름이 남아있는 배경이 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광복 이후 서울 중심의 교통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경부선 오정신호장에서 호남선 서대전역을 지장 없이 잇는 노선인 오정선이 지어진다. 이후 오정선은 대전선으로 대체되었고, 열차들 대부분이 대전선 - 호남선 경로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열차의 방향을 돌릴 일이 없어지니 대전역 가락국수도 이름만 남게 되었다. 사실상 대전선에 열차가 거의 다니지 않게 되고, 호남선의 비중이 훨씬 더 당시 대전선 쪽으로 쏠린 탓에, 그 경로를 호남선으로 바꾸고, 원래 호남선이었던 서대전 ~ 대전 구간을 경부선의 지선인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래도 한동안 대전선을 경유하는 열차가 남아있었다. 호남선 구간 열차가 대전역 발착으로 운행했었는데, 경부고속선 시내 구간 개통 이후 배선이 평면교차를 해야만 여객취급을 할 수 있을 수준으로 바뀌어 버린 탓에, 더 이상 여객 영업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대전역 수하물 취급소라도 여객화 하지 않는 이상에야 여객 영업 부활도 어렵게 되었다. 여러모로 안습한 구간.

2017년 하반기부터 홍도지하차도 착공으로 대전선이 차단되었고 모든 건널목을 막고 대전천철교를 철거했다. 수 년 동안 방치된 대전선을 모두 철거하고 해당 지역을 도심공원으로 재개발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그런데 국가철도공단에서는 대전천철교를 철거하고 재건축을 할 계획이라고 하였고, 한국철도공사도 폐선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2024년 이후 몇 년 이내에 재개통 될 것으로 보인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대전 경부선 (연결)
5.7 서대전 호남선 (연결)

오정선[편집 | 원본 편집]

오정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지선)
구간 오정 ~ 오정
영업거리 1.1 km
역 수 1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자 철도청
개통일 1965년 7월 1일
폐지일 1978년 1월 1일
시설 정보
선로 1
신호 불명

오정선은 (구)대전선(대전조차장 ~ 서대전)의 전신 노선으로, 경부선 회덕역대전역 사이의 오정신호장에서 호남선을 바로 연결하는 노선이었다. 1978년 대전선이 개통함과 동시에 폐지되었다.

오정선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오정 경부선 (연결)
1.1 오정 호남선 (연결)

각주

  1.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205호
  2. 철도청훈령 제893, 894호
  3. 철도청고시 제41호
  4. 철도청 고시 제2004-5호
  5. 대전역∼서대전역 내달부터 운행 재개,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