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통행: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조건 제한 도달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유래==
==유래==
과거에는 통행 방식이 통일되지 않았고 한반도에서는 좌측통행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이 통일되지 않은 통행방식은 지나가다 서로 부딭히거나 탈것끼리 충돌하여 사고가 나기 일쑤였고, 따라서 왼쪽으로 가는 통행방식이 먼저 도입되었다. 그래서 좌측통행 방식이 제도적으로 정립이 되었고 이는 대부분의 인류가 오른손잡이라 칼집이 오른쪽에 있었고, 마차를 모는 마부석 또한 오른쪽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고삐를 잡기 편했기 때문에 좌측통행을 채택하면 길가다 싸움 날 일도 없고 마부들이 좀 더 자연스럽게 마찰르 몰 수 있는 등 여러모로 용이한 제도였다.
과거에는 세계적으로 통행 방식이 통일되지 않았다. 그냥 자기가 가고 싶은 대로 가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 통일되지 않은 통행방식은 지나가다 서로 부딪히거나 탈것끼리 충돌하여 사고가 나기 일쑤였고, 따라서 왼쪽으로 가는 통행방식이 먼저 도입되었다. 그래서 좌측통행 방식이 먼저 제도적으로 정립이 되었다. 이에 관한 몇가지 설은 대부분의 인류가 오른손잡이라 칼집이 왼쪽에 있어서 우측통행을 하면 필연적으로 왼쪽이 부딪혀 서로의 칼집이 닿아서 시비가 걸리고 심하면 싸움이 나기에 그걸 방지하기 위한 설, 마차를 모는 마부석이 오른쪽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고삐를 잡기 편했기 때문에 마부들이 좀 더 자연스럽게 마차를 몰 수 있다는 설 등이 있다.


우측통행이 제도화 되기 시작한 건 [[미국]]에서 유래되었다. 영국 청교도들이 대거 이주해와 13개의 주로 독립을 한 것이 시초로, 본국이었던 영국에 반발하자는 의미로 기존의 좌측통행을 거부하고 대신 우측통행을 택하였던 것이 유력한 설이다.
우측통행이 제도화 되기 시작한 건 [[미국]]에서 유래되었다. 영국 청교도들이 대거 이주해와 13개의 주로 독립을 한 것이 시초로, 본국이었던 영국에 반발하자는 의미로 기존의 좌측통행을 거부하고 대신 우측통행을 택하였던 것이 유력한 설이다.
18번째 줄: 18번째 줄:


국내에 오는 몇몇 외국인<ref>주로 [[영국]], [[일본]], [[호주]] 등 좌측통행 시행 국가 외국인들.</ref>들이 운전 할 때 자국의 통행 방향대로 몰다가 본의 아니게 [[역주행]]을 하는 어이없는 사건들이 종종 발생한다.
국내에 오는 몇몇 외국인<ref>주로 [[영국]], [[일본]], [[호주]] 등 좌측통행 시행 국가 외국인들.</ref>들이 운전 할 때 자국의 통행 방향대로 몰다가 본의 아니게 [[역주행]]을 하는 어이없는 사건들이 종종 발생한다.
좌측통행 시행국가에서 직수입한 차량은 해당 국가에 적합하도록 설게되어 있어 핸들이 오른쪽에 있다. 이것을 직접 국내에서 운전해보면 통행 방향 문제로 매우 불편하다. 직수입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


===철도===
===철도===
23번째 줄: 25번째 줄:


특이하게도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과천/안산선 구간과 [[서울 지하철 4호선]]구간이 서로 통행방향이 달라 [[꽈배기굴]]이라는 웃지 못할 결과물까지 만들어 내었다.
특이하게도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과천/안산선 구간과 [[서울 지하철 4호선]]구간이 서로 통행방향이 달라 [[꽈배기굴]]이라는 웃지 못할 결과물까지 만들어 내었다.
==우측통행 시행국가==
* [[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라오스]]
** [[레바논]]
** [[몽골]]
** [[바레인]]
** [[베트남]]
** [[북한]]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영국령 인도양 지역]]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중국]]
** [[조지아]]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필리핀]]
* [[유럽]]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위스]]
** [[스웨덴]]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이슬란드]]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지브롤터]]
** [[체코]]
** [[크로아티아]]
** [[포르투갈]]
** [[프랑스]]
** [[폴란드]]
** [[핀란드]]
** [[터키]]
** [[헝가리]]
* [[오세아니아]]
** [[괌]]([[미국]])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북마리아나 제도]]([[미국]])
** [[미국령 사모아]]([[미국]])
** [[팔라우]]
** [[하와이 주]]([[미국]])
* [[아프리카]]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리]]
** [[모로코]]
** [[모리타니]]
** [[베냉]]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이집트]]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차드]]
** [[카메룬]]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튀니지]]
** [[토고]]
* [[북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 [[미국]]
** [[벨리즈]]
** [[아이티]]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쿠바]]
** [[파나마]]
* [[남아메리카]]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프랑스령 기아나]]




{{각주}}
{{각주}}
[[분류:교통]]

2022년 1월 7일 (금) 14:34 기준 최신판

우측으로 가는 통행방식[편집 | 원본 편집]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는 방식으로 통행 방향이 오른쪽으로 다닌다.

왼쪽으로 가는 것을 좌측통행이라 한다.

유래[편집 | 원본 편집]

과거에는 세계적으로 통행 방식이 통일되지 않았다. 그냥 자기가 가고 싶은 대로 가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 통일되지 않은 통행방식은 지나가다 서로 부딪히거나 탈것끼리 충돌하여 사고가 나기 일쑤였고, 따라서 왼쪽으로 가는 통행방식이 먼저 도입되었다. 그래서 좌측통행 방식이 먼저 제도적으로 정립이 되었다. 이에 관한 몇가지 설은 대부분의 인류가 오른손잡이라 칼집이 왼쪽에 있어서 우측통행을 하면 필연적으로 왼쪽이 부딪혀 서로의 칼집이 닿아서 시비가 걸리고 심하면 싸움이 나기에 그걸 방지하기 위한 설, 마차를 모는 마부석이 오른쪽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고삐를 잡기 편했기 때문에 마부들이 좀 더 자연스럽게 마차를 몰 수 있다는 설 등이 있다.

우측통행이 제도화 되기 시작한 건 미국에서 유래되었다. 영국 청교도들이 대거 이주해와 13개의 주로 독립을 한 것이 시초로, 본국이었던 영국에 반발하자는 의미로 기존의 좌측통행을 거부하고 대신 우측통행을 택하였던 것이 유력한 설이다.

그리고 처음으로 미국에서 시작되었던 것이 점차 전세계 각지로 퍼져나가 오늘날에는 역으로 우측통행이 보편화된 통행 제도가 되었다. 아직도 좌측통행을 실시하는 국가는 대부분 영연방 국가들이다.

제도적인 우측통행[편집 | 원본 편집]

도로[편집 | 원본 편집]

차선이 오른쪽으로 가는 방식을 말한다. 운전석은 왼쪽에 있으며, 운전자를 기준으로 왼쪽은 중앙선, 오른쪽은 인도 쪽을 향하고 있다.

오른손잡이들은 상관없지만 왼손잡이들은 수동변속기 차량을 운전 할 때 변속이 힘들다. 변속기가 오른쪽에 있어서 왼손잡이 운전자들은 억지로라도 오른손을 써야만 했다. 지금은 자동변속기로 대체되고 수동변속기가 사장되어서 거의 해소된 단점.

국내에 오는 몇몇 외국인[1]들이 운전 할 때 자국의 통행 방향대로 몰다가 본의 아니게 역주행을 하는 어이없는 사건들이 종종 발생한다.

좌측통행 시행국가에서 직수입한 차량은 해당 국가에 적합하도록 설게되어 있어 핸들이 오른쪽에 있다. 이것을 직접 국내에서 운전해보면 통행 방향 문제로 매우 불편하다. 직수입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

철도[편집 | 원본 편집]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문으로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방식을 말한다. 반대편인 왼쪽은 섬식 승강장이며 국내의 철도 노선은 코레일의 장거리 노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 구간을 제외한 전국의 거의 모든 도시철도 노선이 이 방식을 채택하는 중이다.

특이하게도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과천/안산선 구간과 서울 지하철 4호선구간이 서로 통행방향이 달라 꽈배기굴이라는 웃지 못할 결과물까지 만들어 내었다.

우측통행 시행국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주로 영국, 일본, 호주 등 좌측통행 시행 국가 외국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