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

(TRPG에서 넘어옴)
TRPG 플레이 중의 광경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abletop Roleplaying Game)이란 사람들이 서로 모여 주사위 등의 도구 및 일정한 규칙을 통해 등장인물을 직접 연기하며 진행하는 게임이다. 약칭은 TRPG. 더 줄여서 티알(TR)이라고도 한다.

명칭[편집 | 원본 편집]

TRPG하는 리브레 위키 전/현직 마스코트들

『Tabletop Roleplaying Game』이라는 영어를 직역하면 탁자 위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놀이가 된다.

대한민국일본에서는 주로 약칭인 TRPG로 알려져 있으나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대개 그냥 RPG라고 하며 오히려 컴퓨터 게임 쪽의 장르CRPG라고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는 테이블토크 롤플레잉 게임(Table-talk Role Playing Game)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퍼졌는데, 이 기묘한 조어는 과거 일본의 TRPG계에서 태어나서 퍼진 용어가 한국에 유입된 것이다.

TRPG는 '테이블탑'이라는 명칭이 붙었듯이 탁자 위에서 진행하는 게 기본인 놀이지만, 시대가 지남에 따라 컴퓨터·스마트폰을 통한 온라인 상에서도 TRPG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온라인 상에서 진행하는 TRPG를 온라인 RPG, ORPG라고 부른다. 초창기에는 IRC를 통한 채팅이 주류를 이루었으며[1] 2010년대 들어서는 전문 ORPG 소프트웨어 및 웹 서비스, 화상 채팅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원래 TRPG는 미니어처 게임, 더 정확히 말하자면 워 게임의 일종으로 출발했다.

최초의 롤플레잉 게임은 게리 가이객스가 디자인하고 1974년 미국에서 출판된 《던전스 앤드 드래곤스》(D&D)로 비정된다. 이는 중세 유럽이 무대인 미니어처 게임 《체인메일》(1971년 발매)의 시스템을 발전시키며 당시 유행한 하이 판타지·히로익 판타지 요소를 담은 것이다.

당시 기존의 미니어처 게임과 D&D가 달랐던 점은, 기존 미니어처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여러 유닛을 조종하는 지휘관 역할인데 비해 D&D는 플레이어 1명이 유닛 1명을 담당한다는 것이었다. 즉, 플레이어 캐릭터의 개념이다.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는 울티마 시리즈위저드리 등, D&D에 영향을 받은 컴퓨터 롤플레잉 게임(CRPG) 또한 탄생함으로써 RPG라는 장르의 위치는 공고해졌다.

용어[편집 | 원본 편집]

AC
갑옷의 등급(Armor Class). 갑옷을 뚫고 공격을 성공하기 위한 목표치를 의미한다.
AoE
영향 범위(Area of Effect). 주문이나 능력이 효과를 끼치는 범위를 의미한다.
D20
  1. 20면체 주사위를 뜻한다.
  2. 20면체 주사위를 굴려서 특정 숫자 이상이 나오면 성공하는 규칙으로서, 던전스 앤드 드래곤스 3판, 4판, 5판에서 쓰이는 규칙이다.
DC
난이도(Difficulty Class)의 준말. 효과나 주문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나와야 하는 주사위 숫자를 뜻한다.
DM
던전 마스터(Dungeon Master)의 준말. 《던전스 앤드 드래곤스》(D&D)에서 진행자를 칭한다.
GM
게임 마스터(Game Master)의 준말. ‘마스터’. 일부 룰에서는 ‘스토리텔러’ 혹은 ‘키퍼’라고 부르기도 한다. 게임 진행을 담당하며, 플레이 모임의 장(長)을 맡기도 하고, 맡지 않기도 한다. 룰에 따라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기도 한다.
HP
체력(Hit Point). 생명점이라고도 한다. 캐릭터가 견딜 수 있는 데미지 량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KP
키퍼(Keeper)의 약칭으로, 《크툴루의 부름》(CoC)에서 게임 마스터를 칭한다.
LARP
라프(Live Action Role Playing)의 약칭. RPG 내의 캐릭터를 플레이어가 연극하듯 직접 연기하는 것을 말한다.
NPC
논플레이어 캐릭터(None-Player Character)의 준말. 플레이어(PL)가 다루지 않는, 다른 모든 캐릭터를 뜻한다. 마스터가 조종하는 각종 괴물이나 마을 사람 등이 NPC에 속한다. 이따금 마스터가 객원 플레이어에게 NPC 연기를 맡기는 사례도 있다.
ORPG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Online Role-Playing Game)의 준말.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RPG. 화상 채팅, 보이스 채팅, 텍스트 채팅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진행된다.
PC
플레이어 캐릭터(Player Character)의 준말. 플레이어(PL)가 다루는 캐릭터, 즉 직접 제작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의미한다. 플레이어와 PC는 엄연히 별개의 존재로, PC의 지식은 플레이어의 지식과 같지 않다. 아무리 플레이어가 시스템상의 모든 마법 주문의 데이터를 알고 있더라도, 그 플레이어가 연기하는 무식한 전사 PC는 마법에 대해 하나도 모를 것이다.
PL
플레이어(Player). 게임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을 말한다. 광의적으로는 마스터도 플레이어에 포함된다.
RP
롤플레잉(Role-Playing). 직역하면 ‘역할 연기’이며, 자신의 캐릭터와 같이 연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RPG
롤플레잉 게임(Role-Playing Game). 초기에는 ‘RPG’라는 단어 자체가 TRPG를 의미했었지만, 컴퓨터 롤플레잉 게임이 널리 보급되며 일반인들 사이에서 본래의 RPG는 CRPG를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TRPG를 즐기는 사람들 간에서 RPG는 TRPG를 의미한다.
TRPG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abletop Role-Playing Game). TR이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ORPG와 대비해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TRPG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XDY[2]
Y면체 주사위 X개를 뜻한다. 예를 들어 2D6은 6면체 주사위를 2번 굴리는 행위를 의미한다.
게임 마스터 스크린
게임 마스터가 플레이어에게서 모험과 관련된 정보를 숨기기 위해 사용하는 세울 수 있는 종이판으로, GM 스크린(또는 D&D에서는 DM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그리드맵 (Grid Map)
격자 지도. 세로축 세로축이 네모난 칸들로 이루어진 지도로, 체스 맵을 생각하면 편하다. D&D에서 주로 사용된다.
내성굴림 (saving-throw)
인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를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판정이다.
능력치 (ability)
캐릭터의 성향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수치. D&D에서는 힘, 민첩, 건강, 매력, 지능, 지혜 등으로 분류되며 룰마다 조금씩 다르다. 특성치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다이스 (dice)
주사위. RPG에서 성공과 실패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RPG의 종류에 따라 여러 형태의 주사위를 사용한다. 주사위를 가리킬 때 흔히 D4, D6, D8, D10, D20 등을 사용한다. 'D' 앞에 붙는 숫자는 주사위의 개수를, 뒤에 붙는 숫자는 주사위의 종류를 나타낸다. (3D6 = 6면체 주사위 세 개)
던전 크롤링 (dungeon crawling)
주로 판타지 세계관에서, 던전을 탐사하는 장르를 의미하낟.
롤20 (Roll20)[3]
ORPG를 지원하는 사이트.
룰북
규칙책이라고도 한다. RPG 플레이를 위해 필요한 규칙서로서 캐릭터 생성법, 캐릭터가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지침, 상황에 따른 규칙, 시나리오 작성 방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리플레이 (replay)
그날 플레이 내용의 기록. 동아시아에서 주로 쓰는 표현이며 영어권에서는 주로 '로그(log: 기록)'라고 한다. 플레이를 정리해서 내용과 느낌을 남기는 것. 단편소설, 보고서, PDF, 녹음 파일,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으로 남긴다.
맵툴 (Maptool)
ORPG를 위해 제작된 채팅 프로그램. 다이스&챗보다는 사용하기 복잡하지만, 지도나 주사위 굴림 등 더욱 다양한 기능이 지원된다.
먼치킨 (Munchikin)
지나치게 강력한 캐릭터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RPG를 하는데 강력한 능력과 물품을 얻는데만 집착하는 유저를 의미하기도 한다.
메타게이밍 (meta-gaming)
캐릭터의 문제 혹은 행동에 대해 해당 인물이 모르는 지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플리먼트 (supplement)
룰북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특정 배경의 RPG 플레이를 위해 배경과 설정, 일부 규칙을 추가한 책. DLC와 비슷한 개념이다. 악세사리라고도 불린다. 어디까지나 보조 개념이기 때문에 없어도 플레이 자체에 지장은 없다.
세션 (session)
  1. TRPG를 플레이하기 위해 모인 모임 자체.
  2. TRPG, ORPG를 플레이하며 플레이 시간, 혹은 횟수의 단위로 쓰인다. 보통 '한번 모임을 가졌다.'를 '1세션 플레이했다.' 라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세션이 여럿 모이면 '캠페인'이 된다.
세팅 (setting)
게임이 벌어지는 가상 세계의 설정을 뜻한다.
수정치 (modifier)
주사위 굴림에 더하거나 빼는 수를 의미한다.
순수(굴림)
주사위의 실제 숫자. 순수 1 혹은 순수 20은 주사위의 면이 1이나 20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스토리텔러 (Stroyteller)
서술 기반의 게임의 마스터를 지칭한다.
스토리텔링 (Storytelling)
사건을 해결해 나가며 만들어지는 ‘이야기’와 ‘과정’을 중시하는 장르이다.
시나리오 (scenario)
마스터가 미리 준비한 플롯. 주로 이야기 형식으로 이뤄진다. 이 외에도 괴물의 배치, 던전 구조, 이야기의 복선, 마스터가 조종하는 캐릭터의 배경 설정, 연기 방침 등등을 모두 포함한다. 회사에서 만든 상업용 시나리오는 어드벤처(Adventure)라는 레이블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D&D에서는 특이하게 1990년대까지 모듈(Module)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었다.
시스템 (system)[4]
게임을 이루는 게임 구조의 집합. 게임을 이루는 규칙들의 모음이라고 보면 된다. 흔히 D&DGURPS 등을 가리킨다.
시찢
시트 찢기. 캐릭터가 죽어 그 시트를 더 이상 쓸 수 없을 때 자조적으로 말하는 은어다.
시트 (Sheet)
RPG에 사용되는 정보(캐릭터의 능력치, 배경 등)을 적어놓은 종이. 룰에 따라 양식이 있기도 하고,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무엇이 적혀 있는지에 따라 ‘○○시트’로 부른다. (예: 캐릭터 시트, 배경 시트)
애드립 (adlib)
  1. 마스터가 시나리오에서 준비한 이야기가 플레이어들의 행동에 의해 "본 궤도에서 벗어날 때" (예를 들어 구해야 할 공주를 오히려 죽였을때) 이야기를 즉석으로 각색하는 행위. 이 경우 마스터의 노력과 플레이어들의 선택에 따라 본 궤도로 복귀하기도 하고,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2. 마스터가 미리 이야기를 만들지 않고 처음부터 상황에 걸맞게 플레이를 진행하는 시나리오 방식. 특정 RPG는 애드립 시나리오를 적극 권장한다.
오픈 다이스 (opened dice)
주사위를 공개한 채 굴리는 것. 플레이어는 대부분 오픈 다이스로 판정한다.
이니셔티브 (initiative)
우선권이라고도 한다. 누가 먼저 행동을 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 혹은 행동 순서를 뜻한다.
인디 RPG
개인이나 소규모 집단이 만든, 일반적인 RPG와는 규칙이나 즐기는 방법이 다른 RPG를 의미한다.
일플
일일플레이. Naver TRPG cafe에서 1년에 2차례 열던 행사로, 카페에서 활동하는 여러 마스터들이 각자 시나리오를 준비해 신청 플레이어들과 함께 플레이 하는 행사.
자작룰
아마추어들이 직접 만든 RPG 룰. 초보자의 자작룰 제작은 권장되지 않는다.
접근전 (melee)
근접하여 적을 때리는 공격 행위를 의미한다.
캠페인 (campaign)
한 팀에서 동일한 캐릭터로 시나리오를 연속으로 진행하는 RPG 형태. 일반적으로 몇 달에서 1년, 길면 몇 년 동안 진행하고, 하나의 캠페인이 끝나면 '엔딩을 보았다.'라고도 표현한다. 장편 캠페인의 경우 연 단위로 플레이하는 일도 드물지 않다.
캠페인 세팅 (Campaign setting)
흔히 말하는 세계관. 캠페인의 배경이 되는 무대 설정을 말한다. D&D처럼 여러 캠페인 세팅을 가진 시스템이 있는가 하면, 《소드 월드 RPG》처럼 규칙과 한 세계관이 일체화된 시스템도 있다.
크리티컬 (critical)
주사위를 굴렸을 때, 최고의 값이 나온 상황을 뜻한다.
클로즈 다이스 (closed dice)
주사위를 비공개로 굴리는 것. 게임 마스터(GM)의 성향에 따라 오픈/클로즈 다이스 여부가 달라지기도 한다.
팀 (team)
함께 RPG를 하는 마스터와 플레이어들. 대다수의 RPG 팀은 정기적으로 플레이한다.
판정 (check)
행위의 성공, 실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퍼지다이스 (fudge dice)
숫자가 적혀있는 주사위와 달리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0) 로 이루어진 주사위. 《페이트》에서 사용한다.
펌블 (fumble)
주사위를 굴렸을 때, 최악의 값이 나온 상황을 뜻한다.
하우스 룰 (house Rule)
팀 내에서 기존 룰을 변형해서 사용하는 경우, 그 룰을 이르는 말이다.
핵 앤 슬래시 (Hack and Slash)
직역하자면 ‘차고, 베다’라는 뜻으로, 적을 무찌르는 결과를 중시하는 장르. 《로그 호라이즌 TRPG》나 《새비지 월드》 등이 이 장르에 포함된다.
헥스맵 (hex map)
육각형 타일로 이루어진 지도로서, 주로 《GURPS》에서 사용한다.

TRPG의 시스템들[편집 | 원본 편집]

TRPG의 규칙 시스템 수는 매우 방대하다. 《던전스 앤드 드래곤스》(D&D)를 비롯해서 본고장인 영미권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자생 시스템이 다수 출간되었으며,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시스템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공식 매체를 통해 처음으로 간행된 한국어 TRPG 시스템은 1993년에 번역 출간된 《RPG 환상사전》에 실린 『알비온』으로, TRPG 단품으로는 이듬해인 1994년에 커뮤니케이션그룹에서 번역해서 내놓은 《던전스 앤드 드래곤스 클래식》(D&D 클래식)이 최초다.

한국어로 출간된 시스템[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로 출간되지 않은 시스템[편집 | 원본 편집]

TRPG와 관계가 있는 작품[편집 | 원본 편집]

이하의 작품은 TRPG 시스템의 공식 미디어 믹스 작품이거나, TRPG 플레이를 소재로 삼았거나, TRPG 리플레이나 그 리플레이를 바탕으로 집필된 소설 등이다.

게임[편집 | 원본 편집]

소설[편집 | 원본 편집]

만화[편집 | 원본 편집]

라이트 노벨[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참고 자료[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주사위는 IRC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2. 소문자로 xdy라 쓰기도 한다.
  3. 롤이십, 로리십이라고도 칭하는 유저들도 있다.
  4. 룰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5. 5.0 5.1 발매 예정
  6. 정식발매는 아니나, 원작자 허가를 받아서 번역 및 무료배포 중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참조
  7. 기본 룰북과 영겁쾌희는 플레이어 섹션에 해당하는 파트만 원작자에게 허가를 받아 번역 및 배포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