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자일리톨 씹으며 쉽게 배우는 핀란드어

Jamon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20일 (일) 01:53 판 (Itjhp(토론)의 편집을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문서의 내용이 너무 쉬워서 머리속에 쏙쏙 들어옵니다.

이 문서에는 독자적으로 연구한 내용이 들어갑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무례하지 않도록 작성해 주시고, 의견 충돌 시 토론 문서에서 토론해 주세요.

Tervetuloa!

Tervetuloa! '환영합니다'라는 뜻이지요. 당신이 그 어떤 변태적 욕구에 휩쓸려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는 몰라도, 어쨌든간에 핀란드에 조금이나마 관심이 있어 오게 된 것일 테니, 환영합니다! 일단, 핀란드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입니다. 문법적 성도 없고, 관사도 없습니다. 그러나, SVO 순이고, 부분격이라는 게 있고, 현재 시제 긍정의 문장에서도 동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각각 다른 어미가 붙습니다. 단어는 어찌어찌 외운다 해도 동사의 유형이 여러 가지라 단순 암기는 안 됩니다. 결국, 답은 '많이 말해보기'입니다. 핀란드어로 대화할 상대도 없는데 무슨... 어차피 핀란드인들은 구어체를 자주 써서 여기서 배우는 문어체로 대화하기 보다는 차라리 영어로 대화하는 게 낫습니다. 핀란드인 친구에게 문자 보낼 때나, 변태같은 외국어 배우고 있다고 자랑하고 싶을 때 쓰세요.

발음하기

일단 기뻐하십시오. 핀란드어는 문자가 적고, 표기도 직관적입니다! 대신 모음이 조금 많은 게 흠입니다.

로마자 발음 비고 및 해설
a ɑ 한국어의 '아'에서 혀를 뒤로 좀 빼세요.
ä æ 한국어에서 '애'를 발음할 때보다 입을 더 벌리세요. '애'인지 '아'인지 모호한 발음이 난다면 좋습니다.
d d 그냥 d입니다. 유성음 발음이 어려우면 그냥 'ㄷ'처럼 읽어도 좋습니다.
e e 그냥 e입니다. '에'를 발음하면 됩니다.
h h, ç, x, ɦ 변이음이 좀 많다만, 괜찮습니다. 모음 앞에서는 'ㅎ'처럼 읽고, i, y뒤와 자음 앞에서는 약하게 '히'로 발음합니다. 그 외의 모음 뒤와 자음 앞에서는 약하게 '흐'로 읽으면 됩니다.
i i 그냥 i입니다. '이'를 발음하세요.
j j 독일어의 것과같이, 반모음입니다. 영어의 y와 같습니다.
k k 힘을 뺀 상태로 'ㄲ'을 발음하세요.
l l 그냥 l입니다. 받침 'ㄹ'이나 'ㄹㄹ'로 발음하세요.
m m, ɱ 그냥 m입니다. 'ㅁ'으로 읽으면 됩니다.
n n, ŋ, ɱ 이것도 변이음이 좀 있지만, g, k 앞에서는 받침 'ㅇ'으로 적고, 그 외에는 그냥 'ㄴ'발음으로 해도 됩니다.
ng ŋ 단어 내에 있는 nk에서 k가 탈락될 때 씁니다. 받침 'ㅇ'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o o 그냥 o입니다. '오'라고 읽으면 됩니다.
ö ø 단모음 '외'와 비슷합니다. 입술은 '오'로 만들고, 그 상태에서 '에'를 발음하면 됩니다. 발음하는 중에 입술을 움직이면 안 됩니다.
p p 힘을 뺀 채로 'ㅃ'을 발음하세요.
r r 이탈리아, 스페인 식으로 혀를 진동시켜 줘야 합니다. 노력해도 안 되면 그냥 초성 'ㄹ'로 해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
s s 그냥 s입니다. 'ㅅ'이나 'ㅆ'으로 읽으면 됩니다.
t t 힘을 뺀 채로 'ㄸ'을 발음하세요.
ts ts 문화어의 ㅉ, ㅊ 발음입니다. 딱히 뭐 더 쓸 말은 없습니다.
u u 그냥 u입니다. '우'라고 읽으면 됩니다.
v ʋ 아랫입술과 윗니로 w를 발음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y y 단모음 '위'와 같은 발음입니다. 입술은 '우'로 만들고, 그 상태에서 '이'를 발음하면 됩니다. 발음하는 중에 입술을 움직이면 안 됩니다.

일단 고유어에서는 위에 적힌 글자들만 사용합니다. 장음은 같은 글자를 겹쳐 씁니다.(장음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뜻이 확 달라지거든요.)

마지막으로, 핀란드어는 모음 조화에 따라 써야 합니다. a, o, u가 양성 모음, i, e가 중성 모음, ä, ö, y가 음성 모음인데, 음성 모음은 음성과 중성 모음끼리, 양성 모음은 양성과 중성 모음끼리 씁니다. 어근이 중성 모음 뿐이면 어미는 대체로 음성 모음을 씁니다. 합성어에선 무시됩니다.

핀란드어의 이중 모음은 무려 18개 입니다. i로 끝나는 것 7개(ai, äi, ei, oi, öi, ui, yi), u나 y로 끝나는 것 각각 4개(au, eu, iu, ou; äy, ey, iy, öy), ie, uo, yö로 18가지입니다. 발음의 변화는 없습니다만, 이걸 알려준 이유는 음절의 개수에 따라 명사의 유형이 바뀌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유형은 후술할 겁니다.

Terve! Minä olen Korealainen (기초 문법)

간단한 인사말과 단어, 어순을 배워 봅시다.

인사말
Terve 안녕(하세요)
Tervetuloa 환영합니다
Kiitos 감사합니다, 부탁드립니다
Anteeksi 미안합니다
Hei hei 안녕(만날 때, 헤어질 때 둘 다 가능)
Hyvää 좋아요
Hyvää huomenta 좋은 아침이에요
Hyvää iltaa 좋은 저녁이에요
Hyvää yötä 좋은 밤이에요
Hyvää päivää 좋은 날 보내세요

참고로, 핀란드어에서 말을 잠깐 끌을 때, 'no'라는 단어를 쓰는데, 영어의 것과 같은 부정의 의미는 아니고 그냥 '그럼'이라는 뜻입니다. 대명사는 다음과 같으며, 주어가 1, 2인칭이거나 se인 경우에는 종종 주어가 생략됩니다.

인칭 대명사 단수 복수
1인칭 minä(나) me(우리)
2인칭 sinä(너) te(너희)
3인칭(인간) hän(그) he(그들)
3인칭(비인간) se(그것) ne(그것들)
지시 대명사 단수 복수
가까움 tämä(이것) nämä(이것들)
tuo(저것) nuo(저것들)

핀란드어에서 영어의 be동사에 대응되는 동사는 olla입니다. 동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다음과같이 활용합니다.

olla의 변형과 인칭 어미 단수 복수
1인칭 olen
(-n)
olemme
(-mme)
2인칭 olet
(-t)
olette
(-tte)
3인칭 on(불규칙)
(마지막 모음을 장음으로)
ovat(불규칙)
(-vat/-vät)

핀란드어는 주어-동사-목적어(또는 보어) 순으로 문장을 만듭니다.

예문
  • Minä olen Korealainen: 나는 한국인이다.
  • Me olemme Korealaiset: 우리는 한국인이다.
  • Sinä olet Suomalainen: 너는 핀란드인이다.
  • Se on kirja: 이것은 책이다.
새로운 단어
  • Korea: 한국
  • -lainen/-läinen: ~지역의(단수 명사 앞), ~지역의 사람[-laiset/-läiset: ~지역의(복수 명사 앞), ~지역의 사람들]
  • Korealainen: 한국인(Korealaiset: 한국인들)
  • Suomi: 핀란드
  • Suomalainen: 핀란드인
  • kirja: 책

Minun koira, Minulla on koira.(소유)

핀란드어의 속격 어미는 -n입니다. 주격에 그냥 -n을 붙이면 되지만, 일부 단어는 형태가 변하기도 합니다. 그러한 경우가 너무 많아서 일일이 정리할 순 없습니다. 그저 많이 써보면서 익숙해지는 수밖에는요.

예문(소유에 대한 부분은 굵게 표시)
  • minun koira=koirani: 나의 개
  • meidän kissa=kissamme: 우리의 고양이
  • sinun lintu=lintusi: 너의 새
  • teidän pupu=pupunne: 너희의 토끼
  • hänen hiiri: 그의 쥐
  • heidän käärme: 그들의 뱀

-n 외에도 '-ni, -mme, -si, -nne'도 각각 '나의, 우리의, 너의, 너희의'의 뜻을 갖습니다.

한편, 핀란드어에는 '갖다'라는 단어가 따로 없습니다. 소유의 표현은 곧 '나에게 개가 있다'라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핀란드어에서 '에게'를 나타내는 격은 재격이라고 합니다. 재격은 안과 밖을 구분하여 재내격과 재외격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재외격(-lla/-llä)을 씁니다.

예문(재외격 어미는 굵게 표시)
  • Minulla on valkoinen karhu: 나는 흰 곰을 갖고 있다.
  • Meillä on harmaa susi: 우리는 회색 늑대를 갖고 있다.
  • Sinulla on punainen sika: 너는 붉은 돼지를 갖고 있다.
  • Teillä on musta lammas: 너희는 검은 양을 갖고 있다.
  • Hänellä on sininen undulaatti: 그는 파란 잉꼬를 갖고 있다.
  • Heillä on kotka: 그들은 독수리를 갖고 있다.
새로운 단어
  • koira: 개
  • kissa: 고양이
  • lintu: 새
  • pupu: 토끼
  • hiiri: 쥐
  • käärme: 뱀
  • karhu: 곰
  • susi: 늑대
  • sika: 돼지
  • lammas: 양
  • undulaatti: 잉꼬
  • kotka: 독수리
  • valkoinen: 하얀
  • harmaa: 회색의
  • punainen: 빨간
  • musti: 검은
  • sininen: 파란

Minä rakastan sinua.(목적어; 목적격과 부분격)

핀란드어에서 목적어로 쓸 수 있는 격은 주격, 목적격, 부분격으로 경우에 따라서 세 가지 격 중 하나를 적절히 골라 씁니다. 이번 문단에서는 자연스럽게 일부 타동사도 배우게 될 겁니다.

주격을 쓰는 경우
  • 정해진 물건
    1. Onko sinulla kirja: 너에게 그 책이 있니?
목적격[1]을 쓰는 경우
  • 완료나 예정
    1. Minä ammuin karhun: 나는 곰을 쏘았다.(맞혔다.)
    2. Minä luen kirjan: 나는 책을 읽겠다.
부분격(-a/-ä, -ta/-tä)을 쓰는 경우
  • 2 이상의 숫자 뒤에서 단수형으로 실현[2][3]
    1. kaksi taloa: 두 집
    2. sata lintua: 수백 마리의 새
  • 미완료나 진행
    1. Minä ammuin karhua: 나는 곰을 쏘았다.(그러나 맞힌 건진 모르겠다...)
    2. Minä puhun koreaa: 나는 한국어를 말한다.
    3. Minä lue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다.
  • 감정동사의 목적어
    1. Minä rakastan sinua: 나는 너를 사랑한다.
  • 정중한 요청
    1. Saanko minä lainata kirjaa: 제가 책을 좀 빌리어도 되겠사옵나잇가?
  • 불가산 명사
    1. Maitoa on lasissa: 우유가 유리컵에 있다.
  • 전체 중 일부 또는 '조금, 약간'의 의미
    1. pala kakkua: 케이크 조각
    2. Minulla on joitakin kirjoja: 나에게 책들이 좀 있다.
  • 부정칭
    1. Onko sinulla kirjaa?: 너에게 아무 책이라도 있니?
  • 부정문의 목적어
    1. suomi ei ole vaikeaa kiel: 핀란드어는 어려운 언어가 아닙니다.
  • 인사말
    1. Hyvää huomenta: 좋은 아침이에요.
새로운 단어
  • -ko/-kö: (의문문을 만드는 접미사)
  • ampua(ammu-/ampu-): 쏘다
  • puhua(puhu-): 말하다
  • korea: 한국어
  • lukea(lue-/luke-): 읽다
  • rakastaa(rakast-/rakasta-): 사랑하다
  • saada(saa-/sa-): 얻다, 받다
  • lainata(lainaa-/laina-): 빌리다
  • maito: 우유
  • lasi: 유리, 유리컵
  • pala: 조각
  • kakku: 케이크
  • joitakin: 조금
  • suomi: 핀란드어
  • vaikea: 어려운
  • kieli(kiele-/kieli-): 언어
  • hyvä: 좋은
  • huomen: 아침(문어체, 일상적으로는 aamu)

'Hyvä' on kuuluisa Koreassa suomen sanana(기타 격들)

핀란드어는 격이 한국어보다 많습니다. 쉽고 간단히 알고 넘어가기 위한 핀란드어 시리즈이니 간단하게만 언급할 겁니다.

  1. 주격(-): 주어나 정해진 물건을 가리키는 목적어로써 쓰인다.
  2. 목적격(-, -n, -t): 완료나 예정의 목적어로 쓰인다.
  3. 속격(-n): 소유를 나타낸다.
  4. 부분격(-a/-ä, -ta/-tä): 전체의 일부, 미완료나 진행의 목적어, 2 이상의 수 뒤 등에서 쓰인다.
  5. 재내격(-ssa/-ssä): '~ 안에'라는 뜻입니다.
  6. 탈내격(-sta/-stä): '~ 안에서'라는 뜻입니다.
  7. 향내격(-Vn[4], -hVn, -siin, -seen): '~안으로'라는 뜻입니다.
  8. 재외격(-lla/-llä): '~ 밖에'라는 뜻이며, 상술했듯이 '가지다'라는 뜻을 갖기도 합니다.
  9. 탈외격(-lta/-ltä): '~ 밖에서'라는 뜻입니다.
  10. 향외격(-lle): '~ 밖으로'라는 뜻입니다.
  11. 양격(-na/-nä): '~으로써'라는 뜻입니다.
  12. 변화격(-ksi): '~으로 (바뀌다 등)'라는 뜻입니다.
  13. 부재격(-tta/-ttä): '~ 없이'라는 뜻입니다.
예문
  • 'Hyvä'주격 on kuuluisa주격 Koreassa재내격 suomen속격 sanana양격: '휘바'는 한국에서 핀란드어 단어로써 유명하다.
  • Minä주격 olen turisti주격 Koreasta탈내격: 나는 한국에서 온 관광객이다.
  • Mene länteen향내격: (너는) 서쪽으로 가라.
새로운 단어
  • kuuluisa: 유명한
  • sana: 단어
  • turisti: 관광객
  • länsi(län-/länne-/länte-): 서쪽

Koiramme ei pure.(부정문)

핀란드어에서 부정문은 ei(아니다, 않다)라는 동사를 이용해 만듭니다. ei는 동사임에도 유일하게 a로 끝나지 않는 동사입니다. 게다가 다른 동사처럼 활용하기도 합니다. ei 동사 뒤에 다른 동사가 올 적에는 인칭어미만 뗀 부분을 씁니다.

ei 동사의 변형
구분 단수 복수
1인칭 en emme
2인칭 et ette
3인칭 ei eivät
예문
  • Koiramme ei pure: 우리 개는 안 물어요.
  • Minä en halua kahvia: 나는 커피를 원하지 않아요.
새로운 단어
  • purra(pur-): 물다
  • haluta(halua-): 원하다
  • kahvi: 커피

"Mitä haluat? mehuako? tai jäätelöäkö?"(의문문)

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ko/-kö를 쓰는 의문문, 다른 하나는 의문사를 쓰는 의문문입니다. -ko/-kö를 쓰는 의문문은 문장 속 맥락을 좀 파악해야 합니다. 예컨대, 'Onko sinullä kirja?(너 그 책 갖고 있니?)'라는 문장은 갖고 있느냐 아니냐에 대한 질문이니 동사인 on(olla의 3인칭 단수)을 문장의 맨 앞으로 끌어온 다음 -ko/-kö를 붙인 겁니다. 다만, 'Paljonko kello on?(몇 시야?)'는 시간이 '얼마나 많이' 지났는지에 대한 질문이니 '많이'를 뜻하는 부사 'paljon'을 앞으로 끌어다가 -ko/-kö를 붙인 겁니다.

의문사(영어로 치자면 who, which, what...)를 쓰는 의문문은 mikä와 kuka를 씁니다. 그리고 격 변화를 해서 뜻이 달라집니다. mikä와 kuka의 격 변화와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주격: Mikä(무엇이, 무슨 ~이/가), Kuka/Kun(누가)
  2. 목적격: Minkä(무엇을 무슨 ~이/가), Kunka/Kenet(누구를)
  3. 속격: Mikä, Minkä(무엇의, 무슨 ~의), Kunka/Kenen(누구의)
  4. 부분격: Mitä, Kuta/Ketä
  5. 재내격: Missä(어디에, 어느 ~에), Kussa/Kenessä(누구에게)
  6. 탈내격: Mistä(어디에서), Kusta/Kenestä(누구에게서)
  7. 향내격: Mihin(어디로, 어느 ~으로), Kuhun/Keneen/Kehen(누구에게로)
  8. 재외격: Millä(무엇에, 무슨 ~에), Kulla/Kenellä/Kellä(누구에게)
  9. 탈외격: Miltä(무엇에서), Kulta/Keneltä/Keltä(누구에게서)
  10. 향외격: Mille(무엇으로, 무슨 ~으로), Kulle/Kenelle/Kelle(누구에게)
  11. 양격: Minä(무엇으로서), Kuna/Kenenä(누구로서)
  12. 변화격: Miksi(왜)

추가로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

  • Milainen: 어떤, 어떤 종류의
  • Milloin: 언제
  • Miten: 어떻게(Kuinka가 좀 더 자주 쓰입니다.)
  • Kuinka: 어떻게, 얼마나

영어에선 의문사로 의문문을 만들 때엔 동사가 주어 앞에 오지만, 핀란드어에선 주어가 동사 앞에 옵니다.

예문
  • Onko sinullä kirja?: 너 그 책 갖고 있니?
  • Paljonko kello on?: 몇 시야?
  • Onko sinulla vihreä vyö?: 너 초록색 벨트 갖고 있니?
  • Mitä sinä haluat?: 너는 무엇을 원하니?
  • Miksi suomi on terkeä?: 왜 핀란드어가 중요합니까?
  • Millainen maa Korea on?: 한국은 어떤 나라입니까?
  • Keneltä kirje on?: 누구에게서 온 편지야?
  • Kuinka vanha olet?: 너 몇 살이야?
  • Kuinka voin auttaa?: 제가 어떻게 도와 드릴까요?
  • Mitä kieltä sinä osaat puhua?: 당신은 어떤 언어를 할 수 있나요?
  • Missä on talosi?: 네 집은 어디에 있니?
  • Mitä haluat? mehuako? Vai jäätelöäkö?: 넌 뭘 원하니? 주스? 아니면 아이스크림?(선다형)
  • Mitä haluat? mehuako? Tai jäätelöäkö?: 넌 뭘 원하니? 주스? 또는 아이스크림?('모두 고르시오'형)
새로운 단어
  • paljon: 많이
  • vihreä: 초록색의
  • terkeä: 중요한
  • maa: 땅, 나라
  • kirje: 편지
  • vanha: 늙은, 낡은
  • voin: 할 수 있다(가능성)
  • osata: 할 수 있다(능력)
  • talo: 집
  • vai: 아니면(선택지 중 하나만 고를 때)
  • tai: 또는(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을 때)
  • mehu: 주스
  • jäätelö: 아이스크림

Venäläiset menkää kotiin!(명령과 청유)

명령은 1인칭 단수를 빼고 나머지 인칭은 다 있고, 미완료와 완료로 나뉩니다. 다만, 쓰는 것은 대부분 2인칭과 청유로 쓰이는 1인칭 복수이니, 지금은 2인칭과 1인칭 복수만 배웁시다. 2인칭 단수일 때에는 비과거 미완료 시제에서 인칭 어미만 뗀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2인칭 복수는 어근에 -kaa/-kää를 붙인 것과 같습니다. 단, 하지 말라고 할 때에는 ei가 아니라 älä를 씁니다. 2인칭 단수는 앞에 älä를 쓰기만 하면 되고, 2인칭 복수는 älkää를 쓰되 뒷부분은 2인칭 단수 명령에 -ko/-kö를 붙인 것을 씁니다. 1인칭 복수는 -kaa/-kää 할 자리에 -kaamme/-käämme를 쓰면 됩니다.

예문
새로운 단어
  • Venäjä: 러시아
  • Venäläinen: 러시아인(Venäläiset: 러시아인들)
  • mennä: 가다
  • koti: 집
  • ruotsi: 스웨덴어
  • ottaa(ota-/otta-/ot-/ott-): 얻다, 취(取)하다, 섭취하다
  • kuva: 사진, 이미지, 프레임
  • perkele: 씨발, 씨발놈아
  • kerran: 한 번

Minä halusin huutaa näin kerran.(과거 시제)

과거 시제는 어간에 -i-를 붙여서 나타냅니다. 예컨대, olla는 어간이 ol-이니, 인칭에 따라 olin, olimme, olit, olitte, oli, olivat으로 나타냅니다. 과거 시제에서는 3인칭 단수일 때에도 i를 장음으로 하지 않습니다.

예문
  • Minä halusin huutaa näin kerran: 나는 한 번 이렇게 외쳐 보고 싶었다.
  • Tänään äitini kuoli. Vai ehkä eilen: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새로운 단어
  • huutaa(huuda-/huuta-/huu-): 외치다
  • näin: 이렇게
  • tänään: 오늘
  • äiti: 엄마
  • kuolla: 죽다
  • ehkä: 어쩌면, 아마도
  • eilen: 어제

Minä olen asunut Koreassa(과거 분사; 완료)

핀란드어에서 과거 분사는 과거 시제 부정과 완료 시제(비과거, 과거 모두 포함)를 표현하는 데에 씁니다. 핀란드어에서 과거 분사를 나타내는 어미는 기본형이 -nut/-nyt인데 l, r, s 뒤에서는 각각 -lut/-lyt, -rut/-ryt, -sut/-syt로 변합니다. 인칭에 따른 변화는 없지만, 분사는 형용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므로, 단복수 구분은 있습니다. 분사는 주어나 피수식어가 복수일 때, -neet(-leet, -reet, -seet)으로 굴절합니다.(핀란드어에서는 형용사와 명사의 차이는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 뿐입니다.) 부정문은 비과거 완료의 경우에는 'ei+인칭 어미+ole+과거 분사', 과거의 경우에는 'ei+인칭 어미+과거 분사', 과거 완료의 경우에는 'ei+인칭 어미+ollut/olleet+과거 분사'입니다.

예문
  • Minä en halunnut parempaa huonetta: 나는 더 좋은 방을 원하지 않았다.(과거 부정)
  • Me olemme asueet Koreassa: 우리는 한국에 살았다.(현재 완료)
  • Sinä et ole halunnut parempaa huonetta: 너는 더 좋은 방을 원하지 않았다.(현재 완료 부정)
  • Te olitte asuneet Koreassa: 너희는 한국에 살았었다.(과거 완료)
  • Hän ei ollut halunnut parempaa huonetta: 그는 더 좋은 방을 원하지 않았었다.(과거 완료 부정)
새로운 단어
  • parempi(paremma-/parempa-): 더 좋은(hyvä의 비교급)
  • huone(huone-/huonee-): 방
  • asua(asu-): 살다

굴절

네... 지금까지 위 내용을 이해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러나, 핀란드어는 술술 읽어 내기 위해 표기를 표음성에다가 몰빵한 탓에 약간의 굴절이 있습니다. 예를 helppo(쉬운)와 Helsinki(헬싱키)로 들어보겠습니다. 각 격마다 'pp'와 'nk' 부분에 유의하여 보십시오.

  1. 주격: helppo, Helsinki
  2. 목적격: helppo/helpon, Helsinki/Helsingin
  3. 속격: helpon, Helsingin
  4. 재내격: helpossa, Helsingissä
  5. 탈내격: helposta, Helsingistä
  6. 향내격: helppoon, Helsinkiin
  7. 재외격: helpolla, Helsingillä
  8. 탈외격: helpolta, Helsingiltä
  9. 향외격: helpolle, Helsingille
  10. 양격: helppona, Helsinkinä
  11. 변화격: helpoksi, Helsingiksi
  12. 부재격: helpotta, Helsingittä

위 두 예시에서 'pp'와 'nk'는 'p'와 'ng'로 굴절합니다. 굴절의 유형과 굴절의 조건을 알아봅시다.

굴절의 유형
원형 굴절
pp, kk, tt, ll 등 장자음 p, k, t, l 등 단자음
복수형 주격(-t) i(뒤에 자음이 올 때), j(뒤에 모음이 올 때)
nt, rt, lt, mp nn, rr, ll, mm
k j 또는 없어짐
t d
p v
nk ng
명사, 형용사의 유형이나 동사에 따라 바뀜.

굴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일어납니다.

  • '(굴절이 되는 부분)+단모음+단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 '(굴절이 되는 부분)+단모음+복자음 또는 장자음+단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 복수형의 격이 변화할 때[5]

위 경우 모두 어말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뜬금없이 중간이나 어두에서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이 외에도 동사 중 어근이 1음절이면서 어말이 ie, uo, yö인 것들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때, 앞 모음이 탈락합니다.

새로운 단어
  • helppo(helppo-/helpo-): 쉬운
  • Helsinki(Helsingi-/Helsinki-): 헬싱키; 핀란드의 수도

satakaksikymmentäkolmemiljoonaaneljäsataaviisikymmentäkuusituhattaseitsemänsataakahdeksenkymmentäyhdeksän(수)

수는 언어를 배우는 데에 있어 기초이지만, 핀란드어에서는 이렇게 뒤로 뺀 이유가 있습니다. 핀란드어는 수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단지 이것 뿐입니다. 프랑스어처럼 10진, 20진 짬뽕인 것은 아니고 그냥 한국어영어고 아무런 연관도 없거니와 수 자체가 단어가 깁니다. 게다가 격 변화도 완전히 제멋대로입니다.

핀란드어의 수(기수), 하이픈으로 형태소 구분함.
1 2 3 4 5 6 7 8 9 10
yksi kaksi kolme neljä viisi kuusi seitsemän kahdeksan yhdeksän kymmene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yksi-tois-ta kaksi-tois-ta kolme-tois-ta neljä-tois-ta viisi-tois-ta kuusi-tois-ta seitsemän-tois-ta kahdeksan-tois-ta yhdeksän-tois-ta kaksi-kymmen-tä
21 100 200 1 000 10 000 100 000 1 000 000 2 000 000
kaksi-kymmen-tä-yksi sata kaksi-sata-a tuhat kymmenen-tuhat-ta sata-tuhat-ta miljoona kaksi-miljoona-a

자릿수대로 띄어 쓰는 영어나, 만 단위로 띄어 쓰는 한국어와는 달리, 핀란드어에서는 수를 죄다 붙여 씁니다.(그리고 쉼표는 소수점의 역할을 합니다.) 한편, 11~19에 붙은 '-toista'는 '두번째'를 뜻하는 toinen의 부분격입니다. kymmentä, sataa, tuhatta, miljoonaa는 각각 kymmenen, sata, tuhat, miljoona의 부분격입니다.

즉, 123 456 789라고 한다면, satakaksikymmentäkolmemiljoonaaneljäsataaviisikymmentäkuusituhattaseitsemänsataakahdeksenkymmentäyhdeksän이라고 하면 됩니다. 못 믿겠으면 저걸 구글 번역기에 넣어 돌려도 됩니다.

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핀란드어의 수(서수), 하이픈으로 형태소 구분함.
1 2 3 4 5 6 7 8 9 10
ensimmäinen toinen kolma-s neljä-s viide-s kuude-s seitsemä-s kahdeksa-s yhdeksä-s kymmen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yhde-s-tois-ta kahde-s-tois-ta kolma-s-tois-ta neljä-s-tois-ta viide-s-tois-ta kuude-s-tois-ta seitsemä-s-tois-ta kahdeksa-s-tois-ta yhdeksä-s-tois-ta kahde-s-kymmene-s
21 22 100 200 1 000 10 000 100 000 1 000 000 2 000 000
kahde-s-kymmene-s-yhde-s
kahde-s-kymmene-s-ensimmäinen
kahde-s-kymmene-s-kahde-s
kahde-s-kymmene-s-toinen
sada-s kahdes-sada-s tuhanne-s kymmene-s-tuhanne-s sada-s-tuhanne-s miljoona-s kahde-s-miljoona-s

첫번째와 두번째를 뺀 나머지는 기수에 -s만 붙여주면 서수가 됩니다. 11~19도 기수에서처럼 toinen의 부분격인 toista를 붙입니다. 원래의 기수와 형태가 달라 보여도 이는 명사의 유형과 굴절 조건에 따라 굴절한 겁니다.

30. toukokuu, vuoda kaksituhattakaksikymmentäneljä, kello 10:37(날짜 및 시각)

이 문단의 제목은 바로 현재 년월일과 현재 시각입니다. 혹 눈치 채셨을려나요?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지금 배울 테니깐요.

핀란드어는 일월년 순으로 날짜를 씁니다. 유럽의 보편적인 날짜 표기 방식이지요. 일은 서수로 쓰고, 월은 ~kuu(~달) 꼴로 쓰며, 연도는 기수로 쓰며, 앞에 연도를 뜻하는 vuoda를 씁니다. 월은 1월부터 12월까지 다음과 같습니다.

핀란드어의 달
한국어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핀란드어 tammikuu helmikuu maaliskuu huhtikuu toukokuu kesäkuu heinäkuu elokuu syyskuu lokakuu marraskuu joulukuu
직역 참나무달 진주달 대지의 달 화경지달 파종달 여름달 건초달 삶달 가을달 진흙달 영혼달 성탄절달

참 씰데두 엄씨 감성 충만함돠.

바로 시각으로 넘어갑시다. 핀란드어로 시계는 kello(구어체로는 klo)입니다. 거두절미하고 딱 'X시'라고 할 것이면 'kello X'이라고 하면 되고, 'X시입니다'는 olla의 3인칭 단수를 넣어 'kello on X'라고 쓰면 됩니다. 그러니깐, '2024년 5월 30일, 10:37'은 '30. toukokuu, vuoda kaksituhattakaksikymmentäneljä, kello 10:37'로 쓰면 됩니다.

새로운 단어
  • kuu: 달(moon, month)
  • vuoda: 년
  • kello: 시계, 시각
  • tammi: 참나무
  • helmi: 진주
  • maallinen[maa+llinen(llise-/llis-)]: 대지의
  • huhta: 화경지
  • touko: 파종
  • kesä: 여름
  • heinä: 건초
  • elo: 삶
    • elokuva: 영화
  • syys: 가을
  • marras(marra-/marta-): 영혼
  • joulu: 크리스마스

Suomalaiset haluavat Karjala, joka on kaunis maa.(관계 대명사)

영어에 관계 대명사 who, which, that이 있듯이 핀란드어에도 관계 대명사가 있습니다. 바로 joka입니다. joka의 격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에서처럼, 앞절의 것을 뒷절에서 보층 설명이나 수식할 때 뒷절에서의 격에 맞추어 쓰면 됩니다.

  1. 주격: joka
  2. 목적격: joka/jonka
  3. 속격: jonka
  4. 부분격: jota
  5. 재내격: jossa
  6. 탈내격: josta
  7. 향내격: johon
  8. 재외격: jolla
  9. 탈외격: jolta
  10. 향외격: jolle
  11. 양격: jona
  12. 변화격: joksi
  13. 부재격: jotta

물론, mikä나 kuka를 써도 되지만 joka로 예문 몇 가지를 들겠습니다. 해석에서 괄호 안에 있는 부분은 관계절의 부분입니다.

예문
  • Suomalaiset haluavat Karjala, joka on kaunis maa: 핀란드인들은 (아름다운 땅인) 카르얄라를 원합니다.
  • Suomi on maa, jota haluan: 핀란드는 (내가 원하는) 나라이다.
  • Isä meidän, joka olet taivaissa: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새로운 단어
  • Karjala: 카르얄라/카렐리야/카렐리아; 핀란드 남동쪽에 있던 옛 핀란드 영토, 현재 러시아의 콘드라티예보
  • kaunis: 아름다운
  • Isä: 아빠
  • taivas: 하늘, 천국

핀란드어 사전

일상에서 자주 쓸 법한 단어를 모았습니다.

유의사항
  1. 국가명은 대문자로, 언어명은 소문자로 씁니다.
  2. 뜻이 기울임꼴로 써진 것은 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핀란드어 격 변화 및 활용 품사
minä 대명사
sinä 대명사
hän 그 사람(남녀 구분 없음) 대명사
se 그것(인간 제외) 대명사
me 우리 대명사
te 너희 대명사
he 그들(인간) 대명사
ne 그것들(비인간) 대명사
olla 이다, 있다 동사
ei 아니다 동사
kahvi 커피 명사
hyvä 좋은 형용사
terve 안녕하세요
건강한, 평안한
감탄사
형용사
tervetuloa 환영합니다
terve(건강한) + tul-(오다; tulla) + -o(명사 파생 접사) + -a(부분격)
감탄사
kiitos 고맙습니다
고마움
kiit-(찬양 고무하다; kiittä) + -os(명사 파생 접사)
감탄사
명사
euro 유로 명사
anteeksi 미안합니다
antee-(자료, 선물) + -ksi(변화격)
감탄사
Korea 한국 명사
korea 한국어 명사
-lainen1
-läinen1
~ 지역의, ~ 지역의 사람,
~ 하는 사람, ××주의자


※Venäjä(러시아)에 이 접미사가 붙을 때엔 Venäläinen,
la/lä로 끝나는 지명에 이 접미사가 붙을 때엔 -inen만 붙인다.
접미사
-lainen2
-läinen2
형용사 파생 접사,
형용사의 속격에 붙어 형용사의 의미를 축소하는 접사
접미사
joka 관계 대명사 대명사
mikä 관계 대명사
무엇
무엇이든
대명사
kuka 관계 대명사
누구
누구든
대명사

각주

  1. 주격과 모양이 같기도 하고, 속격과 모양이 같기도 하고, 주격에 -t가 붙은 형태가 되기도 합니다.
  2. 참고로, 사미어에서는 6 초과의 숫자(...) 뒤에서 실현된다고 한다.
  3. 아래 두 경우 모두 주격 복수형(kahdet talot, sadat linnut)을 써도 되지만 후자는 뜻이 '새 백 마리'로 달라진다.
  4. V는 어말의 모음을 뜻하며, 이 경우는 어말 모음을 장음으로 한 뒤 n을 붙이라는 뜻입니다.
  5. 단수 주격이 i로 끝나는 것은 -t가 i, j로 굴절할 때 i도 e로 굴절하고 앞의 장자음(있는 경우)도 단자음으로 굴절합니다. 또한, 속격에서는 '-it+-n'이 '-ien'으로 바뀝니다. 한편, -a/-ä로 끝나는 단어들도 복수형에선 -o/-ö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