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Chugun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2월 14일 (일) 21:53 판 (일단 날리고 다시 씀...)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수도권 전철

개요

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다. 도시철도에 해당하는 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를 비롯, 한국철도공사가 관할하는 기존 철도망을 이용한 광역철도 체계를 섞은 것으로, 엄밀하게 정의된 건 아니고,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정착된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MESRS;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1]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수도권 전철의 범위를 어디까지 보느냐에 대해서는 말이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운임에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운임 체계를 채택한 노선들을 그 범위로 보는 경향이 짙다. 이 때문에, 일시기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었다.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역사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며,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할 때, 늦은 출발은 아니었다.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계통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직결 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 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계통 목록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색상 안내 계통명 영업 주체 기점 경유 노선 종점 영업 거리
1호선 코레일
서울메트로[2]
소요산 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경인선 인천 89.4 km
광운대 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신창, 서동탄 129.3 + 1.9 km
영등포 경부본선, 경부고속본선 광명역 12.9 km
2호선 서울메트로 시청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시청 (순환) 48.8 km
성수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 5.4 km
신도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6.0 km
3호선 코레일
서울메트로
대화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오금 57.4 km
4호선 코레일
서울메트로
당고개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오이도 71.5 km
5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방화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지선 상일동, 마천 45.2 + 7.1 km
6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응암[3]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35.1 km
7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장암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 57.1 km
8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암사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 17.7 km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4]
서울9호선운영[5]
서울메트로[6]
개화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 31.7 km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틀:철도 노선색 0%, 틀:철도 노선색 40%, 틀:철도 노선색 40%, 틀:철도 노선색 60%, 틀:철도 노선색 60%, 틀:철도 노선색 100%);" | 공항철도 공항철도 서울역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국제공항 58.0 km
분당선 코레일 왕십리 분당선 수원 52.9 km
수인선 코레일 오이도 수인선 송도 13.1 km
경의·중앙선 코레일 문산 경의본선, 용산선, 경원본선, 중앙본선 용문, 서울역 118.7 + 5.8 km
경춘선 코레일 상봉(, 광운대) (망우선, )경춘선 춘천 80.7 + 4.9 km
신분당선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강남 신분당선 본선 광교 31.1 km
인천 1호선 인천도시철도공사 계양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국제업무지구 29.4 km
의정부경전철 의정부경전철 발곡 의정부경전철 탑석 10.6 km
용인경전철 용인경량전철 기흥 의정부경전철 전대·에버랜드 18.5 km

운임 체계

  1. 철도통계연보 등에서 사용하는 표기이며,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다.
  2. 관리는 서울역 - 청량리, 운행은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만 이루어짐.
  3. 안내에는 응암순환이라는 말이 쓰인다. 단선 루프 구조 때문.
  4. 관리
  5. 1단계 운영 위탁
  6. 2단계 운영 위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