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일단 날리고 다시 씀...)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전철 목록}}
{{+1|수도권 전철}}
== 개요 ==
[[파일:Headoffice_line_img.gif|섬네일|노선도]]
[[파일:Headoffice_line_img.gif|섬네일|노선도]]
[[파일:수도권_전철의_변천.gif|섬네일|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파일:수도권_전철의_변천.gif|섬네일|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개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다. 도시철도에 해당하는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를 비롯, 한국철도공사가 관할하는 기존 철도망을 이용한 광역철도 체계를 섞은 것으로, 엄밀하게 정의된 건 아니고,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정착된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MESRS;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ref>철도통계연보 등에서 사용하는 표기이며,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다.</ref>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권 전철'''<ref>[[서울메트로]]가 발행하는 노선도에서는, 수도권 전철을 '''서울메트로(또는 서울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차량 내부에 있는 노선도에는 그냥 '''수도권 전철'''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서울 지하철(도시철도) 및 수도권 전철'''이라고 하거나 '''수도권 전철'''이라고 칭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광역 철도|광역전철]]이라는 명칭을 쓴다. (코레일 홈페이지에서는 '''수도권 전철''' 명칭을 쓰기도 한다.) [[인천교통공사]]에서는 '''수도권 도시철도'''라고 정의한다. (인천교통공사 여객운송약관, 2011년 7월 15일 약관 제3호)</ref>(首都圈電鐵, {{llang|en|Seoul Metropolitan Subway}})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아산시]], [[천안시]], [[강원도]] [[춘천시]]에서 운행하는 [[서울 지하철]], [[인천 지하철]],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광역철도]]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신분당선]] 등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대한민국]]에서 제일 복잡한 체계를 가진 [[광역철도|광역전철 체계]]이다. [[서울특별시]]의 [[서울 지하철]]을 중심으로, [[인천광역시]]의 [[인천 도시철도]]와, 이들 도시에서 뻗어나가는 [[경기도]]의 대부분과 [[충청남도]] 일부, [[강원도]]의 일부에 위치한 [[광역 철도]] 등이 통합된 체계다.


수도권 전철의 운임 체계와 승차권을 따르지 않는 노선은 목록에서 제외한다. 별도 운임제도를 갖는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직통열차, [[ITX-청춘]], 또한 사업이 별도로 진행되었고 시범 형태 노선이며 무임 운송 중인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수도권 전철이 아니다.
수도권 전철의 범위를 어디까지 보느냐에 대해서는 말이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운임에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운임 체계를 채택한 노선들을 그 범위로 보는 경향이 짙다. 때문에, 일시기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었다.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 역사 ==
== 역사 ==
[[수도권 전철]]은 [[서울역 (지하철)|서울역앞역]]부터 [[청량리역]]까지 개통된 [[서울 지하철 1호선]]함께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과의 직결 운행을 개시한 것을 시초로 볼 수 있다. [[광운대역|성북역]]부터 [[서울역 (지하철)|서울역앞역]]을 경유, [[인천역]]과 [[수원역]]에까지 이르는 [[수도권 전철 1호선|최초의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은 이후 서울 지하철의 확충과 서울 근교 철도 구간의 전동차 운행을 통해 노선을 확충해 나가게 되었고,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규칙성이 없던 노선들의 안내를 일괄적으로 정리하여 보다 확실한 수도권 전철 체계가 정립되었다. 한편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을 일괄적으로 수도권 전철 혹은 ‘국철’로 부르던 것을 [[2000년]]에 ‘1호선’과 ‘3호선’, ‘4호선’으로 분리하였다.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며,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할 때, 늦은 출발은 아니었다.


=== 연혁 ===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각 노선 문서의 연혁을 참고하기 바란다.
* [[1974년]] [[8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고,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에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 당시 운행구간은 [[성북역]] - 서울역앞 - [[인천역]],[[ 수원역]].
* [[1978년]] [[12월 9일]] :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간이 추가로 수도권 전철에 편입됨. 회기역 직전에 합류하여 [[용산역]] - [[성북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으로 취급되었다.
* [[1980년]] [[10월 3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신설동역]] ~ [[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 [[1982년]] [[12월 23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 ~ [[교대역]] 구간 개통.
* [[1983년]] [[9월 16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 개통과 동시에 [[신설동역]] ~ [[성수역]] 구간이 지선으로 분리.
* [[1983년]] [[12월 1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 ~ [[서울대입구역]] 구간 개통.
*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 개통으로 [[을지로 순환선]] 완성.
* [[1985년]] : 운임 산정 방식을 거리 비례제에서 구간 운임제로 변경하면서, 승차권을 에드몬슨 식 종이 승차권에서 자기식 종이 승차권으로 변경.
* [[1985년]] [[4월 20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역 ]]~[[ 한성대입구역]]구간 개통.
* [[1985년]] [[7월 12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 [[독립문역 ]]구간 개통.
* [[1985년]] [[8월 2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성북(현 광운대역) ~ [[창동역]] 구간 개통.
* [[1985년]] [[9월 1일]] : 서울 지하철 구간 역무 자동화.
*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양재역]]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 사당역 ]]구간 개통.
* [[1986년]] [[9월 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 개통.
* [[1988년]] [[10월 25일]] : [[안산선]][[수도권 전철 4호선]][[ 금정역]] ~ [[안산역]]구간 개통.
* [[1991년]] : 수도권 전철 구간 역무 자동화.
* [[1992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도림역]] ~ [[양천구청역]] 구간 개통.
* [[1993년]] [[1월 15일]] : [[과천선]][[수도권 전철 4호선]][[ 금정역]] ~ [[인덕원역]] 구간 개통.
* [[1993년]] [[4월 21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역]] ~[[ 당고개역]] 구간 개통.
* [[1993년]]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 ~[[ 수서역 ]]구간 개통.
* [[1994년]] [[4월 1일]] :[[ 과천선]][[수도권 전철 4호선]][[ 인덕원역 ]]~ [[사당역]] 구간 연장 개통. [[서울 지하철 4호선]]과[[ 남태령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4호선]] 형성.
* [[1994년]] [[9월 1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서역]] ~ [[오리역]] 구간 개통.
* [[1995년]]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왕십리역 ]]~[[ 상일동역]] 구간 개통.
*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수도권 전철 3호선]][[ 구파발역 ]]~[[ 대화역]]구간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과 [[구파발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3호선]] 형성.
* [[1996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양천구청역]] ~ [[신정네거리역]] 구간 개통.
* [[1996년]] [[3월 20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정네거리역]]~ [[까치산역]] 구간 개통.
* [[1996년]] [[3월 2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역]] ~[[ 까치산역]] 구간 개통.
* [[1996년]] [[3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강동역 ]]~[[ 마천역]] 구간 개통.
* [[1996년]] [[8월 12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까치산역]] ~ [[여의도역]] 구간 개통.
*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1996년]] [[11월 23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모란역]] 구간 개통.
* [[1996년]] [[12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 [[왕십리역]] 구간 개통.
* [[1998년]] [[1월 7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신길역]], [[독산역]], [[소사역]] 완공 및 개업.
* [[1999년]] [[1월 29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화 완공, [[구로역]] ~ [[부평역]]간 급행열차 운행.
* [[1999년]] [[7월 2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암사역]] 구간 개통.
* [[1999년]] [[10월 6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박촌역]] ~ [[동막역]]구간 개통.
* [[1999년]] [[12월 7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박촌역]] ~ [[귤현역]] 구간 개통.
* [[2000년]] : 기존까지 확실하지 않던 안내 체계를 수도권 전철로 체계화.
* [[2000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 ~[[ 신풍역]] 구간 개통.
* [[2000년]] [[7월 28일]] :[[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역]] ~ [[오이도역]]구간 개통.
* [[2000년]] [[8월 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역]] ~ [[신풍역]] 구간 개통.
* [[2000년]] [[8월 7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역]] ~ [[상월곡역]] 구간 개통.
*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역]] ~[[ 응암역]] 구간 개통.
* [[2003년]] [[4월 3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병점역]] 구간 개통.
* [[2003년]] [[9월 3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서역]] ~ [[선릉역]] 구간 개통.
* [[2004년]] : 운임 산정 방식을 구간 운임제에서 다시 거리 비례제로 변경. 버스와의 환승 할인 제도 도입.
*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병점역]] ~ [[천안역]] 구간 연장 개통.
* [[2005년]]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 ~ [[덕소역]] 구간을 [[수도권 전철]]에 편입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으로 취급되던[[ 경원선]][[ 용산역]] ~[[ 성북역]]간 계통을 폐지하고, 남은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을[[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 편입하여[[ 수도권 전철 중앙선]] 계통이 성립. 당시 노선 안내명은[[ 중앙선]]이 아닌 [[용산역]]-[[덕소역]]선.
* [[2005년]] [[12월 2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부평역]] ~ [[동인천역]]간 복복선화 완공, [[용산역]]~ [[동인천역]] 급행 전철 운행.
* [[2006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의정부역]]~ [[소요산역]] 구간 연장 개통. 광명역의 접근 편의성을 위한 셔틀 열차를[[ 용산역]] ~[[ 광명역]] 구간에서 운행.
* [[2007년]] [[3월 16일]] :[[ 인천 지하철 1호선 ]][[귤현역]] ~[[ 계양역]]구간 개통.
* [[2007년]]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인천국제공항역]] 구간 개통.
* [[2007년]] [[12월 24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오리역]] ~ [[죽전역]] 구간 개통.
* [[2007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역]] ~ [[팔당역]] 구간 연장 개통과 동시에 [[중앙선]]으로 안내 명칭 확정.
* [[2008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천안역]] ~ [[신창역]]구간 개통. [[경부선]] 계통과 통합 운행.
* [[2008년]] [[12월 29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팔당역]] ~ [[국수역]] 구간 개통.
* [[2009년]] [[5월 1일]] : 수도권 전철 승차권을 자기식 종이 승차권에서 1회용 IC식 교통 카드로 교체.
* [[2009년]] [[6월 1일]] : [[인천 지하철 1호선]][[ 동막역]]~ [[국제업무지구역]]구간 개통.
*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 ~ [[문산역]]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편입.
* [[2009년]]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신논현역]] 구간 개통.
* [[2009년]] [[12월 23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국수역]]~ [[용문역]] 구간 개통.
* [[2010년]] [[2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역]] ~ [[오금역]] 구간 개통.
* [[2010년]] [[2월 26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기지선]][[ 병점역]] ~ [[서동탄역]]구간 개통.[[ 경부선]] 계통의 지선으로, [[병점역]]시종착 열차를 연장 운행.
* [[2010년]] [[12월 21일]]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상봉역]] ~ [[춘천역]]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편입.
*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서울역]] 구간 개통.
* [[2011년]] [[7월 1일]] : 서울메트로와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전 노선에 접근 멜로디를 도입.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제외)
* [[2011년]] [[10월 28일]] : [[신분당선]][[ 강남역]] ~[[ 정자역]]구간 개통.
* [[2011년]] [[12월 28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죽전역]] ~[[ 기흥역]] 구간 개통.
* [[2012년]] [[6월 30일]] :[[ 수도권 전철 수인선]][[ 오이도역]] ~ [[송도역]]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편입.
* [[2012년]] [[7월 1일]] :[[ 의정부경전철]] 개통 [[발곡역]] ~ [[탑석역]] 구간 운행.
* [[2012년]] [[10월 6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선릉역]] ~[[ 왕십리역]] 구간 개통.
* [[2012년]] [[10월 27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 ~ [[부평구청역]] 구간 개통.
* [[2012년]] [[12월 1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기흥역]] ~ [[망포역]] 구간 개통.
* [[2012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용산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공덕역]] 구간 개통. [[경의선 ]]계통과 통합 운행.
* [[2013년]] [[4월 26일]] : [[용인경전철]] 개통 [[기흥역]] ~[[ 에버랜드역]] 구간 운행.
* [[2013년]] [[8월 1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전 노선에 접근 멜로디를 도입. (서울메트로,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전 노선 포함, 9호선 제외)
* [[2013년]] [[11월 30일]] : [[수도권 전철 분당선]][[ 망포역]] ~ [[수원역]] 구간 개통. 급행 열차 운행.
* [[2014년]]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적용.
* [[2014년]] [[12월 6일]] : [[의정부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적용.
* [[2014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역]] ~ [[용산역]]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용산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형성.
* [[2015년]]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 [[2015년]] [[10월 3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야당역]] 개통
* [[2016년]] [[1월 30일]] : [[신분당선]] [[정자역]] ~ [[광교역]] 구간 개통.


== 계통 ==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직결 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 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 노선 ==
=== 계통 목록 ===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긴 노선은 [[수도권 전철 1호선]](200.6km)이다. 가장 짧은 노선은 [[의정부경전철]](10.6km)이다.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 rowspan="2" | 노선색
! colspan="2" | 노선명
! rowspan="2" | 기점
! rowspan="2" | 종점
! rowspan="2" | 거리
! rowspan="2" | 역수
! rowspan="2" | 소유자<br />관리자
! rowspan="2" | 운영자
|-
! 운행 계통
! 실제 노선
|-
| rowspan="8"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1}}; color: white;" | 남색
| rowspan="8"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구 [[종로선]])
| [[서울역 (지하철)|서울역]]
| [[청량리역]]
| rowspan="8" | 200.6 km
| rowspan="8" | 114
| [[서울특별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서울메트로]]
|-
| [[경원선|경원본선]]
| [[회기역]]
| [[소요산역]]
| rowspan="7" | [[대한민국 정부]]<br />[[대한민국 국토교통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
| rowspan="7" | [[한국철도공사]]
|-
|-
| [[경부선|경부본선]]
! 색상
| [[서울역]]
! 안내 계통명
| [[두정역]]
! 영업 주체
! 기점
! 경유 노선
! 종점
! 영업 거리
|-
|-
| [[천안직결선]]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1}};" |
| 두정역
| rowspan="3"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천안역]]
| rowspan="3" | [[한국철도공사|코레일]]<br />[[서울메트로]]<ref>관리는 서울역 - 청량리, 운행은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만 이루어짐.</ref>
| [[소요산역|소요산]]
| [[경원선|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경부본선]], [[경인선]]
| [[인천역|인천]]
| 89.4 km
|-
|-
| [[경인선]]
| [[광운대역|광운대]]
| [[구로역]]
| 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등
| [[인천역]]
| [[신창역|신창]], [[서동탄역|서동탄]]
| 129.3 + 1.9 km
|-
|-
| 경부본선<br />[[시흥연결선]]<br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영등포역|영등포]]
| [[금천구청역]]
| 경부본선,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광명역]]
| [[광명역]]
| 12.9 km
|-
|-
| [[병점기지선]]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2}};" |  
| [[병점역]]
| [[서동탄역]]
|-
| [[장항선]]
| 천안역
| [[신창역 (아산)|신창역]]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2}}; color: white;" | 초록색
| rowspan="3"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rowspan="3"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본선 ([[을지로 순환선]])
| rowspan="3" | 서울메트로
| [[시청역]]
| [[시청역|시청]]
| 시청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 rowspan="3" | 60.2 km
| 시청 (순환)
| rowspan="3" | 51
| 48.8 km
| rowspan="4" | 서울특별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rowspan="4" | 서울메트로
|-
| [[성수지선]]
| [[성수역]]
| [[신설동역]]
|-
| [[신정지선]]
| [[신도림역]]
| [[까치산역]]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3}}; color: white;" | 주황색
| rowspan="2" |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 [[지축역]]
| [[오금역]]
| rowspan="2" | 57.4 km
| rowspan="2" | 44
|-
| [[일산선]]
| 지축역
| [[대화역]]
| 대한민국 정부<br />대한민국 국토교통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
| 한국철도공사
|-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4}}; color: white;" | 하늘색
| [[성수역|성수]]
| rowspan="3"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신설동역|신설동]]
| [[당고개역]]
| 5.4 km
| [[남태령역]]
| rowspan="3" | 71.5 km
| rowspan="3" | 51
| 서울특별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서울메트로
|-
|-
| [[과천선]]
| [[신도림역|신도림]]
| [[금정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 남태령역
| [[까치산역|까치산]]
| rowspan="2" | 대한민국 정부<br />대한민국 국토교통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
| 6.0 km
| rowspan="2" | 한국철도공사
|-
|-
| [[안산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3}};" |
| 금정역
|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오이도역]]
| 코레일<br />서울메트로
| [[대화역|대화]]
|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오금역|오금]]
| 57.4 km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R|5}}; color: white;" | 보라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4}};" |  
| rowspan="2" |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본선
| 코레일<br />서울메트로
| [[방화역]]
| [[당고개역|당고개]]
| [[상일동역]]
|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 rowspan="2" | 52.3 km
| [[오이도역|오이도]]
| rowspan="2" | 51
| 71.5 km
| rowspan="3" | 서울특별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rowspan="5"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
| 지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5}};" |
| [[강동역]]
|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마천역]]
| [[서울도시철도공사]]
| [[방화역|방화]]
|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지선
| [[상일동역|상일동]], [[마천역|마천]]
| 45.2 + 7.1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R|6}}; color: white;" | 황토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6}};" |  
| colspan="2"|[[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응암역]]
| 서울도시철도공사
| [[봉화산역]]
| [[응암역|응암]]<ref>안내에는 응암순환이라는 말이 쓰인다. 단선 루프 구조 때문.</ref>
| 서울 지하철 6호선
| [[봉화산역|봉화산]]
| 35.1 km
| 35.1 km
| 38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R|7}}; color: white;" | 올리브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7}};" |  
| colspan="2"|[[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장암역]]
| 서울도시철도공사
| [[부평구청역]]
| [[장암역|장암]]
| 서울 지하철 7호선
| [[부평구청역|부평구청]]
| 57.1 km
| 57.1 km
| 51
| 서울특별시<br />[[경기도]] [[부천시]]<br />[[인천광역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R|8}}; color: white;" | 분홍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8}};" |  
| colspan="2"|[[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암사역]]
| 서울도시철도공사
| [[모란역]]
| [[암사역|암사]]
| 서울 지하철 8호선
| [[모란역|모란]]
| 17.7 km
| 17.7 km
| 17
| 서울특별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9|9}}; color: white;" | 황금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9}};" |  
| colspan="2"|[[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개화역]]
| [[서울시메트로9호선]]<ref>관리</ref><br />[[서울9호선운영]]<ref>1단계 운영 위탁</ref><br />서울메트로<ref>2단계 운영 위탁</ref>
|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역]]
| [[개화역|개화]]
| 서울 지하철 9호선
| [[종합운동장역|종합운동장]]
| 31.7 km
| 31.7 km
| 30
| 서울특별시<b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br />[[서울시메트로9호선]]
| [[서울9호선운영]]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KA|A}}; color: white;" | AREX Blue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철도 노선색|S|AR1}} 0%, {{철도 노선색|S|AR1}} 40%, {{철도 노선색|S|AR2}} 40%, {{철도 노선색|S|AR2}} 60%, {{철도 노선색|S|AR1}} 60%, {{철도 노선색|S|AR1}} 100%);" |  
| colspan="2"|[[인천국제공항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공항철도
| [[서울역]]
|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역]]
| 인천국제공항선
|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58.0 km
| 58.0 km
| 13
| rowspan="9" | 대한민국 정부<br />대한민국 국토교통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
|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
|-
| rowspan="4"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KR|1}}; color: white;" | 연옥색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BS}};" |  
| rowspan="4"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분당선]]
| [[경의선|경의본선]]
| 코레일
| [[서울역]]
| [[왕십리역|왕십리]]
| [[문산역]]
| 분당선
| rowspan="4" | 124.5 km
| [[수원역|수원]]
| Rowspan="4" | 54
| 52.9 km
| rowspan="8" | 한국철도공사
|-
|-
| [[용산선]]
| [[수인선]]
| [[용산역]]
| 코레일
| [[가좌역]]
| 오이도
|-
| 수인선
| [[경원본선]]
| [[송도역|송도]]
| [[용산역]]
| 13.1 km
| [[청량리역]]
|-
| [[중앙선|중앙본선]]
| 청량리역
| [[용문역 (양평)|용문역]]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KR|4}}; color: white;" | 옥색
| rowspan="2" | [[경춘선]]
| [[망우선]]
| [[망우역]]
| [[광운대역]]
| rowspan="2" | 85.6 km
| rowspan="2" | 22
|-
| 경춘선
| 망우역
| [[춘천역]]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KR|2}}; color: white;" | 노란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GJ}};" |  
| colspan="2"|[[분당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왕십리역]]
| 코레일
| [[수원역]]
| [[문산역|문산]]
| 52.9 km
| [[경의선|경의본선]], [[용산선]], 경원본선, [[중앙선|중앙본선]]
| 36
| [[용문역|용문]], 서울역
| 118.7 + 5.8 km
|-
|-
| colspan="2"|[[수인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GC}};" |
| 오이도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 [[송도역]]
| 코레일
| 13.1 km
| [[상봉역|상봉]]<small>(, 광운대)</small>
| 20
| <small>([[망우선]], )</small>[[경춘선]]
| [[춘천역|춘천]]
| 80.7 + 4.9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B|S}}; color: white;" | 심홍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SB}};" |  
| colspan="2"|[[신분당선]]
| [[신분당선]]
| [[강남역]]
| [[신분당선주식회사|신분당선]]<br />[[네오트랜스]]<br />[[경기철도]]
| [[광교역]]
| [[강남역|강남]]
| 31.0 km
| 신분당선 본선
| 12
| [[광교역|광교]]
| 대한민국 정부<br />대한민국 국토교통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br />[[신분당선 (기업)|신분당선주식회사]]<br />[[경기철도주식회사]]
| 31.1 km
| [[네오트랜스]]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IM|1}}; color: white;" | 하늘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I1}};" |  
| colspan="2"|[[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1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계양역]]
| [[인천도시철도공사]]
| [[국제업무지구역]]
| [[계양역|계양]]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국제업무지구역|국제업무지구]]
| 29.4 km
| 29.4 km
| 29
| 인천광역시<br />인천광역시 도시교통본부
|[[인천교통공사]]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YL|E}}; color: white;" | 연두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UL}};" |  
| colspan="2"|[[용인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 [[기흥역]]
| 의정부경전철
| [[전대·에버랜드역]]
| [[발곡역|발곡]]
| 18.4 km
| 의정부경전철
| 15
| [[탑석역|탑석]]
| [[용인시]]
| 10.6 km
| [[용인경량전철]]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IM|U}}; color: white;" | 귤색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YL}};" |  
| colspan="2"|[[의정부경전철]]
| [[용인경전철]]
| [[발곡역]]
| 용인경량전철
| [[탑석역]]
| [[기흥역|기흥]]
| 10.6 km
| 의정부경전철
| 15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 [[의정부시]]
| 18.5 km
| [[인천교통공사]]
|-
|-
| colspan="3"| '''총합'''
|
|
| '''1013.4km'''
| '''948'''
|
|
|}
|}


== 운임 체계 ==
== 운임 체계 ==
{{본문|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수도권 전철 정기권}}
[[수도권 전철]]은 기본적으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따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 거리에 따른 운임 산정, 타 대중 교통 기관와의 환승 운임 할인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정기 이용객을 위한 [[수도권 전철 정기권|정기권 제도]]도 있다.
수도권 전철만을 이용하는 경우, 하차 직전까지 이용한 실제 경로와는 상관 없이 노선 체계상 최단 운임 거리를 기준으로 요금을 산정(단, [[상봉역|상봉]] - [[광운대역|광운대]] 구간은 [[회기역]] 환승을 가정한 거리를 기준함)한다. 기본 운임은 1250원([[신분당선]],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운임 구역 진입 후 다른 역에서 진출시 각각 900원, 200원, 100원씩 추가)으로, 임률은 기본적으로 매 4 km 당 100원이나,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지원으로 해당 광역 자치 단체 구간 내에서는 10 km에서 50 km 범위 이내에서 매 5 km 당 100원, 50 km를 넘는 구간은 매 8 km 당 100원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특이 구간은 다음과 같다.
* [[을지로4가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구간은 거리가 0.1km 더 짧은 [[서울 지하철 5호선]] 기준
* [[강남역]] - [[정자역]] 구간처럼 [[신분당선]] 이용 거리가 더 짧은 경우 [[신분당선]]이 포함된 거리를 기준한다. 단, 추가 운임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신분당선]]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와의 차이는 무조건 900원이다.
* [[경춘선]]의 [[망우선]] 구간인 [[상봉역|상봉]] - [[광운대역|광운대]] 구간은 기존처럼 [[회기역]] 환승을 가정한 거리로 산정한다. 해당 구간은 정규 노선이 아니고 평일 하루 2회만 운행하는 시범 운행 형태의 노선이기 때문이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영종도]] 구간은 수도권 전철과 동일한 승차권을 사용하나 독자 요금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해당 구간에서 환승 할인은 불가능하다([[버스]] 포함).
또한 [[서울역]] - [[신창역]] 구간의 [[누리로]]와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직통열차, [[경춘선]]의 [[ITX-청춘]]은 영업, 특히 운임과 관련된 부분에서 수도권 전철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1회 승차권이 수도권 전철과 다른 형태이며, 완전한 독립 요금제로 환승 할인도 불가능하다.
== 미래 ==
수도권 전철 노선의 확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6년 현재도 확충을 위해 기존 노선을 복선화, 전철화하거나, 노선을 새로 신설하는 등의 사업이 진행 중이다.
{| class="wikitable"
|-
! 노선명
! 유형
! 구간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시기
|-
| style="text-align: center;"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경원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연장 <br> 복선전제 단선전철화<ref>우선 단선으로 건설하고 복선전철화 연장구간이 개통을 하면 복선으로 전환되며 기존의 간이역 [[초성리역]]은 이전하고 그리고 [[한탄강역]]은 폐지된다.</ref>
| [[소요산역]] - [[초성리역]] - [[전곡역]] - [[연천역]]
| rowspan="4" | 대한민국 정부
| rowspan="2" | [[한국철도공사]]
| 2019년
|-
| style="text-align: center;"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충북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천안역]] - [[청주공항역]]
| 미정
|-
| style="text-align: center;"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br />(진접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당고개역]] - [[진접읍]]
| [[서울메트로]]
| 2021년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br />(하남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상일동역]] - [[검단산역]]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2020년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부평구청역]]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석남역) -[[청라국제도시역]]
| [[인천광역시]]
| [[인천교통공사]]
| 2020년
|-
| [[의정부시|의정부]] [[장암역]] - [[양주시|양주]] 옥정신도시
| 미정
| 미정
| 미정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종합운동장역]] - [[올림픽공원역]] - 보훈병원 - 둔촌동 고덕강일지구 - 샘터공원(9호선 3, 4단계)
| rowspan="2" | [[서울특별시]]
| [[서울시메트로9호선]]<ref>단, 9호선 3단계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는 [[서울메트로]] 자회사인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이 위탁운영한다.</ref>
| 2018년 10월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신설
| [[신설동역]] - [[보문역]] - [[성신여대입구역]] - 우이동
| [[우이신설경전철|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 2016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1호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국제업무지구역]] - [[송도랜드마크시티역]]
| rowspan="2" | [[인천광역시]]
| rowspan="2" | [[인천교통공사]]
| 미정
|-
| style="text-align: center;"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2호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신설
| 인천 서구 - [[검암역]] - [[주안역]] - [[인천광역시청]] - [[인천대공원]] 인근
| 2016년 7월
|-
| style="text-align: center;" | [[수인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한대앞역]] - [[수원역]]
| rowspan="5" | 대한민국 정부
| [[한국철도공사]]
| 2017년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신분당선]]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강남역]] - [[신사역]]
| rowspan="2" | [[경기철도|경기철도주식회사]]
| rowspan="2" | 미정
|-
| 광교신도시 - 수원 호매실([[화서역]])/봉담역 - 향남읍([[화성시]])
|-
| style="text-align: center;" | [[소사대곡선]]<br />[[소사원시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신설
| [[안산시]] 인근 - [[초지역]] - [[소사역]] - [[대곡역]]<br />, [[신안산선]] 등의 계획과 연계되어 추진되고 있다.
| [[이레일]]<ref>[[소사대곡선]]과 [[소사원시선]]이 각각 개통 후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를 담당한다.</ref>
| 2021년
|-
| style="text-align: center;" | [[성남여주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신설
| [[판교역]] - [[이매역]] - [[광주시 (경기도)|광주시]] - [[이천시]] - [[여주시]]
| 미정
| 2016년 7월 2일
|-
| style="text-align: center;" | [[김포도시철도]]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신설
| [[김포공항역]] - 김포한강신도시
| [[김포시]]
| [[서울메트로]]
| 미정
|-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경의·중앙선]]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용문역]] - [[지평역]]
| [[경기도]] [[양평군]]
| rowspan="6" | [[한국철도공사]]
| 2016년 12월
|-
| [[문산역]] - [[도라산역]]
| [[경기도 파주시]], [[한국철도공사]]
| 2020년~2022년
|-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역사 신설
| [[효창역]]
| rowspan="4" | 대한민국 정부
| 2016년 4월 30일
|-
| style="text-align: center;"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장항선)]]
| 탕정역
| rowspan="2" | 미정
|-
| style="text-align: center;" | [[수도권 전철 수인선|수인선]]
| 학익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성남여주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경기도]] [[여주시]] ~ [[강원도 (남)|강원도]] [[원주시]] [[서원주역]]
| 2023년
|}
=== 별도 ===
{| class="wikitable"
|-
! 노선명
! 유형
! 구간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봉화산역]] - [[신내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모란역]] - [[판교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br />(별내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연장
| [[암사역]] - [[별내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신안산선]]
| style="text-align: center;" | 노선 신설
| [[중앙역 (안산)|중앙역]] - [[시흥시]] 인근 - [[광명역]] - [[여의도]] - [[서울역]]
|-
|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style="text-align: center;" | 역사 신설
| 우남역
|-
|}
== 같이 보기 ==
*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 [[세계의 연간 지하철 이용자 수]]
* [[수도권 전철역 목록]]
* [[티머니]]
* [[유패스]]
* [[세계 각국의 도시 철도]]
* [[광역 철도]]
== 주석 ==
<references />


== 바깥 고리 ==
[[분류:수도권 전철| ]]
* [http://www.mltl.go.kr 국토교통부]
* [http://www.korail.com/ 코레일]
* [http://www.seoulmetro.co.kr 서울메트로]
* [http://www.smrt.co.kr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http://www.ictr.or.kr/index_in.jsp 인천교통공사]
* [http://www.arex.or.kr 코레일공항철도]
* [http://www.metro9.co.kr 서울시메트로9호선]
* [http://www.shinbundang.co.kr 신분당선]
* [http://www.krnetwork.or.kr/ 한국철도시설공단]
* [http://smih.seoul.go.kr/ 서울특별시 도시 기반 시설 본부] (2008년부터 서울 특별시 지하철 건설 본부가 서울특별시 도시 기반 시설 본부로 개편됨)
* [http://iurail.incheon.go.kr 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
* [http://frdb.railplus.kr 미래철도 DB]
{{퍼온문서|수도권 전철}}
[[분류: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 ]]
[[분류:도시철도]]
[[분류:도시철도]]
[[분류:지하철]]
[[분류:지하철]]

2016년 2월 14일 (일) 21:53 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수도권 전철

개요

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다. 도시철도에 해당하는 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를 비롯, 한국철도공사가 관할하는 기존 철도망을 이용한 광역철도 체계를 섞은 것으로, 엄밀하게 정의된 건 아니고,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정착된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MESRS;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1]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수도권 전철의 범위를 어디까지 보느냐에 대해서는 말이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운임에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운임 체계를 채택한 노선들을 그 범위로 보는 경향이 짙다. 이 때문에, 일시기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었다.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역사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며,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할 때, 늦은 출발은 아니었다.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계통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직결 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 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계통 목록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색상 안내 계통명 영업 주체 기점 경유 노선 종점 영업 거리
1호선 코레일
서울메트로[2]
소요산 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경인선 인천 89.4 km
광운대 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신창, 서동탄 129.3 + 1.9 km
영등포 경부본선, 경부고속본선 광명역 12.9 km
2호선 서울메트로 시청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시청 (순환) 48.8 km
성수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 5.4 km
신도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까치산 6.0 km
3호선 코레일
서울메트로
대화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오금 57.4 km
4호선 코레일
서울메트로
당고개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오이도 71.5 km
5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방화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지선 상일동, 마천 45.2 + 7.1 km
6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응암[3]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35.1 km
7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장암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 57.1 km
8호선 서울도시철도공사 암사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 17.7 km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4]
서울9호선운영[5]
서울메트로[6]
개화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 31.7 km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틀:철도 노선색 0%, 틀:철도 노선색 40%, 틀:철도 노선색 40%, 틀:철도 노선색 60%, 틀:철도 노선색 60%, 틀:철도 노선색 100%);" | 공항철도 공항철도 서울역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국제공항 58.0 km
분당선 코레일 왕십리 분당선 수원 52.9 km
수인선 코레일 오이도 수인선 송도 13.1 km
경의·중앙선 코레일 문산 경의본선, 용산선, 경원본선, 중앙본선 용문, 서울역 118.7 + 5.8 km
경춘선 코레일 상봉(, 광운대) (망우선, )경춘선 춘천 80.7 + 4.9 km
신분당선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강남 신분당선 본선 광교 31.1 km
인천 1호선 인천도시철도공사 계양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국제업무지구 29.4 km
의정부경전철 의정부경전철 발곡 의정부경전철 탑석 10.6 km
용인경전철 용인경량전철 기흥 의정부경전철 전대·에버랜드 18.5 km

운임 체계

  1. 철도통계연보 등에서 사용하는 표기이며,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다.
  2. 관리는 서울역 - 청량리, 운행은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만 이루어짐.
  3. 안내에는 응암순환이라는 말이 쓰인다. 단선 루프 구조 때문.
  4. 관리
  5. 1단계 운영 위탁
  6. 2단계 운영 위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