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 레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f)(I|i)(L|l)(E|e): +[[\1파일:))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도구]]
[[분류:알바니아의 경제]]
[[분류:유럽의 경제]]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현지어 명칭 = Leku Shqiptar<small> 레쿠 슈칩탈<sup>[[알바니아어|sq]]</sup></small>
|화폐이름 = 알바니아 레크
|다른 언어명 = Albanian Lek<small> 알베이니언 레크<sup>[[영어|en]]</sup></small>
|원어이름 = Leku Shqiptar
|그림1 =Banka_e_Shqiperise.png
|그림    = Banka_e_Shqiperise.png
|그림1_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_설명 =  
|그림2설명=  
|사용국 = {{국기|알바니아}}
|사용국   = {{나라|알바니아}}
|비공식 사용국 =
|비공식   =  
|iso 코드 = ALL
|ISO      = ALL
|기호 = L
|기호     = L
|보조단위_비율_1 = 1/100
|보조단위 =
|보조단위_이름_1 = <s><small>친다케 (Qindarke)</small></s>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비율_2 =
|비율 = 1/100
|보조단위_이름_2 =
|이름 = 친다케(Qindarke)
|지폐 = 200L, 500L, 1000L, 2000L, 5000L<br/>(구권 : 100L)
}}
|동전 = 5L, 10L, 20L, 50L, 100L<br/><small>(드물게 통용 : 1L)</small>
|지폐     = 200L, 500L, 1000L, 2000L, 5000L<br />(구권 : 100L)
|발행 기관 = 알바니아 은행 (Banca e Shqiperise)
|동전     = 5L, 10L, 20L, 50L, 100L<br /><small>(드물게 통용 : 1L)</small>
|인쇄처 =  
|중앙은행 = 알바니아 은행 (Banca e Shqiperise)
|조폐국 =  
|인쇄처   =  
|인플레이션 = <small> (2019년 추정치)</small>
|조폐국   =  
|환율 = 10.6원/L<small> (2019.12.02 기준)</small>
|환율     = 10.6원/L<small> (2019.12.02 기준)</small>
|고정환율 = 5레쿠/프랑가
|고정환율 = 5레쿠/프랑가
|전신 = 알바니아 프랑가(1926 ~ 1939)
|이전화폐 = [[알바니아 프랑가]] (1926 ~ 1939)
|후신 =  
|이후화폐 =
|비고    =  
}}
}}
Albanian Lek<small> 알베이니언 레크<sup>[[영어|en]]</sup></small>
== 소개 ==
== 소개 ==
[[알바니아]]의 통화로, 복수형은 '레케(Lekë)'이다.
[[알바니아]]의 통화로, 복수형은 '레크(Lekë)<ref>알바니아어에서 ë가 단어 마지막에 오는 경우엔 묵음 처리된다.</ref>'이다.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한국에서는 취급하지 않는 권종으로, 통상 현지까지 [[유로]]를 들고 간 후 환전하여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취급하지 않는 권종으로, 통상 현지까지 [[유로]]를 들고 간 후 환전하여 사용한다.


다만 직항이나 환승으로도 알바니아에서 직접 내리는 여정으로 가는 한국인은 거의 없기 때문에 육로로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만일 [[마케도니아]]에서 들어갈 경우에는 [[마케도니아 데나르]]를 이용하여 환전을 하려고 해도 (그리고 그 거꾸로라도) 손해를 보기 쉽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남기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게 좋다.  
다만 직항이나 환승으로도 알바니아에서 직접 내리는 여정으로 가는 한국인은 거의 없기 때문에 육로로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만일 [[북마케도니아]]에서 들어갈 경우에는 [[마케도니아 데나르]]를 이용하여 환전을 하려고 해도 (그리고 그 거꾸로라도) 손해를 보기 쉽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남기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게 좋다.


{{-}}
{{-}}
== 3기 레크 (1995 ~ 현재) ==
== 3기 레크 (1995 ~ 현재) ==
1991년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면서 나라가 뒤집히니 거기에 따라 같이 뒤집혀 만들어진 통화. 그리고 현행권이다.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가 자본주의로 전환될 때 처럼 알바니아도 엄청난 물가상승을 피하지는 못했기에 보조단위가 전면 폐지되었다. 동전은 1, 5, 10, 20, 50레쿠화 5종이 먼저 등장하고 100레쿠화가 2000년에 추가되었다. 이 중에서 폐지된 주화는 없으나, 대개 거래가 5레쿠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레쿠화는 사실상 쓰이질 않는다.  
1991년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면서 나라가 뒤집히니 화폐도 같이 엎어져 자본주의식으로 바뀌었다. 여타 구 사회주의 국가들처럼 알바니아도 경제체제 전환의 부작용인 가파른 물가상승율을 피하지는 못했기에, 기존의 저액권 및 보조단위가 전면 폐지되었다.  


=== 3기 4차 (신권, 2019~) ===
=== 동전 ===
2019년 가을 시즌부터 신권 시리즈가 예정되어 있다. 전량 폴리머로 발행할 예정으로, 기존에 계획되던 1만 레쿠화 신 고액권도 이 시리즈로 편입된다.
1L(레쿠), 5L, 10L, 20L, 50L 5종이 먼저 발행되고, 100레쿠화가 기존의 지폐를 대신하여 2000년에 추가되었다. 2022년 시점까지 통용 중단된 종류는 없지만, 대개 거래가 5레쿠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레쿠화 동전은 있으나 마나하다.


{| class="wikitable"
=== 지폐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lbania 3rd Lek 4th Series (2019~)
2019년 가을 시즌부터 신권이 발행되었는데, 원래는 전량 폴리머로 발행할 예정이었으나, 200L권종만 폴리머로 발행하고 나머지는 기존의 면 소재를 유지하였다. 같이 계획하던 신 고액권(10,000L)도 이 시리즈로 편입되어 발행되었다.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width:50%;"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601.jpg|400px]]
| style="text-align: center;" | 2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603.jpg|400px]]
| style="text-align: center;" | 5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605.jpg|400px]]
| style="text-align: center;" | 1,0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607.jpg|400px]]
| style="text-align: center;" | 2,0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609.jpg|400px]]
| style="text-align: center;" | 5,0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s>10,000</s>
(예정)
| style="text-align: center;" | 알렉산더르 스타브레 드레노바
(알바니아 국가 작사 및 국기 제정)
| style="text-align: center;" |
|}


=== 3기 3차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lbania 3rd Lek 3rd Series (1997~2019)
! style="width:33%;" | 구권 (3기 3차, 1997 ~ 2019)
! style="width:33%;" | 알바니아 레크 - 현행권 시리즈
! style="width:33%;" | 신권 (3기 4차, 2019)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right;" | [[파일:ALL5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100L 판 스틸리안 놀리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5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right;" | [[파일:ALL5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100L
| style="text-align: center;" | 200L 나임 프라셰리
| style="text-align: center;" | 판 스틸리안 놀리
| style="text-align: left;" | [[파일:ALL6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5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right;" | [[파일:ALL5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0L
| style="text-align: center;" | 500L 이스마일리 퀘말리
| style="text-align: center;" | 나임 프라셰리
| style="text-align: left;" | [[파일:ALL6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right;" | [[파일:ALL5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500L
| style="text-align: center;" | 1,000L 폐테르 보그다니
| style="text-align: center;" | 이스마일리 퀘말리
| style="text-align: left;" | [[파일:ALL6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LL507.jpg|섬네일]]
| style="text-align: right;" | [[파일:ALL5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1,000L
| style="text-align: center;" | 2,000L 겐티
| style="text-align: center;" | 폐테르 보그다니
| style="text-align: left;" | [[파일:ALL6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right;" | [[파일:ALL5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00L
| style="text-align: center;" | 5,000L 제르지 카스트리오티 = 스칸데르베그
| style="text-align: center;" | 겐티
| style="text-align: left;" | [[파일:ALL6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L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L 알렉산더르 스타브레 드레노바<ref>알바니아 국가의 작사 및 국기를 제정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스칸데르베그
| style="text-align: left;" | [[파일:ALL611.jpg]]
(제르지 카스트리오티)
| style="text-align: center;" |
|}
|}


{{폐기권}}
{{폐기권}}
=== 3기 2차 ===
=== 3기 2차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lbania 3rd Lek 2nd Series 1992~1997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lbania 3rd Lek 2nd Series 1992~1997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L
| style="text-align: center;" | 1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L
| style="text-align: center;" | 2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L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62번째 줄: 108번째 줄: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lbania 2nd Lek Series 1953~1976~1990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lbania 2nd Lek Series 1953~1976~1990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L
| style="text-align: center;" | 1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3L
| style="text-align: center;" | 3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L
| style="text-align: center;" | 5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L
| style="text-align: center;" | 1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5L
| style="text-align: center;" | 25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L
| style="text-align: center;" | 5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L
| style="text-align: center;" | 100L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1기 레크 (1926 ~ 1964) ==
== 1기 레크 (1926 ~ 1964) ==
처음에는 5, 10친다레쿠<ref>레쿠화의 초창기 하위단위. 당시 알바니아 통화체계는 프란가 하위에 친다케가 있었기때문에 구분을 위해 별도로 구분하였다. 이 2종은 최종발행분의 1, 2친다케화에 해당한다.</ref>화와 ¼, ½, 1레크화 및 1, 2, 5프란가화 동전이 발행되었다. 당시 [[이탈리아]]의 국왕, 엠마누엘 3세의 취향에 맞춰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때는 그만큼 이탈리아의 입김이 많이 닿는 알바니아여서, 이후 1939년에는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의 영토를 되찾겠다면서 강제로 편입함에 따라 개혁당했을 정도였다. 이러한 추세가 뒤집힌건 2차 세계대전으로 이탈리아가 발을 빼고, 1947년 자치 공산주의 세력이 권력을 얻으면서이다.  
처음에는 5, 10친다레쿠<ref>레쿠화의 초창기 하위단위. 당시 알바니아 통화체계는 프란가 하위에 친다케가 있었기때문에 구분을 위해 별도로 구분하였다. 이 2종은 최종발행분의 1, 2친다케화에 해당한다.</ref>화와 ¼, ½, 1레크화 및 1, 2, 5프란가화 동전이 발행되었다. 당시 [[이탈리아]]의 국왕, 엠마누엘 3세의 취향에 맞춰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때는 그만큼 이탈리아의 입김이 많이 닿는 알바니아여서, 이후 1939년에는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의 영토를 되찾겠다면서 강제로 편입함에 따라 개혁당했을 정도였다. 이러한 추세가 뒤집힌건 2차 세계대전으로 이탈리아가 발을 빼고, 1947년 자치 공산주의 세력이 권력을 얻으면서이다.


(표1)
(표1)


(표2)
(표2)


{{각주}}
{{각주}}
{{유럽의 화폐}}
{{유럽의 화폐}}

2023년 9월 8일 (금) 03:47 기준 최신판

알바니아 레크
Leku Shqiptar
Banka e Shqiperise.png
화폐 정보
사용국 알바니아
ISO ALL
기호 L
보조단위
1/100 친다케(Qindarke)
지폐 200L, 500L, 1000L, 2000L, 5000L
(구권 : 100L)
동전 5L, 10L, 20L, 50L, 100L
(드물게 통용 : 1L)
중앙은행 알바니아 은행 (Banca e Shqiperise)
환율 10.6원/L (2019.12.02 기준)
고정환율 5레쿠/프랑가
이전 화폐

Albanian Lek 알베이니언 레크en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알바니아의 통화로, 복수형은 '레크(Lekë)[1]'이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한국에서는 취급하지 않는 권종으로, 통상 현지까지 유로를 들고 간 후 환전하여 사용한다.

다만 직항이나 환승으로도 알바니아에서 직접 내리는 여정으로 가는 한국인은 거의 없기 때문에 육로로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만일 북마케도니아에서 들어갈 경우에는 마케도니아 데나르를 이용하여 환전을 하려고 해도 (그리고 그 거꾸로라도) 손해를 보기 쉽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남기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게 좋다.

3기 레크 (1995 ~ 현재)[편집 | 원본 편집]

1991년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면서 나라가 뒤집히니 화폐도 같이 엎어져 자본주의식으로 바뀌었다. 여타 구 사회주의 국가들처럼 알바니아도 경제체제 전환의 부작용인 가파른 물가상승율을 피하지는 못했기에, 기존의 저액권 및 보조단위가 전면 폐지되었다.

동전[편집 | 원본 편집]

1L(레쿠), 5L, 10L, 20L, 50L 5종이 먼저 발행되고, 100레쿠화가 기존의 지폐를 대신하여 2000년에 추가되었다. 2022년 시점까지 통용 중단된 종류는 없지만, 대개 거래가 5레쿠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레쿠화 동전은 있으나 마나하다.

지폐[편집 | 원본 편집]

2019년 가을 시즌부터 신권이 발행되었는데, 원래는 전량 폴리머로 발행할 예정이었으나, 200L권종만 폴리머로 발행하고 나머지는 기존의 면 소재를 유지하였다. 같이 계획하던 신 고액권(10,000L)도 이 시리즈로 편입되어 발행되었다.

구권 (3기 3차, 1997 ~ 2019) 알바니아 레크 - 현행권 시리즈 신권 (3기 4차, 2019)
ALL501.jpg 100L 판 스틸리안 놀리
ALL503.jpg 200L 나임 프라셰리 ALL601.jpg
ALL505.jpg 500L 이스마일리 퀘말리 ALL603.jpg
ALL507.jpg 1,000L 폐테르 보그다니 ALL605.jpg
ALL509.jpg 2,000L 겐티 ALL607.jpg
ALL511.jpg 5,000L 제르지 카스트리오티 = 스칸데르베그 ALL609.jpg
10,000L 알렉산더르 스타브레 드레노바[2] ALL611.jpg
 발권은행 정책에 따라 폐기되거나 시중에서 사용이 중단되어, 국내외 환전도 할 수 없는 통화입니다.
 해당 국가 방문시 현금거래 중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기 2차[편집 | 원본 편집]

Albania 3rd Lek 2nd Series 1992~1997
100L 200L 500L 1,000L

3기 1차[편집 | 원본 편집]

(표4)

2기 레크 (1965 ~ 1990)[편집 | 원본 편집]

보다 공산주의적 용도에 맞게끔 개혁된 시리즈이다. 그래선지 교환비가 명확하지 않다.

Albania 2nd Lek Series 1953~1976~1990
1L 3L 5L 10L
25L 50L 100L

1기 레크 (1926 ~ 1964)[편집 | 원본 편집]

처음에는 5, 10친다레쿠[3]화와 ¼, ½, 1레크화 및 1, 2, 5프란가화 동전이 발행되었다. 당시 이탈리아의 국왕, 엠마누엘 3세의 취향에 맞춰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때는 그만큼 이탈리아의 입김이 많이 닿는 알바니아여서, 이후 1939년에는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의 영토를 되찾겠다면서 강제로 편입함에 따라 개혁당했을 정도였다. 이러한 추세가 뒤집힌건 2차 세계대전으로 이탈리아가 발을 빼고, 1947년 자치 공산주의 세력이 권력을 얻으면서이다.

(표1)

(표2)

각주

  1. 알바니아어에서 ë가 단어 마지막에 오는 경우엔 묵음 처리된다.
  2. 알바니아 국가의 작사 및 국기를 제정했다.
  3. 레쿠화의 초창기 하위단위. 당시 알바니아 통화체계는 프란가 하위에 친다케가 있었기때문에 구분을 위해 별도로 구분하였다. 이 2종은 최종발행분의 1, 2친다케화에 해당한다.
  1. 여기에 해당하는 이전 화폐는 동전도 교환대상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