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조건 제한 도달
8번째 줄: 8번째 줄:
주요 무궁화호 열차에는 일부 객차를 개조한 [[카페객차]]를 설비하여 차내 판매를 도모하였으나, 여러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카페객차의 영업을 거의 사실상 중단하였고, 대부분 입석 승객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설을 철거하고 장의자와 자판기만을 비치, 자유석 공간으로 변모했다.
주요 무궁화호 열차에는 일부 객차를 개조한 [[카페객차]]를 설비하여 차내 판매를 도모하였으나, 여러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카페객차의 영업을 거의 사실상 중단하였고, 대부분 입석 승객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설을 철거하고 장의자와 자판기만을 비치, 자유석 공간으로 변모했다.


[[KTX]], [[ITX-새마을]]이 [[와이파이]]를 장착한 후에도 꿋꿋이 와이파이를 장착하지 않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였지만,<ref>{{뉴스 인용 |저자= |제목='무료 와이파이 소외' 무궁화호 열차 이용객들 불만|url=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123/99380672/1 |뉴스=동아일보 |출판사= |위치= |날짜= |확인날짜= }}</ref> [[2020년]] 중순부터 드디어 장착되었다! <del>만세</del>
[[KTX]], [[ITX-새마을]]이 [[와이파이]]를 장착한 후에도 꿋꿋이 와이파이를 장착하지 않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였지만,<ref>{{뉴스 인용 |저자= |제목='무료 와이파이 소외' 무궁화호 열차 이용객들 불만|url=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123/99380672/1 |뉴스=동아일보 |출판사= |위치= |날짜= |확인날짜= }}</ref> [[2020년]] 중순부터 드디어 장착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zapblog.tistory.com/entry/%EB%AC%B4%EA%B6%81%ED%99%94%ED%98%B8-%EC%97%B4%EC%B0%A8-%EB%AC%B4%EB%A3%8C-%EC%99%80%EC%9D%B4%ED%8C%8C%EC%9D%B4-%ED%9B%84%EA%B8%B0|제목=무궁화호 열차 무료 와이파이 후기}}</ref> <del>만세</del>


==역사==
==역사==

2020년 12월 22일 (화) 09:41 판

경춘선 청평역에 진입하는 무궁화호
  • 無窮花號

개요

무궁화호는 열차등급의 하나로, 과거에는 우등열차에 해당하였으나 하위등급 열차가 도태되고, 고속열차가 도입되면서 현재는 사실상 전동열차가 없는 구간의 실질적인 보통열차에 해당하게 되었다.

주요 무궁화호 열차에는 일부 객차를 개조한 카페객차를 설비하여 차내 판매를 도모하였으나, 여러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카페객차의 영업을 거의 사실상 중단하였고, 대부분 입석 승객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설을 철거하고 장의자와 자판기만을 비치, 자유석 공간으로 변모했다.

KTX, ITX-새마을와이파이를 장착한 후에도 꿋꿋이 와이파이를 장착하지 않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였지만,[1] 2020년 중순부터 드디어 장착되었다![2] 만세

역사

무궁화호 운행개시 기록영상(대한뉴스)

무궁화호란 이름 자체는 1960년 2월 21일 시각개정으로 등장한 서울~부산 간의 특급열차 "무궁화"호에서 연원한다. 최초 운행개시엔 기존의 특급열차인 통일호보다 30분을 단축한 6시간 40분에 경부선을 주파하여 일제 당시의 경부선 최속달 열차인 "아카츠키"보다 5분을 단축 운행하여 일제 당시의 운행속도를 넘어선 최초의 열차가 되었다. 출발시각은 상하행 모두 오전 7시 30분으로 설정되었으며, 초기엔 2등객차 2량과 3등객차 5량, 식당차와 수하물차가 연결되었다. 개통 당시의 정차역은 천안, 대전, 김천, 대구, 삼랑진이었다.[3]. 무궁화호는 70년대에 여타 특급열차들과 같이 열차명칭 정리로 일시적으로 사라졌었다.

이름으로서의 무궁화와 달리 등급으로서의 무궁화는 우등열차에 그 연원을 둘 수 있다. 1977년에 등장한 우등 열차는 기존의 노후화된 특급 열차와 달리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설비면에서 일획을 달리하는 열차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존재하던 새마을호의 하위, 기존 특급들의 상위 열차로 등급이 설정되어 투입되다가, 1984년 1월 1일부로 시행된 열차등급 및 명칭 개정에 의해 무궁화호로 불리게 되었다. 과거에는 창문의 적색 띠를 두른 것으로 구분되었으며, 공사화 이후 CI개정에 따라 중간의 붉은 도색 위에 청색띠를 입힌 도장이 표준이 되었다.

차량

객차

리미트 객차의 내부 모습
탕엥객차
1980년대 초반, 객차 충당을 위해 대만에서 수입해 온 객차. 통일호 특실로 사용하다 무궁화호로 넘어온 녀석들이 있었다. 이 녀석들의 특성이라면 비산식 화장실과 수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도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이었다. 당연히 현재는 전량 폐차되거나 역의 보선사무실로 사용되는 차량들이다.
직각형 무궁화호
탕엥객차와 비슷하지만 대우중공업에서 생산한 객차.
구 새마을호 일반실
1990년대 초중반에 도입하여 내구 연한이 한참 남은 새마을호 일반실을 격하하여 중앙선·태백선 무궁화호 특실로 편성한다. 2000년대 오버홀 이후 새마을호 일반실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격하 초기에는 선반과 객실 전후부 광고까지 랩핑된 채로 운행하기도 하였다.
나뭇결 객차
실내 벽이 베이지색이 아닌 나무무늬 시트지로 발린 차량. 1990년대 중후반에 도입하였다.
해태특실
별명대로 해태중공업에서 1998년에 도입하였다. 중앙선·태백선 열차에 1량씩 끼워넣어서[4] 특실로 운영한다. 객실은 나뭇결과 리미트의 중간적인 느낌으로, 6량이 재적중.
리미트객차
디자인리미트에서 2000년대 초반에 만든 객차. 최초 도입이 디자인리미트라서 리미트로 불리고 있지만, 이후에는 현대로템 등에서도 제작하였다. 이전의 무궁화호 객차와 달리 해태특실과 유사한 전망형 창문이 달려 금방 구별이 가능하다. 관광열차나 ITX-새마을 개조 등으로 재적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무궁화호 침대차
  • 직각침대차: 모양이 직각이고 화장실도 동양식 화장실이었다.
  • 신형침대차: 현재도 현역으로 굴러다니는 침대차다.

동차

  • EEC : 산업선 우등 여객 동차로 들어온 차량.
  • DEC : EEC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첨두부의 십자 마크로 구별 가능. 새마을호에서 격하된 타입.
  • NDC : RDC 이전 단편성 무궁화호로 운영하던 차량. 2000년대 중반 영업에서 제외되었다.
  • RDC : NDC의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통일호에서 승격개조를 거친 차량. 동대구역에 가면 중단거리 무궁화호로 아주 많이 볼 수 있다. 원판이 통일호급인 CDC였던지라 승차감 자체가 뭔가 좀 더 많이 위아래를 오가는 느낌이 든다.

계통

2004년 KTX의 개통 이전에는 통일호 윗 등급의 나름 급행인 열차였으나 KTX 개통과 함께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자연스럽게 통일호의 자리를 무궁화호가 대체하게 되었다. 이는 무궁화호의 주 역할이 주요 간선의 완행열차 및 새마을호가 들어가지 않는 노선의 급행/완행열차의 성격을 가지게 된 것을 의미한다.

나름 특급이라고 나온 열차를 완행으로 굴리다보니 소요 시간도 늘어나고, 지연 회복성이 나빠졌다. 2010년대 들어 주요 지선에도 전철화가 이루어져 여객 견인은 전기기관차 위주로 투입하고, 잇따른 폐역으로 정차역이 감소하면서 사정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 2020년 12월 17일 시간표 기준.
  • 굵은 글자: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

경부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부선 1200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5] - 평택 - 천안 - 전의[6]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7] - 왜관 - 신동[8]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9] - 부산 평일: 왕복 12편성
주말: 왕복 12편성
경부선 1300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10] - 평택 - 성환[10]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11] - 지탄[12]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11]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13] - 대구 - 동대구 평일: 왕복 4편성
주말: 왕복 4편성
경부선 1310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14]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15] - 신탄진 - 대전 평일: 왕복 4편성
주말: 왕복 3편성
경부선 1340 동대구 - 경산 - 남성현[16]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17] - 구포 - 사상 - 부산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1편성
경부선 1350 대전 - 옥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18] - 구포 - 사상[19] - 부산 평일: 왕복 4편성
주말: 왕복 4편성
경부경전선 144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경부충북선 128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오산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경부선 (1200, 1300)
1200은 서울~부산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제1230열차와 제1298열차는 번호대가 다르지만 이 계통에 속한다.
1300은 서울~동대구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310은 서울~대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340은 동대구~부산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350은 대전~부산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경부경전선 (1230)
서울~진주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제1230열차는 경부선(서울~부산) 열차이다.
경부충북선 (1280)
서울~제천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누리로가 대신 운행했던 적이 있다.

호남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호남선 1400 용산 - 영등포 - 안양[20] - 수원 - 평택 - 성환[21] - 천안 - 전의[22]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22]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용산: 왕복 4편성
익산: 왕복 1편성
호남선 1420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23] - 서정리[24]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25] - 조치원 - 부강[23]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26]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평일: 왕복 3편성
주말: 왕복 3편성
호남선 1460 서대전 - 계룡 - 연산[27]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2편성
호남선 1980 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호남경전선 144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28] - 함열[28]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서광주 - 효천 - 화순 - 능주 - 이양 - 명봉 - 보성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전라선 1500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29] - 서정리 - 평택 - 성환[29]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평일: 왕복 9편성
주말: 왕복 9편성
전라선 1530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평일: 왕복 3편성
주말: 왕복 3편성
장항선 1550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 평일: 왕복 9편성
주말: 왕복 9편성
호남선 (1400, 1420, 1460, 1980)
1400은 용산~목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왕복 1편성(1407과 1410)은 익산~목포 구간만 운행한다.
1420은 용산~광주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460은 서대전~광주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980은 광주~목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호남경전선 (1440)
용산~순천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전라선 (1500, 1530)
1500은 용산~여수엑스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530은 익산~여수엑스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장항선 (1550)
용산~익산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중앙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중앙선 1600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30]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평일: 왕복 5편성
주말: 왕복 5편성
중앙선 1620 청량리 - 양평 - 용문 - 일신[31] - 매곡[31] - 양동[32] - 동화[32] - 원주 - 반곡[31] - 신림[32]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2편성
중앙선 1625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33] - 일신[34] - 매곡[34] - 양동 - 삼산[33] - 동화 - 만종[35] - 원주 - 반곡[36] - 신림 - 제천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2편성
태백선 1630 청량리 - 양평 - 용문[37] - 지평[37] - 삼산[37] - 만종 - 원주 - 제천 - 쌍룡[37]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38] - 동해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중앙선 (1600, 1620, 1625)
1600은 청량리~안동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2020년 12월 17일 중앙선이 이설되어, 왕복 3편성은 영주역까지만 운행한다. 그 대신, 영주~안동 누리로 셔틀 열차(4400)로 갈아 탈 수 있다.
1620은 청량리~부전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625는 청량리~제천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태백선 (1630)
청량리~동해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2020년 3월 2일부터 왕복 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열차가 누리로로 대체되었다.

영동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영동선 1670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2편성
영동중앙선 1680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호계 - 태화강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영동경부선 1690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예천 - 용궁 - 점촌 - 상주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산 부산행: 토·일 1편성
동해행: 금·토 1편성
영동선 (1670)
동해~동대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영동중앙선 (1680)
동해~부전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영동경부선 (1690)
동해~부산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부산행은 토·일, 동해행은 금·토에만 운행한다.

충북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충북선 1700 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평일: 왕복 8편성
주말: 왕복 8편성
충북경부선 4300 동대구 - 대구 - 신동[39] - 왜관 - 약목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39] - 영동 - 심천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2편성
충북선 (1700)
대전~제천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충북경부선 (4300)
일명 충북종단열차라 불리는 계통으로 영주~제천~청주~대전~동대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동해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동해선 1730 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 평일: 왕복 7편성
주말: 왕복 7편성
동해선 1750 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 평일: 왕복 4편성
주말: 왕복 4편성
동해선 1760 부전 - 센텀 - 신해운대 - 기장 - 좌천 - 남창 - 덕하 - 태화강 - 호계 - 불국사 - 경주 - 안강 - 포항 평일: 왕복 1편성
주말: 왕복 1편성
동해대구선 1770 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40]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부전: 왕복 10편성
태화강: 왕복 3편성
동해선 (1730, 1750, 1760)
1730은 포항~영덕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750은 동대구~포항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760은 부전~포항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동해대구선 (1770)
동대구~부전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일부 편성은 동대구~태화강 구간만 운행한다.

경북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북선 1800 김천 - 옥산 - 청리 - 상주 - 함창 - 점촌 - 용궁 - 개포 - 예천 - 영주 평일: 왕복 5편성
주말: 왕복 5편성
경북선 (1800)
김천~영주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과거에는 부산~영주 구간을 운행했으나 셔틀화하는 대신, 하루 3편성에서 5편성으로 늘렸다.

경전선 계열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전선 1900 동대구 - 경산 - 남성현[41] - 청도 - 상동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마산: 왕복 5편성
진주: 왕복 1편성
경전선 1970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평일: 왕복 2편성
주말: 왕복 2편성
경전동해선 1940 포항 - 안강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42]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포항: 왕복 1편성
부전: 왕복 1편성
경전호남선 1950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43]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순천: 왕복 1편성
목포: 왕복 1편성
경전선 (1900, 1970)
1900은 동대구~마산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편성은 동대구~진주 구간을 운행한다.
1970은 순천~광주송정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경전동해선 (1940)
포항~순천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편성은 부전~순천 구간만 운행한다.
경전호남선 (1950)
부전~목포간을 정차하는 열차이다. 1편성은 부전~순천 구간만 운행한다.

무궁화에 준하는 등급의 열차

무궁화호 객차의 개조상품(?)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리미트 개조품이고 가끔 동급의 동차를 개조한 것이 있다.

  • 레일크루즈 해랑 :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이다. 무궁화 가격으로는 절대 승차가 불가능한 후덜덜한 가격을 자랑한다. 무궁화호 객차를 개조한 녀석들 중에서 가장 비싼 몸값(?)을 가진 편성이다.
  • 줌마렐라 열차 : 유선형 무궁화호 특실, 일명 구특전(구 특실전용) 열차를 개조한 것인데, 2012년 이후 내구연한 도래로 전량 폐차되었다. 실내는 베이지색 벽면의 새마을호 일반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카페열차 : 예전 스낵카 등 용도를 잃어버린 서비스 객차를 카페객차로 개조하여 몇몇 장거리 무궁화호에 편성하고 있다. 인건비 절감 명목으로 연결만 해두고 담당 승무원을 미승차시켜 입석칸 그 이상 그 이하가 아닌 경우가 많다.
  •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 무궁화 등급으로 일반열차 발매도 가능하다. 단, 이 녀석의 정체는 원래 RDC 동차이다.
  • 팔도장터관광열차 : 무궁화호 객차에 전국 각 도별 특색을 담은 래핑을 한 관광열차이다.
  • 남도해양관광열차 : S트레인이라 불리는 편성. 객차 자체는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으로 등급은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다.
  • 백두대간협곡열차 : V트레인이라 불리는 편성. 과거 무궁화호 뒤쪽에 붙어서 딸려다니던 고속소화물차를 개조한 것으로 엄밀히 따지면 무궁화호 객차를 개조한 것은 아니다.
  • 중부내륙순환열차 : O트레인이라 불리는 열차로 오리지널 무궁화호가 아닌 누리로 열차를 개조한 것이다. 취급은 새마을호 특실 취급.
  • 정선아리랑열차 : 일명 A트레인이라 불리는 녀석이다. 등급은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지만 객차는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이다.
  • 서해금빛열차 : 일명 G트레인이라 불리는 녀석.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으로 A트레인과 마찬가지로 새마을호 특실 등급으로 취급한다.

각주

  1. '무료 와이파이 소외' 무궁화호 열차 이용객들 불만”, 《동아일보》.
  2. 무궁화호 열차 무료 와이파이 후기.
  3. '입일일부터 운행 서울-부산간 육시간 40분에 초특급열차 '무궁화'호', 동아일보 1960년 2월 11일 보도
  4. 1호차로 편성된다
  5. 하행 2편성만 정차
  6. 하행 3편성만 정차
  7. 상행 3편성만 정차
  8. 하행 1편성(1213)만 정차
  9. 상행 1편성(1206)만 정차
  10. 10.0 10.1 상행 1편성(1302)만 정차
  11. 11.0 11.1 하행 1편성(1305)만 정차
  12. 하행 1편성(1301)만 정차
  13. 상행 1편성(1304)만 정차
  14. 하행 1편성(1311)만 정차 (평일에만 운행)
  15. 상행 2편성만 정차
  16. 주말 미정차
  17. 상행 1편성(1352)만 정차
  18. 상행 1편성(1352)만 정차
  19. 상행 1편성(1356)만 정차
  20. 하행 2편성만 정차
  21. 하행 1편성(1401)만 정차
  22. 22.0 22.1 상행 2편성만 정차
  23. 23.0 23.1 상행 2편성만 정차
  24. 하행 1편성(1421)만 정차
  25. 상행 1편성(1422)만 정차
  26. 하행 2편성만 정차
  27. 상행만 정차
  28. 28.0 28.1 하행만 정차
  29. 29.0 29.1 상행 1편성(1512)만 정차
  30. 하행 1편성(1609)만 정차
  31. 31.0 31.1 31.2 하행 1편성(1621)만 정차
  32. 32.0 32.1 32.2 상행 1편성(1622)만 정차
  33. 33.0 33.1 상행 1편성(1626)만 정차
  34. 34.0 34.1 상행만 정차
  35. 상행 1편성(1628)만 정차
  36. 하행 1편성(1625)만 정차
  37. 37.0 37.1 37.2 37.3 상행만 정차
  38. 하행만 정차
  39. 39.0 39.1 하행 1편성(4301)만 정차
  40. 상행(부전발) 1편성(1792)만 정차
  41. 상행(마산발) 1편성(1902)만 정차
  42. 하행(포항발) 1편성(1943)만 정차
  43. 상행(순천행) 1편성(1952)만 정차

틀:대한민국의 여객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