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22번째 줄:
|환율    =  
|환율    =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대한민국 원]](1기) [100:1] <small>(1953~1962)</small><br />[[조선 엔|일본령 조선 엔]] <small>(1910~1945)</small><br />[[대한제국 원]] <small>(1902~1910)</small><br />
|이전화폐 = [[대한민국 원]](1기) [100:1] <small>(1945~1953)</small><br />[[조선 엔|일본령 조선 엔]] <small>(1910~1945)</small><br />[[대한제국 원]] <small>(1902~1910)</small><br />
|이후화폐 = [[대한민국 원]](2기) [1:10]
|이후화폐 = [[대한민국 원]](2기) [1:10]
|비고    =  
|비고    =  

2022년 8월 21일 (일) 00:32 판

대한민국 환
Bank of Korea (1).jpg
화폐 정보
사용국 대한민국
ISO (미설정)[1]
기호 [2]
보조단위
1/100 전(錢)[3]
지폐 1圜(미제 only), 5圜(미제 only), 10圜, 50圜, 100圜, 500圜(국산 only), 1000圜
동전 10圜, 50圜, 100圜
중앙은행 한국은행 (Bank of Korea)
인쇄처 미정부출판소(USGPO) (미제 시리즈)
KOMSCO.jpg한국조폐공사 (이승만 시리즈)
조폐국 필라델피아 조폐소 (Philadelphia Mint)
이전 화폐
이후 화폐
대한민국 원(1기) [100:1] (1945~1953)
일본령 조선 엔 (1910~1945)
대한제국 원 (1902~1910)
대한민국 원(2기) [1:10]

영어 : Korean Hwan 코리언 환

개요

대한민국에서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유통시킨 통화이다. 시기를 보면 답이 나오겠지만, 한국전쟁의 후폭풍으로 피폐해진 경제에 산소호흡기라도 달아줄 요량으로 제 2 긴급통화조치를 통해 개혁한 통화이다. 그러나 현실은 시궁창이어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기획한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 녹아있던 제 3 긴급통화조치로 다시 원화로 전환시키며 막을 내렸다. 즉, 한국 전쟁으로 인해 1000원(1기)이 1원(2기)으로 된 셈.

사용 환경

환율 추이

전란 직후라 그런지 환율 변동폭이 다이나믹하였다. 등장직후인 1953년 2월 환율이 60환/USD, 그리고 폐지 직전인 1961년에 1,250환/USD이니 8년 평균으로 인플레가 150%에 달한 셈. (순간인플레는 300%를 넘었다.) 뭐... 이거이거에 비하면 별거 아니지만.

지폐

이승만 시리즈 (2차)[4]

(표2)

  • 이 중에서 개갑 100환(모자상)은 한국조폐공사제조 지폐 중 최단기간(1962.05.16 ~ 06.10, 25일)동안 유통된 지폐이다. 미사용 기준 거래시세는 약 100만원대.
  • 위 사진에도 있지만, 처음엔 미국 달러처럼 이승만의 얼굴이 지폐 중앙에 있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반으로 막 접고 다니다보니 필연적으로 얼굴이 반쪽으로 갈라지는 폐기지폐들을 본 이승만 대통령 왈 "감히 내 얼굴을 반으로 접다니..."라고 하여 구석으로 움직이게 되었다. 그러면 가로로 접어보자?

미제 시리즈 (1차)

미리 기술하였듯,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흔히 미제라 부른다. 분명 쓰여있기는 원이라 쓰여있는데 환으로 분류하는 이유가, 긴급통화조치를 결정하기 전에 어른의 사정이 적용된 목적으로 미조폐국에게 의뢰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이다.

(표1)

  • 위 두 종류는 액면에 따라 색깔만 다르고 디자인은 똑같다.

동전

10환(무궁화), 50환(거북선), 100환(이승만과 청와대 상징) 3종류가 있었다.

이후 3차 통화조치 때 10환과 50환은 그대로 1원과 5원으로 계승되었으나, 100환은 박정희 통치하에 이승만이 어울릴리가 없으니 다보탑 10원으로 갈아버렸다.

대중문화 속 대한민국 환

  • 창작물이 제 1 공화국(이승만 정부) 시절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엔 고증을 위해 환화를 소품으로 활용한다. 몰론 촬영할 때는 가짜지폐를 이용한다.
    • 만화/드라마에선 타짜가 대표적인 적용 사례이다.
    • 온라인 게임인 섯다에서도 시대 고증을 위해 환을 사용한다. 다발 뭉텅이로 툭툭 나오니 엄청 저렴해 보이지만, 지금(21세기)은 그 하나하나가 모두 귀히 여겨지는 지폐들이다.

각주

  1. ISO 코드 제정(1973년) 이전에 개혁으로 퇴출되었고, 이후로도 코드를 별도로 부여하지 않았다.
  2. 한자를 그대로 사용했다. 그거 참 쓰기 곤란한 기호다
  3. 설정은 했으나, 실제로 쓰인 적은 없다.
  4. 워낙 이승만이 자주 들어가서 이렇게 이름을 붙였지만, 공식적인 용어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