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츠네 미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63번째 줄: 63번째 줄:
*유키미쿠
*유키미쿠
*[[미쿠다요]]
*[[미쿠다요]]
===기타===
[[구글 번역]]에서 하츠네 미쿠를 [[이명박]]으로 번역한 적이 있다. 하츠네 미쿠의 별명으로 이명박이 생겼으며, 반대로 이명박 별명으로 하츠네 미쿠가 생겼다.


==오리지널 곡 목록==
==오리지널 곡 목록==
173번째 줄: 175번째 줄:
* [[SPiCa]]
* [[SPiCa]]
* [[WORLD'S END UMBRELLA]]
* [[WORLD'S END UMBRELLA]]
== 기타 ==
[[구글 번역]]에서 하츠네 미쿠를 [[이명박]]으로 번역한 적이 있다. 하츠네 미쿠의 별명으로 이명박이 생겼으며, 반대로 이명박 별명으로 하츠네 미쿠가 생겼다.
{{각주}}
{{각주}}

2019년 10월 24일 (목) 22:34 판


하츠네 미쿠
初音ミク
Img MIKU us.png
성별 여자
발매일 2007년 8월 31일
나이 16 (V3에서는 17)
158cm
몸무게 48kg
언어권 일본어, 영어, 중국어
권장 음역대
이하 내용
V2 : A3 ~ E5
Append Sweet :F3 ~ D5
Append Dark : D3 ~ B4
Append Soft : A3 ~ E5
Append Light : A3 ~ D5
Append Vivid : G3 ~ D5
Append Solid : D3 ~ C5
V3 Original : A2 ~ E4
V3 Sweet : F2 ~ D4
V3 Dark : D2 ~ B3
V3 Soft : A2 ~ E4
V3 Solid : D2 ~ C4
V3 Light : A2 ~ D4
V3 Vivid : G2 ~ D4
V4X Original : A2 ~ E4
V4X Soft : A2 ~ E4
V4X Solid :D2 ~ C4
V4X Dark : D2 ~ B3
V4X Sweet : F2 ~ D4
권장 템포
이하 내용
V2 : 70 ~ 150 BPM
Append Sweet : 55 ~ 155 BPM
Append Dark : 60 ~ 145 BPM
Append Soft : 70 ~ 150BPM
Append Light : 85 ~ 175BPM
Append Vivid : 95 ~ 180BPM
Append Solid : 65 ~ 160BPM
V3 Original : 70 ~ 150BPM
V3 Sweet : 55 ~ 155BPM
V3 Dark : 60 ~ 145BPM
V3 Soft : 70 ~ 150BPM
V3 Solid : 65 ~ 160BPM
V3 Light : 85 ~ 175BPM
V3 Vivid : 95 ~ 180BPM
V4X Original : 60 ~ 160 BPM
V4X Soft : 60 ~ 160 BPM
V4X Solid : 65 ~ 160 BPM
V4X Dark : 60 ~ 160 BPM
V4X Sweet : 55 ~ 155 BPM
성우 후지타 사키
일러스트레이터 KEI (V2/2007)
Masaki Asai (V2 Append/2010)
Zain (V3 English/2013)
iXima (V3/2013)

개요

일본크립톤 퓨처 미디어 사에서 YAMAHA 사의 VOCALOID2 엔진을 사용하여 개발한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이다. "캐릭터 보컬"의 첫 캐릭터이자, VOCALOID 엔진을 사용한 일곱 번째 보컬로이드이자, 두 번째로 VOCALOID2 엔진을 사용한 보컬로이드이다. 발매 후에 추가된 'Append'와 영어가 추가된 새로운 VOCALOID3 엔진을 사용한 업그레이드 판도 존재한다.

보컬로이드 시장을 단숨에 끌어올린, 가장 잘 알려진 보컬로이드이다. 동시에 파(YYY)의 여왕님이자 다들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동인계의 여왕님이다.

상세

후속작인 하츠네 미쿠 Append가 틀:날짜/출력에 발매되었으며 후에 여러 가지가 개선된 VOCALOID3 엔진을 채용한 하츠네 미쿠 V3가 틀:날짜/출력에 발매되었다.

컨셉

크립톤에서 발매 당시 가지고 있던 컨셉은 "노래를 잃어버린 미래 세계에서 온 안드로이드 디바"였고, '하츠네 미쿠가 발견되어 사람들이 노래의 훌륭함을 알아가는 이야기' 같은 디테일한 컨셉이었다. 그러나 후에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니코동, 유튜브 유저들에게 맡기는 게 어떨까, 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최소한의 프로필 정보만을 가지고 나오게 되었다. 또한, 초안에는 일본어와 영어, 두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려 하였지만 이 컨셉은 후에 메구리네 루카의 컨셉이 되었다.

이름의 어원

하츠네 미쿠의 이름은 '첫'을 뜻하는 '하츠(初)', 소리를 뜻하는 '네(音)', 그리고 미래를 뜻하는 '미쿠(ミク)'가 합쳐져 '미래에서 온 첫 소리'라는 의미가 되었다.

그리고 하츠네 미쿠의 코드 "CV01"은 "캐릭터 보컬 01"을 의미한다고 한다. "캐릭터 보이스 01"이라고 하기도 한다.

외모

Illu KEI Vocaloid Hatsune Miku-img2.jpg
하츠네 미쿠 초기 기획안

KEI가 미쿠를 디자인 할 당시, 야마하의 신디사이저를 본딴 안드로이드를 그려달라고 주문받았다고 한다. 크립톤사는 KEI에게 디테일한 컨셉을 알려주었지만 크립톤사는 KEI에게 "보컬로이드"가 무엇인지 설명하는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당시 보컬로이드의 인지도를 생각해보면 그럴 수 있다.

KEI는 후에 말하길, '노래하는 컴퓨터'를 어떻게 그려야 할지 몰랐고 "신디사이저"가 무엇인지도 몰랐다고 한다. 그렇게 초안을 끝내는데 한 달이 넘게 소요되었다.[1]

처음에는 다른 머리모양으로 그리고 있었지만 트윈테일을 시도해보았는데 다른 머리모양보다 잘어울린다고 생각해 초안에 정착되었다. 그리고 이 트윈테일은 미쿠의 디자인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되었다. 틀:날짜/출력에는 21세기 최고의 트윈테일이라고 각인시키기도 했다. 90년도에는 세일러 문이었다.

미쿠의 치마에 있는 디지털 디자인은 신디사이저 프로그램의 색을 따왔고, 치마에 있는 막대는 신디사이저 프로그램의 막대를 상징한다. 미쿠의 디자인 일부는 야마하의 키보드 모델들, 특히 DX-100과 DX-7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미쿠의 양 트윈테일의 리본은 제자리에 떠 있을 수 있는 특수한 미래의 물질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KEI의 초안을 보면 미쿠의 머리카락과 리본은 물리적으로 닿아 있지 않다.KEI에 의하면 코스프레할 때 가장 구현하기 힘든 게 이 리본이라고 한다.

미쿠를 포함한 수많은 밈(Meme)이 생긴 뒤, 많은 사람들이 카이토의 아이스크림과 함께 대파와 미쿠를 연관짓기 시작했다. 보컬로이드 팬덤에서는 큰 토론이 일어났고, 파돌리기 송이 히트를 치면서 '미쿠의 아이템 = 파'라는 공식이 성립하게 되었다.

파생 캐릭터

  • 하츄네 미쿠
  • 시테양요
  • 하츠네 미쿠오
  • 자츠네 미쿠
  • 아키타 네루
  • 요와네 하쿠
  • 사쿠라 미쿠
  • 유키미쿠
  • 미쿠다요

기타

구글 번역에서 하츠네 미쿠를 이명박으로 번역한 적이 있다. 하츠네 미쿠의 별명으로 이명박이 생겼으며, 반대로 이명박 별명으로 하츠네 미쿠가 생겼다.

오리지널 곡 목록

#

영어

각주

  1. 인터뷰 자료. [1]
  2. 표리 러버즈라고도 하며, 겉과 속이 다른 러버즈라고도 하지만 기실 겉과 속이 다른 러버즈는 잘못된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