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 코루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분류를 추가함)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도구]]
[[분류:화폐]]
[[분류:유럽의 경제]]
[[분류:유럽의 경제]]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슬로바키아 코루나
|원어이름 = Slovenská Koruna
|그림    = NarodnaBankaSlovenska.jpg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슬로바키아}}
|비공식  =
|ISO      = SKK<small> <s>[[성균관대|…SKK?]]</s></small>
|기호    = Sk<small> <s>텔레콤</s></small>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할리에(Halier) [h]
}}
|지폐    = 20Sk, 50Sk, 100Sk, 200Sk, 500Sk, 1000Sk, 5000Sk
|동전    = 50h, 1Sk, 2Sk, 5Sk, 10Sk<br /><small>(2003년까지 통용 : 10h, 20h)</small>
|중앙은행 = 슬로바키아 중앙은행 (Narodna Banka Slovenska)
|인쇄처  =
|조폐국  =
|환율    = 43.22원/Sk<small> (2019.11.2 계산값)</small>
|고정환율 = 30.1260 Sk/EUR<small> (2005.11.28 ~, 0.0332Sk/EUR)</small>
|이전화폐 =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1 : 1]
|이후화폐 = [[유로]]
|비고    =
}}
Slovak Koruna<small> (슬로박 코루나)</small>
== 소개 ==
[[슬로바키아]]의 유로화 전환 이전에 사용하던 통화이다.  "코루나"라는 단어 자체는 슬로바키아어로 읽은 것으로, 크라운(크로네) 계열의 단위가 된다.


Koruna
복수형은 두 가지가 있는데, 1이 아닌 5 미만의 수 혹은 미지수에는 "코루니", 그 외는 "코룬"이라 읽는다.<ref>참고로 1의 자리가 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 아니고, "5"만 넘어가면 무조건 코룬으로 읽는 것이다. 이는 동유럽쪽 언어에서 간간히 보이는 현상으로, 슬로바키아만의 특성은 아니다.</ref> 따라서 "슬로바키아 코룬"도 틀린 표현은 아니다. (보조단위의 복수형은 할리에로프(halierov).)
 
== 소개 ==
[[File:NarodnaBankaSlovenska.jpg|섬네일]]
[[슬로바키아]]의 법정통화였던 것. [[ISO 4217]] 코드는 SKK <s>[[성균관대|…SKK?]]</s> 기호는 Sk<s>텔레콤</s>, 보조단위는 "할러"이다. 복수형은 두 가지가 있는데, 1이 아닌 5 미만의 수 혹은 미지수에는 "코루니", 그 외는 "코룬"이라 읽는다. 참고로 1의 자리가 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 아니고, "5"만 넘어가면 무조건 코룬으로 읽는 것이다. 이는 동유럽쪽 언어에서 간간히 보이는 현상으로, 슬로바키아만의 특성은 아니다. 따라서 "슬로바키아 코룬"도 틀린 표현은 아니다.


1992년까지만 해도 체코와 같은 나라였던 탓에 "슬로바키아 코루나"1993년이 되어서야 등장했으나<ref>과거에도 아주 없었던 건 아니지만, 은근슬쩍 묻어가는 형태에 불과했다.</ref>, 2009년부터 유로화로 전향한 덕에 역사가 굉장히 짧은 통화 중 하나이기도 하다. 참고로 유로화와의 교환비는 30.1260코루나/EUR(1코루나 = 0.0332유로)이며 최종 인플레는 3.5%. 여담이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유로보다도 가치가 크게 오른''' 흔치 않은 통화 중 하나이다.<ref>1유로당 2000년 43코루나, 2004년 40코루나, 2007년 35코루나, 2009년 30코루나.</ref>
1992년까지만 해도 체코와 같은 나라였던 탓에 "슬로바키아 코루나" 자체는 1993년이 되어서야 등장했으나<ref>과거에도 아주 없었던 건 아니지만, 은근슬쩍 묻어가는 형태에 불과했다.</ref>, 2009년부터 유로화로 전향하였으므로 결론적으로 매우 짧은 역사로 남게 되었다. 이며 최종 인플레는 3.5%. 여담이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유로보다도 가치가 크게 오른''' 흔치 않은 통화 중 하나이다.<ref>1유로당 2000년 43코루나, 2004년 40코루나, 2007년 35코루나, 2009년 30코루나.</ref>


"코루나"라는 단어 자체는 슬로바키아어로 읽은 것으로, 크라운(크로네) 단위의 일종. 구권에 해당하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코룬]]과는 코루나와 1:1로 교환이 가능했었다.
=== 환전 및 사용 ===
유로로 전환하기 직전 당시의 [[외환은행]]에서 슬로바키아 코루나화의 "송금"업무를 개시하기는 했었다. 수요가 없을것을 예견했는지 현금 거래는 취급하지 않았다.


== 동전 ==
== 현찰 시리즈 ==
10, 20, 50할러와 1, 2, 5, 10코루나까지 일곱 종류가 존재했었다. "0.01"에 해당하는 단위는 처음부터 나오지도 않았던 점이 의문점. 2013년 12월 31일까지만 교환이 가능하며, 그 이후로는 통화로서의 가치를 상실한다.
=== 동전 ===
10, 20, 50할러와 1, 2, 5, 10코루나까지 일곱 종류가 존재했었다. 1자리수의 할리에 단위는 처음부터 나오지도 않았고, 10 및 20할리에화 또한 2003년까지만 통용되었다. 점이 의문점. 2013년 12월 31일까지만 교환을 받아주고, 그 이후로는 완전히 폐기되었다.


== 지폐 ==
=== 지폐 ===
동전과 마찬가지로 총 일곱 종류이며, 1993년 발행 및 도입. 체코와 분열된 직후에는 체슬 코룬에 [[우표]]처럼 생긴 것을 붙여다 통용시켜 생산시간을 벌어들이고, 1995년이 되어야 본격적으로 전 종류가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체코 코루나]]가 밝은 바탕에 섬세한 선을 사용하여 디자인한 것과 달리, 대체적으로 어두운 색과 짙은 명암을 사용한 것이 상당히 대조적. 도안은 앞면과 뒷면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스타일이다.
동전과 마찬가지로 총 일곱 종류이며, 1993년 발행 및 도입. 체코와 분열된 직후에는 체슬 코룬에 [[우표]]처럼 생긴 것을 붙여다 통용시켜 생산시간을 벌어들이고, 1995년이 되어야 본격적으로 전 종류가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체코 코루나]]가 밝은 바탕에 섬세한 선을 사용하여 디자인한 것과 달리, 대체적으로 어두운 색과 짙은 명암을 사용한 것이 상당히 대조적. 도안은 앞면과 뒷면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스타일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Slovak Koruna Series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슬로바키아 코루나 현찰 시리즈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20Sk <small>(€0.66)</small> 프리비나 왕자<ref>9세기 인물로, 슬로바키아에 교회를 짊어지고 온 사람.</ref>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0Sk <small>(€1.66)</small> 성 키릴 & 메토디우스<ref>Кѷриллъ и Меѳодїи. 역시나 9세기 인물로, 그리스의 테살로니키 태생, 슬로바키아를 포함해 슬라브 전역에 키릴 문자를 전파한 형제다. 하지만 슬로베니아는 지금은 라틴 문자를 쓰는 중(...)</ref>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0Sk <small>(€3.32)</small> 레보차 교회의 마돈나상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0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KK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20Sk
| style="text-align: center;" | 프리비나 왕자<ref>9세기 인물로, 슬로바키아에 교회를 짊어지고 온 사람.</ref>
| style="text-align: center;" | 니트라 성<ref>실제로 니트라에 있기도 하나, 프리비나 왕자가 있었던 당시의 국명이 "니트라 공국"이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니트라 성<ref>실제로 니트라에 있기도 하나, 프리비나 왕자가 있었던 당시의 국명이 "니트라 공국"이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드라초브스키 교회와 글라골 문자<ref>키릴 문자가 도입되기 전에 슬라브어 계통 전반으로 쓰여진 문자. [[유니코드|윤희님]]만으론 볼 수 없고, 폰트가 필요하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시청과 레보차 교회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KK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200Sk <small>(€6.64)</small> 안톤 베르놀락
| style="text-align: center;" | 50Sk
| style="text-align: center;" | 500Sk <small>(€16.60)</small> 루드비트 스투르<ref>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치하에 있었던 슬로베니아에 슬로베니아어를 정립하여 부흥을 일으킨 인물.</ref>
| style="text-align: center;" | 성 키릴 & 메토디우스<ref>Кѷриллъ и Меѳодїи. 역시나 9세기 인물로, 그리스의 테살로니키 태생, 슬로바키아를 포함해 슬라브 전역에 키릴 문자를 전파한 형제다. 하지만 슬로베니아는 지금은 라틴 문자를 쓰는 중(...)</ref>
| style="text-align: center;" | 1,000Sk <small>(€33.19)</small> 안드레야 흘린카
| style="text-align: center;" | 드라초브스키 교회와 글라골 문자<ref>키릴 문자가 도입되기 전에 슬라브어 계통 전반으로 쓰여진 문자. [[유니코드|윤희님]]만으론 볼 수 없고, 폰트가 필요하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KK05.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100Sk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레보차 교회의 마돈나상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시청과 레보차 교회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KK07.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200Sk
| style="text-align: center;" | 안톤 베르놀락
| style="text-align: center;" | 18세기의 트르나바
| style="text-align: center;" | 18세기의 트르나바
| style="text-align: center;" | [[브라티슬라바|브라티슬라브스키]] 성
| style="text-align: center;" | 루좀베로크 교회
|-
|-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Sk
| style="text-align: center;" | 5,000Sk <small>(€165.97)</small> 밀란 R. 슈테파니크<ref>Milan Rastislav Štefánik. 천문학자 출신의 장교군인. 브라티슬라바 공항의 별칭(M.R.슈테파니크 국제공항)으로도 붙여졌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루드비트 스투르<ref>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치하에 있었던 슬로베니아에 슬로베니아어를 정립하여 부흥을 일으킨 인물.</ref>
| style="text-align: center;" | [[브라티슬라바|브라티슬라브스키]] 성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KK11.jpg|섬네일]]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Sk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KK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안드레야 흘린카
| style="text-align: center;" | 루좀베로크 교회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KK13.jpg|섬네일]]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Sk
| style="text-align: center;" | 밀란 라스티슬라브 스테파니크<ref>천문학자 출신의 장교군인. 현재 브라티슬라바 공항에 이 사람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밀란의 묘소와 북두칠성
| style="text-align: center;" | 밀란의 묘소와 북두칠성
|}
|}
== 이야기거리 ==
* 유로로 전환하기 직전, 그 당시의 [[외환은행]]에서 슬로바키아 코루나화의 "송금"업무를 개시했었다. 수요가 없을것을 직감했는지 현금은 취급하지 않았다.


{{각주}}
{{각주}}
{{유럽의 화폐}}
{{유럽의 화폐}}

2024년 1월 29일 (월) 16:55 기준 최신판

슬로바키아 코루나
Slovenská Koruna
NarodnaBankaSlovenska.jpg
화폐 정보
사용국 슬로바키아
ISO SKK …SKK?
기호 Sk 텔레콤
보조단위
1/100 할리에(Halier) [h]
지폐 20Sk, 50Sk, 100Sk, 200Sk, 500Sk, 1000Sk, 5000Sk
동전 50h, 1Sk, 2Sk, 5Sk, 10Sk
(2003년까지 통용 : 10h, 20h)
중앙은행 슬로바키아 중앙은행 (Narodna Banka Slovenska)
환율 43.22원/Sk (2019.11.2 계산값)
고정환율 30.1260 Sk/EUR (2005.11.28 ~, 0.0332Sk/EUR)
이전 화폐
이후 화폐

Slovak Koruna (슬로박 코루나)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슬로바키아의 유로화 전환 이전에 사용하던 통화이다. "코루나"라는 단어 자체는 슬로바키아어로 읽은 것으로, 크라운(크로네) 계열의 단위가 된다.

복수형은 두 가지가 있는데, 1이 아닌 5 미만의 수 혹은 미지수에는 "코루니", 그 외는 "코룬"이라 읽는다.[1] 따라서 "슬로바키아 코룬"도 틀린 표현은 아니다. (보조단위의 복수형은 할리에로프(halierov).)

1992년까지만 해도 체코와 같은 나라였던 탓에 "슬로바키아 코루나" 자체는 1993년이 되어서야 등장했으나[2], 2009년부터 유로화로 전향하였으므로 결론적으로 매우 짧은 역사로 남게 되었다. 이며 최종 인플레는 3.5%. 여담이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유로보다도 가치가 크게 오른 흔치 않은 통화 중 하나이다.[3]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유로로 전환하기 직전 당시의 외환은행에서 슬로바키아 코루나화의 "송금"업무를 개시하기는 했었다. 수요가 없을것을 예견했는지 현금 거래는 취급하지 않았다.

현찰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동전[편집 | 원본 편집]

10, 20, 50할러와 1, 2, 5, 10코루나까지 일곱 종류가 존재했었다. 1자리수의 할리에 단위는 처음부터 나오지도 않았고, 10 및 20할리에화 또한 2003년까지만 통용되었다. 점이 의문점. 2013년 12월 31일까지만 교환을 받아주고, 그 이후로는 완전히 폐기되었다.

지폐[편집 | 원본 편집]

동전과 마찬가지로 총 일곱 종류이며, 1993년 발행 및 도입. 체코와 분열된 직후에는 체슬 코룬에 우표처럼 생긴 것을 붙여다 통용시켜 생산시간을 벌어들이고, 1995년이 되어야 본격적으로 전 종류가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체코 코루나가 밝은 바탕에 섬세한 선을 사용하여 디자인한 것과 달리, 대체적으로 어두운 색과 짙은 명암을 사용한 것이 상당히 대조적. 도안은 앞면과 뒷면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스타일이다.

슬로바키아 코루나 현찰 시리즈
20Sk (€0.66) 프리비나 왕자[4] 50Sk (€1.66) 성 키릴 & 메토디우스[5] 100Sk (€3.32) 레보차 교회의 마돈나상
SKK01.jpg SKK03.jpg SKK05.jpg
니트라 성[6] 드라초브스키 교회와 글라골 문자[7] 시청과 레보차 교회
200Sk (€6.64) 안톤 베르놀락 500Sk (€16.60) 루드비트 스투르[8] 1,000Sk (€33.19) 안드레야 흘린카
SKK07.jpg SKK09.jpg SKK11.jpg
18세기의 트르나바 브라티슬라브스키 루좀베로크 교회
5,000Sk (€165.97) 밀란 R. 슈테파니크[9]
SKK13.jpg
밀란의 묘소와 북두칠성

각주

  1. 참고로 1의 자리가 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 아니고, "5"만 넘어가면 무조건 코룬으로 읽는 것이다. 이는 동유럽쪽 언어에서 간간히 보이는 현상으로, 슬로바키아만의 특성은 아니다.
  2. 과거에도 아주 없었던 건 아니지만, 은근슬쩍 묻어가는 형태에 불과했다.
  3. 1유로당 2000년 43코루나, 2004년 40코루나, 2007년 35코루나, 2009년 30코루나.
  4. 9세기 인물로, 슬로바키아에 교회를 짊어지고 온 사람.
  5. Кѷриллъ и Меѳодїи. 역시나 9세기 인물로, 그리스의 테살로니키 태생, 슬로바키아를 포함해 슬라브 전역에 키릴 문자를 전파한 형제다. 하지만 슬로베니아는 지금은 라틴 문자를 쓰는 중(...)
  6. 실제로 니트라에 있기도 하나, 프리비나 왕자가 있었던 당시의 국명이 "니트라 공국"이었다.
  7. 키릴 문자가 도입되기 전에 슬라브어 계통 전반으로 쓰여진 문자. 윤희님만으론 볼 수 없고, 폰트가 필요하다.
  8.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치하에 있었던 슬로베니아에 슬로베니아어를 정립하여 부흥을 일으킨 인물.
  9. Milan Rastislav Štefánik. 천문학자 출신의 장교군인. 브라티슬라바 공항의 별칭(M.R.슈테파니크 국제공항)으로도 붙여졌다.
  1. 여기에 해당하는 이전 화폐는 동전도 교환대상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