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우(聲優)는 목소리로 연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을 말한다. 즉 목소리(聲)로 연기하는 배우(優).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에서 보이는 CV라는 표기는 캐릭터 보이스(Character Voice)의 약자로 그 캐릭터를 담당하는 성우를 의미한다.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직업 코드는 28324.
애니메이션이나 비디오 게임, 드라마 CD 등에 목소리를 입히거나, 이미 녹음된 매체에 더빙을 하는 데 주로 참여한다. 1990년대부터는 작품뿐만 아니라 성우들 본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면서, 애니메이션 BD/DVD에 성우의 코멘터리나 기획 비디오가 특전 영상으로 첨부되거나 성우진이 참가하는 공식 이벤트를 기획되는 등 성우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작품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용어[편집 | 원본 편집]
영어로는 Voice actor 또는 actress라는 표현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업계에서는 흔히 CV[1]라는 약어를 사용해 캐릭터를 연기한 성우를 나타내고 있다.[2] 또, 일본의 애니메이션 및 게임 문화가 서양에도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세이유(声優, せいゆう)라는 표현을 그대로 Seiyu, Seiyuu 같은 식으로 차용하는 모습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현황[편집 | 원본 편집]
시각적 요소를 배제한 채 청각적 요소로만 전달해야 하므로 뛰어난 연기력이 요구된다. 그로 인해 진입장벽도 일반적인 배우에 비해 훨씬 높다. 일본과 미국에서는 양성소와 소속사라는 개념이 존재해 양성소를 졸업한 사람들을 소속사에서 데려가지만, 대한민국은 일본과 미국에 비해 성우 매니지먼트사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오직 방송사에서 공채로 뽑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리고 뽑히면 2년 이상 뽑힌 방송국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그 후엔 프리랜서로 활동하게 된다.
인물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일본[편집 | 원본 편집]
남성 성우[편집 | 원본 편집]
여성 성우[편집 | 원본 편집]
- Pile
- 나카무라 에리코
- 난죠 요시노
- 누마쿠라 마나미
- 니시다 노조미
- 닛타 에미
- 마츠이 에리코
- 미사와 사치카
- 미야세 레이나
- 사에키 이오리
- 사와시로 미유키
- 사이죠 나고미
- 사이토 슈카
- 사이토 치와
- 사쿠라 아야네
- 사토 사토미
- 스와 나나카
- 스즈키 아이나
- 시로사와 카나에
- 아마키 샐리
- 아이다 리카코
- 아카사키 치나츠
- 안자이 유카리
- 요시다 유리
- 우미노 루리
- 우에사카 스미레
- 우치다 마아야
- 이나미 안쥬
- 이노우에 키쿠코
- 이마이 아사미
- 이시토비 에리카
- 이와타 하루키
- 이와하시 유카
- 이이다 리호
- 이토 카나에
- 코미야 아리사
- 코바야시 아이카
- 코야마 모모요
- 쿠기미야 리에
- 쿠라오카 미즈하
- 쿠로사와 토모요
- 타나카 리에
- 타니구치 유나
- 타치바나 리카
- 타카츠키 카나코
- 테루이 하루카
- 토오야마 에리코
- 토요사키 아키
- 하나자와 카나
- 하나카와 메이
- 하라 유미
- 하야미 사오리
- 호리에 유이
- 호시키 세에나
- 호카제 치하루
- 후리하타 아이
한국[편집 | 원본 편집]
남성 성우[편집 | 원본 편집]
여성 성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유통 형태 | |
---|---|
제작 양식 | |
나라별 애니메이션 | |
대상 시청자별 애니메이션 | |
구성 요소 | |
용어 | |
업계 종사자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