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고속도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도로표지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속국도|고속도로)\|(\d+)\}\} +|도로표지 = 50px))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도로 정보
{{도로 정보
|노선명 = 동해고속도로  
|도로이름 = 동해고속도로
|노선번호명 = 대한민국 고속국도 65호선
|원어이름 =  
|노선번호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속국도|65}}
|도로표지 = [[파일:Korea Expressway No.65.svg|50px]]
|지도 = 65 Donghae.svg
|지도     = [[파일:65 Donghae.svg|150px]]
|기점 = 부산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지도설명 =
|종점 = [[속초 나들목]]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
|도로번호 =
|연장 = 123.5 km
|종류    =
|개통일 = [[2008년]] [[12월]] [[29일]]
|기점     = 부산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폐지일 =  
|종점     = [[속초 나들목]]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
|관할 = [[한국도로공사]]<br/>부산울산고속도로(주)
|연장     = 123.5 km
|개통일   = [[2008년]] [[12월]] [[29일]]
|폐지일   =  
|관할     = [[한국도로공사]]<br />부산울산고속도로(주)
|비고    =
}}
}}
'''동해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의 [[해운대구]]부터 [[강원도]] [[속초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와 강원도 동해시 사이의 구간은 현재 완공되지 않은 상태이며 삼척 이남부터 포항 이북까지의 구간은 그냥 구상만 하고 있는 상태이다.
'''동해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의 [[해운대구]]부터 [[강원도]] [[속초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와 강원도 동해시 사이의 구간은 현재 완공되지 않은 상태이며 삼척 이남부터 포항 이북까지의 구간은 그냥 구상만 하고 있는 상태이다.
15번째 줄: 19번째 줄:
==역사==
==역사==
===2차선 고속도로 시절===
===2차선 고속도로 시절===
처음 동해고속도로는 [[국도 제7호선]]의 구간과 거의 겹치는 속초에서 포항까지의 고속도로 계획으로 1980년대에 해당 종축 간선도로를 계획하였었다. 애초 이 계호기이 나왔던 것은 1960년대 말로 당시에는 우선 강릉에서 삼척까지의 구간을 먼저 연결하는 것으로 계획을 세웠었다. 그러나 정치 상황이 변하고 당시 기술적인 문제 등이 겹쳐지면서 고속도로의 명칭으로 개통된 구간은 강릉에서 동해까지의 구간으로 그나마도  경부고속도로와 같은 4차선 고속도로의 형태가 아닌 왕복 2차선의 도로에 강릉 안인에서 옥계까지의 산악구간 통과 문제로 상당히 급경사 급커브가 여기저기 겹쳐있는 형태로 41km의 구간을 1983년에 개통되었다.  
처음 동해고속도로는 [[7번 국도]]의 구간과 거의 겹치는 속초에서 포항까지의 고속도로 계획으로 1980년대에 해당 종축 간선도로를 계획하였었다. 애초 이 계획이 나왔던 것은 1960년대 말로 당시에는 우선 강릉에서 삼척까지의 구간을 먼저 연결하는 것으로 계획을 세웠었다. 그러나 정치 상황이 변하고 당시 기술적인 문제 등이 겹쳐지면서 고속도로의 명칭으로 개통된 구간은 강릉에서 동해까지의 구간으로 그나마도  경부고속도로와 같은 4차선 고속도로의 형태가 아닌 왕복 2차선의 도로에 강릉 안인에서 옥계까지의 산악구간 통과 문제로 상당히 급경사 급커브가 여기저기 겹쳐있는 형태로 41km의 구간을 1983년에 개통되었다.


당시 도로번호는 [[영동고속도로]] 다음 번호인 5번을 부여받았으며 2차선 고속도로 답게 중앙분리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았고 곳곳에 평면교차로가 산재해 있는 21세기 기준으로 보면 도저히 고속도로라고 볼 수 없는 형태의 도로였다. 이러한 문제로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매년 휴가철마다 동해안을 찾는 차량들이 이 도로를 이용할 때마다 무지막지한 정체까지 발생하면서 영동고속도로의 확포장 공사가 시작될 때 거의 패키지 형태로 1999년부터 확포장 공사에 들어갔으며 동시에 강릉-동해까지만 연결하는 짧은 구간을 남쪽으로는 삼척까지, 북쪽으로는 양양 이북으로 연장하는 공사도 점진적으로 진행, 2004년에 기존의 전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으며 동시에 기존 2차선 도로는 [[국도 7호선]]구간으로 편입되거나 일반도로로 격하되어 사용되고 있다.
당시 도로번호는 [[영동고속도로]] 다음 번호인 5번을 부여받았으며 2차선 고속도로 답게 중앙분리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았고 곳곳에 평면교차로가 산재해 있는 21세기 기준으로 보면 도저히 고속도로라고 볼 수 없는 형태의 도로였다. 이러한 문제로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매년 휴가철마다 동해안을 찾는 차량들이 이 도로를 이용할 때마다 무지막지한 정체까지 발생하면서 영동고속도로의 확포장 공사가 시작될 때 거의 패키지 형태로 1999년부터 확포장 공사에 들어갔으며 동시에 강릉-동해까지만 연결하는 짧은 구간을 남쪽으로는 삼척까지, 북쪽으로는 양양 이북으로 연장하는 공사도 점진적으로 진행, 2004년에 기존의 전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으며 동시에 기존 2차선 도로는 [[7번 국도]]구간으로 편입되거나 일반도로로 격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야기거리====
====이야기거리====
[[강원도]] 구간의 경우 처음 개통당시에는 [[영동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왕복2차선의 중앙분리대가 없는 고속도로였다. [[요금소]]도 옥계에 있는 요금소 하나가 전부{{ㅈ|동해2터널의 통행료를 받는 정도였다}}였으며, 입체교차로라고 할만한 것은 강릉교차로 달랑 하나가 전부였으며, 이조차도 나와서 신호등 신호를 기다려야 하는 형태였다. 나머지 진출입로? 그냥 비보호 좌회전을 알아서 하거나 사거리 통과를 하거나 뭐... 이런 식...(한마디로 상막장)  
[[강원도]] 구간의 경우 처음 개통당시에는 [[영동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왕복2차선의 중앙분리대가 없는 고속도로였다. [[요금소]]도 옥계에 있는 요금소 하나가 전부{{ㅈ|동해2터널의 통행료를 받는 정도였다}}였으며, 입체교차로라고 할만한 것은 강릉교차로 달랑 하나가 전부였으며, 이조차도 나와서 신호등 신호를 기다려야 하는 형태였다. 나머지 진출입로? 그냥 비보호 좌회전을 알아서 하거나 사거리 통과를 하거나 뭐... 이런 식...(한마디로 상막장)  


거기다 워낙에 급구배, 급커브 구간이다 보니 중간에 터널을 두개나 뚫어놨음에도 불구하고 트럭 하나가 앞에서 기어가기 시작하면 뒤쪽의 차들이 기차놀이를 하는 [[안습]]한 상황이 자주 벌어졌던 것. 4차선으로 확포장을 하면서 이런 안습한 상황은 사라졌는데.. 혹시라도 당시의 향수를 느껴보고 싶다면 해당 도로가 전부 [[국도 7호선]]의 구간으로 전환되었으니 해당 국도를 따라서 열심히 가 보자.(물로 실수로 정동진쪽으로 들어가서 더 험한 코스인 밤재구간을 넘을 수도 있다)
거기다 워낙에 급구배, 급커브 구간이다 보니 중간에 터널을 두개나 뚫어놨음에도 불구하고 트럭 하나가 앞에서 기어가기 시작하면 뒤쪽의 차들이 기차놀이를 하는 [[안습]]한 상황이 자주 벌어졌던 것. 4차선으로 확포장을 하면서 이런 안습한 상황은 사라졌는데.. 혹시라도 당시의 향수를 느껴보고 싶다면 해당 도로가 전부 [[7번 국도]]의 구간으로 전환되었으니 해당 국도를 따라서 열심히 가 보자.(물론 실수로 정동진쪽으로 들어가서 더 험한 코스인 밤재구간을 넘을 수도 있다)


===확장개통 이후===
===확장개통 이후===
31번째 줄: 35번째 줄:
</gallery>
</gallery>


동해안 지역의 낮은 인구밀도와 휴가철을 제외하면 교통량이 많지 않다는 점이 발목을 잡아 노선이 파편화되었다. 동해부터 속초까지 주요 관광지가 밀집한 구간은 일찍부터 노선이 건설되었고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왕복 4차로 규모로 완공되었으나, 삼척(남삼척) 이남부터 포항사이 구간은 [[국도 제7호선]]이 이미 왕복 4차로에 직선화된 준 고속화도로로 건설되어 이 지역의 핵심 도로망으로 자리잡고 있어서 수요 문제와 더불어 중복투자 등 우선순위가 한없이 밀려서 진행이 지지부진하다. 물론 미래에 남북통일 후 부산에서 동해안을 경유하여 러시아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계획의 중요한 물류수송 루트이므로 언젠가는 완공될 것이다.
동해안 지역의 낮은 인구밀도와 휴가철을 제외하면 교통량이 많지 않다는 점이 발목을 잡아 노선이 파편화되었다. 동해부터 속초까지 주요 관광지가 밀집한 구간은 일찍부터 노선이 건설되었고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왕복 4차로 규모로 완공되었으나, 삼척(남삼척) 이남부터 포항사이 구간은 [[7번 국도]]이 이미 왕복 4차로에 직선화된 준 고속화도로로 건설되어 이 지역의 핵심 도로망으로 자리잡고 있어서 수요 문제와 더불어 중복투자 등 우선순위가 한없이 밀려서 진행이 지지부진하다. 물론 미래에 남북통일 후 부산에서 동해안을 경유하여 러시아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계획의 중요한 물류수송 루트이므로 언젠가는 완공될 것이다.


===영덕~포항 구간===
===영덕~포항 구간===
포항시 흥해읍에서 영덕군 강구면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2020년 현재 공사 중이다.
포항시 흥해읍에서 영덕군 강구면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2020년 현재 공사 중이다.


울산~포항간 고속도로로 건설된 남포항IC에서 영덕으로 들어가는 북영일만IC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논란이 많다.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교량을 건설하거나 해저터널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으나 건설비가 막대한 문제점이 있고, 해당 구간을 우회하자니 이미 [[국도 제31호선|31번 국도]]로 지정된 우회도로가 건설되어 이 구간도 상당한 고민거리를 안겨주고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접속되기 위해선 내륙 우회를 해야 하지만...<del>사실 포항시가 [[거가대교]] 같은 랜드마크 하나쯤 짓고 싶어서 난리이다</del>
울산~포항간 고속도로로 건설된 남포항IC에서 영덕으로 들어가는 북영일만IC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논란이 많다.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교량을 건설하거나 해저터널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으나 건설비가 막대한 문제점이 있고, 해당 구간을 우회하자니 이미 [[31번 국도|31번 국도]]로 지정된 우회도로가 건설되어 이 구간도 상당한 고민거리를 안겨주고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접속되기 위해선 내륙 우회를 해야 하지만...<del>사실 포항시가 [[거가대교]] 같은 랜드마크 하나쯤 짓고 싶어서 난리이다</del>


===포항~울산 구간===
===포항~울산 구간===
52번째 줄: 56번째 줄:
*이 도로의 강릉-동해 구간은 선형이 좋은 데다 차량도 적고 과속카메라도 많지 않아서 시속 100km주행이 저속차량으로 보일 정도로 과속을 하는 차들이 많다. 말 그대로 [[아우토반|동해토반]]이라 불릴 정도. 심지어 시속 140~150km으로 달리는 차를 추월하는 미친 속도를 보여주는 차들도 있다. {{ㅊ|사실 제한속도 100으로 나온 숫자의 단위가 km가 아니라 mile이라 [[카더라]]}}
*이 도로의 강릉-동해 구간은 선형이 좋은 데다 차량도 적고 과속카메라도 많지 않아서 시속 100km주행이 저속차량으로 보일 정도로 과속을 하는 차들이 많다. 말 그대로 [[아우토반|동해토반]]이라 불릴 정도. 심지어 시속 140~150km으로 달리는 차를 추월하는 미친 속도를 보여주는 차들도 있다. {{ㅊ|사실 제한속도 100으로 나온 숫자의 단위가 km가 아니라 mile이라 [[카더라]]}}


*좁디좁은 [[영동지방]]을 종축으로 연결하는지라 이쪽 동네의 종축국도인 [[국도 7호선]]과 싫든 좋든 계속 얽혀서 가야 하는 운명이다. {{ㅊ|스토커냐!!}} 동해고속도로의 북쪽 도로 연장 구간이 강원도 삼척까지인 것으로 된 이유도 이미 [[국도 7호선]]이 웬만한 고속도로 못지 않게 선형이 좋기 때문인데다 선형이 계속 겹쳐서 경제성도 의심되는 상황이기 때문. 이미 7번국도의 원덕-울진군 구간은 평소에는 차량으로 인한 정체가 없는 상황인데다.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으로 지정되어있는 구간이기도 하다. 여기에 차량이 넘쳐나서 미어터지지 않는 한 이 구간에다 고속도로를 추가로 때려박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포항-영덕(강구) 구간은 주말이나 휴일만 되면 7번국도가 터져나가서 뭔가 대책이 필요하긴 하다.
*좁디좁은 [[영동지방]]을 종축으로 연결하는지라 이쪽 동네의 종축국도인 [[7번 국도]]과 싫든 좋든 계속 얽혀서 가야 하는 운명이다. {{ㅊ|스토커냐!!}} 동해고속도로의 북쪽 도로 연장 구간이 강원도 삼척까지인 것으로 된 이유도 이미 [[7번 국도]]이 웬만한 고속도로 못지 않게 선형이 좋기 때문인데다 선형이 계속 겹쳐서 경제성도 의심되는 상황이기 때문. 이미 7번국도의 원덕-울진군 구간은 평소에는 차량으로 인한 정체가 없는 상황인데다.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으로 지정되어있는 구간이기도 하다. 여기에 차량이 넘쳐나서 미어터지지 않는 한 이 구간에다 고속도로를 추가로 때려박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포항-영덕(강구) 구간은 주말이나 휴일만 되면 7번국도가 터져나가서 뭔가 대책이 필요하긴 하다.


==기타==
==기타==
63번째 줄: 67번째 줄:
! 번호 !! 명칭 !! 접속도로 !! 비고
! 번호 !! 명칭 !! 접속도로 !! 비고
|-
|-
| 42 || [[속초 나들목|속초 IC]] ||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   
| 42 || [[속초 나들목|속초 IC]] || [[56번 국가지원지방도]] ||   
|-
|-
| TG || 속초요금소 ||  ||  
| TG || 속초요금소 ||  ||  
71번째 줄: 75번째 줄:
| 40 || [[양양 분기점|양양 JC]] || [[서울양양고속도로]] ||  
| 40 || [[양양 분기점|양양 JC]] || [[서울양양고속도로]] ||  
|-
|-
| 39 || [[하조대 나들목|하조대 IC]] || [[국도 제7호선]] ||   
| 39 || [[하조대 나들목|하조대 IC]] || [[7번 국도]] ||   
|-
|-
| SA || [[양양휴게소]] ||  ||   
| SA || [[양양휴게소]] ||  ||   
|-
|-
| 38 || [[현남 나들목|현남 IC]] || [[국도 제7호선]] ||  
| 38 || [[현남 나들목|현남 IC]] || [[7번 국도]] ||  
|-
|-
| 37 || [[북강릉 나들목|북강릉 IC]] || [[국도 제7호선]] ||  
| 37 || [[북강릉 나들목|북강릉 IC]] || [[7번 국도]] ||  
|-
|-
| 36 || [[강릉 분기점|강릉 JC]] || [[영동고속도로|50호선 영동고속도로]] ||  
| 36 || [[강릉 분기점|강릉 JC]] || [[영동고속도로|50호선 영동고속도로]] ||  
|-
|-
| 35 || [[강릉 나들목|강릉 IC]] || [[국도 제35호선]] ||  
| 35 || [[강릉 나들목|강릉 IC]] || [[35번 국도]] ||  
|-
|-
| SA || [[구정휴게소]] ||  ||  
| SA || [[구정휴게소]] ||  ||  
87번째 줄: 91번째 줄:
| 34 || [[남강릉 나들목|남강릉 IC]] || 칠성로 ||  
| 34 || [[남강릉 나들목|남강릉 IC]] || 칠성로 ||  
|-
|-
| 33 || [[옥계 나들목|옥계 IC]] || [[국도 제7호선]] ||  
| 33 || [[옥계 나들목|옥계 IC]] || [[7번 국도]] ||  
|-
|-
|  || [[옥계휴게소]](상행)<br />[[동해휴게소]](하행) ||  ||  
|  || [[옥계휴게소]](상행)<br />[[동해휴게소]](하행) ||  ||  
|-
|-
| 32 || [[망상 나들목|망상 IC]] || [[국도 제7호선]] ||  
| 32 || [[망상 나들목|망상 IC]] || [[7번 국도]] ||  
|-
|-
| 31 || [[동해 나들목|동해 IC]] || [[국도 제7호선]] ||  
| 31 || [[동해 나들목|동해 IC]] || [[7번 국도]] ||  
|-
|-
| 30 || [[삼척 나들목|삼척 IC]] || [[국도 제38호선]] ||  
| 30 || [[삼척 나들목|삼척 IC]] || [[38번 국도]] ||  
|-
|-
| 29 || [[남삼척 나들목|남삼척 IC]] || [[국도 제7호선]] ||  
| 29 || [[남삼척 나들목|남삼척 IC]] || [[7번 국도]] ||  
|}
|}


106번째 줄: 110번째 줄:
| 1 || 울산지사 || [[해운대 IC]] || 6.03 ||  || 직결형
| 1 || 울산지사 || [[해운대 IC]] || 6.03 ||  || 직결형
|-
|-
| 2 || 울산지사 || [[기장 IC]] || 13.92 || [[국도 제14호선]]<br>[[국도 제31호선]] || 직결형
| 2 || 울산지사 || [[기장 IC]] || 13.92 || [[14번 국도]]<br />[[31번 국도]] || 직결형
|-
|-
| 2-1 || 울산지사 || [[기장분기점]] || 13.92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트럼펫형
| 2-1 || 울산지사 || [[기장분기점]] || 13.92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트럼펫형
|-
|-
| 3 || 울산지사 || [[장안 IC]] || 19.31 || [[국도 제14호선]] || 부분클로버형
| 3 || 울산지사 || [[장안 IC]] || 19.31 || [[14번 국도]] || 부분클로버형
|-
|-
| SA ||  || [[장안휴게소]] ||  ||  ||
| SA ||  || [[장안휴게소]] ||  ||  ||
|-
|-
| 4 || 울산지사 || [[온양 IC]] || 29.65 || [[국도 제14호선]] || 이중트럼펫형
| 4 || 울산지사 || [[온양 IC]] || 29.65 || [[14번 국도]] || 이중트럼펫형
|-
|-
| 5 || 울산지사 || [[청량 IC]] || 37.49 || [[국도 제14호선]] || 변형클로버형
| 5 || 울산지사 || [[청량 IC]] || 37.49 || [[14번 국도]] || 변형클로버형
|-
|-
| 6 || 울산지사 || [[문수 IC]] || 42.76 || [[국도 제7호선]] || 클로버형
| 6 || 울산지사 || [[문수 IC]] || 42.76 || [[7번 국도]] || 클로버형
|-
|-
| 7 || 울산지사 || [[울산분기점]] || 47.01 || [[울산고속도로|16호선 울산고속도로]] || 직결Y형
| 7 || 울산지사 || [[울산분기점]] || 47.01 || [[울산고속도로|16호선 울산고속도로]] || 직결Y형
|-
|-
| 8 || 경주지사 || [[범서 IC]] || 55.69 || [[국도 제14호선]] || 트럼펫형
| 8 || 경주지사 || [[범서 IC]] || 55.69 || [[14번 국도]] || 트럼펫형
|-
|-
| 9 || 경주지사 || [[남경주 IC]] || 70.20 ||  || 이중트럼펫형
| 9 || 경주지사 || [[남경주 IC]] || 70.20 ||  || 이중트럼펫형
|-
|-
| 10 || 경주지사 || [[동경주 IC]] || 81.46 || [[국도 제14호선]] || 트럼펫형
| 10 || 경주지사 || [[동경주 IC]] || 81.46 || [[14번 국도]] || 트럼펫형
|-
|-
| 11 || 경주지사 || [[남포항 IC]] || 100.88 || [[국도 제31호선]] || 변형클로버형
| 11 || 경주지사 || [[남포항 IC]] || 100.88 || [[31번 국도]] || 변형클로버형
|-
|-
| colspan="6" style="text-align: center" | 포항시내 구간은 현재 계획중
| colspan="6" style="text-align: center" | 포항시내 구간은 현재 계획중

2023년 11월 10일 (금) 16:12 기준 최신판

동해고속도로
Korea Expressway No.65.svg
65 Donghae.svg
도로 정보
기점 부산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종점 속초 나들목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
연장 123.5 km
개통일 2008년 12월 29일
관할 한국도로공사
부산울산고속도로(주)

동해고속도로부산광역시해운대구부터 강원도 속초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와 강원도 동해시 사이의 구간은 현재 완공되지 않은 상태이며 삼척 이남부터 포항 이북까지의 구간은 그냥 구상만 하고 있는 상태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2차선 고속도로 시절[편집 | 원본 편집]

처음 동해고속도로는 7번 국도의 구간과 거의 겹치는 속초에서 포항까지의 고속도로 계획으로 1980년대에 해당 종축 간선도로를 계획하였었다. 애초 이 계획이 나왔던 것은 1960년대 말로 당시에는 우선 강릉에서 삼척까지의 구간을 먼저 연결하는 것으로 계획을 세웠었다. 그러나 정치 상황이 변하고 당시 기술적인 문제 등이 겹쳐지면서 고속도로의 명칭으로 개통된 구간은 강릉에서 동해까지의 구간으로 그나마도 경부고속도로와 같은 4차선 고속도로의 형태가 아닌 왕복 2차선의 도로에 강릉 안인에서 옥계까지의 산악구간 통과 문제로 상당히 급경사 급커브가 여기저기 겹쳐있는 형태로 41km의 구간을 1983년에 개통되었다.

당시 도로번호는 영동고속도로 다음 번호인 5번을 부여받았으며 2차선 고속도로 답게 중앙분리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았고 곳곳에 평면교차로가 산재해 있는 21세기 기준으로 보면 도저히 고속도로라고 볼 수 없는 형태의 도로였다. 이러한 문제로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매년 휴가철마다 동해안을 찾는 차량들이 이 도로를 이용할 때마다 무지막지한 정체까지 발생하면서 영동고속도로의 확포장 공사가 시작될 때 거의 패키지 형태로 1999년부터 확포장 공사에 들어갔으며 동시에 강릉-동해까지만 연결하는 짧은 구간을 남쪽으로는 삼척까지, 북쪽으로는 양양 이북으로 연장하는 공사도 점진적으로 진행, 2004년에 기존의 전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으며 동시에 기존 2차선 도로는 7번 국도구간으로 편입되거나 일반도로로 격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야기거리[편집 | 원본 편집]

강원도 구간의 경우 처음 개통당시에는 영동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왕복2차선의 중앙분리대가 없는 고속도로였다. 요금소도 옥계에 있는 요금소 하나가 전부[1]였으며, 입체교차로라고 할만한 것은 강릉교차로 달랑 하나가 전부였으며, 이조차도 나와서 신호등 신호를 기다려야 하는 형태였다. 나머지 진출입로? 그냥 비보호 좌회전을 알아서 하거나 사거리 통과를 하거나 뭐... 이런 식...(한마디로 상막장)

거기다 워낙에 급구배, 급커브 구간이다 보니 중간에 터널을 두개나 뚫어놨음에도 불구하고 트럭 하나가 앞에서 기어가기 시작하면 뒤쪽의 차들이 기차놀이를 하는 안습한 상황이 자주 벌어졌던 것. 4차선으로 확포장을 하면서 이런 안습한 상황은 사라졌는데.. 혹시라도 당시의 향수를 느껴보고 싶다면 해당 도로가 전부 7번 국도의 구간으로 전환되었으니 해당 국도를 따라서 열심히 가 보자.(물론 실수로 정동진쪽으로 들어가서 더 험한 코스인 밤재구간을 넘을 수도 있다)

확장개통 이후[편집 | 원본 편집]

노선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속초~영덕 구간[편집 | 원본 편집]

동해안 지역의 낮은 인구밀도와 휴가철을 제외하면 교통량이 많지 않다는 점이 발목을 잡아 노선이 파편화되었다. 동해부터 속초까지 주요 관광지가 밀집한 구간은 일찍부터 노선이 건설되었고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왕복 4차로 규모로 완공되었으나, 삼척(남삼척) 이남부터 포항사이 구간은 7번 국도이 이미 왕복 4차로에 직선화된 준 고속화도로로 건설되어 이 지역의 핵심 도로망으로 자리잡고 있어서 수요 문제와 더불어 중복투자 등 우선순위가 한없이 밀려서 진행이 지지부진하다. 물론 미래에 남북통일 후 부산에서 동해안을 경유하여 러시아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계획의 중요한 물류수송 루트이므로 언젠가는 완공될 것이다.

영덕~포항 구간[편집 | 원본 편집]

포항시 흥해읍에서 영덕군 강구면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2020년 현재 공사 중이다.

울산~포항간 고속도로로 건설된 남포항IC에서 영덕으로 들어가는 북영일만IC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논란이 많다.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교량을 건설하거나 해저터널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으나 건설비가 막대한 문제점이 있고, 해당 구간을 우회하자니 이미 31번 국도로 지정된 우회도로가 건설되어 이 구간도 상당한 고민거리를 안겨주고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접속되기 위해선 내륙 우회를 해야 하지만...사실 포항시가 거가대교 같은 랜드마크 하나쯤 짓고 싶어서 난리이다

포항~울산 구간[편집 | 원본 편집]

포항시 남구 오천읍에서 경주 동해안 쪽을 거쳐 울산-부산간 고속도로로 연결된다. 2015년 12월 29일에 개통식이 치러졌다.

본래 2014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토함산을 통과하는 터널을 짓는 데에서 토함산이 연약지방이다 보니 공사에 난항을 겪고, 이 때문에 남포항IC~동경주IC, 남경주IC~울산JC 구간이 2015년 12월 29일에 우선 개통되었다. 해당 연약구간은 2016년에 완공되어 당해 6월 30일 개통되었다.

울산~부산 구간[편집 | 원본 편집]

부산과 울산을 이어주는 해당 노선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되었다. 이른바 부울경의 핵심 도시인 부산과 울산을 이어주는 고속도로이나 통행량이 많지 않아 폭주족이 심심찮게 출몰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이 도로의 강릉-동해 구간은 선형이 좋은 데다 차량도 적고 과속카메라도 많지 않아서 시속 100km주행이 저속차량으로 보일 정도로 과속을 하는 차들이 많다. 말 그대로 동해토반이라 불릴 정도. 심지어 시속 140~150km으로 달리는 차를 추월하는 미친 속도를 보여주는 차들도 있다. 사실 제한속도 100으로 나온 숫자의 단위가 km가 아니라 mile이라 카더라
  • 좁디좁은 영동지방을 종축으로 연결하는지라 이쪽 동네의 종축국도인 7번 국도과 싫든 좋든 계속 얽혀서 가야 하는 운명이다. 스토커냐!! 동해고속도로의 북쪽 도로 연장 구간이 강원도 삼척까지인 것으로 된 이유도 이미 7번 국도이 웬만한 고속도로 못지 않게 선형이 좋기 때문인데다 선형이 계속 겹쳐서 경제성도 의심되는 상황이기 때문. 이미 7번국도의 원덕-울진군 구간은 평소에는 차량으로 인한 정체가 없는 상황인데다.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으로 지정되어있는 구간이기도 하다. 여기에 차량이 넘쳐나서 미어터지지 않는 한 이 구간에다 고속도로를 추가로 때려박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포항-영덕(강구) 구간은 주말이나 휴일만 되면 7번국도가 터져나가서 뭔가 대책이 필요하긴 하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나들목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북쪽부터 남쪽 방향으로 기재한다.

속초 - 남삼척 구간[편집 | 원본 편집]

번호 명칭 접속도로 비고
42 속초 IC 56번 국가지원지방도
TG 속초요금소
41 북양양 IC
40 양양 JC 서울양양고속도로
39 하조대 IC 7번 국도
SA 양양휴게소
38 현남 IC 7번 국도
37 북강릉 IC 7번 국도
36 강릉 JC 50호선 영동고속도로
35 강릉 IC 35번 국도
SA 구정휴게소
34 남강릉 IC 칠성로
33 옥계 IC 7번 국도
옥계휴게소(상행)
동해휴게소(하행)
32 망상 IC 7번 국도
31 동해 IC 7번 국도
30 삼척 IC 38번 국도
29 남삼척 IC 7번 국도

부산~포항(~영덕) 구간[편집 | 원본 편집]

번호 지사 출입시설명 거리(km) 접속도로 형식
1 울산지사 해운대 IC 6.03 직결형
2 울산지사 기장 IC 13.92 14번 국도
31번 국도
직결형
2-1 울산지사 기장분기점 13.92 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트럼펫형
3 울산지사 장안 IC 19.31 14번 국도 부분클로버형
SA 장안휴게소
4 울산지사 온양 IC 29.65 14번 국도 이중트럼펫형
5 울산지사 청량 IC 37.49 14번 국도 변형클로버형
6 울산지사 문수 IC 42.76 7번 국도 클로버형
7 울산지사 울산분기점 47.01 16호선 울산고속도로 직결Y형
8 경주지사 범서 IC 55.69 14번 국도 트럼펫형
9 경주지사 남경주 IC 70.20 이중트럼펫형
10 경주지사 동경주 IC 81.46 14번 국도 트럼펫형
11 경주지사 남포항 IC 100.88 31번 국도 변형클로버형
포항시내 구간은 현재 계획중
북영일만 IC
북포항 IC
남영덕 IC
영덕분기점 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각주

  1. 동해2터널의 통행료를 받는 정도였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목록
남북 1 경부 15 서해안 17 평택파주
익산평택
25 호남
논산천안
27 순천완주 29 세종포천
35 통영대전
중부
37 제2중부 45 중부내륙 55 중앙 65 동해
동서 10 남해 12 무안광주
광주대구
14 함양울산 16 울산 20 새만금포항 30 서산영덕
32 아산청주 40 평택제천 50 영동 52 광주원주 60 서울양양
순환 100 수도권제1순환 300 대전남부순환 400 수도권제2순환 500 광주외곽순환 600 부산외곽순환 700 대구외곽순환
지선 102 남해제1지선 104 남해제2지선 105 남해제3지선 110 인천대교
제2경인
120 경인 130 인천국제공항
151 서천공주 153 평택시흥 173 익산평택지선 171 오산화성
용인서울
202
204
새만금포항지선
251 호남지선
253 고창담양 255 강진광주 292 세종포천 오송지선 301 상주영천 451 중부내륙지선 551 중앙지선
폐선 목록 · 한국도로공사 · 민간투자 노선 및 운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