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R.: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분류:콘솔로 이식된 PC 게임 삭제)
 
(사용자 11명의 중간 판 38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게임 정보
{{게임 정보
| 제목        = 피어
|게임이름 = 피어
| 원제목      = F.E.A.R.
|원어이름 = F.E.A.R.: 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 이미지 = [[파일: FEAR_DVD_box_art.jpg]]
|배경색  = #000000
| 개발사      = [[모노리스 프로덕션]]
|글자색  = #FFFFFF;text-shadow: 0px 0px 10px #FFFFFF;
| 발행사      =
|그림    = [[파일: FEAR DVD box art.jpg|300px]]
| 배급사      = [[시에라 엔터테이먼트]]<br/>(비벤디 스튜디오)
|그림설명 =
| 시리즈      = [[F.E.A.R. 시리즈]]
|배급사  = {{깃발|미국}} : [[시에라 엔터테인먼트]]/<br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 엔진        = [[주피터 엔진]]EX
|개발사  = [[모노리스 프로덕션]](PC)<br />[[Day 1 스튜디오]](PS3, XBOX 360)
| 버전        = 1.08v
|제작    = [[크레이그 허버드]]
| 플랫폼      = [[PC]], [[PS3]], [[XBOX360]]
|작가    = [[크레이그 허버드]]
| 출시        = {{국기그림|미국}}2005년 10월 18일(PC)<br/>{{국기그림|일본}}2005년 12월 2일(PC)<br/>
|미술    =
| 장르        = [[호러]] [[FPS]]
|작곡가  =  
| 모드        = [[싱글플레이]], [[멀티플레이]]
|장르    = [[호러]], [[FPS]], [[액션]]
| 이용가 등급 = [[ESRB]] : M<br/>[[CREO]] : D<br/>[[KMRB]] : 18
|출시일  = {{깃발|미국}} : [[2005년]] [[10월 18일]](PC)<br />[[2006년]] [[10월 18일]](PS3)<br />[[2007년]] [[4월 27일]](XBOX 360)<br />{{깃발|일본}} : [[2005년]] [[12월 2일]](PC)<br />
| 미디어      = CD, DVD
|종료일  =
| 요구사양    = Windows XP이상 x64<br/> 512 MB of RAM<br/> 64MB GeForce<br/>Pentium 4 1.7  GHz or equivalent processor<br/>
|플랫폼  = [[Windows]]([[패키지 게임|패키지]], [[스팀 (플랫폼)|스팀]]), [[PS3]], [[XBOX 360]]
|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모드    = 싱글플레이<br />[[멀티플레이]]
| 이전작     = 없음
|언어    = [[영어]], [[일본어]]
| 후속작     = [[F.E.A.R. 2 Project Origin]]
|엔진    = [[주피터 엔진|주피터EX 엔진]]
| 관련 사이트 =
|시리즈  = [[F.E.A.R. 시리즈]]
|이전작   =  
|후속작   = [[F.E.A.R. 2: Project Origin]]
|웹사이트 = [http://www.lith.com/Games/F-E-A-R- 모노리스 게임 소개 페이지]<br />[http://store.steampowered.com/app/21090/ 스팀 상점 페이지]
|비고    =  
}}
}}
《'''F.E.A.R.'''》(First Encounter Assault Recon/피어: 최초 조우 강습 정찰대)은 미국의 [[게임 개발사]] [[모노리스 프로덕션]]이 만든 [[호러 게임|호러]] [[1인칭 슈팅 게임]]이자 프랜차이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 개요 =
《[[쇼고: 모빌아머 디비전]]》의 핵심 개발진들과 쇼고를 포함해 [[노 원 리브스 포에버]] 시리즈 등 모노리스의 히트작들을 개발한 [[크레이그 허버드]]가 쇼고 2대신 새로 만든 FPS 게임으로 쇼고와 관련된 [[이스터 에그]]들이 존재한다. 본편 유통은 [[시에라 엔터테인먼트]]가 맡았으며 리패키지 버전들은 [[워너 브라더스]]가 배급했다. 확장팩으로는 [[F.E.A.R. Extraction Point]], [[F.E.A.R. Perseus Mandate]]》가 있고 후속작으로는 [[F.E.A.R. 2: Project Origin]], [[F.E.A.R. 3]](F.3.A.R.)가 있다.
F.E.A.R.(First Encounter Assault Recon)은 미국의 게임개발사 [[모노리스 프로덕션]]만든 1인칭 플레이어 슈터(FPS)게임으로 [[시에라 엔터테이먼트]]가 배급했다. 이후 각각 2006년 10월 18일, 2007년 4월 27일에는 Day 1 스튜디오에서 PS3판과 XBOX360판의 이식을 맡았다. 확장팩으로는 [[F.E.A.R. Extraction Point]], [[F.E.A.R. Perseus Mandate]]가 있으며 후속작으로는 [[F.E.A.R. 2 Project Origin]], [[F.E.A.R. 3]](F.3.A.R.)가 있다.


[[일본]]에서는 2005년 12월달에 현지화 더빙및 일본어 자막으로 발매되었다. 한국에는 당시 심의문제로 정발은 되지 않았지만 유저들이 만든 비공식 한글패치가 존재한다.
멀티플레이는 처음에는 싱글 플레이와 합쳐진 합본이었으나 시에라 엔터테인먼트에서 이 멀티플레이만 따로 떼어놓은 무료 타이틀인 《[[F.E.A.R. Combat]]》을 내놓기도 했다.


멀티플레이는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에는 지원하지 않았지만 무료 확장팩인 <F.E.A.R. Combat>으로 멀티플레이를 지원했다.
== 상세 ==
=== 적의 인공지능 ===
주피터 엔진 EX의 성능답게 적들의 A.I도 매우 훌륭한 수준인데 말그대로 실제로 전투를 하면 정말 군대와 싸우는 느낌이 들 정도로 정교하게 짜져있다. 피어의 레벨 디자인은 다른 게임들에 비하면 단순한 편이지만 인간과 비슷한 A.I로 단점을 커버를 했다고 보면 된다.


= 상세 =
엄폐물에 오래 숨어 있으면 즉각 수류탄을 던지거나 전등 불빛이 켜져있으면 바로 확인하러 가거나 조금이라도 근처에 있으면 바로 발견하고 전투태세에 들어가기도 한다. 무엇보다 한번 발각되면 적들은 무조건 닥돌하는 것이 아니라 지형을 이용해서 뒷치기를 하거나 엄폐물에 들어가 대응을 하거나 플레이어가 나올때까지 전투태세를 취하고는 경계를 한다. 무엇보다 적들은 절대로 한자리에 고정한다음 사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렇다보니 플레이어측도 슬로우 모션을 믿고 닥돌하는 것보다는 지형을 파악하면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시 발매된 FPS게임에 흔치 않는 동양적인 호러 연출과 반전감있는 뛰어난 스토리텔링, 분위기 있는 OST와 정교하게 짜인 적들의 A.I등으로 엄청난 호평을 받으며 2005년 VGX 어워드 올해의 게임, 베스트 PC게임, 베스트 그래픽을 수상했으며 이 게임의 크리에이터인 크레이그 K. 하버드는 올해의 디자이너 상을 받았다. 덩달아 2006년에는 새틀라이트상 최우수 어드벤쳐/액션 게임상을 받기도 했으며 100만장 이상을 팔았다.


IGN 총 평점은 '''9.2'''로 시리즈중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인공지능도 적마다 달라서 복제병사들의 A.I는 좋은 반면 아마캠 경비병들의 A.I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며 가끔 부대의 리더가 부하들에게 명령을 내리는데 이 부하가 수행할 수 없다며 거절하는 재미있는 상황도 나온다.


한때 이 피어의 인기를 업고 한국의 [[인트라 게임즈]]에서는 피어 시리즈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온라인 게임]]인 「콜드 컨플릭트」가 만들어질 예정이였지만 무산되었다.
모노리스는 인공지능에 대한 노하우를 밝혔다. 피어의 인공지능은 캐릭터가 수행하려고 하는 일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옵션들을 가지고 있는데 거기에서 상황을 판단한 다음 여러 가지 질문을 통해 제일 효율적인 것을 뽑아 행동하는 식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밝혔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적들은 만일 플레이어를 발견한다면 공격을 하는데 이때 플레이어가 사라지거나 엄폐물을 통해 숨게 되면 거기에서 뭘 해야 하는지 질문을 다음 제일 효율적인 것을 선택해(엄폐물에 숨었으니 수류탄을 던진다, 시야에서 사라졌으니 해당 지역을 수색한다. 나타나면 사격한다.) 행동에 옮기는 것이다.


= 스토리 =
그리고 이 적들의 인공지능을 제어하기 위해 리더격인 캐릭터를 넣었는데 이 리더가 명령을 내리는 것도 단순 장식용 대사가 아니라 시스템, 프로그래밍적으로 부하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것이라고 한다. 당연히 상단에 언급된 효율적인 것을 선택하게끔 만들어졌다보니 비효율적인 명령이 나오면 불복종을 하고 수행을 안하려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대개 선두에 나선 동료가 플레이어에게 죽었거나 함정이 깔렸거나 좁은 길이나 위험한 길에 가라고 하면 움직이지 않거나 거절한 뒤 다른 방법을 찾게 된다.)<ref>출처 : [http://www.sexydino.com/tag/F.E.A.R.?page=3#entry_263 모노리스의 F.E.A.R.의 A.I 설명] 작성자 : sexydino 2006년 3월 25일 원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이 모노리스 관계자는 인공지능의 원리에 대해 비유할때 「현재 알마는 배가 고파서 음식을 먹어야 하는데 피자를 먹을 수도 있고 파이도 먹을 수 있다. 하지만 피자를 먹을려면 《전화기를 찾고 전화를 건다》만 하면 되지만 파이를 먹을려면 《파이 반죽을 만들고 모양을 만든 뒤 오븐에 넣고 몇 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번거로움이 있기때문에 알마는 효율적인 피자를 선택한다. 인공지능도 이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져있는 것이다.」라고 비유했다.</ref>
2002년 미국에서는 각종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대응하기 위해 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이하 F.E.A.R.이라는 명칭의 팀을 만들게 된다.  


어느 날, 군산복합체인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개발되던 [[복제병사]]들의 지휘관 양성 계획에 의해 탄생한 초능력자 지휘관인 [[팩스턴 페텔]]이 다수의 복제병사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키게 된다.  
=== 호러 연출 ===
일본관련 요소를 즐겨넣는 모노리스답게 피어의 호러 연출은 일본 [[호러 영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렇다보니 피어는 미국에서 개발한 호러 FPS 장르인데도 불구하고 인간과 괴물 구도로 적들을 쳐부수고 잔인한 연출로 공포감을 유발하는 고어 스플래터 호러를 주 중심으로 삼은 서양식 공포관이 아닌 음산한 공간에서 유령과 환각, 환청, 소름끼치는 배경 음악으로 기괴함과 오싹함을 자극해 심리적인 공포심을 유발하는 동양식 공포관의 공식을 따왔다.그렇다고 해서 잔인한 연출이 없는 건 아닌데 피어에서도 고어, 그로테스크한 연출과 오브젝트는 있다.


주인공인 [[포인트맨(F.E.A.R.)|포인트맨]]은 F.E.A.R.팀에 들어온지 얼마 안된 신입으로 팩스턴 페텔이 일으킨 사건을 맡게 된다.
이렇다보니 비인간형 적은 유령밖에 없으며 [[알마 웨이드|특정 귀신]]은 아예 죽일 수 없다. 피어의 대부분 호러 연출은 갑자기 이상한 공간에 갇혀서 헤매거나 대화시 노이즈가 갑자기 생기거나 어두운 곳에 혼자 있을 시 갑자기 유령이 튀어나오는 연출들이 많으며. 음산한 OST가 깔리면서 소름돋게 만들어져있다. 이렇다보니 공포에 대해서 개개인차는 있을지 몰라도 오싹한 느낌이 들게끔 잘만들어진 편.


포인트맨은 사건의 중심으로 파고들면서 교전중에 보이는 이상현상과 아마캠이 진행중이였던 한 프로젝트의 실체, 본인의 앞을 가로막는 [[알마 (F.E.A.R.)|붉은 원피스를 입은 수수께끼의 소녀]], 자신도 모르고 있었던 또다른 과거를 파헤치게 되는데...
또한 이 호러 연출들은 단순히 유저들의 공포심을 유발하는 것이 아닌 스토리텔링 연출중 하나인데 작중 포인트맨은 이 이상현상들을 경험하면서 진상들을 파악할 뿐만 아닌 현상들 태반이 메인 스토리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 게임 정보 ==
{{참고|F.E.A.R./게임 정보}}
 
== 게임 공략 ==
* [[F.E.A.R./체력 증폭기 위치 공략]]
* [[F.E.A.R./반사신경 증폭기 위치 공략]]
 
== 시놉시스 ==
{{참고|F.E.A.R./스토리}}
{{공포}}
{{유튜브|https://youtu.be/_taEy2EnzYo}}<br />
F.E.A.R. 오프닝
 
2002년. 미국에서는 각종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대응하기 위해 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이하 F.E.A.R.이라는 명칭의 초자연 사건 전문 특수부대를 만들게 된다.
 
2025년 어느 날, [[군산복합체]]인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개발되던 [[복제병사]]들의 지휘관 양성 계획에 의해 탄생한 극비의 초능력자 지휘관인 [[팩스톤 페텔]]이 갑자기 다수의 복제병사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키게 되며 이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들이 발생했다. 이때문에 아마캠의 CEO [[제네비브 아리스티드]]와 [[데이비드 호일|상원의원]]은 사건이 더 커지기 전 남몰래 해결하기 위해 F.E.A.R. 팀에 연락을 하게 되었다.
 
주인공인 [[포인트맨 (F.E.A.R. 시리즈)|포인트맨]]은 F.E.A.R. 팀에 들어온지 얼마 안된 신입 선두 척후병으로 팩스톤 페텔이 일으킨 사건을 맡게 되었고 F.E.A.R. 팀은 미군 특수부대 SFOD-D(델타 포스)와 같이 팩스톤 페텔의 반란 사건을 조사하게 되었다.
 
포인트맨은 페텔을 추적함과 동시에 사건의 중심으로 파고들면서 교전중에 보이는 이상현상과 [[할란 웨이드|중년의 과학자]]의 형상, 아마캠이 진행중이였던 한 프로젝트의 실체, 본인의 앞에 때때로 나타나는 [[알마 (F.E.A.R. 시리즈)|붉은 원피스를 입은 수수께끼의 소녀]]와 마주치게 되며 페텔은 그에게 알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덩달아 자신도 모르고 있었던 또다른 과거를 파헤치게 되었는데...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F.E.A.R.(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F.E.A.R.(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포인트맨(F.E.A.R.)|포인트맨]] - 주인공
**[[포인트맨 (F.E.A.R. 시리즈)|포인트맨]] - 주인공
**[[라우디 배터스]]
**[[라우디 베터스]]
**[[스펜서 잰카우스키]]
**[[스펜서 잰카우스키]]
**[[권진선]]
**[[권진선]]


*'''SPOD-D'''
*'''SPOD-D'''(델타포스)
**[[더글라스 홀리데이]]
**[[더글라스 할러데이]]
**셰퍼드.A
**셰퍼드.A


59번째 줄: 86번째 줄:
**[[찰스 해버거]]
**[[찰스 해버거]]
**[[마샬 디즐러]]
**[[마샬 디즐러]]
**[[이안 하이브]]
**[[이엔 하이브스]]
**[[빌 무디]]
**[[빌 무디]]
**[[앨더스 비숍]]
**[[앨더스 비숍]]
**[[할란 웨이드]]
**[[할란 웨이드]]
**[[앨리스 웨이드]]
**[[앨리스 웨이드]]
**[[노턴 메입스]]
**[[노튼 메이프스]]
**[[제네비브 아리스티드]]
**[[제네비브 아리스티드]]


*'''핵심인물, 복제병사 부대'''
*'''복제병사 반란 부대'''
**[[팩스턴 페텔]]
**[[팩스톤 페텔]]
**[[알마(F.E.A.R.)|알마]]
**[[알마 (F.E.A.R. 시리즈)|붉은 옷을 입은 수수께끼의 소녀]]


*'''적'''
*'''적'''
**[[복제병사]]
**[[복제병사]]
**[[ATC 사병]]
**[[ATC 사병]]
**[[유령(F.E.A.R.)|유령]]
**[[유령 (F.E.A.R. 시리즈)|유령]]
 
= 게임 특징 =
== 게임 플레이 ==
키는 FPS 게임들의 특징인 WSAD로 조작하고 Shift키는 조준, C키는 앉기, 스페이스 바는 점프, G키는 수류탄 투척, 숫자키는 무기및 수류탄 바꾸기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마우스 좌클릭은 사격, 우클릭은 근접공격이다.
 
그리고 피어만의 특징인데 바로 Ctrl키를 누르면 「슬로우 모션」에 들어갈 수 있다. 이 슬로우 모션은 전투에서 매우 유용한 시스템인데 단순히 적들이 느려지는 것이 아니라 느려지는 만큼 적들의 사격명중도도 떨어져서 피하기가 쉬워지고 대미지도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적과의 교전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파트의 아마캠 감시용 터렛의 공격을 받을 시 슬로우 모션을 이용해서 빠져나갈 수도 있다. 이어서 높은 데에 떨어질 시 슬로우 모션에 들어가면 대미지가 감소하기도 한다.
 
단 슬로우 모션은 영구가 아닌 사용시 밑의 반사신경도라는 바가 떨어지고 회복은 매우 느리기때문에 무턱대고 남발하면 안된다. 게임내 옵션에 들어가면 이 슬로우 모션 끄기라는 기능이 있는데 슬로우 모션을 사용안하고 적과 교전을 하면 매우 어렵다. 이는 피어 자체가 슬로우 모션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게임이기 때문.
 
또한 주피터 엔진 EX의 성능답게 적들의 A.I도 매우 훌륭한 수준인데 말그대로 실제로 전투를 하면 정말 군대와 싸우는 느낌이 들 정도로 정교하게 짜져있다. 엄폐물에 오래 숨어있으면 즉각 수류탄을 던지거나 전등 불빛이 켜져있으면 바로 확인하러 가거나 조금이라도 근처에 있으면 바로 발견하고 전투태세에 들어가기도 한다. 무엇보다 한번 발각되면 적들은 무조건 닥돌하는 것이 아니라 지형을 이용해서 뒷치기를 하거나 엄폐물에 들어가 대응을 한다. 이렇다보니 플레이어측도 슬로우 모션을 믿고 닥돌하는 것보다는 지형을 파악하면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호러 연출 ==
*'''미국 정부'''
피어만의 하나의 특징은 호러 연출인데 일본관련 요소를 즐겨넣는 모노리스답게 피어의 호러 연출은 일본 호러영화의 영향을 받았다. 그렇다보니 피어는 호러 FPS 장르인데도 불구하고 인간과 괴물구도로 적들을 쳐부수고 잔인한 연출로 공포감을 주는 서양식 공포관이 아닌 빛조차 없는 어두운 배경을 중심으로 초자연현상과 유령, 환각, 환청등으로 공포심을 유발하는 동양식 공포관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데이비드 호일|상원의원]]


이렇다보니 비인간형 적은 유령밖에 없으며 그로테스크한 적들은 아예 나오지도 않는다. 대부분 호러연출은 갑자기 이상한 공간에 갇혀서 헤매거나 대화시 노이즈가 갑자기 생기거나 어두운 곳에 혼자 있을 시 갑자기 유령이 튀어나오는 연출들이 많다. 심지어 이는 적과 교전시에도 동일한데 피어의 배경이 매우 어둡다보니 적들이 제대로 안보여서 상기 언급된 A.I와 결합해서 교전하면 공포감을 느낄 수 있다.
== 총 평가 ==
'''모노리스 프로덕션이 만든 2005년 FPS [[명작]]중 하나'''<br />
'''2005년 [[GOTY]](Game Of The Year) 3개 부문 수상작'''<ref>출처 : [http://gotypicks.blogspot.kr/2008/12/2005-game-of-year.html GOTY 2005년부분]</ref>


또한 이 호러연출들은 단순히 유저들의 공포심을 유발하는 것이 아닌 스토리텔링 연출중 하나인데 작중 포인트맨은 이 이상현상들을 경험하면서 진상들을 파악할 뿐만 아닌 현상들 태반이 메인 스토리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피어는 동양적인 호러 연출과 FPS 장르의 신선한 조합과 반전감있는 뛰어난 스토리텔링, 분위기 있는 OST와 정교하게 짜인 적들의 인공지능, 슬로우 모션을 활용한 재미있는 게임성 등으로 유저와 웹진에서 엄청난 호평을 받으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2005년 말을 장식한 PC판 FPS 게임의 마지막 전성기를 빛낸 게임중 하나로 2005년 VGA 어워드 「올해의 1인칭 슈팅 액션 게임」<ref>출처 : [http://www.spike.com/articles/qqsui5/video-game-awards-video-game-awards-2005-winners 2005년 VGA 어워드]</ref>, 게임스파이 「베스트 스토리 상」을 수상했다.<ref>출처 : [http://goty.gamespy.com/2005/pc/index22.html 게임스파이 GOTY  2005년 부분]현재 링크는 날라갔으니 주의바람.</ref> 이외에 게임스팟(GameSpot) 선정 「최고의 그래픽」, 「최고의 인공지능」, 「최고의 슈터」, 「최고의 PC게임」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ref>출처 : [http://www.gamespot.com/articles/gamespots-best-and-worst-of-2005-awards-kick-off/1100-6141367/ 게임스팟 2005년 게임 어워드]</ref>


= 등장 아이템 =
IGN 총 평점은 '''9.2'''에<ref>출처 : [http://www.ign.com/games/fear/pc-681912 IGN 피어 평점]</ref> 게임스팟 점수는 '''9.1'''로 시리즈중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다.<ref>출처 : [http://www.gamespot.com/f-e-a-r/ 게임스팟 F.E.A.R. 페이지]</ref> 게임 평론 사이트인 [[메타크리틱]]의 총 메타스코어는 88점에 유저 점수는 총 8.2로 역시 높은 편이다.<ref>출처 : [http://www.metacritic.com/game/pc/fear 메타크리틱 F.E.A.R. 점수]</ref> 스팀 총 평점은 8.8에 사용자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다.
== 등장 화기류 ==
작중 등장하는 화기는 오리지널 피어 중심으로 이름명은 비공식 한글패치 기준으로 서술합니다. 확장팩에 추가된 무기들은 확장팩 항목에 서술해주세요.


=== 실탄 화기 ===
게임상 소소한 단점으로는 피어는 게임 구조상 호러 파트와 액션 파트가 나뉘어있다보니 액션 파트에서는 피어 특유의 공포감을 느낄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일부 호러 연출은 지나치기 쉬운 구간에 있어가지고 맵을 돌아다니며 찾아보지 않는 이상 놓치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맵이 매우 복잡하게 짜져있고 증폭기들도 어두운 구간이나 안갈만한 구간에 있어서 길치일경우에는 길을 잃어버리거나 아이템을 놓치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다.
*'''AT-14 권총'''
*'''RPL 기관단총'''
*'''G2A2 돌격소총'''
*'''VK-12 산탄총'''
*'''10mm HV압자 관통화기'''
*'''ASP 저격소총'''
=== 폭발 화기 ===
*'''MP-50 연발 캐논'''
*'''MOD3 멀티 로켓 런쳐'''


=== 하이테크 화기 ===
또한 피어가 호러 FPS 게임이라는 이유로 일부에서는 호러 요소를 기대하다가 실망하는 경우도 있는데 정확히 피어는 FPS 요소를 차용한 호러 게임이 아닌 일본식 호러 연출을 차용한 FPS 게임이라 호러 연출들은  귀신이 갑툭튀하거나 음산한 공간 속에서 소름돋게 만드는 연출들이 중심이고 어디까지나 뛰어난 인공지능을 가진 적들을 상대하는 액션 게임이다. 즉 플레이어의 생존을 위협하는 [[코스믹 호러]]류나 [[암네시아 시리즈]]나 [[아웃라스트 시리즈]], [[사일런트 힐 시리즈]]처럼 서바이벌 호러에 맞추어진 게임이 아니다.
*'''Type 7 입자 화기'''


=== 투척 무기류 ===
== 기타 ==
*'''N6A3 전방 수류탄'''
=== 타 버전 이식 ===
*'''AT-S 근접 지뢰'''
인기를 증명하듯 오리지널 피어는 골드 에디션, 플래티넘 에디션, 감독판등 여러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고 워너 브라더스 유통하에 「F.E.A.R. files」이라는 본편과 확장팩 두개를 합친 [[합본팩]]이 나오기도 했다. 스팀에서는 F.E.A.R. Ultimate Shooter Edition이라는 이름으로 가격은 9.99달러에 내용물은 F.E.A.R. files과 동일하다. F.E.A.R. 감독판은 알마와 그린 박사의 면담을 담은 실사 영상과 개발영상 인터뷰, 소스를 이용해 만든 개그만담 단편 CG영화 P.A.N.I.C.S.가 수록되어있다.
*'''M77 원격 폭탄'''


=== 고정 화기류 ===
2006년, 2007년에는 Day 1 스튜디오에서 피어의 PS3판과 XBOX 360판의 콘솔 이식을 맡았는데 이 회사는 후일 2011년에 [[F.E.A.R. 3]]의 개발을 맡게 되었다. 콘솔 이식판들의 그래픽은 PC판보다 좋아졌지만 게임 내용은 그대로로 도전과제와 트로피, 일부 추가 총기들을 빼면 추가된 요소는 없으며 평가도 PC판보다 좋지 않은데 특히나 PS3판 평가는 XBOX 360판보다 낮은 편이다.
*'''ATC 방어용 터렛'''


== 기타 아이템 ==
=== 해외 정발 및 한글패치 ===
*'''구급상자'''
[[일본]]에는 2005년 12월달에 라이브 도어 게임즈를 통해 현지화 더빙 및 일본어 자막으로 PC판이 발매되었고 콘솔포딩판도 발매될 예정이였으나 취소되었다. 아이러니하게 피어는 일본풍 호러를 대놓고 차용한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인기는 그리 좋지 않았는데 일본은 PC 게임시장의 규모가 작은데다가 FPS의 불모지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게임 장르의 인기가 없었기 때문.
한번에 10개정도를 들고 다닐 수 있으며 사용시 체력을 약 50정도로 회복한다. 보통난이도 이상에서는 매우 쓸모있는 아이템으로 낭비하면 곤란하다. 후속작 피어 2에서는 최소 3개정도로 줄었다.


*'''방탄복'''
한국에는 피어의 인지도가 매우 낮았기에 정발이 되지 않았지만 영문게임 전문 한글패치 팀 「이름미상」이 만든 비공식 유저 [[한글패치]]가 존재한다.[http://steambox.tistory.com/374 STEAM BOX 피어 한글모드 파일]<ref>원래는 2006년 당시 이름미상이 60프레임 커뮤니티와 국내 피어 팬사이트에 한글패치를 setup.exe 형식으로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치하는 파일을 만들어 배포했지만 이 사이트들이 사라지고 한글패치 파일도 묻히게 되어 스팀으로 피어를 구매한 유저들이 한글 자막으로 피어를 못하게 되자 파일을 가지고 있는 블로거가 따로 한글화 파일을 추출해서 배포하게 된 것이다.</ref> 오히려 피어는 한국에서 인기가 더 있었는데 2000년대 한국은 당시 FPS 장르의 인기가 절정이던 시기였고 [[권진선]]의 존재때문에 더 관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인기덕에 국내 피어 팬사이트가 생기고 피어 2와 피어 3는 국내 정식발매가 되기도 했으며 한때 한국의 [[인트라 게임즈]]에서 터치다운 스튜디오와 제휴를 맺고 피어 시리즈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게임]]인 《콜드 컨플릭트》가 만들어질 예정이였지만 소리소문없이 무산되었다.
일반 방탄복은 하나에 25정도를 채워 주지만 2개밖에 안주는 특정 방탄복은 100이나 채워준다. 피격시 대미지를 줄여주는 용도로 없으면 매우 곤란하다.


*'''체력 증폭기'''
=== 영상 ===
파란색의 주사기 형태 아이템으로 사용시 체력을 5정도로 영구적으로 증가시켜준다. 챕터마다 맵곳곳에 놓여져 있으며 다 모을시 최고 약 200(199)정도로 올릴 수 있다. 후속작 피어 2에서는 삭제되었다.
{{유튜브|https://youtu.be/ylyf9dfp2-c}}<br />
트레일러 영상


*'''반사신경 증폭기'''
{{유튜브|https://youtu.be/rgaIpGXBVmc}}<br />
초록색의 주사기 형태로 반사신경능력(슬로우 모션)을 0.5초 정도로 영구적으로 늘려준다. 역시 맵곳곳에 놓여져있으므로 보이는 즉시 얻는 것이 제일 좋다.
2004년 E3때 공개된 데모 영상 01


= 기타 =
{{유튜브|https://youtu.be/xo7tE2-OLZA}}<br />
*프로토타입 개발영상에 따르면 원래는 적들의 A.I를 개별로 짜서 더더욱 어렵게 할려고 했었는데 예를 들어서 적한명이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동료들에게 알린다던가 동료역시 플레이어를 발견하기 위해서 이동한다던가 이런 식으로 더더욱 현실감있게 만들려고 했던 것 같지만 당시 개발 노하우 부족및 여러가지 사정으로 갈아엎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 E3때 공개된 데모 영상 02


*권진선은 설정상 기술장교인데도 불구하고 저격수용 장갑을 끼고 있는데 원래 피어 프로토타입에서는 동료NPC간 협력 플레이가 있었기때문. 하지만 피어의 원래 컨셉인 "어둠속에서 혼자 헤쳐나간다." 의 의도에 맞게 개발하기 위해서 동료NPC의 협력 플레이를 삭제해버렸고 권진선은 저격수에서 기술장교로 변경되었으며 더글라스 홀리데이도 많이 등장하지 않는다.
=== 숨겨진 요소 ===
* 인터벌 1 초반 폐건물에서 두갈래로 갈린 복도가 나오는데 오른쪽에 있는 하나는 책상에 막혀서 갈 수가 없다. 하지만 계속 열려고 시도하면 갑자기 들어감과 동시에 [[알마 (F.E.A.R. 시리즈)|붉은 원피스를 입은 소녀]]가 갑자기 나타나더니 사라진다. 그 이후 왼쪽의 계단으로 올라가 문을 열면 하얀 임팩트가 나타나더니 "아빠 싫어!(I hate you! Daddy!)" 라는 울부짖는 어린 소녀의 목소리가 들려오면서 다시 원래대로 돌아간다.
* 인터벌 6 《안녕 머저리》 챕터에서 [[노튼 메이프스]]는 포인트맨과 [[피어 팀]]을 속일때 "안녕히들계십쇼. 머저리들!" 하고 비꼬면서 도망가는데 이때 "사요나라(さよなら)" 라고 [[일본어]]로 말한다.
* 인터벌 9 후반부의 어느 방에 들어가면 피어하고는 분위기가 생판 다른 경쾌한 일본 애니메이션 풍의 BGM이 흘러나오는데 이 BGM은 모노리스가 초창기때 만든 [[FPS 게임]]인 [[쇼고: 모빌아머 디비전]](한국 정발명 : 쇼고: 이동전투단)오프닝곡이다. <ref>[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C-j94S-br9E 쇼고: 모빌아머 디비전 OP Negai(소원) 듣기]</ref>


*피어의 메인 악역인 팩스턴 페텔은 원래는 그냥 실험체였고 지휘관 군인이라는 설정의 콘라드 크릭이라는 악역이 더 있었다. 하지만 설정을 바꾸고 재정립하면서 콘라드의 복장과 포지션은 페텔에게 흡수되었다. 차이라면 콘라드는 대머리였다.
=== 트리비아 ===
* 프로토타입 개발영상에 따르면 원래는 적들의 A.I를 개별로 짜서 더더욱 어려우면서도 현실성 있게 만드려고 했었는데, 예를 들어서 지금은 적 한명이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주변 동료들이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위치를 감지하지만, 개발 당시에는 한명이 발견해도 주변 동료들이 인지만 할 뿐 세부위치는 몰라 최초 발견자가 동료들에게 플레이어의 위치를 공유한다던가, 심지어 AI에게도 탄약 제한이 있어 탄약이 다 된 A.I가 우군 A.I에게 탄을 받아 쓰는 등 이런 식으로 더더욱 현실감있게 만들려고 했던 것 같지만 당시 개발 노하우 부족및 여러 가지 사정으로 갈아엎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권진선은 설정상 기술 장교인데도 불구하고 아머복장에 저격수용 장갑을 끼고 있는데 원래 피어 프로토타입에서는 동료 NPC간 협력 플레이가 있었기 때문. 하지만 피어의 원래 컨셉인 "어둠 속에서 혼자 헤쳐나간다." 의 의도에 맞게 개발하기 위해서 동료 NPC의 협력 플레이를 삭제, 할러데이는 비중이 급감했고 권진선은 저격수에서 기술 장교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이미 권진선의 모델링은 짜여져있어 그대로 쓰다보니 그 흔적이 남은 것이다. 결국 모노리스는 이 여성 동료에 대한 미련을 못버려서 후속작에서는 [[키아라 스톡스]]를 등장시켰다.
* 피어의 확장팩으로는 상기 언급된 익스트랙션 포인트와 페르세우스 맨데이트가 존재하지만 이 확장팩들은 모노리스가 아닌 [[타임게이트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진 게임으로 비벤디가 외주를 맡긴 것이다. 그뒤 모노리스는 피어 판권을 되찾으면서 "타임게이트 스튜디오가 만든 스토리는 우리가 생각한 것과 방향이 다르다. 익포와 페맨은 다른 세계관으로 봐주길 바라는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것' 으로 우리가 구상한 스토리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피어는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고,(F.E.A.R. was about Alma) 피어 2도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런고로 스토리를 우리가 생각한 방식으로 풀고 싶었다." 라고 공식적으로 발표, 본 스토리라인에서 없는 이야기로 분류했다.<ref>출처 : [http://kotaku.com/5119011/monolith-guy-expansions-ports-sunk-fear 코타쿠 Monolith Guy: Expansions, Ports Sunk F.E.A.R.] </ref>


*피어의 확장팩으로는 상기 언급된 익스트랙션 포인트와 페르세우스 멘데이트가 존재하지만 이 확장팩들은 모노리스가 아닌 [[타임게이트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진 게임이다. 이유는 피어 시리즈 문서에도 서술되어있지만 유통사 시에라가 피어 판권을 가지고 마음대로 만든 확장팩 시리즈이기 때문이다. 결국 모노리스는 피어 판권을 되찾으면서 확장팩을 공식적으로 [[흑역사]]로 만들었다.
* 피어는 모노리스가 새로 개발한 게임 엔진 주피터EX를 활용해서 만든 게임으로 주피터EX 초회판을 구입하면 게임내에 쓰인 모델링들이 자동으로 깔려있다.
* [[2015년]] 10월 18일은 F.E.A.R.가 발매된지 10주년이 되는 해로 [[코타쿠]]등 해외 유명 게임 웹진에서는 F.E.A.R. 와 관련된 특집 기사와 리뷰들을 작성했었다. [http://kotaku.com/the-first-five-minutes-of-f-e-a-r-on-its-tenth-birthda-1737138022 The First Five Minutes Of F.E.A.R. On Its Tenth Birthday - 작성자 : Mike Fahey]


{{틀:F.E.A.R. 시리즈}}
{{각주}}
{{F.E.A.R. 시리즈}}
{{모노리스 프로덕션 게임 목록}}
[[분류:F.E.A.R. 시리즈|1]]
[[분류:모노리스 프로덕션]]
[[분류:윈도우 게임]]
[[분류:플레이스테이션 3 게임]]
[[분류:XBOX 360 게임]]
[[분류:2005년 비디오 게임]]
[[분류:스팀 게임]]

2023년 9월 10일 (일) 21:54 기준 최신판

피어
F.E.A.R.: 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FEAR DVD box art.jpg
게임 정보
배급사 미국 : 시에라 엔터테인먼트/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개발사 모노리스 프로덕션(PC)
Day 1 스튜디오(PS3, XBOX 360)
제작 크레이그 허버드
작가 크레이그 허버드
장르 호러, FPS, 액션
출시일 미국 : 2005년 10월 18일(PC)
2006년 10월 18일(PS3)
2007년 4월 27일(XBOX 360)
일본 : 2005년 12월 2일(PC)
플랫폼 Windows(패키지, 스팀), PS3, XBOX 360
모드 싱글플레이
멀티플레이
언어 영어, 일본어
엔진 주피터EX 엔진
시리즈 F.E.A.R. 시리즈
후속작 F.E.A.R. 2: Project Origin
웹사이트 모노리스 게임 소개 페이지
스팀 상점 페이지

F.E.A.R.》(First Encounter Assault Recon/피어: 최초 조우 강습 정찰대)은 미국의 게임 개발사 모노리스 프로덕션이 만든 호러 1인칭 슈팅 게임이자 프랜차이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쇼고: 모빌아머 디비전》의 핵심 개발진들과 쇼고를 포함해 노 원 리브스 포에버 시리즈 등 모노리스의 히트작들을 개발한 크레이그 허버드가 쇼고 2대신 새로 만든 FPS 게임으로 쇼고와 관련된 이스터 에그들이 존재한다. 본편 유통은 시에라 엔터테인먼트가 맡았으며 리패키지 버전들은 워너 브라더스가 배급했다. 확장팩으로는 《F.E.A.R. Extraction Point》, 《F.E.A.R. Perseus Mandate》가 있고 후속작으로는 《F.E.A.R. 2: Project Origin》, 《F.E.A.R. 3》(F.3.A.R.)가 있다.

멀티플레이는 처음에는 싱글 플레이와 합쳐진 합본이었으나 시에라 엔터테인먼트에서 이 멀티플레이만 따로 떼어놓은 무료 타이틀인 《F.E.A.R. Combat》을 내놓기도 했다.

상세[편집 | 원본 편집]

적의 인공지능[편집 | 원본 편집]

주피터 엔진 EX의 성능답게 적들의 A.I도 매우 훌륭한 수준인데 말그대로 실제로 전투를 하면 정말 군대와 싸우는 느낌이 들 정도로 정교하게 짜져있다. 피어의 레벨 디자인은 다른 게임들에 비하면 단순한 편이지만 인간과 비슷한 A.I로 단점을 커버를 했다고 보면 된다.

엄폐물에 오래 숨어 있으면 즉각 수류탄을 던지거나 전등 불빛이 켜져있으면 바로 확인하러 가거나 조금이라도 근처에 있으면 바로 발견하고 전투태세에 들어가기도 한다. 무엇보다 한번 발각되면 적들은 무조건 닥돌하는 것이 아니라 지형을 이용해서 뒷치기를 하거나 엄폐물에 들어가 대응을 하거나 플레이어가 나올때까지 전투태세를 취하고는 경계를 한다. 무엇보다 적들은 절대로 한자리에 고정한다음 사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렇다보니 플레이어측도 슬로우 모션을 믿고 닥돌하는 것보다는 지형을 파악하면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공지능도 적마다 달라서 복제병사들의 A.I는 좋은 반면 아마캠 경비병들의 A.I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며 가끔 부대의 리더가 부하들에게 명령을 내리는데 이 부하가 수행할 수 없다며 거절하는 재미있는 상황도 나온다.

모노리스는 이 인공지능에 대한 노하우를 밝혔다. 피어의 인공지능은 캐릭터가 수행하려고 하는 일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옵션들을 가지고 있는데 거기에서 상황을 판단한 다음 여러 가지 질문을 통해 제일 효율적인 것을 뽑아 행동하는 식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밝혔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적들은 만일 플레이어를 발견한다면 공격을 하는데 이때 플레이어가 사라지거나 엄폐물을 통해 숨게 되면 거기에서 뭘 해야 하는지 질문을 한 다음 제일 효율적인 것을 선택해(엄폐물에 숨었으니 수류탄을 던진다, 시야에서 사라졌으니 해당 지역을 수색한다. 나타나면 사격한다.) 행동에 옮기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적들의 인공지능을 제어하기 위해 리더격인 캐릭터를 넣었는데 이 리더가 명령을 내리는 것도 단순 장식용 대사가 아니라 시스템, 프로그래밍적으로 부하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것이라고 한다. 당연히 상단에 언급된 효율적인 것을 선택하게끔 만들어졌다보니 비효율적인 명령이 나오면 불복종을 하고 수행을 안하려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대개 선두에 나선 동료가 플레이어에게 죽었거나 함정이 깔렸거나 좁은 길이나 위험한 길에 가라고 하면 움직이지 않거나 거절한 뒤 다른 방법을 찾게 된다.)[1]

호러 연출[편집 | 원본 편집]

일본관련 요소를 즐겨넣는 모노리스답게 피어의 호러 연출은 일본 호러 영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렇다보니 피어는 미국에서 개발한 호러 FPS 장르인데도 불구하고 인간과 괴물 구도로 적들을 쳐부수고 잔인한 연출로 공포감을 유발하는 고어 스플래터 호러를 주 중심으로 삼은 서양식 공포관이 아닌 음산한 공간에서 유령과 환각, 환청, 소름끼치는 배경 음악으로 기괴함과 오싹함을 자극해 심리적인 공포심을 유발하는 동양식 공포관의 공식을 따왔다.그렇다고 해서 잔인한 연출이 없는 건 아닌데 피어에서도 고어, 그로테스크한 연출과 오브젝트는 있다.

이렇다보니 비인간형 적은 유령밖에 없으며 특정 귀신은 아예 죽일 수 없다. 피어의 대부분 호러 연출은 갑자기 이상한 공간에 갇혀서 헤매거나 대화시 노이즈가 갑자기 생기거나 어두운 곳에 혼자 있을 시 갑자기 유령이 튀어나오는 연출들이 많으며. 음산한 OST가 깔리면서 소름돋게 만들어져있다. 이렇다보니 공포에 대해서 개개인차는 있을지 몰라도 오싹한 느낌이 들게끔 잘만들어진 편.

또한 이 호러 연출들은 단순히 유저들의 공포심을 유발하는 것이 아닌 스토리텔링 연출중 하나인데 작중 포인트맨은 이 이상현상들을 경험하면서 진상들을 파악할 뿐만 아닌 현상들 태반이 메인 스토리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게임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게임 공략[편집 | 원본 편집]

시놉시스[편집 | 원본 편집]

공포스럽고 잔인한 내용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부적절한 내용(주제: 공포)을 포함하고 있어, 열람에 주의 및 보호자의 지도가 필요합니다.


F.E.A.R. 오프닝

2002년. 미국에서는 각종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대응하기 위해 First Encounter Assault Recon, 이하 F.E.A.R.이라는 명칭의 초자연 사건 전문 특수부대를 만들게 된다.

2025년 어느 날, 군산복합체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개발되던 복제병사들의 지휘관 양성 계획에 의해 탄생한 극비의 초능력자 지휘관인 팩스톤 페텔이 갑자기 다수의 복제병사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키게 되며 이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들이 발생했다. 이때문에 아마캠의 CEO 제네비브 아리스티드상원의원은 사건이 더 커지기 전 남몰래 해결하기 위해 F.E.A.R. 팀에 연락을 하게 되었다.

주인공인 포인트맨은 F.E.A.R. 팀에 들어온지 얼마 안된 신입 선두 척후병으로 팩스톤 페텔이 일으킨 사건을 맡게 되었고 F.E.A.R. 팀은 미군 특수부대 SFOD-D(델타 포스)와 같이 팩스톤 페텔의 반란 사건을 조사하게 되었다.

포인트맨은 페텔을 추적함과 동시에 사건의 중심으로 파고들면서 교전중에 보이는 이상현상과 중년의 과학자의 형상, 아마캠이 진행중이였던 한 프로젝트의 실체, 본인의 앞에 때때로 나타나는 붉은 원피스를 입은 수수께끼의 소녀와 마주치게 되며 페텔은 그에게 알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덩달아 자신도 모르고 있었던 또다른 과거를 파헤치게 되었는데...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총 평가[편집 | 원본 편집]

모노리스 프로덕션이 만든 2005년 FPS 명작중 하나
2005년 GOTY(Game Of The Year) 3개 부문 수상작[2]

피어는 동양적인 호러 연출과 FPS 장르의 신선한 조합과 반전감있는 뛰어난 스토리텔링, 분위기 있는 OST와 정교하게 짜인 적들의 인공지능, 슬로우 모션을 활용한 재미있는 게임성 등으로 유저와 웹진에서 엄청난 호평을 받으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2005년 말을 장식한 PC판 FPS 게임의 마지막 전성기를 빛낸 게임중 하나로 2005년 VGA 어워드 「올해의 1인칭 슈팅 액션 게임」[3], 게임스파이 「베스트 스토리 상」을 수상했다.[4] 이외에 게임스팟(GameSpot) 선정 「최고의 그래픽」, 「최고의 인공지능」, 「최고의 슈터」, 「최고의 PC게임」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5]

IGN 총 평점은 9.2[6] 게임스팟 점수는 9.1로 시리즈중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다.[7] 게임 평론 사이트인 메타크리틱의 총 메타스코어는 88점에 유저 점수는 총 8.2로 역시 높은 편이다.[8] 스팀 총 평점은 8.8에 사용자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다.

게임상 소소한 단점으로는 피어는 게임 구조상 호러 파트와 액션 파트가 나뉘어있다보니 액션 파트에서는 피어 특유의 공포감을 느낄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일부 호러 연출은 지나치기 쉬운 구간에 있어가지고 맵을 돌아다니며 찾아보지 않는 이상 놓치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맵이 매우 복잡하게 짜져있고 증폭기들도 어두운 구간이나 안갈만한 구간에 있어서 길치일경우에는 길을 잃어버리거나 아이템을 놓치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어가 호러 FPS 게임이라는 이유로 일부에서는 호러 요소를 기대하다가 실망하는 경우도 있는데 정확히 피어는 FPS 요소를 차용한 호러 게임이 아닌 일본식 호러 연출을 차용한 FPS 게임이라 호러 연출들은 귀신이 갑툭튀하거나 음산한 공간 속에서 소름돋게 만드는 연출들이 중심이고 어디까지나 뛰어난 인공지능을 가진 적들을 상대하는 액션 게임이다. 즉 플레이어의 생존을 위협하는 코스믹 호러류나 암네시아 시리즈아웃라스트 시리즈, 사일런트 힐 시리즈처럼 서바이벌 호러에 맞추어진 게임이 아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타 버전 이식[편집 | 원본 편집]

인기를 증명하듯 오리지널 피어는 골드 에디션, 플래티넘 에디션, 감독판등 여러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고 워너 브라더스 유통하에 「F.E.A.R. files」이라는 본편과 확장팩 두개를 합친 합본팩이 나오기도 했다. 스팀에서는 F.E.A.R. Ultimate Shooter Edition이라는 이름으로 가격은 9.99달러에 내용물은 F.E.A.R. files과 동일하다. F.E.A.R. 감독판은 알마와 그린 박사의 면담을 담은 실사 영상과 개발영상 인터뷰, 소스를 이용해 만든 개그만담 단편 CG영화 P.A.N.I.C.S.가 수록되어있다.

2006년, 2007년에는 Day 1 스튜디오에서 피어의 PS3판과 XBOX 360판의 콘솔 이식을 맡았는데 이 회사는 후일 2011년에 F.E.A.R. 3의 개발을 맡게 되었다. 콘솔 이식판들의 그래픽은 PC판보다 좋아졌지만 게임 내용은 그대로로 도전과제와 트로피, 일부 추가 총기들을 빼면 추가된 요소는 없으며 평가도 PC판보다 좋지 않은데 특히나 PS3판 평가는 XBOX 360판보다 낮은 편이다.

해외 정발 및 한글패치[편집 | 원본 편집]

일본에는 2005년 12월달에 라이브 도어 게임즈를 통해 현지화 더빙 및 일본어 자막으로 PC판이 발매되었고 콘솔포딩판도 발매될 예정이였으나 취소되었다. 아이러니하게 피어는 일본풍 호러를 대놓고 차용한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인기는 그리 좋지 않았는데 일본은 PC 게임시장의 규모가 작은데다가 FPS의 불모지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게임 장르의 인기가 없었기 때문.

한국에는 피어의 인지도가 매우 낮았기에 정발이 되지 않았지만 영문게임 전문 한글패치 팀 「이름미상」이 만든 비공식 유저 한글패치가 존재한다.STEAM BOX 피어 한글모드 파일[9] 오히려 피어는 한국에서 인기가 더 있었는데 2000년대 한국은 당시 FPS 장르의 인기가 절정이던 시기였고 권진선의 존재때문에 더 관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인기덕에 국내 피어 팬사이트가 생기고 피어 2와 피어 3는 국내 정식발매가 되기도 했으며 한때 한국의 인트라 게임즈에서 터치다운 스튜디오와 제휴를 맺고 피어 시리즈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게임인 《콜드 컨플릭트》가 만들어질 예정이였지만 소리소문없이 무산되었다.

영상[편집 | 원본 편집]


트레일러 영상


2004년 E3때 공개된 데모 영상 01


2004년 E3때 공개된 데모 영상 02

숨겨진 요소[편집 | 원본 편집]

  • 인터벌 1 초반 폐건물에서 두갈래로 갈린 복도가 나오는데 오른쪽에 있는 하나는 책상에 막혀서 갈 수가 없다. 하지만 계속 열려고 시도하면 갑자기 들어감과 동시에 붉은 원피스를 입은 소녀가 갑자기 나타나더니 사라진다. 그 이후 왼쪽의 계단으로 올라가 문을 열면 하얀 임팩트가 나타나더니 "아빠 싫어!(I hate you! Daddy!)" 라는 울부짖는 어린 소녀의 목소리가 들려오면서 다시 원래대로 돌아간다.
  • 인터벌 6 《안녕 머저리》 챕터에서 노튼 메이프스는 포인트맨과 피어 팀을 속일때 "안녕히들계십쇼. 머저리들!" 하고 비꼬면서 도망가는데 이때 "사요나라(さよなら)" 라고 일본어로 말한다.
  • 인터벌 9 후반부의 어느 방에 들어가면 피어하고는 분위기가 생판 다른 경쾌한 일본 애니메이션 풍의 BGM이 흘러나오는데 이 BGM은 모노리스가 초창기때 만든 FPS 게임쇼고: 모빌아머 디비전(한국 정발명 : 쇼고: 이동전투단)의 오프닝곡이다. [10]

트리비아[편집 | 원본 편집]

  • 프로토타입 개발영상에 따르면 원래는 적들의 A.I를 개별로 짜서 더더욱 어려우면서도 현실성 있게 만드려고 했었는데, 예를 들어서 지금은 적 한명이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주변 동료들이 자동으로 플레이어의 위치를 감지하지만, 개발 당시에는 한명이 발견해도 주변 동료들이 인지만 할 뿐 세부위치는 몰라 최초 발견자가 동료들에게 플레이어의 위치를 공유한다던가, 심지어 AI에게도 탄약 제한이 있어 탄약이 다 된 A.I가 우군 A.I에게 탄을 받아 쓰는 등 이런 식으로 더더욱 현실감있게 만들려고 했던 것 같지만 당시 개발 노하우 부족및 여러 가지 사정으로 갈아엎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권진선은 설정상 기술 장교인데도 불구하고 아머복장에 저격수용 장갑을 끼고 있는데 원래 피어 프로토타입에서는 동료 NPC간 협력 플레이가 있었기 때문. 하지만 피어의 원래 컨셉인 "어둠 속에서 혼자 헤쳐나간다." 의 의도에 맞게 개발하기 위해서 동료 NPC의 협력 플레이를 삭제, 할러데이는 비중이 급감했고 권진선은 저격수에서 기술 장교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이미 권진선의 모델링은 다 짜여져있어 그대로 쓰다보니 그 흔적이 남은 것이다. 결국 모노리스는 이 여성 동료에 대한 미련을 못버려서 후속작에서는 키아라 스톡스를 등장시켰다.
  • 피어의 확장팩으로는 상기 언급된 익스트랙션 포인트와 페르세우스 맨데이트가 존재하지만 이 확장팩들은 모노리스가 아닌 타임게이트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진 게임으로 비벤디가 외주를 맡긴 것이다. 그뒤 모노리스는 피어 판권을 되찾으면서 "타임게이트 스튜디오가 만든 스토리는 우리가 생각한 것과 방향이 다르다. 익포와 페맨은 다른 세계관으로 봐주길 바라는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것' 으로 우리가 구상한 스토리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피어는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고,(F.E.A.R. was about Alma) 피어 2도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런고로 스토리를 우리가 생각한 방식으로 풀고 싶었다." 라고 공식적으로 발표, 본 스토리라인에서 없는 이야기로 분류했다.[11]

각주

  1. 출처 : 모노리스의 F.E.A.R.의 A.I 설명 작성자 : sexydino 2006년 3월 25일 원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이 모노리스 관계자는 인공지능의 원리에 대해 비유할때 「현재 알마는 배가 고파서 음식을 먹어야 하는데 피자를 먹을 수도 있고 파이도 먹을 수 있다. 하지만 피자를 먹을려면 《전화기를 찾고 전화를 건다》만 하면 되지만 파이를 먹을려면 《파이 반죽을 만들고 모양을 만든 뒤 오븐에 넣고 몇 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번거로움이 있기때문에 알마는 효율적인 피자를 선택한다. 인공지능도 이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져있는 것이다.」라고 비유했다.
  2. 출처 : GOTY 2005년부분
  3. 출처 : 2005년 VGA 어워드
  4. 출처 : 게임스파이 GOTY 2005년 부분현재 링크는 날라갔으니 주의바람.
  5. 출처 : 게임스팟 2005년 게임 어워드
  6. 출처 : IGN 피어 평점
  7. 출처 : 게임스팟 F.E.A.R. 페이지
  8. 출처 : 메타크리틱 F.E.A.R. 점수
  9. 원래는 2006년 당시 이름미상이 60프레임 커뮤니티와 국내 피어 팬사이트에 한글패치를 setup.exe 형식으로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치하는 파일을 만들어 배포했지만 이 사이트들이 사라지고 한글패치 파일도 묻히게 되어 스팀으로 피어를 구매한 유저들이 한글 자막으로 피어를 못하게 되자 파일을 가지고 있는 블로거가 따로 한글화 파일을 추출해서 배포하게 된 것이다.
  10. 쇼고: 모빌아머 디비전 OP Negai(소원) 듣기
  11. 출처 : 코타쿠 Monolith Guy: Expansions, Ports Sunk F.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