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차량사업소

Misa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5월 26일 (화) 20:17 판 (내용업데이트)
{{{건물이름}}}
건축물 정보

개요

서울교통공사 소속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차량사업소이다. 수서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나 자하에 위치한 수서역과 차량사업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조는 아니다. 이곳에서는 주박과 일상정비를 수행한다.

배속차량

2024년 현재 남아있는 3호선 미개조 쵸퍼 차량들은 모두 이 기지에 소속되어 있다.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차량이 크로스다이아로 입고하는 경우도 당연히 있으며, 반대의 경우 이 기지에는 중검수고가 없어 여기에 소속된 차량이 중검수를 받을 때는 크로스다이아로 지축차량사업소에 입고하여 중검수를 받고 복귀한다. SRT의 시종착역인 수서역이 인근에 있지만 고속열차가 이곳에서 검수를 받을 일은 없다.[1]

입출고 정보

이 곳의 입/출고 다이아는 SG/SF 58XX번과 SG/SF59XX번이며, 입고 열차의 경우 짝수 열번대를, 출고 열차의 경우에는 홀수 열번대를 사용한다. 평일 기준 출고 다이아는 SF5803~5813, SF5851~5853번과 SF5901~5943번이며, 입고 다이아는 SG5802~5804, SG5902~5952, SG5960~5964번이다. 타 노선과는 다르게 입출고 다이아의 배열이 좀 불규칙한 편.

이 기지와 연결되는 입출고선은 수서역가락시장역 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 기지로 입고되는 차량은 수서역에서 영업을 마치고 인입선을 경유하여 수서기지로 바로 입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출고 열차의 경우 오금역 방면은 오금역으로, 대화역 방면은 도곡역이나 수서역으로 공차회송하고 해당 역에서부터 목적지까지 운행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이야깃거리

  • 3호선이 오금역까지 연장되기 이전에는 지축차량사업소와 함께 기지의 인입선이 종착역 쪽이 아닌 노선 중간에 위치하는 차량사업소였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경우처럼 노선의 중간에서 분기하여 차량기지로 이동하는 것과 동일하다.
  • 과거 분당선왕십리역까지 연장되기 이전에는 수서기지 구내에 분당선 인입선이 존재했었다. 초창기 분당선 차량들은 경부선 금정역과천선 진입 → 충무로역 연결선 경유 3호선 진입 → 수서차량기지 → 분당선 진입이라는 다소 복잡한 경로를 거쳐 반입되었다. 분당선이 왕십리역까지 연장된 이후로는 갑종회송된 신차가 용산역 삼각선을 타고 경원선 구간으로 진입하여 왕십리역까지 곧바로 진입할 수 있고, 수서평택고속선 건설을 위해 걸리적 거리던 장애물로 전락하였으므로 고속선 건설과 함께 철거되었다.

각주

  1. 애초에 수서평택고속선서울 지하철 3호선이 연결되지도 않았을 뿐더러, 전동차 기지에서 고속열차 검수를 진행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SRT 고속열차는 광주송정역 인근 호남철도차량정비단에서 검수를 받는다.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1호선
구로
군자
병점
시흥
이문
2호선
군자
신정
3호선
지축
수서
4호선
창동
시흥
지축
5호선
고덕
방화
6호선
신내
도봉
7호선
도봉
천왕
8호선
모란
고덕
9호선
김포
수인·분당선
시흥
분당
신분당선
광교
경의·중앙선
문산
용문
경춘선
평내
경강선
분당
부발
인천 1호선
귤현
인천 2호선
운연
공항철도
용유
의정부경전철
의정부
용인에버라인
용인
서해선
시흥
우이신설선
우이
김포골드라인
김포한강
중정비 / 타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