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독충: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스타크래프트)" 문자열을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자열로)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_([^]]*)\]\] +\1 \2))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aneling
{{스타크래프트 2 저그 유닛}}
==개요==
 
[[스타크래프트 2]]에 등장하는 지상 자폭 유닛이다.
[[파일:Baneling SC2 Art2.jpg]]
 
== 소개 ==
http://kr.battle.net/sc2/ko/game/unit/baneling : 스타 2 공식 홈페이지 설명
 
Baneling
 
[[스타크래프트 2]]부터 등장하는 [[저그]] 유닛.
 
== 설정 ==
종족 전쟁이 끝난 뒤 저그의 [[여왕 (스타크래프트)|여왕]]들은 적절한 시기에 쓰일 화력을 담을 수 있는 저그 개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테란]]들이 맹독충을 처음 접했을 때 [[저글링 (스타크래프트)|저글링]]이 변화한 모습이라고 생각하기보단 새로운 저그 개체가 나타났다고 생각했다. 현재 맹독충은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로 올라와 있으며 과학자들은 맹독충 몸속의 폭발 물질을 일찌감치 터뜨릴 화학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소설 <산산이 부서진>따르면 저글링들이 스스로 산성 곰팡이를 자신의 유전자 정보 속에 집어넣었으며 저글링의 진화를 위해 연구 임무를 맡은 군락이 스스로를 곤경에 몰아 넣으면서 발생했다는데 커다란 위협이 닥쳐왔을 때 종 차원의 무의식적 방어 기제로서 발현하는 돌연변이를 유발하기 위함이었다는 설정.
 
[[테란 자치령]]은 이 과정을 민간인들과 자신들의 부대를 실험체로 삼아 가만히 관찰하고 있었다.
 
http://kr.battle.net/sc2/ko/game/lore/short-stories/broken-wide/1 : 소설 <산산이 부서진>
 
작중에선 온전히 맹독충 한 마리가 터진 것도 아니고 소설 속 인물이 숨겨서 가지고 들어올 정도의 소량의 맹독충의 체내에 있던 화학 물질만 있었는데도 '''[[전투순양함]]이 고철이 되어 있다!'''
그에 맞게 본체의 폭발력은 상상을 초월하는데 단편 소설에서 [[대군주 (스타크래프트)|대군주]]가 맹독충 한 마리를 투하하자 맹독충이 터지면서 '''고층빌딩 하나를 날려버렸다!'''
아무리 그 장소가 개박살난 지 4년이나 지난 [[타소니스]]라 위태위태했다곤 해도 엄청난 위력인데 끝에 가선 분명 신소재 강철로 만들어진 견고한 구 [[테란 연합]]의 [[유령 사관학교]]가 '''맹독충 몇 마리에 고철로 변해 있다.''''
 
공허의 유산 오프닝 시네마틱에도 등장하는데 갑자기 잠복 해제하고 튀어나와 소환 중인 수정탑을 향해 굴러간다.
 
그때 광전사가 튀어나와 맹독충을 썰어버리는데 광전사가 단 2방 맞고 리타이어 한다.
 
1마리는 측면에서 썰려 피해가 없었고, 2번째는 방어막으로 받아냈고, 3번째는 그냥 정면에서 썰렸으며 그대로 광전사는 역소환행.
 
저글링의 광학 구조가 꽤 정교한 반면 맹독충은 기초적인 음파 탐지 시스템으로 주위의 환경을 인식하며 흡수한 산성 곰팡이의 영향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 상세 ==
== 성능 ==
{{스타크래프트 2 저그 유닛}}
[[파일:Zerg Baneling.png]]
 
[[파일:Baneling Portrait.png]]
 
광물 : 25 가스 : 25
생산 시간 : 20초
보급량 : -0.5
변태 유닛 : [[저글링 (스타크래프트)|저글링]]
단축키 : E
요구사항 : [[맹독충 둥지]]
체력 : 30(원심 고리 : 35)
속성 : 생체
이동 속도 : 2.5(원심 고리 : 2.95)
점막 위 이동 속도 : 3.25(원심 고리 : 3.84)
장갑 : 0(+1)
시야 : 8
수송 공간 : 2
 
<공격 무기>
순간 폭발
공격력 : 20(+2)
경장갑 상대 : 35(+4)
사거리 : 근접
공격 속도 : 0.83
공격 대상 : 지상(범위 공격)
 
<능력>
● 잠복
땅 속으로 몸을 숨깁니다.
 
적은 탐지기가 있어야 잠복한 유닛을 볼 수 있으며
잠복 상태에서는 이동 및 공격이랑 다른 능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폭발
맹독충이 제자리에서 폭발하여 주위에 있는 지상의
적 유닛이나 구조물에 피해를 주며 잠복 상태에서도
시전할 수 있습니다.
 
● 구조물 공격
맹독충이 자동으로 구조물을 공격하도록 허용합니다.
 
맹독충은 구조물에 80만큼의 피해를 줍니다.
 
<업그레이드>
● 원심 고리
광물 : 150 가스 : 150 연구 시간 : 110초
맹독충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최대 체력이 추가로
5만큼 증가합니다.


{{저그 유닛 정보
연구 구조물 : [[맹독충 둥지]]  
| box-width  = 300px
| 이름      = 맹독충
| 그림        =
| 그림 설명  =
<!-- 기본 정보 -->
| 영어명    = Baneling
| 종족    = [[저그]]
| 역할    = 자폭 돌격대
| 무장    = 순간 폭발
| 장갑    = 저그 갑각
<!-- 유닛 정보 -->
| 크기        =
| 수송공간      = 2
| 시야        = 8
| 이동속도    = 2.5 / 2.95<ref>원심 고리 업그레이드 이후</ref><ref>게임 속도 보통 기준</ref>
| 형태      = 생체 유닛
<!-- 방어 능력 -->
| HP    = 30 / 35<ref>원심 고리 업그레이드 이후</ref>
| 에너지      = 0
| 아머      = 0<ref>업그레이드당 +1. 풀업 시 3</ref>
| 아머 타입    = 없음
<!-- 공격 능력 -->
| 대지 공격력      = 유닛 : 20<ref>업그레이드 단계별 2씩 증가. 풀업 시 26</ref>, 스플래쉬 대미지<ref>반경 2.2에 대미지 100% 타격. 피아 구분이 있다.</ref><br>건물 : 80<ref>업그레이드 단계별 5씩 증가. 풀업 시 95</ref>, 스플래쉬 대미지<ref>위와 동일</ref>
| 대지 공격타입      =
| 대지 연사력      = 1회
| 대지 사거리      = 1
| 대공 공격력      = -
| 대공 공격타입      =
| 대공 연사력      =
| 대공 사거리      =
| 추가 대미지    = vs 경장갑 +15<ref>업그레이드 단계별 2씩 증가. 풀업 시 경장갑 상대로 +21(총 대미지 47)</ref>
<!-- 생산 정보 -->
| 생산 건물    = [[저글링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
| 요구 건물    = [[맹독충 둥지]]
| 미네랄    = 25<ref>모체인 저글링 1기의 가격과 합산시 미네랄 50 소모</ref>
| 가스    = 25
| 보급품    = 0.5<ref>모체인 저글링 1기의 보급품 소모를 따름</ref>
| 생산시간    = 20
| 단축키    = E
<!-- 스킬 -->
| 기본 스킬    = 폭발<ref>수동 시전. 잠복 중에도 폭발 가능</ref><br>구조물 공격<ref>구조물 공격 명령 이전엔 유닛이 공격 우선 순위. 공격 명령 지정 후엔 유닛과 구조물을 동시에 공격</ref>
| 부가 스킬    = 잠복
}}


=== 특징 ===
[[맹독충 둥지]]를 건설한 이후 [[저글링 (스타크래프트)|저글링]] 1기를 선택해 맹독충으로 변이를 시킬 수 있다. [[브루드워|전작]]의 [[감염된 테란]]의 역할을 계승한 유닛. 전작의 유닛은 일종의 장식용 혹은 관광용 유닛에 불과했으나<ref>전작의 감염된 테란은 생산을 위해 [[여왕 (스타크래프트)|여왕]]을 생산해야 하며 [[테란]]의 [[사령부 (스타크래프트)|커맨드센터]]가 반드시 요구되어 생산 조건 자체가 까다롭다. 또한 힘들게 생산조건을 맞춘다 하더라도 실전에서 효율성은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ref> 맹독충은 훨씬 실전에서 유용한 유닛으로 취급된다.
[[맹독충 둥지]]를 건설한 이후 [[저글링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 1기를 선택해 맹독충으로 변이를 시킬 수 있다. [[브루드워|전작]]의 [[감염된 테란]]의 역할을 계승한 유닛. 전작의 유닛은 일종의 장식용 혹은 관광용 유닛에 불과했으나<ref>전작의 감염된 테란은 생산을 위해 [[여왕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여왕]]을 생산해야 하며 [[테란]]의 [[사령부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맨드센터]]가 반드시 요구되어 생산 조건 자체가 까다롭다. 또한 힘들게 생산조건을 맞춘다 하더라도 실전에서 효율성은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ref> 맹독충은 훨씬 실전에서 유용한 유닛으로 취급된다.


일단 전작의 감염된 테란이 500이라는 굉장한 수치의 공격력을 자랑하지만 스플래쉬 대미지가 피아 구분없이 들어가는 관계로 사용하기 꺼려지던 단점을 보완해 자폭시 아군 유닛은 전혀 피해를 입지 않는다. 또한 경장갑 상대로 추가 대미지를 입히며, 건물 상대로는 '''방어력을 무시하는''' 고정 대미지를 선사한다. 맹독충의 등장은 [[테란]]이 즐겨 사용하던 입구막기 전술이 스2에서 사장된 이유가 되었다.  
일단 전작의 감염된 테란이 500이라는 굉장한 수치의 공격력을 자랑하지만 스플래쉬 대미지가 피아 구분없이 들어가는 관계로 사용하기 꺼려지던 단점을 보완해 자폭시 아군 유닛은 전혀 피해를 입지 않는다. 또한 경장갑 상대로 추가 대미지를 입히며, 건물 상대로는 '''방어력을 무시하는''' 고정 대미지를 선사한다. 맹독충의 등장은 [[테란]]이 즐겨 사용하던 입구막기 전술이 스2에서 사장된 이유가 되었다.


맹독충은 모체인 저글링을 변이시키는 관계로 보급품 소모가 1기에 0.5 수준이며, 이는 맹독충 2기가 해병 1기와 같은 보급품을 소모한다. 즉 보급품 소모 대비 머릿수는 많아 실전에서는 저글링과 맹독충이 바글바글한 광경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다만 가스 소모가 은근히 높은 편이라 대량 생산시 특히 베스핀 가스 소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유닛 1기의 생명력은 30으로 저글링만큼 허약하니 운용시 주의를 요한다.
맹독충은 모체인 저글링을 변이시키는 관계로 보급품 소모가 1기에 0.5 수준이며, 이는 맹독충 2기가 해병 1기와 같은 보급품을 소모한다. 즉 보급품 소모 대비 머릿수는 많아 실전에서는 저글링과 맹독충이 바글바글한 광경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다만 가스 소모가 은근히 높은 편이라 대량 생산시 특히 베스핀 가스 소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유닛 1기의 생명력은 30으로 저글링만큼 허약하니 운용시 주의를 요한다.


대미지 방식이 경장갑 추댐이지만 실상 뭉쳐있는 상태라면 중장갑 유닛들도 맹독충의 자폭 러쉬에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전작에서 뭉쳐있는 [[뮤탈리스크]]가 소형 유닛임에도 폭발형 스플래쉬 대미지르 가하는 [[해적선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세어]]나 [[발키리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발키리]]에 녹아버리는 현상을 생각하면 편하다.
대미지 방식이 경장갑 추댐이지만 실상 뭉쳐있는 상태라면 중장갑 유닛들도 맹독충의 자폭 러쉬에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전작에서 뭉쳐있는 [[뮤탈리스크]]가 소형 유닛임에도 폭발형 스플래쉬 대미지르 가하는 [[해적선 (스타크래프트)|커세어]]나 [[발키리 (스타크래프트)|발키리]]에 녹아버리는 현상을 생각하면 편하다.
 
== 실전 ==
 
=== 저저전 ===
 
=== 저테전 ===
 
=== 저프전 ===
 
== 상성 ==
 
=== [[저그]] ===


=== 전략 ===
=== [[테란]] ===  
* 대 테란전


* 대 저그전
=== [[프로토스]] ===


* 대 프로토스전
== 캠페인 ==
[[스타크래프트 2 : 군단의 심장/캠페인|군단의 심장 캠페인]]의 <장악> 임무부터 사용할 수 있는데 캠페인에서는 자폭의 공격력이 무려 '''40(+4)(구조물 상대 : 80(+5))이고''' 소비 가스가 15로 줄었다.


=== 상성 ===
고유 [[군단의 심장 변이|변이]]는 다음과 같다.
* 테란
* 파열 : 맹독충의 폭발 범위 50% 증가.
* 부식성 산 : 맹독충이 주 대상에게 주는 피해량 100%  증가.
* 재생성 산 : 맹독충이 폭발하면 폭발 범위 안에 있는 아군 유닛과 구조물의 체력이 회복됨.


* 저그
일단 부식성 산을 택하면 맹독충의 자폭 피해량이 무려 '''80(+4)(구조물 상대 : 160(+5))이라는''' 충격과 공포가 되는데 목표물 파괴 임무에서 미친듯한 효율을 자랑한다.


* 프로토스
특히 [[저글링 (스타크래프트)|저글링]] 진화 변종 중에 '''한 번에 세 마리씩 2초만에 생성되는''' [[군단충]]과 진화 형태가 합쳐지면 그 시너지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자세한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


=== 기본 스킬 ===
파열은 대규모 적을 상대할때 유용한데 특히 무더기로 몰려오는 [[해병 (스타크래프트)|해병]]들 사이에 파열 맹독충이 떨어지면 단숨에 전멸된다.
{| class="wikitable"
! colspan="7" style="text-align: center;" | 폭발 (Explode)
|-
| rowspan="6"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정보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정보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요구 건물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소모자원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미네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사거리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가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지속시간
| style="text-align: center;" | 1회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시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효과
| style="text-align: center;" | 즉시폭발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단축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단축키
| style="text-align: center;" | X
|}


* 특징
재생성 산은 앞의 두 업그레이드에 밀려서 잘 안쓰이지만 탱커 유닛과 같이 쓸때 효과를 보여준다.
: 맹독충이 그자리에서 즉시 폭발한다. 이는 잠복 업그레이드 이후 땅속에 박아놓은 맹독충을 마치 지뢰처럼 활용할 수 있다. 탐지기 없이 이동중 잠복한 맹독충이 터지면 반응할 시간도 없으므로 피해를 입게 된다. 전작의 거미지뢰는 땅속에서 튀어 나와서 달라붙는 타이밍이 약간 존재하지만 맹독충은 말 그대로 폭발 명령 즉시 터지기 때문이다.


----
범위를 이용해서 저글링을 대규모로 치료시킬 수도 있고 다수의 맹독충과 같이 쓴다면 변형체나 울트라리스크같은 대형 탱커와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 class="wikitable"
특히 작은 유닛을 넘어다니는 변형체와의 시너지가 가장 좋은데다 참고로 이 모든 변이가 '''[[쌍독충]] 변종의 새끼 맹독충에도 적용된다.'''
! colspan="7" style="text-align: center;" | 구조물 공격 (Attack Structure)
|-
| rowspan="6"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정보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정보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요구 건물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부화장
| style="text-align: center;" | 소모자원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미네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사거리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가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지속시간
| style="text-align: center;" | 1회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시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효과
| style="text-align: center;" | 건물공격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단축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단축키
| style="text-align: center;" | C
|}


* 특징
맹독충의 [[군단의 심장 진화|진화]] 변종은 다음과 같다.
: 해당 기능을 활성화 시킨 맹독충은 공격 명령시 건물을 우선적으로 공격하도록 인공지능이 설정된다. 따로 건물을 지정하는 귀찮음을 없애주는 유용한 기능. 맹독충의 공격 특성상 건물 대상으로 80의 고정 대미지<ref>공격력 업그레이드 3단계 완료시 95</ref>를 입히는데 방어력을 무시하는 순수 대미지를 가하며 스플래쉬 대미지를 유지한다. 맹독충 서너기만 제대로 자폭에 성공해도 방어타워는 순식간에 철거된다.
* [[쌍독충]]
한 번 폭발 시 더 작은 맹독충 두 마리로 분열하여 재폭발하게 되는데 특히 군단충과 최강의 궁합을 자랑한다.
* [[사냥꾼 (스타크래프트)|사냥꾼]]
사냥꾼 맹독충은 [[랩터 (스타크래프트)|랩터 저글링]]이랑 [[테란]]의 [[사신 (스타크래프트)|사신]]처럼 언덕을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고 자폭할 때도 '''사거리 6 안에 있는 적에게 뛰어오른 후 폭발한다.'''
설정 상 스코리아 행성의 용암 지대에서 살던 맹독충이 땅 밑에서 올라오는 용암에서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것이라고 한다.


: 가장 큰 전술적 용도는 잠복과 조합해 상대방 멀티를 견제하는 것. 예를 들자면 잠복 업그레이드 완료된 맹독충 소수를 멀티지역 미네랄 주변에 박아놓고 해당 지역에 상대방이 멀티를 시도해 일꾼이 어느 정도 활성화되는 타이밍을 노려 [[시밤쾅]].
여담으로 사냥꾼 진화 임무에서 [[테란 자치령]]의 [[해병 (스타크래프트)|해병]]들이 사냥꾼을 보고 '''"이건 너무하잖아!"'''라며 절규하는데 멀티에 나온다 생각해보자....진짜 자치령 해병의 말에 공감하게 된다.


=== 업그레이드 ===
각 진화종의 역할을 말하자면 쌍독충은 정면돌파에 특화되어 있고 사냥꾼은 게릴라에 특화되어 있다 할 수 있겠다.
{| class="wikitable"
! colspan="7" style="text-align: center;" | 잠복 (Burrow)
|-
| rowspan="6"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정보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정보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요구 건물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부화장
| style="text-align: center;" | 소모자원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미네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사거리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가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지속시간
| style="text-align: center;" | 영구적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시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ref>게임 속도 보통 기준. 아주 빠름 기준으로는 71초</ref>
| style="text-align: center;" | 효과
| style="text-align: center;" | 잠복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단축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B
|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단축키
| style="text-align: center;" | R
|}


* 특징
== [[스타크래프트 2/협동전|협동전]] ==
: 업그레이드시 유닛이 땅속에 파고들어 디텍터 없이는 탐지가 되지 않는다. 전작과 다르게 잠복에 들어갈 때 2초가 소모되고, 밖으로 나올 때 1초가 소모되는 차이가 있다. 특히 맹독충은 잠복을 활용해 지뢰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너지 효과가 좋은 업그레이드.
[[자가라/협동전|협동전에서는 자가라로 플레이하면 사용할 수 있는데]] [[갈귀]]와 더불어 자가라의 주력 유닛이다.


----
레벨 7이 되면 공짜로 맹독충 보충, 레벨 14가 되면 쌍독충으로 진화하고 레벨 12에 해금되는 [[군단충]]과 결합하면 징그러울 정도로 많은 맹독충을 운영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기본 이동속도가 2.95에 원심고리 업그레이드까지 하면 무려 3.41으로 뛰어난 기동성을 보인다.
! colspan="7" style="text-align: center;" | 원심 고리 (Centrifugal Hooks)
|-
| rowspan="6"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정보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정보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요구 건물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맹독충 둥지<ref>번식지가 필요하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소모자원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미네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50
| style="text-align: center;" | 사거리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가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50
| style="text-align: center;" | 지속시간
| style="text-align: center;" | 영구적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시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10<ref>게임 속도 보통 기준. 아주 빠름 기준으로는 79초</ref>
| style="text-align: center;" | 효과
| style="text-align: center;" | 속도증가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연구 단축키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C
| style="text-align: center;" | 기술 단축키
| style="text-align: center;" | -
|}


* 특징
거기에 부식성 산 업그레이드가 된 상태에서 마스터 레벨로 맹독충 공격력 30%까지 다 찍었을 경우 노업시 '''기본 110(+4)에 구조물 상대 190(+5)에다 풀업시 무려 기본 공격력 122에 구조물 상대론 205란 아주 괴랄한 화력을 자랑한다.'''
: 발업에 해당되는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이전에는 맹독충이 뒤뚱뒤뚱 기어다니지만,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굴러다닌다. 뒹굴뒹굴 굴러다니는 애니메이션이 참 귀여워 보이지만 이렇게 굴러온 맹독충이 자폭하여 삽시간에 유닛이나 건물을 녹여버리는 광경을 보면 귀엽다는 생각이 싹 가실것이다. 3.8.0 패치에서 맹독충 체력 10 증가가 이 업그레이드에 추가되었다가 2016년 12월 21일 패치로 10 증가가 5 증가로 감소했다.


=== 캠페인 연구 ===
== 기타 ==  
[[군단의 심장]]에서 히드라리스크에게 적용되는 진화 및 변이.


{{각주}}
{{각주}}
[[분류: 스타크래프트]]
[[분류:저그]]
[[분류:스타크래프트 2]]

2022년 8월 29일 (월) 18:16 기준 최신판

Baneling SC2 Art2.jpg

소개[편집 | 원본 편집]

http://kr.battle.net/sc2/ko/game/unit/baneling : 스타 2 공식 홈페이지 설명

Baneling

스타크래프트 2부터 등장하는 저그 유닛.

설정[편집 | 원본 편집]

종족 전쟁이 끝난 뒤 저그의 여왕들은 적절한 시기에 쓰일 화력을 담을 수 있는 저그 개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테란들이 맹독충을 처음 접했을 때 저글링이 변화한 모습이라고 생각하기보단 새로운 저그 개체가 나타났다고 생각했다. 현재 맹독충은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로 올라와 있으며 과학자들은 맹독충 몸속의 폭발 물질을 일찌감치 터뜨릴 화학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소설 <산산이 부서진>에 따르면 저글링들이 스스로 산성 곰팡이를 자신의 유전자 정보 속에 집어넣었으며 저글링의 진화를 위해 연구 임무를 맡은 군락이 스스로를 곤경에 몰아 넣으면서 발생했다는데 커다란 위협이 닥쳐왔을 때 종 차원의 무의식적 방어 기제로서 발현하는 돌연변이를 유발하기 위함이었다는 설정.

테란 자치령은 이 과정을 민간인들과 자신들의 부대를 실험체로 삼아 가만히 관찰하고 있었다.

http://kr.battle.net/sc2/ko/game/lore/short-stories/broken-wide/1 : 소설 <산산이 부서진>

작중에선 온전히 맹독충 한 마리가 터진 것도 아니고 소설 속 인물이 숨겨서 가지고 들어올 정도의 소량의 맹독충의 체내에 있던 화학 물질만 있었는데도 전투순양함이 고철이 되어 있다! 그에 맞게 본체의 폭발력은 상상을 초월하는데 단편 소설에서 대군주가 맹독충 한 마리를 투하하자 맹독충이 터지면서 고층빌딩 하나를 날려버렸다! 아무리 그 장소가 개박살난 지 4년이나 지난 타소니스라 위태위태했다곤 해도 엄청난 위력인데 끝에 가선 분명 신소재 강철로 만들어진 견고한 구 테란 연합유령 사관학교맹독충 몇 마리에 고철로 변해 있다.'

공허의 유산 오프닝 시네마틱에도 등장하는데 갑자기 잠복 해제하고 튀어나와 소환 중인 수정탑을 향해 굴러간다.

그때 광전사가 튀어나와 맹독충을 썰어버리는데 광전사가 단 2방 맞고 리타이어 한다.

1마리는 측면에서 썰려 피해가 없었고, 2번째는 방어막으로 받아냈고, 3번째는 그냥 정면에서 썰렸으며 그대로 광전사는 역소환행.

저글링의 광학 구조가 꽤 정교한 반면 맹독충은 기초적인 음파 탐지 시스템으로 주위의 환경을 인식하며 흡수한 산성 곰팡이의 영향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성능[편집 | 원본 편집]

Zerg Baneling.png

Baneling Portrait.png

광물 : 25 가스 : 25 
생산 시간 : 20초 
보급량 : -0.5 
변태 유닛 : 저글링
단축키 : E 
요구사항 : 맹독충 둥지 
체력 : 30(원심 고리 : 35) 
속성 : 생체 
이동 속도 : 2.5(원심 고리 : 2.95) 
점막 위 이동 속도 : 3.25(원심 고리 : 3.84) 
장갑 : 0(+1) 
시야 : 8 
수송 공간 : 2 
<공격 무기> 
순간 폭발 
공격력 : 20(+2) 
경장갑 상대 : 35(+4) 
사거리 : 근접 
공격 속도 : 0.83 
공격 대상 : 지상(범위 공격) 
<능력> 
● 잠복 
땅 속으로 몸을 숨깁니다.
적은 탐지기가 있어야 잠복한 유닛을 볼 수 있으며 
잠복 상태에서는 이동 및 공격이랑 다른 능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폭발 
맹독충이 제자리에서 폭발하여 주위에 있는 지상의 
적 유닛이나 구조물에 피해를 주며 잠복 상태에서도 
시전할 수 있습니다.
● 구조물 공격 
맹독충이 자동으로 구조물을 공격하도록 허용합니다.
맹독충은 구조물에 80만큼의 피해를 줍니다.
<업그레이드> 
● 원심 고리 
광물 : 150 가스 : 150 연구 시간 : 110초 
맹독충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최대 체력이 추가로 
5만큼 증가합니다.
연구 구조물 : 맹독충 둥지 

맹독충 둥지를 건설한 이후 저글링 1기를 선택해 맹독충으로 변이를 시킬 수 있다. 전작감염된 테란의 역할을 계승한 유닛. 전작의 유닛은 일종의 장식용 혹은 관광용 유닛에 불과했으나[1] 맹독충은 훨씬 실전에서 유용한 유닛으로 취급된다.

일단 전작의 감염된 테란이 500이라는 굉장한 수치의 공격력을 자랑하지만 스플래쉬 대미지가 피아 구분없이 들어가는 관계로 사용하기 꺼려지던 단점을 보완해 자폭시 아군 유닛은 전혀 피해를 입지 않는다. 또한 경장갑 상대로 추가 대미지를 입히며, 건물 상대로는 방어력을 무시하는 고정 대미지를 선사한다. 맹독충의 등장은 테란이 즐겨 사용하던 입구막기 전술이 스2에서 사장된 이유가 되었다.

맹독충은 모체인 저글링을 변이시키는 관계로 보급품 소모가 1기에 0.5 수준이며, 이는 맹독충 2기가 해병 1기와 같은 보급품을 소모한다. 즉 보급품 소모 대비 머릿수는 많아 실전에서는 저글링과 맹독충이 바글바글한 광경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다만 가스 소모가 은근히 높은 편이라 대량 생산시 특히 베스핀 가스 소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유닛 1기의 생명력은 30으로 저글링만큼 허약하니 운용시 주의를 요한다.

대미지 방식이 경장갑 추댐이지만 실상 뭉쳐있는 상태라면 중장갑 유닛들도 맹독충의 자폭 러쉬에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전작에서 뭉쳐있는 뮤탈리스크가 소형 유닛임에도 폭발형 스플래쉬 대미지르 가하는 커세어발키리에 녹아버리는 현상을 생각하면 편하다.

실전[편집 | 원본 편집]

저저전[편집 | 원본 편집]

저테전[편집 | 원본 편집]

저프전[편집 | 원본 편집]

상성[편집 | 원본 편집]

저그[편집 | 원본 편집]

테란[편집 | 원본 편집]

프로토스[편집 | 원본 편집]

캠페인[편집 | 원본 편집]

군단의 심장 캠페인의 <장악> 임무부터 사용할 수 있는데 캠페인에서는 자폭의 공격력이 무려 40(+4)(구조물 상대 : 80(+5))이고 소비 가스가 15로 줄었다.

고유 변이는 다음과 같다.

  • 파열 : 맹독충의 폭발 범위 50% 증가.
  • 부식성 산 : 맹독충이 주 대상에게 주는 피해량 100% 증가.
  • 재생성 산 : 맹독충이 폭발하면 폭발 범위 안에 있는 아군 유닛과 구조물의 체력이 회복됨.

일단 부식성 산을 택하면 맹독충의 자폭 피해량이 무려 80(+4)(구조물 상대 : 160(+5))이라는 충격과 공포가 되는데 목표물 파괴 임무에서 미친듯한 효율을 자랑한다.

특히 저글링 진화 변종 중에 한 번에 세 마리씩 2초만에 생성되는 군단충과 진화 형태가 합쳐지면 그 시너지는 자세한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

파열은 대규모 적을 상대할때 유용한데 특히 무더기로 몰려오는 해병들 사이에 파열 맹독충이 떨어지면 단숨에 전멸된다.

재생성 산은 앞의 두 업그레이드에 밀려서 잘 안쓰이지만 탱커 유닛과 같이 쓸때 큰 효과를 보여준다.

범위를 이용해서 저글링을 대규모로 치료시킬 수도 있고 다수의 맹독충과 같이 쓴다면 변형체나 울트라리스크같은 대형 탱커와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작은 유닛을 넘어다니는 변형체와의 시너지가 가장 좋은데다 참고로 이 모든 변이가 쌍독충 변종의 새끼 맹독충에도 적용된다.

맹독충의 진화 변종은 다음과 같다.

한 번 폭발 시 더 작은 맹독충 두 마리로 분열하여 재폭발하게 되는데 특히 군단충과 최강의 궁합을 자랑한다.

사냥꾼 맹독충은 랩터 저글링이랑 테란사신처럼 언덕을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고 자폭할 때도 사거리 6 안에 있는 적에게 뛰어오른 후 폭발한다. 설정 상 스코리아 행성의 용암 지대에서 살던 맹독충이 땅 밑에서 올라오는 용암에서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것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사냥꾼 진화 임무에서 테란 자치령해병들이 사냥꾼을 보고 "이건 너무하잖아!"라며 절규하는데 멀티에 나온다 생각해보자....진짜 자치령 해병의 말에 공감하게 된다.

각 진화종의 역할을 말하자면 쌍독충은 정면돌파에 특화되어 있고 사냥꾼은 게릴라에 특화되어 있다 할 수 있겠다.

협동전[편집 | 원본 편집]

협동전에서는 자가라로 플레이하면 사용할 수 있는데 갈귀와 더불어 자가라의 주력 유닛이다.

레벨 7이 되면 공짜로 맹독충 보충, 레벨 14가 되면 쌍독충으로 진화하고 레벨 12에 해금되는 군단충과 결합하면 징그러울 정도로 많은 맹독충을 운영할 수 있다.

기본 이동속도가 2.95에 원심고리 업그레이드까지 하면 무려 3.41으로 뛰어난 기동성을 보인다.

거기에 부식성 산 업그레이드가 된 상태에서 마스터 레벨로 맹독충 공격력 30%까지 다 찍었을 경우 노업시 기본 110(+4)에 구조물 상대 190(+5)에다 풀업시 무려 기본 공격력 122에 구조물 상대론 205란 아주 괴랄한 화력을 자랑한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전작의 감염된 테란은 생산을 위해 여왕을 생산해야 하며 테란커맨드센터가 반드시 요구되어 생산 조건 자체가 까다롭다. 또한 힘들게 생산조건을 맞춘다 하더라도 실전에서 효율성은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