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두 판 사이의 차이

(아이스버그 (토론)의 393927판 편집을 되돌림)
(ISO 추가)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나라 정보
| 나라 이름 = 필리핀 공화국
|나라이름    = 필리핀공화국
| 다른 이름 = 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br>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br>스페인어: República de Filipinas
|원어이름    = [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br />[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국기 = Flag_of_the_Philippines.svg
|존속연도    =
| 국기 이름 = 필리핀의 국기
|국기       = Flag_of_the_Philippines.svg
| 국장 = Coat_of_arms_of_the_Philippines.svg
|국기설명    =  
| 공식 명칭 = 필리피나스 공화국
|국장       = Coat_of_arms_of_the_Philippines.svg
| 공용어 = [[필리핀어]]
|국장설명    =  
| 수도 = [[마닐라]]
|지도        =  
| 표어 = Maka-Diyos, Makatao, Makakalikasan, at Makabansa
|지도설명    =  
| 표어 설명 = 하느님, 사람들, 자연들, 그리고 우리 조국
|표어       = 하느님, 사람들, 자연들, 그리고 우리 조국<br />(Maka-Diyos, Makatao, Makakalikasan, at Makabansa)
| 국가 = 루팡 히니랑(Lupang Hinirang)
|국가       = 루팡 히니랑(Lupang Hinirang)
| 국화 =  
|수도        = [[마닐라]]
| 국교 =  
|공용어      = [[타갈로그어]], [[영어]]
| 인구 = 101,717,000
|국어        =  
| 인구 순위 = 12
|국교        =  
| 인구 밀도 = 339.06
|정부유형    = [[대통령제 공화국]]
| 인구 밀도 순위 = 43
|군주        =
| 면적 = 300,000
|수반 직책  = [[필리핀의 대통령|대통령]]
| 면적 순위 = 73
|수반        = [[봉봉 마르코스]]
| 시간대 = PST (UTC+8)
|부수반 직책 = [[필리핀의 부통령|부통령]]
| 정부 형태 = [[대통령제 공화국]]
|부수반      = [[레니 로브레도]]
| 지도자 직함1 = [[필리핀의 대통령|대통령]]
|입법부      =  
| 지도자 이름1 = [[로드리고 두테르테]]
|인구        = 101,717,000
| 지도자 직함2 = [[필리핀의 부통령|부통령]]
|인구밀도    = 339.06
| 지도자 이름2 = [[레니 로브레도]]
|인구 연도  =  
| 지도자 직함3 = 상원의장
|면적        = 300,000
| 지도자 이름3 = 아킬리노 피멘텔 3세
|면적 연도  =  
| 지도자 직함4 = 하원의장
|GDP PPP     = 7517만 7000
| 지도자 이름4 = 펠리시아노 벨몬테 주니어
|GDP PPP 1인 = 7,412
| 지도자 직함5 = 대법원장
|GDP        = 3302만 5900
| 지도자 이름5 = 마리아 루르데스 세레노
|GDP 1인    = 3,256
| 지도자 직함6 =
|GDP 연도    =  
| 지도자 이름6 =  
|화폐        = [[필리핀 페소|페소]]
| 유통화폐 = 페소 (PHP)
|시간대      = PST (UTC+8)
| 수입 =
|ISO        = 608, PH, PHL
| 수입 순위 =
|국가도메인  = .ph
| 수출 =
|국제전화    = 63
| 수출 순위 =
|이전나라    =  
| 명목 GDP = 3302만5900
|이후나라    =  
| 명목 GDP 순위 =
|비고        =  
| 명목 1인당 = 3,256
| 명목 1인당 순위 =
| PPP GDP = 7517만7000
| PPP GDP 순위 =
| PPP 1인당 = 7,412
| PPP 1인당 순위 =  
| 외환보유액 =  
| 외환보유 순위 =  
| 평가기관4 =  
| 신용등급4 =
| 평가기관5 =  
| 신용등급5 =  
| 평가기관6 =  
| 신용등급6 =  
| 평가기관7 =  
| 신용등급7 =  
| 평가기관8 =  
| 신용등급8 =
| ISO =
| 국가 도메인 = .ph
| 국제전화번호 = +63
}}
}}
'''필리핀 공화국'''({{llang|fil|Republika ng Pilipinas}}, {{영어|Republic of the Philippines}}),
약칭 '''필리핀'''({{llang|fil|Pilipinas}}, {{영어|Philippines}})은 [[동남아시아]]의 섬나라이다.


 
[[수도]][[마닐라]](City of Manila)이다. 최대 도시는 [[케손시티]](Quezon City)이다. 인구는 [[2007년]] 조사에 따르면 약 8천 8백만명이며, [[2015년]] 어림으로는 1억명을 돌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필리핀 공화국'''(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 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
약칭 '''필리핀'''(필리핀어: Pilipinas, 영어: Philippines)은 [[동남아시아]]의 섬나라이다.
 
수도는 [[마닐라]](City of Manila)이다. 최대 도시는 [[케손시티]](Quezon City)이다. 인구는 [[2007년]] 조사에 따르면 약 8천 8백만명이며, [[2015년]] 어림으로는 1억명을 돌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역사==
==역사==
1521년 [[포르투갈]]의 탐험가인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서양인으로서 최초로 방문하였다. 그 이후 유럽에 필리핀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고, 이후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지]]로 통치하기 시작하기 시작한다. 스페인의 통치는 19세기 말까지 300년간 이어졌으며, 그동안 필리핀은 가톨릭을 수용하여 [[동남아]] 유일의 [[가톨릭]] 국가가 된다. 그러나 스페인의 통치도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민중항쟁으로 위태해지기 시작하더니, 미서전쟁에서 패한 스페인이 필리핀을 1898년 [[미국]]에 양도하며 미국의 통치가 시작된다.
1521년 [[포르투갈]]의 탐험가인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서양인으로서 최초로 방문하였다. 그 이후 유럽에 필리핀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고, 이후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지]]로 통치하기 시작하기 시작한다. 스페인의 통치는 19세기 말까지 300년간 이어졌으며, 그동안 필리핀은 가톨릭을 수용하여 [[동남아]] 유일의 [[가톨릭]] 국가가 된다. 그러나 스페인의 통치도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민중항쟁으로 위태해지기 시작하더니, 미서전쟁에서 패한 스페인이 필리핀을 1898년 [[미국]]에 양도하며 미국의 통치가 시작된다.


그 이후 필리핀은 미국의 영향 아래에 놓이며 미국의 개발과 정책으로 필리핀은 급속도로 성장하며 경제가 발달하고 인구도 3배 이상이 늘어나지만, 독립 요구는 철처히 묵살되었다. 가톨릭의 수녀들과 사제들은 독립운동을 주도하였으며, 혁명 정부를 수립하기도 하였다. 마침내 1934년, 미국 의회에서 타이딩스-맥더피 법이 통과되어 10년 후에 필리핀 독립이 승인되었다.
그 이후 필리핀은 미국의 영향 아래에 놓이며 미국의 개발과 정책으로 필리핀은 급속도로 성장하며 경제가 발달하고 인구도 3배 이상이 늘어나지만, 독립 요구는 철저히 묵살되었다. 가톨릭의 수녀들과 사제들은 독립운동을 주도하였으며, 혁명 정부를 수립하기도 하였다. 마침내 1934년, 미국 의회에서 타이딩스-맥더피 법이 통과되어 10년 후에 필리핀 독립이 승인되었다.


1935년에는 필리핀 연방이 설립되었고 마누엘 케손이 제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필리핀은 [[일본군]]에게 점령당하며 [[일제]] 치하에 놓인다. 일본은 1943년에 필리핀 독립을 승인했으나 이는 사실상 [[만주국]]과 비슷한 형태의 꼭두각시 정부에 불과했다.
1935년에는 필리핀 연방이 설립되었고 마누엘 케손이 제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필리핀은 [[일본군]]에게 점령당하며 [[일제]] 치하에 놓인다. 일본은 1943년에 필리핀 독립을 승인했으나 이는 사실상 [[만주국]]과 비슷한 형태의 꼭두각시 정부에 불과했다.
78번째 줄: 55번째 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필리핀은 독립을 승인받았으며 미국의 1년 [[신탁통치]]를 거친 뒤 1946년 7월 4일 독립하였다. 그 뒤 필리핀은 일본과 함께 아시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두 국가가 되지만, 국내의 각종 문제들은 쉽게 해결되지 못하였다. 1950년대의 필리핀은 [[막사이사이]]의 집권으로 필리핀의 경제 기적을 이루어내지만, 막사이사이가 1957년 비행기 사고로 서거하면서 정국은 순식간에 혼란스러워진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필리핀은 독립을 승인받았으며 미국의 1년 [[신탁통치]]를 거친 뒤 1946년 7월 4일 독립하였다. 그 뒤 필리핀은 일본과 함께 아시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두 국가가 되지만, 국내의 각종 문제들은 쉽게 해결되지 못하였다. 1950년대의 필리핀은 [[막사이사이]]의 집권으로 필리핀의 경제 기적을 이루어내지만, 막사이사이가 1957년 비행기 사고로 서거하면서 정국은 순식간에 혼란스러워진다.


그 틈을 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독재정치를 시작한다. 마르코스와 그의 부인은 사치로 국가 재정을 파탄냈으며 필리핀 경제를 급락시켰다. 그 뒤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민주정치가 들어서고 현재에 이른다.
그 틈을 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독재정치를 시작한다. 마르코스와 그의 부인은 사치로 국가 재정을 파탄 냈으며 필리핀 경제를 급락시켰다. 그 뒤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민주정치가 들어섰다. 그러나 그렇게 들어온 민주정치가 경제부흥에 실패하자 결국 지지를 잃게 되었고 현재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아들인 봉봉 마르코스가 대통령이 되었다.


==지리==
==지리==
세계에서는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섬이 많은 국가로, 루손, 비사얀, 민다나오 섬 지역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때 [[수도]] [[마닐라]]는 루손 섬에 위치하여 있다. 섬들로 이루어져 있어, 섬을 오갈때 마다 배를 타고 가거나 비행기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정치==
==정치==
{{빈 문단}}
==경제==
==경제==
{{빈 문단}}
==군사==
==군사==
{{빈 문단}}
==사회==
==사회==
{{빈 문단}}
==문화==
==문화==
필리핀은 [[스페인]]과 [[미국]]의 오랜 지배로 인해 인구의 '''91%''' 가량이 기독교인에 해당된다. 기독교인들은 대부분 북부에 살며 무슬림들은 대부분 남부에 산다.


{{각주}}
{{각주}}
{{틀: 국가}}
{{아시아의 나라}}
[[분류:아시아의 나라]]
[[분류:아시아의 나라]]
[[분류:동남아시아]]
[[분류:필리핀| ]]
 
{{리브레 맵스 마커|12.70558134096268|121.16035060894671|5|필리핀}}

2023년 10월 9일 (월) 18:18 기준 최신판

필리핀공화국
[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
[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
Flag of the Philippines.svg
국기
Coat of arms of the Philippines.svg
국장
표어
하느님, 사람들, 자연들, 그리고 우리 조국
(Maka-Diyos, Makatao, Makakalikasan, at Makabansa)
국가
루팡 히니랑(Lupang Hinirang)
나라 정보
수도 마닐라
공용어 타갈로그어, 영어
정부유형 대통령제 공화국
대통령 봉봉 마르코스
부통령 레니 로브레도
인구 101,717,000 명
인구밀도 339.06 명/km2
면적 300,000 km2
기타 정보
GDP PPP:
전체: 7517만 7000 달러
1인당: 7,412 달러
명목:
전체: 3302만 5900 달러
1인당: 3,256 달러
화폐 페소
시간대 PST (UTC+8)
ISO 608, PH, PHL
도메인 .ph
국제전화 +63

필리핀 공화국(필리핀어: Republika ng Pilipinas, 영어: Republic of the Philippines), 약칭 필리핀(필리핀어: Pilipinas, 영어: Philippines)은 동남아시아의 섬나라이다.

수도마닐라(City of Manila)이다. 최대 도시는 케손시티(Quezon City)이다. 인구는 2007년 조사에 따르면 약 8천 8백만명이며, 2015년 어림으로는 1억명을 돌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521년 포르투갈의 탐험가인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서양인으로서 최초로 방문하였다. 그 이후 유럽에 필리핀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고, 이후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지로 통치하기 시작하기 시작한다. 스페인의 통치는 19세기 말까지 300년간 이어졌으며, 그동안 필리핀은 가톨릭을 수용하여 동남아 유일의 가톨릭 국가가 된다. 그러나 스페인의 통치도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민중항쟁으로 위태해지기 시작하더니, 미서전쟁에서 패한 스페인이 필리핀을 1898년 미국에 양도하며 미국의 통치가 시작된다.

그 이후 필리핀은 미국의 영향 아래에 놓이며 미국의 개발과 정책으로 필리핀은 급속도로 성장하며 경제가 발달하고 인구도 3배 이상이 늘어나지만, 독립 요구는 철저히 묵살되었다. 가톨릭의 수녀들과 사제들은 독립운동을 주도하였으며, 혁명 정부를 수립하기도 하였다. 마침내 1934년, 미국 의회에서 타이딩스-맥더피 법이 통과되어 10년 후에 필리핀 독립이 승인되었다.

1935년에는 필리핀 연방이 설립되었고 마누엘 케손이 제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필리핀은 일본군에게 점령당하며 일제 치하에 놓인다. 일본은 1943년에 필리핀 독립을 승인했으나 이는 사실상 만주국과 비슷한 형태의 꼭두각시 정부에 불과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필리핀은 독립을 승인받았으며 미국의 1년 신탁통치를 거친 뒤 1946년 7월 4일 독립하였다. 그 뒤 필리핀은 일본과 함께 아시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두 국가가 되지만, 국내의 각종 문제들은 쉽게 해결되지 못하였다. 1950년대의 필리핀은 막사이사이의 집권으로 필리핀의 경제 기적을 이루어내지만, 막사이사이가 1957년 비행기 사고로 서거하면서 정국은 순식간에 혼란스러워진다.

그 틈을 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독재정치를 시작한다. 마르코스와 그의 부인은 사치로 국가 재정을 파탄 냈으며 필리핀 경제를 급락시켰다. 그 뒤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민주정치가 들어섰다. 그러나 그렇게 들어온 민주정치가 경제부흥에 실패하자 결국 지지를 잃게 되었고 현재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아들인 봉봉 마르코스가 대통령이 되었다.

지리[편집 | 원본 편집]

세계에서는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섬이 많은 국가로, 루손, 비사얀, 민다나오 섬 지역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때 수도 마닐라는 루손 섬에 위치하여 있다. 섬들로 이루어져 있어, 섬을 오갈때 마다 배를 타고 가거나 비행기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정치[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경제[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군사[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회[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문화[편집 | 원본 편집]

필리핀은 스페인미국의 오랜 지배로 인해 인구의 91% 가량이 기독교인에 해당된다. 기독교인들은 대부분 북부에 살며 무슬림들은 대부분 남부에 산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