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네비게이션 틀 삽입)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파일:호미곶.jpg|250픽셀|섬네일|해맞이 명소인 포항 호미곶 상생의 손]]
{{대사|제철, 항구, 해맞이의 도시}}
 
==개요==
==개요==
[[경상북도]]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포항시'''(浦項市)는 [[경상북도]]에 있는 [[항구]] 도시이다. 우리나라에서 [[동해]]로 흐르는 [[강]]중에서 가장 긴 강이 [[형산강]]인데, 포항은 바로 이 형산강의 하구에 위치한다. 북구와 남구의 두 개의 구로 구성된다.
 
경상북도 최대의 도시이며, [[포스코]](포항제철) 본사가 있어 포항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교통 ==
[[동해남부선]]의 종점역인 [[포항역]]은 포항시의 중심 철도역 역할을 하고 있다. 포항역에서는 [[서울역]], [[동대구역]], [[부전역]](부산)행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2015년부터는 포항역에서도 서울행 KTX를 탈 수 있게 되었다.
 
[[포항항]]은 여객항인 동시에 무역항의 기능을 하고 있다. 포항여객터미널에서는 [[울릉도]]로 가는 정기 배편이 운항중에 있다. 또한, 포항항은 [[포스코]](포항제철)에서 필요로 하는 철광석을 수입하고 완성된 철강 제품을 수출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포항공항]]에서는 [[김포공항]]을 잇는 항공노선이 하루 4차례, [[제주공항]]을 잇는 항공노선이 주 3회 운항되고 있다. 하지만 KTX 도입과 함께 이용객수가 크게 줄어든 상태이다.
 
== 명소 ==
죽도시장은 포항을 대표하는 전통 시장으로서, [[포항역]]과 [[포항항]] 사이에 있다. 죽도시장은 해산물 쪽으로 특화되어 있으며 여러 횟집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싱싱한 [[오징어]], [[해삼]], [[문어]], [[대게]], [[홍게]]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역사==
북부해수욕장은 포항 시내 북부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해수욕장 규모가 크고, 경사가 완만하며 모래 품질도 괜찮으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한 해수욕장은 아니어서 약간 한적한 분위기를 낸다. 각종 익스트림 해양스포츠의 메카이기도 하다.


==산업==
호미곶은 단조로운 해안선의 동해안에서 거의 유일하게 바다 쪽으로 크게 돌출된 곶이다. 호미곶은 [[한반도]]를 [[호랑이]]에 비유할 때, 흔히 호랑이의 꼬리로 일컬어진다. 호미곶은 [[울릉도]]와 [[독도]]를 제외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곳이기 때문에 매년 1월 1일에는 이 곳에서 일출을 보며 소원을 비는 사람들로 붐빈다. '''상생의 손'''이라고 불리는 조각품이 설치된 것으로도 유명하다.


==행정구역==
== 같이 보기 ==
[[추가바람]]
* [[과메기]]- 포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
* [[POSCO]](포항제철) - 포항시를 먹여 살리는 기업이자 지금의 포항시가 있게 만든 기업.
*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와 함께 대한민국 최고의 이공계열 연구 대학교. [[포항방사능가속기]]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 [[이명박]] - 포항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실질적, 정치적 고향이다.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을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축구팀.


{{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분류:경상북도]]
[[분류:경상북도]]

2015년 6월 5일 (금) 21:21 판

해맞이 명소인 포항 호미곶 상생의 손
제철, 항구, 해맞이의 도시

개요

포항시(浦項市)는 경상북도에 있는 항구 도시이다. 우리나라에서 동해로 흐르는 중에서 가장 긴 강이 형산강인데, 포항은 바로 이 형산강의 하구에 위치한다. 북구와 남구의 두 개의 구로 구성된다.

경상북도 최대의 도시이며, 포스코(포항제철) 본사가 있어 포항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교통

동해남부선의 종점역인 포항역은 포항시의 중심 철도역 역할을 하고 있다. 포항역에서는 서울역, 동대구역, 부전역(부산)행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2015년부터는 포항역에서도 서울행 KTX를 탈 수 있게 되었다.

포항항은 여객항인 동시에 무역항의 기능을 하고 있다. 포항여객터미널에서는 울릉도로 가는 정기 배편이 운항중에 있다. 또한, 포항항은 포스코(포항제철)에서 필요로 하는 철광석을 수입하고 완성된 철강 제품을 수출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포항공항에서는 김포공항을 잇는 항공노선이 하루 4차례, 제주공항을 잇는 항공노선이 주 3회 운항되고 있다. 하지만 KTX 도입과 함께 이용객수가 크게 줄어든 상태이다.

명소

죽도시장은 포항을 대표하는 전통 시장으로서, 포항역포항항 사이에 있다. 죽도시장은 해산물 쪽으로 특화되어 있으며 여러 횟집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싱싱한 오징어, 해삼, 문어, 대게, 홍게 등을 만나볼 수 있다.

북부해수욕장은 포항 시내 북부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해수욕장 규모가 크고, 경사가 완만하며 모래 품질도 괜찮으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한 해수욕장은 아니어서 약간 한적한 분위기를 낸다. 각종 익스트림 해양스포츠의 메카이기도 하다.

호미곶은 단조로운 해안선의 동해안에서 거의 유일하게 바다 쪽으로 크게 돌출된 곶이다. 호미곶은 한반도호랑이에 비유할 때, 흔히 호랑이의 꼬리로 일컬어진다. 호미곶은 울릉도독도를 제외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곳이기 때문에 매년 1월 1일에는 이 곳에서 일출을 보며 소원을 비는 사람들로 붐빈다. 상생의 손이라고 불리는 조각품이 설치된 것으로도 유명하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