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편집 | 원본 편집]
경상북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42년 : 이진아시왕이 대가야 건국
- 562년 : 신라 진흥왕 23년 신라에 병합, 대가야군으로 편제
- 757년 : 경덕왕 16년 고령군(高靈郡)으로 개칭, 강주(현재의 진주)에 소속. 소속된 현으로 야로현(현재의 합천 야로), 신복현(현재의 우곡면 일대)이 있었음
- 1018년 : 고려 현종 9년 영천현으로 개칭. 경산부(현 성주)에 예속, 야로현은 합천군으로 이속
- 1175년 : 고려 명종 5년 감무설치
- 1413년 : 조선 태종 13년 현감설치
- 1895년 : 고종 32년 지방관제 개정하면서 고령현을 고령군으로 개칭
- 1906년 : 광무10년 성주군의 9방과 현풍군의 3방을 흡수, 26개방이 됨
- 1914년 :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9면이 됨
- 1930년 : 쌍동면(雙洞面)과 임천면(林泉面)을 병합, 쌍림면(雙林面)이 되어 8면이 됨
- 1979년 : 고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름(현 1읍 7면)
- 2015년 : 고령읍이 대가야읍으로 명칭 변경
지리[편집 | 원본 편집]
군의 남쪽과 북쪽, 그리고 서쪽은 산줄기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동쪽은 낙동강 본류가 천연 경계선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와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낙동강과 그 지류가 감입곡류를 하는 특성을 보여주나 강의 경사 낮아 상대적으로 충적에 의한 소규모 평야지대가 골짜기를 따라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인구가 이러한 지역에 몰려있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 고속도로
- 국도
- 지방도
- 67번 국가지원지방도
- 905번 지방도
- 907번 지방도
- 1036번 지방도 : 경상남도쪽 지방도인데 어째 고령까지 넘어와 있다. 기점이 경남 합천쪽이라 발생한 현상인데 정작 합천쪽 구간과 고령쪽 구간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미개통 상태로 있다. 그나마 있는 도로 구간도 마을 진입로 수준이라 실상은 그냥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도로 수준.
관광[편집 | 원본 편집]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고령군의 행정구역은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 | |
---|---|
면 |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
|
---|---|
자치시 | |
자치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