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수송/예시: 두 판 사이의 차이

25번째 줄: 25번째 줄:
* [[서울 지하철 9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주요 업무단지인 [[강남구|강남]]의 핵심 지역을 통과하는 노선 특성상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으며, 여기에다 제대로 된 급행을 운용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 급행은 그야말로 가축수송의 진가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특히 [[봉은사역]]~[[염창역]] 사이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타 노선의 [[러시 아워]]와 맞먹는 수요가 발생한다. 게다가 개통 이후 오랜 기간동안 4량 1편성의 꼬마열차를 운행하였던 노선이기도 하다. 이는 9호선을 [[민자사업]]으로 건설하면서 당초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적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요금체계를 적용할 예정이어서 수요를 낮게 예측한 요인이 결정적이었다. 물론 개통 이전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포함하는 것으로 협의되면서 수요가 폭발하였다. {{현재년}}년 현재 급행과 일반 모두 6량 1편성으로 운행중이나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 급행열차의 가축수송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 주요 업무단지인 [[강남구|강남]]의 핵심 지역을 통과하는 노선 특성상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으며, 여기에다 제대로 된 급행을 운용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 급행은 그야말로 가축수송의 진가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특히 [[봉은사역]]~[[염창역]] 사이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 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타 노선의 [[러시 아워]]와 맞먹는 수요가 발생한다. 게다가 개통 이후 오랜 기간동안 4량 1편성의 꼬마열차를 운행하였던 노선이기도 하다. 이는 9호선을 [[민자사업]]으로 건설하면서 당초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적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요금체계를 적용할 예정이어서 수요를 낮게 예측한 요인이 결정적이었다. 물론 개통 이전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포함하는 것으로 협의되면서 수요가 폭발하였다. {{현재년}}년 현재 급행과 일반 모두 6량 1편성으로 운행중이나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 급행열차의 가축수송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공항역]]~[[서울역]] 사이 2단계 구간이 완공된 이후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어 출퇴근 수요가 폭증하였다. 특시 [[청라국제도시역]], [[검암역]], [[계양역]] 등 인천광역시 북부 지역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 [[김포공항역]]~[[서울역]] 사이 2단계 구간이 완공된 이후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어 출퇴근 수요가 폭증하였다. 특시 [[청라국제도시역]], [[검암역]], [[계양역]] 등 인천광역시 북부 지역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2020년 4월 15일 (수) 08:46 판

철도

수도권 전철

이 분야의 본좌격인 신도림역의 일상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 가축수송

KTX/SRT

  • 경부축
    이른바 서대동부를 구성하는 서울역~대전역~동대구역~부산역을 운행하는 경부축 노선은 항상 높은 수요를 보여준다. 특히 주말이나 연휴가 낀 공휴일, 명절 대수송 기간 등은 입석표도 구하기가 어렵다.
  • 호남축
    경부축보다는 평소 혼잡도는 덜한 편이지만 주말이나 연휴, 명절 대수송 기간 등은 입석표까지 모두 매진된다.
  • 전라선
    전라선 계통은 호남선에서 분기하는 특성상 수요에 비해 적은 열차 운행횟수로 인해 평소에도 좌석 여유가 거의 없다. 평소 주말에도 2~3주 전에 예약을 알아보지 않으면 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운 수준. SRT는 전라선을 운행하지 않으므로 더욱 더 KTX의 수요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

일반철도

버스

항공

김포~제주 노선

단일 노선 기준으로 승객 수와 항공 좌석수 세계 1위, 운항 항공편 세계 2위라는 기록을 가진 노선이다. 2015년 기준 김포~제주 노선을 이용한 탑승객은 1,100만명을 돌파하였으며 특히 저비용 항공사의 경쟁으로 좌석 공급도 어마어마하며 티켓값도 각종 프로모션 등으로 저렴한 것도 기인한다. 무엇보다 제주도를 가기 위한 교통편이 비행기 외에는 효율적이지 못한 상황도 작용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