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항공사

저비용 항공사(LCC, Low Cost Carrier)는 기존 대형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내 서비스를 간소화하여 저렴한 항공권 가격을 사업모델로 삼는 항공사의 형태이다. 저가 항공사라고도 불리운다. 풀서비스(FSC)와 저비용 항공사(LCC)의 중간격인 항공사도 있는데 이곳은 하이브리드 항공사(HSC)라고 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좌석[편집 | 원본 편집]

저비용 항공사는 통상적으로 비행시간이 길지 않은 국내선 혹은 중단거리 국제선 위주의 노선을 운용한다. 이는 항공권 가격을 낮추는 만큼 1등석이나 비즈니스석 같은 고급좌석을 설치하지 않고 이코노미석 위주로 최대한 많은 승객을 수용하여 수익성을 높이려는 이유가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제대로 다리를 펴기조차 힘든 이코노미석[1]의 승객들이 4~5시간 이상의 비행시간을 가지는 장거리 노선을 이용하는 건 굉장한 고역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5시간 넘는 거리인 한국 - 태국 노선에도 협동체를 운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상대적으로 좌석 간격이 넓은 앞자리나 비상 탈출구 좌석은 아예 추가요금을 받고 판매하는 정책도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다.

기체[편집 | 원본 편집]

보잉 747, 에어버스 A380같은 초대형 기체들이나 장거리에 최적화된 광동체 기체인 보잉 777, 보잉 787, 에어버스 A330 등을 주력으로 투입하는 대형 항공사들과 달리 저비용 항공사들의 기체는 중단거리 노선에 최적화된 중소형 기체가 주류를 이룬다. 보잉 737, 에어버스 A320 같은 기체들이 저비용 항공사들의 주력 모델이며, 항공사에 따라 장거리에 최적화된 보잉 767 같은 기체를 굴리기도 한다. 저비용 항공사들 수익 모델 대부분이 상위급 기체를 굴리는 것 보다 중소형 기체에 이코노미로 꽉 채운 닭장을 만들어 승객을 최대한 많이 수용하고 기체 연료비 등 전체적으로 항공기 운용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항공 교통이 활성화되면서 LCC도 자산가치가 적당히 떨어진 광동체를 인수하여 장거리 노선을 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에어프레미아의 787 도입을 선두로 대륙간 운항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퀵턴[편집 | 원본 편집]

저비용 항공사의 비용 절감 방법으로 착륙후 승객들이 내린 즉시 재장비를 거쳐서 공항 대기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이다. 공항 사용료를 절약할 수 있고 비행기의 기체 운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 방법은 2008년, 미국의 사우스 웨스트 항공이 처음 시행한 것으로 처음에는 승무원이 이를 해낼 줄은 몰랐다고 한다. 탑승 게이트에서 보면 탑승시간 20분 전까지 비행기가 탑승구에서 안보이다가 비행기가 도착하더니 승객들이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기내 서비스[편집 | 원본 편집]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저비용 항공사들은 저렴한 좌석가격을 완전히 후려치는 수준으로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프로모션으로 티켓을 확보한 승객이라면 그나마도 없다시피한 기내 서비스를 완전히 포기하는 수준이 된다. 수년 전만 하더라도 대한민국의 저비용 항공사들은 국제선 노선의 경우 기내식이 샌드위치, 삼각김밥, 생수, 주스, 빵, 과일 등의 간단한 스낵박스가 기본으로 제공이 되었지만 이후 모든 저비용 항공사들이 유료 서비스로 바꾸면서 미리 예약하거나 비용을 결제 해야지만 간식, 음료, 기내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따라서 음식을 먹고자 하면 사전에 기내식 비용을 결제하거나 간단한 음식을 보안검색을 통과한 이후에 구매하거나 이륙 전 미리 밥을 사먹거나 해야 한다. 2시간 되는 거리면 사먹지 않고 도착 후 현지에 있는 식당에 가서 사먹는 것이 낫다. 음식들이 마트 또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즉석 냉동식품들이 대부분이고 편의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컵라면이 무려 5000원이다. 뭔가 특별한 음식이라거나 비행기 시간이 촉박해서 아무것도 못먹은게 아닌 이상은 추천하지 않는다.


대형 항공사들의 국제선 노선은 기내식이나 승객 좌석마다 설치된 AVOD 및 담요 같은 서비스가 기본으로 제공되지만 저가항공사들은 AVOD가 아예 없거나 별도로 와이파이 비용을 지불해서 연결한 뒤 승객의 노트북, 테블릿, 휴대폰 등으로 봐야 하며, 담요가 비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영상 건텐츠를 기기에 저장해놓거나 미리 읽을만한 잡치나 책을 구비해야 한다.

위탁 수하물도 대형 항공사에 비해 상당히 빡빡한 규정을 적용하여 무게 제한도 엄격하고, 기내 반입 수하물도 빡빡하게 체크하는 경우가 많아 짐이 많은 승객이 저비용 항공사를 이용할 시 추가적인 수하물 비용 등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그렇게 되면 풀서비스 항공사를 이용하는 비용과 맞먹어서 저가항공사를 이용하는 의미가 없게 된다. 맨몸에 배낭 하나 덜렁 메고 다니는 여행이 아니라면 캐리어 부치고 밥 사는 돈을 내는것 보다 풀서비스 항공사의 할인 클래스가 더 나을 수 있으니 잘 생각해 보자.

특가 항공권 등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에 좌석을 구매한 승객들에 대해서는 위탁 수하물 자체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물론 직원의 성향에 따라 1개 정도는 부쳐주는 경우도 있지만 융통성 없는 직원을 만나면 단칼에 위탁 수하물을 거절 당하든가 아니면 무게에 따라 위탁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수수료[편집 | 원본 편집]

저비용 항공사 예약시 고려해야 할 부분은 변경 또는 취소시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물론, 풀서비스 항공사도 여행사를 통한 예약시 수수료가 발생하긴 한다. 수수료는 50% 정도 발생하며 프로모션 할인을 받은 경우면 부득이한 취소시 환불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오해[편집 | 원본 편집]

안전하지 못하다?[편집 | 원본 편집]

저가항공사들은 비용이 저렴해서 안전 비용을 줄이고 잘 흔들리고 조종사나 정비 인력의 실력이 메이저 항공사에 비해 떨어질 거라는 선입견이 있는데 이는 편견이다. 비행기가 흔들리는건 기상상황의 문제로 순항시 비행기가 난기류를 지나갈 경우에 흔들리는 거고 난기류가 심하면 비행기가 크던 작던 흔들린다. 조종사의 경우 메이저 항공사의 인력을 채용하거나 비행학교에서 스카웃하고 정비도 메이저 항공사에 위탁을 맡기기 때문에 전문성에 차이점이 없다.

비용을 줄이는건 안전부분이 아니라 앞서 설명했듯 풀서비스 항공사에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내서비스들을 유료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줄이는 것이다.

자칫 잘못해서 사고가 나면 땅의 차사고보다 크게 나고, 회사에서 져야할 책임이 크고, 회사가 사라지게 되는데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람을 고용할 항공사는 없다.

대한민국의 저비용 항공사[편집 | 원본 편집]

국내 항공사는 오랜기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양강 구조였으나, 2004년부로 설립된 한성항공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저비용 항공사의 시대가 열렸다. 그리고 한성항공의 순항으로 후발 주자들이 지속적으로 설립되어 2024년 현재 운영중인 저비용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 티웨이항공 (IATA code : TW)
    대한민국 최초의 저비용 항공사였던 한성항공이 전신으로 2010년에 사명을 현재의 티웨이(T'way)로 변경하였다. 첫 취항은 2005년으로 당시 한성항공으로 운영되었던 시절이며, 티웨이로 사명 변경 이후 첫 취항은 2010년 9월 부터이다. 모기업은 예림당. 무주공산의 대구국제공항에 에어부산과 함께 국제선을 다수 취항하고 있다.
  • 제주항공 (IATA code : 7C)
    2006년 첫 운항을 시작한 항공사. 후발주자이나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하여 2018년 현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에 이은 국내 3위 수준의 업체로 성장하였다. 처음에는 분명 애경제주도의 합자 회사였으나, 지속적인 증자로 지금은 그냥 애경항공이 되었다.
  • 진에어 (IATA code : LJ)
    2008년 7월부터 취항한 항공사. 모기업이 대한항공이기 때문에 대한항공이 쓰다 버린 보잉 777같은 광동체기도 넘겨받아 운영하고 있다. 777은 표가 없어 못 가는 인기 노선인 방콕·삿포로 같은 곳에 두루 넣고 있다.
  • 에어부산 (IATA code : BX)
    2008년 10월부터 취항한 항공사. 부산광역시 향토기업과 아시아나항공이 공동 출자한 저비용 항공사이다. 등장과 함께 정각과 30분에 출발하는 김포-김해 노선을 취항하면서 아시아나가 해당 노선에서 철수하는 꼼수를 둬 상용 고객을 확보했다(...) 김해국제공항은 물론이고 대구국제공항에서도 국제선을 취항한다. 특징이라면 현재 운항중인 기체가 모두 에어버스사의 항공기들이라는 점.[2]
  • 이스타항공 (IATA code : ZE)
    2009년 12월 첫 취항한 항공사. 모항은 군산이지만 으레 그렇듯이 인천발 국제선과 제주 노선에 몰빵하고 있으며, 특이하게 청주국제공항에 국제선 노선을 꽂아넣고 있다.
  • 에어서울 (IATA code : RS)
    2016년 7월부터 운항을 개시한 항공사. 아시아나항공이 출자한 두 번째 저비용 항공사로, 기존 에어부산이 명칭대로 부산·경남권을 주축으로 활동하는 특성상 수도권 노선을 꽂아넣기 힘들어서 인천 허브로 런칭하였다. 돈은 안 되지만 취항하면 어찌 되었든 수요는 나오는 애매한 노선을 집중적으로 뚫고 있는데, 나리타·간사이·괌·홍콩 등 없으면 간지 안 나는 노선은 물론이고 시즈오카·다카마쓰·요나고·도야마·우베 같은 2~3선급 도시에도 적극적으로 들어가고 있다. 많은 동호인들은 재무 상태가 메롱인 아시아나가 재미 못 보는 국내선을 에어부산에 버렸듯이, 애매한 중단거리 국제선은 죄다 여기로 쓸어버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에어부산처럼 에어버스사의 A320 시리즈를 도입하고 있다.
  • 플라이강원
  • 에어로 K
  • 에어프레미아 - 이곳은 하이브리드 항공사다. 미주노선도 운영한다.
  • 하이에어

일본의 저비용 항공사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피치항공 - ANA의 자회사다. 회사의 콘셉트는 '하늘을 나는 전철'이다. 이때문에 한국에서는 '피치' 못할 때 타는 항공사 라는 오명이 붙기도 했다.
  • ZIPAIR - 일본항공의 자회사다. 회사명의 'ZIP'는 압축을 뜻하는 그 ZIP의 뜻도 담겨 있다고 한다. 787 기종을 사용하며 와이파이가 무료로 연결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이브리드 항공사다.
  • 춘추항공 일본
  • 제트스타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대형 항공사의 이코노미석보다 좌석 간격을 극단적으로 줄여 승객 수용률을 높이는 기체가 대부분이다.
  2. 에어버스 A320 시리즈로 운항중이며, 과거 모기업인 아시아나항공에서 물려받았던 보잉 737은 모두 퇴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