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마 (F.E.A.R. 시리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n)*\[\[분류:게임 빌런\]\]( |\n)* +\n))
 
(사용자 17명의 중간 판 70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스포일러}}
'''알마'''(Alma / アルマ)는 [[모노리스 프로덕션]]의 호러 FPS 게임 [[F.E.A.R. 시리즈]]의 등장인물이다.
 
시리즈 첫 작품인 《[[F.E.A.R.]]》에서부터 언급된 베일에 싸인 수수께끼의 여성으로 [[팩스톤 페텔]]이 [[복제병사]]들을 이끌고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를 뒤엎어버린 뒤 [[찰스 해버거]]를 살해하거나 [[빌 무디]]를 고문한 건 바로 알마를 찾기 위해서였다. 빌은 죽기 직전 페텔이 그 여자를 찾게 되면 큰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 때문에 [[F.E.A.R. 팀]]과 델타 포스는 페텔과 알마의 관계, 그리고 알마의 정체를 추적하며 아마캠의 숨겨진 프로젝트와 치부를 파헤치게 되었다.
 
{{스포일러||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이 문서는 [[F.E.A.R.]]를 포함해 모든 시리즈의 '''치명적인 내용 누설'''을 담고 있습니다. 웬만해서는 게임을 먼저 플레이하시고 이 문서를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정체  ==
{{인용문| '''"죽여 전부 다 죽여.'''("Kill them. Kill them all.")|???|팩스톤 페텔 앞에 나타나면서|center}}
{{인용문| '''"내 [[포인트맨 (F.E.A.R. 시리즈)|아기]]... 당장 내게 돌려줘.'''("My baby... Give him back to me.")|인터벌 9 오번 거리 이상현상 中||center}}
[[파일:Fear Alma 웰페이퍼.gif|가운데|800px]]
{{F.E.A.R. 등장인물 정보
{{F.E.A.R. 등장인물 정보
| 사진 = [[파일:Almapose.jpg|200px|가운데]]
| 제목 = 알마 웨이드
| 한글명 = 알마
| 원제목 = Alma Wade
| 원어명 = Alma
| 이미지 = [[파일:Almapose.jpg|200px|가운데]]
| 성별 = 여성
| 성별 = 여성
| 연령 = 8세(유령 모습)</br>26세(육체 모습)</br>47세(현 연령)</br>
| 연령 = 8세(유령 모습)<br />26세(육체 모습)<br />46세(1편, 2편)<br />47세(3편)
| 상태 = 유령(1편, 2편, 3편)</br>흡수됨(3편 페텔 엔딩)</br>성불(3편 포인트맨 엔딩)
| 상태 = 사망(1편 이전)<br />유령, 언데드(1편, 2편, 3편)<br />흡수됨(3편 페텔 엔딩)<br />성불(3편 포인트맨 엔딩)
| 머리색 = 검은색
| 머리색 = 검은색
| 눈동자색 = 푸른색</br>붉은색(1편, 컨셉아트들)</br>주황색(2편, 3편)</br>
| 눈동자색 = 푸른색<ref>본래 눈색. 포인트맨과 페텔, 할란, 앨리스 역시 벽안이다. 단 알마는 1편에서는 그래픽 문제로 눈동자만 아닌 눈알 텍스쳐자체가 검은색으로 되어 있다.</ref><br />붉은색(1편, 3편 컨셉아트들)<br />노란색(2편, 3편)<br />
| 보유 초능력 = 텔레파시</br> 정신조작계열(환각, 환청, 세뇌)</br> 염동력</br> 파이로키네시스</br> 현실 조작(3편)
| 보유 초능력 = ESP 계통(텔레파시, 정신, 환각, 감각조작, 세뇌, 독심술)<br />PK 계통(염동력, 파이로키네시스, 텔레포트, 생체 부식)<br />초자연 계통(유령 소환, 현실 조작)
| 성우 = {{국기그림|미국}}멜리사 로버츠(1편)</br>{{국기그림|미국}}알레이사 글라이델(2편, 3편)</br>{{국기그림|일본}}이치무라 오마(1편)
| 성우 = {{깃발|미국}} 멜리사 로버츠(1편)<br />알레시아 글라이델(2·3편)<br />{{깃발|일본}} 이치무라 오마(1편)
| 소속 = 알마의 유령</br>복제병사 부대</br>
| 소속 = [[알마의 유령들]]<br />복제병사 부대<br />
}}
}}
[[모노리스 프로덕션]]의 호러FPS게임 [[F.E.A.R. 시리즈]]의 등장인물.
= 개요 =
F.E.A.R. 오리지널 기준으로 외형은 검은 머리칼에 붉은색 원피스를 입은 8살 가량의 소녀로 [[팩스턴 페텔]]을 잡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포인트맨(F.E.A.R.)|포인트맨]]앞에 가끔씩 나타난다. 유일하게 하는 말은 "I know who you are(난 네가 누군지 알아)" 밖에 없다.


= 정체 =
오리지널 피어 인트로 동영상에서 페텔의 앞에 나타났고 게임 상에서 포인트맨의 앞에 나타나며 사라지는 '''붉은 원피스를 입은 수수께끼의 소녀'''가 바로 알마였다.
알마는 과거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진행된 초대형 극비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오리진]]과 연관된 소녀로 프로젝트 오리진은 [[프로젝트 페르세우스]]에서 만들어진 [[복제병사]]들을 통솔하기 위한 초능력자 지휘관을 만들어내는 프로젝트였다. 선천적으로 강력한 텔레파시를 지닌 알마는 이 프로젝트 오리진의 실험체가 되었었는데 당시 그녀의 연령은 8세였다. 이후 알마는 15살이 되자 이 오리진의 시제품이 될 아이들을 출산했는데 이들이 바로 첫번째 시제품이였던 포인트맨과 두번째 시제품인 팩스턴 페텔이였다. 즉 알마는 포인트맨과 페텔의 친어머니였던 셈이다.


또한 알마의 본명은 '''알마 웨이드'''로 아마캠의 유명한 과학자 [[할란 웨이드]]의 딸이자 [[앨리스 웨이드]]의 친자매로 포인트맨과 페텔에게 할란은 외할아버지, 앨리스는 이모가 된다. 따라서 이 항목은 알마 웨이드로 검색해도 넘어올 수 있다.
알마는 과거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진행된 초대형 극비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오리진]]과 연관된 소녀로 프로젝트 오리진은 [[복제병사]]들을 통솔하기 위한 초능력자 지휘관을 양성하는 프로젝트로 [[프로젝트 퍼시어스]]와 연계되었다. 선천적으로 강력한 텔레파시를 지닌 알마는 이 프로젝트 오리진의 실험체가 되었고 15세가 되자 이 오리진의 시제품이 될 아이들을 출산했는데 이들이 바로 포인트맨과 팩스톤 페텔, 즉, 알마는 두 시제품의 '''친어머니이다.''' 그러나 그녀는 자식들을 빼앗긴 분노로 인해 봉인되었고 페텔이 10세가 되던 해에 사고를 일으켜 아마캠에 의해, 폐기 처분. 요컨대 현재 시점에서는 이미 죽은 지 오래된 인물이며 널리 알려진 소녀의 모습은 영혼으로서의 모습이다.


이러한 정체때문에 알마는 F.E.A.R. 시리즈의 상징이나 다를바 없는 인물이자 모든 사건의 중심에 선 '''메인 [[히로인]]'''격인 인물이다.
알마의 본명은 '''알마 웨이드'''(Alma Wade)로 아마캠의 핵심 과학자인 [[할란 웨이드]]의 또 다른 친딸이자 [[앨리스 웨이드]]의 숨겨진 자매이다. 이렇다보니 알마의 본명은 오리지널 피어 엔딩 막바지에서나 밝혀지는 커다란 반전 중 하나이며 후속작 및 게임상에서도 그녀의 풀네임은 문서에서만 언급되고 작중 등장인물들도 알마라고만 부른다.


== 보유 초능력 ==
이러한 정체 때문에 알마는 단순한 F.E.A.R. 시리즈의 얼굴 마담인 캐릭터가 아닌 모든 스토리와 사건의 중심에 서있는 '''간판 악역(안타고니스트)이자 진 주인공 격 중요인물'''이다. 단, 오리지널 피어의 확장팩에서는 알마는 비중이 매우 없었는데 타임게이트 스튜디오에서 비벤디의 기획을 받고 멋대로 만든 스토리여서 그렇지, [[모노리스 프로덕션]] 측은 《F.E.A.R. 2》와 관련된 인터뷰에서 "타임게이트 스튜디오가 만든 스토리는 우리가 생각한 것과 방향이 다르다. 익포와 페맨은 다른 세계관으로 봐주길 바라는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것' 으로 우리가 구상한 스토리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피어는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고,(F.E.A.R. was about Alma)''' 피어 2도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런고로 우리는 스토리를 원래의 방법으로 계속 만들고 싶었다." 라고 언급. 알마를 피어 시리즈의 메인 캐릭터라고 인증을 했다. <ref>출처: [http://kotaku.com/5119011/monolith-guy-expansions-ports-sunk-fear 코타쿠 모노리스 사원의 F.E.A.R. 인터뷰]</ref>
요약하자면 '''F.E.A.R. 시리즈의 공인 세계관 최강자'''이자 자타공인 최강의 수준을 지닌 초능력자이다.


알마는 기본적으로 타인의 음적감정에 영향을 받아 초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덕분에 알마와 접촉하거나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자들은 우울증에 빠지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무기력해지거나 건강이 악화가 된다. 차남인 페텔은 알마의 대부분 초능력을 이어받았는데 작중 묘사들을 보면 알마가 더 상위호환격.
== 기원 ==
F.E.A.R. 시리즈가 [[일본]] [[호러 영화]]의 영향을 깊게 받은 작품인 만큼 알마는 전체적인 베이스와 핵심 설정(폭주한 초능력자, 검은 생머리를 가진 여성 [[귀신]], 사건의 근원)은 [[링 시리즈]]의 [[야마무라 사다코]]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특정 비주얼적 요소(특정한 컬러의 원피스를 입은 소녀 귀신)는 [[구로사와 기요시]]의 2001년 호러 영화 《[[강령]]》에 등장하는 귀신 소녀 요코에서 따왔다.<ref>이 요코도 외모와 공포 연출면에서 사다코와 똑같다는 평을 들었는데 원래 기요시 감독과 나카다 히데오 감독(링 시리즈 감독)은 절친으로 유명해서 영화를 만들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출처: [http://wolfpack.tistory.com/1180671447 강령] 2013년 9월 15일 작성자: 울프펙</ref> 이렇다보니 알마는 사다코라는 애칭으로 불려왔고 작중내 유령이지만 서양 공포물에 나오는 악마, 살인마, 유령(Ghost)보다 동양 공포물의 [[귀신]]에 매우 가깝다.


그리고 알마의 초능력 대부분은 다 파괴적이거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쪽으로 발달해있는데 이는 아버지 할란의 그릇된 양육방식으로 망가진 것이다.  
그리고 알마의 이름과 일부 특징은 피터 스트라우브의 호러 소설 《고스트 스토리》의 등장인물인 알마 모블리(Alma mobley)에서 따왔다.<ref>출처: [https://youtu.be/DUYL35hwe64?t=789 MOTHER OF THE APOCALYPSE: The F.E.A.R. Series Retrospective 13분 10초 - 알마의 기원]  참고로 알마 모블리는 《고스트 스토리》에 나오는 '유령'의 화신 중 하나로 원래 상대에 맞추어서 모습을 바꾸는 유령이다. 이 알마 모블리는 작중에서 아름다운 요부로 묘사되는데 알마의 캐릭터적 원형에도 영향을 어느 정도 주었음을 알 수 있다.</ref> 그리고 《고스트 스토리》의 영화판(1981년 개봉)에서 알마 모블리의 역은 앨리스 크리드라는 배우가 맡았는데, [[앨리스 웨이드]]는 이 앨리스 크리드의 이름에서 따왔다.


*'''텔레파시''' : 알마가 유년기때부터 타인의 음적인 감정을 받아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악몽을 꿨었는데 이 텔레파시때문이였다. 그녀의 텔레파시는 시공간및 범위를 무시하고 다수의 타인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문에 알마는 당시 금고에 갇혔을때 수백만km는 물론이고 아예 다른 장소에 있던 페텔과 연락을 하기도 했다.
== 외형 디자인 ==
*'''정신조작(환각, 환정, 감각조작, 세뇌)''' : 텔레파시를 기반으로 해서 알마는 타인들의 정신을 가지고 노는건 간단한 수준이다. 이 정신조작에 당한 자들은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거나 아예 맛이 가버려서 미쳐버리는 수준이다. 더 나아가 아예 본인만의 세계로 데려갈 수도 있다. 일반인들도 이 정신조작계열 초능력에 영향을 받으면 정신이 무뎌지는데 초능력자, 특히 정신력이 약한 자들은 이 텔레파시 능력에 의해 간단히 제압을 당할 정도이다. 게임상 나타나는 이상현상들(장소가 바뀌는 등)은 다 이 초능력에 기원한 것이다.
[[파일:Three faces alma.jpg|섬네일|왼쪽|세 가지 모습의 알마]]
*'''염동력''' : 염동력은 단순히 물건을 옮기는 정도가 아니라 성인남자는 못들 엄청 무거운 물체들도 들어올리는 수준이다. 3편에서 알마가 출산의 고통으로 소리칠때는 더 강해져서 비행기하나를 떨어뜨리거나 도시들을 파괴할 정도.
*'''파이로키네시스''' : 알마의 주특기인 사람의 살을 부식시키는건 염동력과 파이로키네시스에 기원한 능력이다. 이름답게 발화를 하거나 불을 다루는건 그녀에겐 식은 죽 먹기 수준. 이 능력은 유년기때부터 가지고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작중 과학자들은 알마를 실험할때 사지가 불타는 느낌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기때문이다. 덕분에 8살에는 이 파이로키네시스로 과학자 2명을 살해해버렸다.
*'''육체강화''' : 알마와 연결된 자들은 육체능력과 초능력도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이 묘사는 2편에서 볼 수 있는데 알마와 접촉한 [[제임스 폭스]]는 초능력이 일시적으로 강해져서 마이클 베킷을 아예 한손으로 들어올렸고 3편에서 알마의 지독한 산통으로 초능력이 개방이 되자 영향을 받은 시민들은 미쳐버림과 동시에 육체능력이 건장한 군인들은 찢어발길 정도로 강해졌다.
*'''독심술, 흡수''' : 간접적인 [[사이코메트리]]로 타인의 기억과 능력을 흡수해야하는 페텔과 다르게 알마는 그냥 텔레파시와 정신조작능력들로 독심술과 흡수가 가능하다. 작중 케일라 스톡스는 알마가 혹시 자신의 기억을 읽어서 트라우마를 일으키게 하는 공포영화에 나올법한 짓을 안했으면 좋겠다고 언급할 정도.
*'''현실조작''' : 3편에서는 현실조작의 경지에 이르러서 본인의 악몽속에 존재했던 괴물들을 실체화하기도 한다. 이 괴물들은 게임상에서는 매우 강력하다.


이렇게 알마는 ESP(텔레파시, 독심술)계통 능력과 염동력(파이로키네시스)계통, 정신조작및 나아가 현실조작의 경지에 이른 신이라고 봐도 될 존재이다.
모든 시리즈를 통틀어 어린 알마(young Alma)는 이마를 깐 검은색 긴 장발에 소매가 긴 붉은색의 원피스를 입고 있으며 발 부분은 소량의 피가 묻어있다. 알마는 《F.E.A.R. 2》를 제외하고 성인 모습보다는 소녀체로 많이 나타나고 패키지 박스 아트 및 홍보용 판촉물에서도 소녀 알마를 많이 내세우고 있다보니 소녀 알마 디자인의 인지도가 높다.


= 작중 행적 =
그리고 성인 알마(adult Alma)는 소녀 알마와 다르게 얼굴을 덮는 장발에 가슴만 가리고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나체]]의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성인 모습은 에로틱하기는커녕 매우 기괴한데, 비정상적으로 말라서 뼈밖에 안보이는 데다가 혈관이 다 드러나있고 머리는 산발이기 때문(마귀 알마/Hag Alma)이다. 단, 《F.E.A.R. 2》에서는 알마가 [[마이클 베켓]]을 유혹하기 위해 말라비틀어진 모습을 살이 붙고<del>가슴도 커진</del> 매력적인 모습으로 바꾸면서 심의로 성적 묘사가 들어갔다(섹쉬한 알마/HOT Alma).
== 본편(정사) ==
== 프로젝트 오리진 이전 행적 ==
알마의 이전 행적들은 오리지널 피어의 관련 기록들과 피어 2의 문서에서 언급이 된다.


알마는 3살때부터 타인의 음적인 감정(공포, 분노, 슬픔, 악몽등)에 지나치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거나 그로 인해서 항상 악몽을 꿨었는데 [[마샬 디즐러]]는 이때 알마가 초능력을 가지고 있다는걸 먼저 알아냈다. 이후 알마는 강력한 텔레파시 능력을 보유했다는게 밝혀지면서 실험대상이 되었는데 당시 어린 알마는 계속되는 실험과 초능력 테스트에 지쳐서 5살때 초능력 테스트에 미달, 통과를 못하게 하는 식으로 일부러 초능력을 약하게 조절했었다. 추측컨대 만일 초능력이 약하다는 것이 판별되면 아마캠에서 본인을 실패작으로 여긴 뒤 신경을 안쓸것이 뻔했으니까.  
피어 개발 다큐멘터리에서 나온 알마의 콘셉트 아트에 의하면 초안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한 형체가 없는 유령이였고 디자인이 수정되면서 현재의 붉은 옷을 입은 소녀 귀신과 나체의 성인 여성체로 나뉘게 되었다.


하지만 할란 웨이드와 일부 과학자들에게 약하게 조절했다는 것이 밝혀졌고 당시 매우 다혈질적이였던 할란은 이때부터 알마를 정신적으로 몰아넣기 시작했다. 알마가 초능력 테스트를 통과못할때마다(사실은 안하는 거지만) 윽박지르거나 통과할때까지 몰아붙이는 식이였는데 결국 알마는 아버지때문에 정신적으로 불안정해지기 시작, 이때부터 초능력은 변질이 되어서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식으로 진화했다. 당시 알마를 테스트한 과학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환청과 환각, 메스꺼움은 물론이고 사지가 불타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특히 알마는 상기에 언급된대로 타인의 음적인 감정에 영향을 받는데 특히 할란에게서 더더욱 공포와 증오심을 느꼈다고 한다.
《F.E.A.R. 3》에서 모든 인물들의 외형이 바뀐 만큼 알마도 비주얼적 요소는 특징들을 제외하고 디자인이 달라졌는데, 소녀 알마는 반팔 소매의 원피스에 신발을 신은데다가 온몸이 피칠갑이 된 모습으로 바뀌었으며 성인 알마 또한 피칠갑이 된 것은 물론이고 얼굴을 덮던 앞머리는 사라짐과 동시에 뒷머리가 땅까지 닿을 정도로 길어졌고 배는 임산부처럼 부풀어올랐다. 기존의 긴소매 원피스를 입은 소녀 알마는 컷 신에서만 얼굴을 간간히 비친다.


결국 알마는 8살때 큰 사고를 쳤는데 6단계 테스트를 하다가 파이로키네시스 능력이 발현, 과학자 2명을 불태워죽이게 되었다. 이때 7번째 테스트는 취소되었고 잠시동안 알마의 처분에 대한 회의가 열린 뒤 알마는 위험요소로 판단되어서 결국 금고에 갇히게 되었다. 이후 알마는 프로젝트 오리진의 대상자가 되어 첫번째, 두번째 시제품을 출산하기 전까지는 혼수상태로 지냈었다.
== 행적 및 묘사 ==
=== F.E.A.R. ===
=== 작중 행적 ===
상기 언급되었듯이 알마는 프로젝트 오리진의 대상자로 프로젝트 오리진은 원래 알마의 DNA를 복제해서 초능력자 지휘관을 대량으로 양성할려고 했었다. 하지만 여러 실험끝에 초능력 DNA는 단순복제는 불가능한데다가 100% 동일하게 복제, 유전이 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고 덩달아 단순히 통속에 복제한 시제품보다 시험관에서 키운 시제품의 초능력이 더 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때 할란은 잉태기간동안 영향을 받으면 초능력을 유전적으로 물려받을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프로젝트 오리진의 연구방침을 바꾸어 알마를 모체로 삼아 그녀가 일정기간동안 시제품을 잉태하게끔 만든다. 이때 알마의 나이는 14살이였다.
{{본문|알마 (F.E.A.R. 시리즈)/행적}}


알마는 15살이 되던 해에 [[포인트맨(F.E.A.R.)|첫번째 시제품]]을 출산하게 되는데 이때 분명 혼수상태였을 알마는 갑자기 깨어나 "Where are you taking him?!(그 아이를 어디로 데려가는거예요?!)"라고 소리를 친다. 즉 원치 않은 강제로 얻게 된 아이였는데도 불구하고 알마는 자신의 아이에게 어머니로서 엄청난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는걸 알 수 있다. 이후 첫번째 아이를 강제로 데려가는 할란에게 자신의 아기를 돌려달라고 애원하지만 그는 딸의 애원도 무시하고는 다시 혼수상태로 잠재워 금고에 넣게 된다.  
=== 성격 ===
알마는 작중 흑막이자 [[최종 보스]]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어서 그녀의 시점으로 묘사된 작품들이 없어 자세한 성격을 알 수 없지만, 게임 내 묘사와 기록을 통해 어느 정도 성격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마는 이어서 16살에는 [[팩스턴 페텔|두번째 시제품]]을 출산했는데 이 역시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빼앗기는걸 원치 않았다. 하지만 이미 첫번째 시제품 출산때 사고를 경험한 과학자들은 두번째 시제품 출산때는 즉각 알마를 다시 혼수상태로 만들었는데 이때 알마는 전처럼 저항도 못하고 다시 잠에 들었다.
어렸을 적에 능력으로 인해 악몽에 시달리거나 [[우울증]]을 앓고 있었고 할란의 학대로 제대로 저항을 못해 정신적으로 불안해졌으나 자신에게 해를 가한 자들에게 어떻게든 복수를 하려는 것을 보아 알마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내성적이지만 능동적인 성격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얀데레|자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나 좋아하는 것은 집착하거나 어떻게든 수단방법을 안 가리고 가져야 직성이 풀리는 면모를 가지고 있다.]]


결국 알마는 두번째 아이까지 빼앗기자 더더욱 불안정해지고 그 영향으로 초능력은 비정상적으로 강해져 금고속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영향을 끼쳐서 지속적으로 과학자들을 살해하기 시작했다. 결국 알마는 18살때 다른 위치의 금고로 옮겨가게 되었다. 두번째 시제품, 즉 팩스턴 페텔이 10살이 되던 해, 알마는 이때 페텔과 텔레파시로 접촉을 시도하게 된다. 즉각 페텔은 갑자기 흉폭해진 상태가 되어서 군인들과 과학자 몇명을 살해했는데 이 사건을 첫번째 동조 사고라고 한다. 결국 아마캠은 알마는 이대로 둬서는 안된다고 생각해 폐기처분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결국 금고안의 생명유지장치를 끔으로서 알마는 6일 후, 26세에 완전히 숨을 거두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으로 프로젝트 오리진은 기동정지가 되었다.
하지만 학대받은 영향으로 [[PTSD]]를 앓고 있어서 [[트라우마]]가 될 법한 것을 보면 매우 히스테릭한 반응을 보이고 관계없는 인물까지 죽이거나 좋아하는 상대가 자신을 받아주지 않으면 도로 적반하장으로 화를 내 해를 입히기도 한다.


하지만 알마의 정신체는 그대로 남아 계속 영향을 끼쳤고 페텔이 31세가 되던 해, 아마캠은 프로젝트 오리진을 다시 기동할 겸 오번거리의 구 오리진 시설을 없앨려고 했었다. 하지만 눈치챈 알마는 즉각 조사단들을 죽였고 아마캠이 자신의 육체를 폐기하기전 얼른 육체를 되찾기로 결정, 다시 페텔에게 텔레파시로 접촉해 그를 조종해서 아마캠을 뒤엎어버린다. 이어서 알마는 자신의 인생을 망친 오리진 관련인들도 다 없애버릴 생각으로 페텔에게 '''"그들을 죽여, 전부 죽여."''' 라고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 알마는 불행한 과거를 가졌지만 그 영향으로 성격이 매우 망가져서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어린애처럼 충동적으로 표출하고 상관없는 타인들에게 마저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는 가해자가 된 피해자격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윽고 페텔의 반란소식을 들은 할란은 죄책감이 폭발, 단신으로 오번거리의 오리진 시설을 찾아가 금고로 들어간 뒤 알마를 풀어주게 된다. 할란에 의해 개방된 알마의 육체, 즉 육체버젼의 알마는 8살 가량 소녀모습의 정신체와 다르게 20대 성인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아무것도 안걸친 나체이다. 이때부터 정신체와 육체는 다시 합쳐져 알마는 할란 웨이드를 즉각 살해해버리고는 걸어가서 나가버린다. 하지만 중간에 자신의 첫째아이, 즉 포인트맨에게 텔레파시로 접촉하면서 안아볼려고도 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 번외: F.E.A.R. 프로토타입 영상 ===
{{유튜브|fYeMngN_l3k}}


결국 오리진 시설이 폭파하면서 오번거리는 날라가버리고 포인트맨은 권진선과 더글라스 홀리데이덕에 구조되지만 갑자기 헬리콥터에서 알마가 나타나며 끝이 난다.
E3 2004에 공개된 프로토타입 영상에서는 현재 나온 피어하고 별 차이는 없지만 아마캠 본사에서 델타 포스 일원들을 살해하는 위엄을 떨쳤다. 이 장면은 후일 1편의 인터벌 2 부두가에서 알마의 첫 등장 장면으로 재편집되었다.


=== F.E.A.R. 2 Project Origin ===
== 보유 초능력 ==
피어 2 인터벌 1은 전작 피어의 마지막 인터벌과 시간대가 동일하다. 이번 편의 주인공이자 다크 시그널 요원인 [[마이클 베킷]]의 앞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이후 본인의 육체가 풀려나고 포인트맨이 탈출한 순간 오번 거리에 폭팔이 일어나며 베킷과 다크 시그널 요원들은 폭발에 휩싸여 기절한다.  
요약하자면 F.E.A.R. 시리즈의 등장한 초능력자 중 '''제일 강하고 수준 높은 능력을 가진 초능력자'''이며 《F.E.A.R. 3》부터는 본 시리즈의 [[세계관 최강자]]가 되었다.


이후 마이클 베킷은 [[제네비브 아리스티드]]에 의해서 시술을 받고 초능력이 강화되는데 막 풀려나서 점점 여성으로서 자신을 인식하던 알마는 베킷에게 반해서 여성으로서 베킷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에 빠진 뒤 그를 쫓아다니게 된다. 이때문에 피어 2에서는 소녀 알마는 거의 안나오고 성인 알마가 많이 나온다.
알마는 기본적으로 [[텔레파시]]를 이용해 타인의 음적감정(슬픔, 분노, 히스테리, 불쾌함, 혐오감 등)영향을 받아 초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알마와 접촉하거나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자들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우울증에 빠지거나 무기력해지고 건강이 악화가 된다. 이렇게 사람의 음적감정이 강해지면 알마의 정신은 다시 그것에 자극을 받아 초능력이 더욱 강해진다. 페텔은 알마의 초능력 대부분을 이어받았는데 묘사들을 보면 알마가 더 상위호환격.


물론 중간에 초능력 시술을 받고 강화된 다크 시그널 요원들하고도 접촉하는데 [[제임스 폭스]]를 홀리게 했었고 나아가 [[케드릭 그리핀]]까지 조종할려고 했었다. 하지만 폭스는 쓸모가 없다고 판단해서 살해해버렸고 그리핀은 정신력이 너무 강해서 본인의 세뇌가 안통하자 역시 수틀려서 [[케일라 스톡스]]와 베킷이 보는 앞에서 그리핀을 살해해버린다. 이때문에 스톡스는 알마를 적대시하게 된다.  
그리고 알마의 초능력 대부분은 다 파괴적이거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공격적인 형태로 발달해있는데, 할란에게 정신적으로 학대당하면서 증오심과 공포 등 음적감정을 전보다 느끼면서 진화·강화된 것이다.


[[테리 핼포트]]의 조언대로 웨이드 초등학교에 침입한 베킷은 그 와중에 또 알마에게 습격을 당하는데 알마는 자신을 거부하는 베킷에게 양칼지게 소리치고는 염동력으로 베킷을 제압해버린다. 그리고는 자신의 깡마르고 흉측한 성인 모습을 살이 붙어있는 나름대로 매력적인 성인 여성의 모습으로 바꾼 뒤 "이래도 모르겠어? 당신은 절대로 날 벗어날 없어." 라고 경고를 한 사라진다. 이후 알마는 후반부 성인 모습으로 잊을만하면 베킷을 습격한다.
=== [[ESP]] 계통 ===
* '''[[텔레파시]]'''
::알마의 기본적인 능력이자 다른 능력들의 토대. 알마가 [[프로젝트 오리진]]의 주요 실험체가 된 핵심적인 이유. 알마는 유년기부터 타인의 음적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악몽을 꿨었는데 텔레파시 능력을 제어하지 못해서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타인들의 감정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녀의 텔레파시는 본인이 원한다면 시공간 및 범위, 물량을 무시하고 생판 다른 장소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인들과 연결할 수 있으며 초자연적인 존재들도 연결이 가능하다. 알마는 당시 금고에 갇혔을때 퍼시어스 공정에 있었던 페텔과 연락을 하기도 했고 포장도 안 뜯어진 복제병사들을 16km 내외로 다 깨우기도 했다.
* '''세뇌 및 오감 조종·환각'''
::텔레파시를 기반으로 해서 알마는 타인들의 정신과 오감(촉각, 미각, 시각, 청각, 후각)들을 가지고 노는 건 간단한 수준으로 게임상 나타나는 환청과 환각 및 이상현상들은 알마의 정신, 오감 조종 초능력에 기원한 것이다. 알마와 연결된 자들은 이상현상에 시달려 정신과 오감들을 지배당해 이상현상을 보는 것은 물론이고 메스꺼움과 불쾌감을 느끼게 되어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는데 최종적으로 아예 맛이 가버려서 미친 뒤 인육을 먹는 괴물이 되거나 알마에게 빠져 집착하고 숭배를 하게 된다. 더 나아가 불특정 다수에게 알마 자신의 정신세계와 특정 기억을 보여주거나 세뇌할 수 있다. 일반인들도 이 초능력에 장기간 영향을 받으면 정신이 무뎌지는데 초능력자 중 특히 정신력이 약한 자들은 알마에게 저항을 못해 간단히 제압을 당한다. 그만큼 강한 능력이라 정신력이 강하거나 정신 조작 초능력에 어느 정도 면역이 있는 포인트맨과 베켓도 세뇌는 당하지 않았을지언정 알마가 만든 환각 현상에 갇혀 무력화되기도 했다.
* '''[[독심술]]'''
::본인이 텔레파시를 포함한 정신계통 능력자다보니 당연히 타인들의 마음을 읽는 것도 가능한데, 간접적인 [[사이코메트리]]로만 타인의 기억을 읽을 수 있는 페텔과 다르게 알마는 다른 매체물의 독심술사처럼 정신만 연결이 되면 가능하다. 게임상에서는 확실한 묘사가 안나오지만 페텔은 알마가 포인트맨의 마음을 읽을 수 없다고 말하면서 독심술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인증했고 알마가 폭스를 할란으로 착각 내지는 동일시해서 분노로 살해한 것을 보면 그의 기억을 읽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톡스는 알마가 혹시 자신의 기억을 읽어서 트라우마를 일으키게 하는 공포 영화에 나올 법한 짓을 안 했으면 좋겠다고 언급을 했었다.
* '''정신 조종을 통한 육체·능력 강화'''
::알마와 연결된 자들은 정신적으로 지배당하기 때문에 정신 리미터가 풀려 미치는 겸, 무의식 상태로 육체 능력과 맷집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주먹 한방질로 성인 남성 하나를 박살낼 있는데 초능력자일 경우에는 잠재능력이 개방되어서 초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알마와 접촉한 [[제임스 폭스 (F.E.A.R. 시리즈)|제임스 폭스]]는 근력이 일시적으로 강해져서 베켓을 들어올렸고 키건은 유령이 되었지만 베켓못지 않는 반사신경 능력으로 그와 호각으로 싸웠다. 3편에서 알마의 산통으로 초능력의 리미터가 풀려버리자 [[광신도 (F.E.A.R. 시리즈)|그녀의 영향을 받은 시민들]]은 미쳐버림과 동시에 특수부대 군인들을 가볍게 찢어발길 정도로 강해졌다. 당시 10세였던 페텔은 알마와 접촉한 염동력으로 과학자들을 터뜨려 죽인 적이 있으며 하빈저 실패작들도 알마와 연결되어서 강해지는 겸 미친 것.


후반부에는 [[해럴드 키건]]을 조종해서 홀린 뒤 베킷이 알마를 무찌르기 위해 초능력 증폭기 안에 들어가자 얼른 들어가서 세뇌한 키건을 베킷의 정신세계에 보낸 뒤 그 중간에 알마는 베킷을 [[역강간]]을 하게 된다. 하지만 베킷은 알마와 키건의 공격에도 굴하지도 않고 초능력 증폭기를 올려버림으로서 알마를 무찌르는가 싶었지만...
=== PK 계통 ===
* '''[[염동력]]'''
::텔레파시와 마찬가지로 알마의 물리적 초능력의 토대가 되는 능력이다. 알마의 염동력은 단순히 물건을 이동시키는 정도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물건을 마음대로 움직이게 하고 성인 남자도 못드는 엄청 무거운 물체들도 깃털 들어올리듯 가볍게 이동시킨다. 주특기인 생체 부식도 이 염동력에서 나온 능력인데 나노분자 단위의 물질도 하나하나 섬세하게 조종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1편에서는 생체 부식 능력을 포함해 문이 갑자기 닫히거나 유리창이 갑자기 깨지는 식으로만 묘사되었지만 2편에서 이 염동력 사용 연출이 늘어났는데 폭스와 그리핀을 내동댕이쳤고 베켓도 그냥 들어올려 제압한데다가 대량의 철제 박스들도 이동시켰다. 2편 DLC에서는 자동차를 들어올려 폭스트롯 813에게 날려버리기도 했다. 3편에서 알마가 출산의 고통으로 소리칠 때는 더 강해져서 헬리콥터와 포트들을 떨어뜨리거나 건물과 지형들을 파괴할 정도. 피어 프로토타입의 삭제된 영상에서는 델타포스 일원의 팔 하나를 잘라먹기도 했다.
* '''[[텔레포트]]'''
::이 텔레포트 능력은 감독판 실사 영상에서 그린 박사에게 써먹었고 2편에서도 써먹었다. 그냥 기본적인 순간이동 능력. 단, 페텔이 자신만 이동하는 수준인 반면 알마는 타인과 물체, 비물질도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1편에서 스펜서 잰카우스키의 유령이 갑자기 사라졌다 나타났다하는 것도 이 능력 때문이고 2편에서는 세뇌한 키건의 유령을 베켓의 머릿속으로 보냈다.
* '''[[파이로키네시스]]'''(발화 능력)
::이름답게 발화를 하거나 불을 다루는 건 그녀에겐 식은 죽 먹기 수준. 단, 자주 나타나는 능력은 아니라 당시 과학자들이 알마의 곁에 있을때마다 사지가 불타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 실험단계에서 2명의 과학자들을 불태워 죽었다고 언급되는 것, 1편 한정으로 등장할때 불들과 같이 나오거나 인터벌 2 막바지에 주변을 폭파시키면서 포인트맨을 날려버렸다는 묘사밖에 없다. 오히려 알마가 파이로키네시스를 자주 사용하는 작품은 비공식인 [[피어 익포]]가 유일한데 교회를 통째로 불태워서 포인트맨을 위협했다.
* '''생체 부식'''
::알마의 주특기이자 대표적인 초능력으로 주 공격수단이다. 손대지 않고 피부와 근육, 오장육부를 순식간에 녹여버리는 능력으로 게임상 나타나는 피투성이의 해골 오브젝트들은 알마의 해당 초능력에 당한 희생자들이다. 이 능력도 시공간, 범위, 물량 제약이 전혀 없어서 본인이 다른 곳에 있어도 죽일 수 있으며 단 몇 초만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녹여버리기도 한다. 원래는 딱히 이렇다할 연출이 없이 희생자가 순식간에 녹아버리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2편에는 머리카락 같은 검은 촉수를 구현화해서 상대를 잡아채 녹이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1편 끝판부에 육체 상태의 알마에게 포옹당하면 즉사해버리기도 한다.


알마는 사라지기는 커녕 멀쩡히 서 있었던데다가 이미 아이하나를 임신한 상태였다. 알마는 정신차린 베킷의 앞에 텔레포트로 이동하더니 베킷의 손을 잡아다가 자신의 배에 가져다 대는데 뱃속의 아이는 "엄마.." 라는 말을 남기고 알마는 미소를 짓는다.
=== 초자연능력 계통 ===
* '''신체 변형''' (변신술)
::보통 능력자 배틀물의 변신 능력은 자신의 신체를 바꾸는 물리적인 능력이지만 알마는 유령이기 때문에 육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신 영혼의 모습을 바꾸는 초자연적인 능력이다. 이렇다보니 알마는 8세 소녀체로 주로 나타나고 본인이 원하면 성인체로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겉모습 변형도 가능해서 말라비틀어진 모습을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바꾸기도 했다. 단, 이 신체 변형은 자신이 죽은 나이대(26세)와 자신의 기억속에 남은 나이대(8세 이전) 한정으로만 바꿀 수 있고 성별이나 형태 자체를 자유재재로 바꾸지는 못한다.
* '''유령 소환'''
::생체 부식과 더불어 알마의 주특기 중 하나로 유령들은 [[알마의 유령들|알마에게 살해당한 피해자들의 원념이 구현화된 존재이자 휘하로 귀속된 존재들]]이다. 정황상 본인의 텔레파시 능력을 이용해 조종하는 듯하다. 알마가 금고에 갇혔을 때는 그저 이상현상에서만 나타났지만 풀려난 이후에는 현실에서도 소환되기 시작해 2편에서는 심심하면 볼 수 있다. 스펜서 잰카우스키와 키건은 알마에게 죽은 뒤 영혼이 귀속당해서 수하로 부려먹혔었다.
* '''[[현실 조작]]''' (상상 구현화)
::3편에서는 단순히 유령만 소환했던 능력이 아예 현실 조작(상상 구현화)의 경지에 이르러서 본인의 악몽 속에 존재했던 괴물들을 실체화하기도 한다. 3편에 등장하는 괴물형 적인 청소부(Scavenger)가 바로 알마가 상상하던 괴물들이며 크립은 자신의 기억속에 있던 할란을 형상화시킨 것이다. 번외로 멀티플레이 모드 진통에서는 알마가 만들어낸 죽음의 구름이 나오기도 한다.


이 아이는 [[세번째 아이]]로 포인트맨과 페텔에게는 [[이부형제]](이부남매)가 된다. 이러한 충격적인 결말때문에 후속작은 알마와 세번째 아이를 중심으로 갈 것 같다는 추측이 대세였다.
=== 번외 ===
작중 최강의 능력을 가진 초능력자인 만큼 초능력 에너지 지수도 매우 높은 편인데 8세에 금고에 처음 갇혔을 때는 컨테이너의 억제장치를 다 켜야 겨우 제어가 가능한 수준이였고 금고에 갇혔을때도 초능력이 날이 갈수록 강해졌을 때 1편에서는 오번 거리의 시민들에게 악영향을 끼쳤으며 페텔에게 연락을 했었다. 또한 사후에도 여전히 초능력을 무리없이 썼고 더 강해지기도 했으며, 2편에서도 베켓이 알마를 없애기 위해서 초능력 증폭기에 있는 장치들을 셧다운한뒤 알마를 억제해서 영구감금내지는 소멸시킬려고 했으나 실패한 것을 보아서는 알마는 억제실도 통하지 않는 5급 이상 초능력자라는 결론이 나온다.


=== F.3.A.R. ===
이렇게 알마는 ESP(텔레파시, 독심술, 정신 조작) 같은 정신적 계통 능력과 염동력(파이로키네시스) 같은 물리적 계통 능력의 한계를 넘어섰고 파생 능력들도 매우 강력한데다가 3편에서는 현실 조작의 경지에 이른 '''신'''이라고 봐도 될 존재이다. 그러나 작중 등장인물들은 그녀를 통제가 불가능한 '''최악의 괴물'''로 표현하고 있다.
3편 시점에서는 시간이 지나서 막내아이의 출산을 눈앞에 바라보고 있고 알마는 산고를 겪으면서 안그래도 강했던 초능력이 더 강화되어서 페어포트 시 전체를 아예 묵사발을 만들어버린다. 그녀가 비명을 지를때마다 건물이 부서지는건 예사고 멀쩡히 지나가던 헬리콥터까지 격추시킬 정도이다. 심지어 시민들은 정신이 나가서 인육을 먹고 사람들을 죽이는 괴물로 변질되었고 더 나아가 알마는 현실 조작 능력까지 손에 얻어서 자신의 악몽속에 존재했던 괴물들을 실체화하기까지 이른다.


이렇다보니 3편의 스토리는 유령으로 부활한 팩스턴 페텔과 아마캠에 잡혔다가 페텔의 도움으로 풀려난 포인트맨이 어머니의 출산을 돕느냐 가로막느냐등 형제가 서로의 목적을 가지고 협력해 알마를 찾아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약점 ===
단, 알마 역시 [[먼치킨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완전무결한 최강자]]는 아니기 때문에 소소한 약점들이 있는데, 크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정신력이 강하거나 정신계통 초능력에 면역이 있는 자'''
::알마의 ESP 초능력은 멀쩡한 사람들을 단기간에 미쳐버리게 할 정도로 강력하지만 면역이 있거나 정신이 강한 자, 초능력이 없는 일반인에게 잘통하지 않거나 안먹히는 약점이 있다. 일례로 포인트맨은 알마와 직접 접촉했는데도 불구하고 정신적으로 미치지는 않았고 세뇌도 당하지 않은데다가 알마는 유일하게 포인트맨의 마음은 전혀 읽지 못했다. 세드릭 그리핀과 마이클 베켓은 포인트맨 같은 면역은 없지만 정신력이 매우 강했기에 알마에게 세뇌당하지 않았는데, 앞의 셋을 제외한 알마의 초능력 영향을 받지 않은 네임드 일반인들은 [[권진선]]과 [[키아라 스톡스]], [[더글라스 할러데이]], [[제네비브 아리스티드]], [[마뉴엘 모랄레스]] 등이 있다.
* '''정신불안, 감정조절장애로 인한 불안정한 초능력 컨트롤'''
::알마는 정서적 학대를 받은 과거로 인해 정신이 불안정해짐과 동시에 초능력도 강해졌지만 자신의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무언가를 보거나 외적인 고통에 빠지면 과잉 상태에 돌입해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묘사들이 나온다. 이로인해 본인이 격노하거나 고통을 느껴 부정적으로 변하면 초능력이 비정상적으로 강해져 충동적으로 사람을 죽이거나 더 나아가 지역, 건물들까지 파괴한다. 2편에서는 폭스와 레드 잰카우스키를 본의 아니게 살해해버렸고 3편에서 산고로 사람들을 미치게 만들거나 도시를 다 파괴해버려 뱃속 아기까지 재앙의 근원으로 도매금으로 낙인이 찍히는 것에 기여했다.
* '''경험부족, 지식부족으로 인한 충동적이고 구멍이 많은 계획과 전략'''
::어렸을 때부터 교육은커녕 아무것도 못하고 갇혀 산 영향인지 알마는 후일을 생각안하고 충동적으로 일을 벌이거나 미숙하게 계획을 짜는 일이 종종 나온다. 생전엔 아직 어렸던 페텔과 접촉하는 바람에 동조 사건을 일으켜 페텔의 정신을 망가뜨리고 본인마저 죽음에 이르게 했었으며 몇 년 후 페텔을 무대포로 또 조종하는 바람에 아마캠과 F.E.A.R.팀에게 발각되었고 2편에서는 베켓을 무작정 습격할 뿐 전중후반까지 마땅한 계획도 세우지 않았다. 심지어 최후반부에는 복제병사들을 사용한답시고 폐기된 실패작까지 끌어모아 무작정 돌격만 하다가 베켓 한 명에게 다 전멸해버리기도 했는데 이 광경을 본 [[모랄레스 병장]]은 "누군가가 지휘하는 건 아니고 자기네들 멋대로 튀어나오는 것 같다." 라고 언급했었다.


이렇다보니 알마는 전작처럼 얼굴을 비치거나 누군가를 죽이지 않고 때때로 아주 가끔씩만 나타나며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심지어 8살 가량의 소녀 모습이 아닌 10대 초반의 청소년 모습으로도 등장을 한다.  
단, 알마에게 있어 이 정도 문제들은 그냥 귀찮은 골칫거리일 뿐으로 실제로 앞서 언급된 포인트맨, 그리핀, 베켓은 생체 부식과 염동력, 파이로키네시스 등 염동력 계통 초능력에는 일절없이 당했으며 세뇌만 당하지 않았지 환각 세계에 갇혀 무력화되는 등, 감각조작 능력에 엄청나게 농락당했다. 전략과 계획 등 머리를 써야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본인의 초능력이 워낙 막강하다보니 딱히 필요가 없었는데 1·2편의 사건들은 미숙한 진행 때문에 잡음이 많았을지언정 결과만 보면 알마의 계획은 다 성공했으며 키건을 이용해서 베켓을 무력화한 것을 보면 전술·전략만 못 짜는 거지 완전히 무지한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제병사들은 알마에게는 편히 쓸만한 도구 중 하나였을 뿐이지 반드시 필요한 전력 수단은 아니었기에 함부로 다룬 것이였다.


엔딩 막바지에서 겨우 얼굴을 비치는데 알마는 산고만 아닌 배가 고치마냥 흉측하게 부풀어 올라서 누워서 신음소리만 내고 있었을 뿐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중간에 페텔은 야욕을 드러내면서 형에게 어머니를 같이 먹고 신이 되자고 종용하지만 포인트맨은 [[권진선]]의 명만 따라 알마의 배에 총을 겨누는데 페텔은 가족을 배신때리지 말라며 소리치고는 형을 공격, 형제간 골육상쟁이 펼쳐지고 이때 점수가 더 높은 캐릭터의 엔딩이 뜨게 된다.
일반인 같은 경우에는 초능력자들처럼 단기간에 세뇌시키는 것이 어렵다는거지 그린 박사와 알마를 테스트한 과학자들, 오번 거리 거주민, 페어포트 시 시민들은 알마와 같이 있거나 알마가 있는 곳에 살아 장기간동안 영향받아서 정신이 망가진 케이스다. 상기 알마의 초능력에 당하지 않은 일반인 4명은 정신력과는 별개로 알마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지 않거나 영향에 벗어난 곳에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팩스턴 페텔 엔딩에서는 페텔은 포인트맨의 육체를 차지하는데 성공하고 알마의 출산을 도와 막내동생을 받아준다. 페텔은 막내동생을 잘길러주겠다고 말하고는 알마를 보더니 어머니의 강력한 힘이 필요하다고 말하고는 알마를 습격, '''어머니를 뜯어먹는 [[패륜]]을 저지른다.'''  
== 주제곡 ==
=== '''Alma'''(알마) ===
{{유튜브|uVK480tPjG8}}


반대로 포인트맨 엔딩에서는 포인트맨은 1편에 그랬던 것처럼 동생의 머리에 총알을 박아주고 페텔은 형에게 배신당했다는 충격감에 빠져 증오어린 말을 하고는 사라진다. 그리고 포인트맨은 마음을 바꾸고는 알마의 출산을 도와 막내동생을 받아주는데 알마는 그러한 장남의 모습을 보고는 안심한 표정을 짓더니 육체가 소멸, 성불하게 된다.
피어 1에서 할란 웨이드가 알마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녀를 금고에서 풀어줄 때, 포인트맨이 회상으로 보는 오리진과 관련된 진상에서 나오는 BGM이다. 알마의 정체를 폭로하는 BGM이다.


이때문에 페텔 엔딩과 포인트맨 엔딩중 둘다 알마는 정말로 세상을 떠나버렸기때문에 4편의 스토리는 알 수 없게 되었다. 단 알마는 피어 시리즈의 상징인 중요한 인물이다보니 그녀는 직접 등장은 못하겠지만 알마의 이름과 흔적은 어느정도 언급될 것으로 추정된다.
=== '''Take Her To The Vault'''(그 아이를 금고에 가둬) ===
{{유튜브|1gJ1TlXutrI}}


== 번외(확장팩, 온라인) ==
『Alma』와 『Alma's Music Box』을 합쳐 만든 어레인지 BGM으로 베켓이 스틸 섬 오리진 시설에 들어가는 순간, 알마의 과거를 볼 때 나온다. 곡의 주제도 『Alma』처럼 알마의 과거를 폭로하는 것이 중심이지만 20초 정도로 매우 짧다.


= 기타및 트라비아 =
=== '''Alma's Music Box'''(알마의 [[오르골]]) ===
*알마의 모티브는 [[링 시리즈]]의 [[야마무라 사다코]]이다. 일단 선천적으로 강력한 초능력을 보유한 여성에 긴 장발머리를 한 귀신이라는 점, 본인의 초능력을 이용해서 복수할려는 점을 영향받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머니 귀신에 어린아이의 모습을 한 프랜차이즈의 얼굴마담이라는 점에서는 [[주온 시리즈]]의 [[사에키 카야코]]와 [[사에키 토시오]]와 비슷한 면이 있다.
{{유튜브|-GjJ0zwajiE}}


*알마(Alma)의 이름은 스페인어와 라틴어로는 영혼(soul)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독일어로는 알마 마터(Alma Mater)라고 해서 모교(母校)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알마 본인이 귀신에 어머니라는 점에서는 걸맞는 네이밍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여성의 이름으로도 많이 붙여지는 이름이다.
알마가 생전에 아낀 오르골의 음악으로 아리스티드가 할란의 사무실에 갔을때 음악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오르골을 가져왔다고 한다. 《F.E.A.R. 2》의 메인 테마곡이기도 해서 인트로 영상에 [https://youtu.be/MX2pOWIVs58 어레인지 버전으로 나왔고] 음악 선생으로 추정되는 유령이 웨이드 초등학교 음악실에서 이 음악을 연주했다. 배경설정도 그렇고 사실상 알마의 테마곡 겸 F.E.A.R. 시리즈의 이미지 송으로 고정되어서 《F.E.A.R. 3》에서 인트로 영상 일부는 물론이고 알마가 흥얼거리기도 한다.


*또한 [[사일런트 힐 시리즈]]의 [[알레사 길레스피]]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이외에 [[엘펜리트]]루시, [[스티븐 킹]]의 유명 호러 소설이자 그 소설의 여주인공인 [[캐리]]와 비슷한 면을 가지고 있다.
== 트리비아 ==
* 오리지널 피어에만 있는 이스터 에그로 인터벌 1에서 건물로 들어갈 때 앞에 있는 계단 쪽 책상으로 가로막힌 문을 열려 하면 이상현상과 함께 갑자기 들어가게 된다. 구석에는 붉은 옷을 입은 소녀가 나타나자마자 사라지고 이후 복도에 있는 정문에 들어가면 하얀 플래시백과 함께 "아빠 미워!(I hate you Daddy!)"라는 매우 어린 소녀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즉, 알마의 할란에 대한 감정을 알 수 있는 [[이스터 에그]] 이벤트라 볼 수 있다. 할란이 죽은 후에도 알마는 여전히 할란을 두려워함과 동시에 매우 증오하고 있는데 2편에서 폭스 병사를 살해한건 할란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서 분노를 통제하지 못했던 것. 3편에서는 이 아버지를 형상화한 크리프를 보면 놀라서 도망가거나 울기도 한다.
* 호러 영화 《[[캐빈 인 더 우즈]]》에 등장하는 '느리게 걷는 무서운 미국 소녀(American Slow Walking Creepy Girl)'는 이 알마에게서 모티브를 얻은 캐릭터로, 후반부 복도 장면에서 짤막하게 등장한다. 경비원의 살을 녹이더니 자장가 『Hush Little Baby』를 부르면서 등장은 끝. 이 느리게 걷는 무서운 미국 소녀는 원조 알마와 다르게 반팔의 시원한 하얀색 원피스를 입고 있어서 한 번만 보면 사다코로 착각할 정도로 눈치채기 힘들다. 즉, 알마의 원본인 사다코와 알마를 적절히 섞은 것이라 볼 수 있다.
* 알마는 각종 게임 관련 캐릭터 상을 타거나 순위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는데 COMPLEX 선정 배드 걸 클럽 25위 선정 25위<ref>출처: [http://www.complex.com/pop-culture/2011/06/25-most-diabolical-she-villains/ COMPLEX 배드 걸 클럽 25위]</ref>, 무서운 게임 캐릭터 10위중 3위<ref>출처: [http://www.fhm.com.ph/entertainment/games/10-scariest-game-characters-ever 무서운 게임 캐릭터 10위]</ref>최고의 비디오 게임 악역 100위중 선정 18위 <ref>출처: [http://www.gamesradar.com/top-100-villains-video-games/ 최고의 비디오 게임 악역 100위]</ref>, 일본의 게임웹진 게임스파크 선정 무서운 호러 게임 크리쳐 3위에 올랐다.<ref>출처: [http://www.gamespark.jp/article/2009/11/13/20925.html 게임스파크 게임에 등장하는 가장 무서운 크리쳐 13위]</ref> 이어서 screwattack 선정 비디오 게임 유령 탑 10위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ref>출처: [http://www.screwattack.com/shows/originals/screwattack-top-10s/top-10-ghosts-video-games screwattack 선정 비디오 게임 유령 탑 10위]</ref> 2010년 8월 26일에 올라온 IGN 선정 비디오 게임 속 악역 인기 73위에 기재되기도 하였다.<ref>출처 [http://www.listal.com/list/top-100-videogame-villains IGN 선정 비디오 게임 속 인기 악역]</ref>
* 1편 기준으로 알마의 성우인 멜리사 로버츠는 본래 앨리스 웨이드의 전담 성우로 일종의 1인 2역이다. <del>설정상 둘이 자매이니 말이 되는 캐스팅...이려나?</del> 2편에서는 알레시아 글라이델이 알마의 전담 성우로 변경되었는데 목소리톤은 멜리사 로버츠가 연기한 성인 알마에 비해 톤이 낮은 편이다.[https://youtu.be/WRvrwECbSGI 피어 2 알마 대사 모음집] 알레시아 글라이델은 [[포탈 시리즈]]의 여주인공인 첼의 모션을 맡은 적이 있으며 모노리스 관련 게임으로는 《[[컨뎀드 2: 블러드샷]]》의 몬스터인 여자 인형과 [[매트릭스 온라인]]의 여성 플레이어의 목소리를 담당했다.
* 알마가 태어난 연도는 게임 본편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설정집 아마캠 필드 가이드에서는 페텔은 1995년~1996년 사이에 태어났다고 서술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아 알마는 한 1979년~1980년생이라고 유추가 가능하다. 단, 알마가 처음으로 금고에 갇힌 연도가 1987년이었고 피어 본편 사건이 시작된 년도가 2025년이라는 것을 보아서는 페텔은 1995년에 태어났고 알마는 1979년생일 확률이 높다.
* 각 시리즈와 설정집마다 알마와 페텔의 관계에 대한 묘사가 천지만별이라 알마는 포인트맨에게 집착하지만 페텔은 싫어해서 냉대했다는 해석이 있다. 하지만 《F.E.A.R.》에서 알마가 먼저 접근을 시도한 건 페텔이었고 《F.E.A.R. 2》에서 알마는 페텔 출산 때도 깨어났다는 서술이 있었고 《F.E.A.R. 3》에선 링크도 안 되는 포인트맨보다 페텔에게 더 관심을 보인 묘사가 있다. 즉, 페텔을 후반부에 죽게 내버려둔 건 당시에 육체를 되찾는 것에 집중하다보니 페텔에게 신경을 못쓴 것이며 그 집요하게 관심을 보인 포인트맨도 이상현상에 빠뜨리는 식으로 괴롭혀서 자신의 능력도 생각하지 않고 포옹해 죽여버리기도 했다.<ref>이에 아마캠 필드 가이드에서는 왜 알마가 페텔에게 포인트맨에 비해 관심이 없었는지 보충설명을 위해서 페텔 출산 때는 혼수상태 유지에 성공해서 인식을 못했다는 서술을 넣었다. 그러나 정작 피어 2 본편에서 깨어났다고 나와서 부정해버렸고, 한술 더 떠서 2편 알마의 대사집 중에 [https://youtu.be/WRvrwECbSGI?t=256 "Give them back. I want my bab'''ies''' back.(제발 돌려줘. 내 아기'''들'''을 돌려받길 원해)"]라는 대사가 있다. 즉 페텔에게도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ref> 그나마 객관적이나마 작품 외적으로 보면 F.E.A.R. 시리즈는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아닌 페텔은 포인트맨보다 비중이 떨어져 묘사가 소홀히 되었고 이용하는 모습만 보여주었고 설정충돌로 인해 알마는 페텔에게 애정이 없다고 인식이 된 것이다. 알마는 일단 자식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는데 오리진 형제들은 존재자체도 모르고 30년 이상을 산데다가 알마와 만날때마다 안좋은 일들만 많이 당해서 생물학적 어머니로만 인식할 뿐 그녀에게 애정은 없다. 포인트맨은 자신에게 다가오려는 알마에게 총질을 가한 적이 있었고 <ref>피어 1 인터벌 11 마지막에서 오리진 시설로 추정되는 현상에 갇히는데 이때 육체 알마가 포인트맨에게 다가온다. 당연히 알마에게 포옹당하면 즉사하니까 총을 쏴서 알마를 없애버려야 살아남을 수 있다.</ref> 3편에서 잠시나마 죽이려고 했으며 페텔은 2편 DLC에서 알마와 대립 플래그를 찍었을 정도로 그녀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심심하면 크고 작은 게임 웹진에서 선정하는 '''비디오 게임 속 최악의 어머니''' 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ref>출처: [http://coopdojo.com/coop_teachings/the-worst-moms-in-video-games/ 비디오 게임 속 최악의 어머니들]<br />출처: [http://techzwn.com/2012/05/top-10-worst-video-game-mothers/ 탑 10 최악의 비디오 게임 등장 어머니] 비단 이 기사들만 아닌 구글에 영어로 비디오 게임에 등장한 어머니 캐릭터나 최악의 어머니 캐릭터를 치면 관련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는데 그곳에서도 알마는 항상 빠지지 않는다.</ref>
* [[코나미]]의 호러 어드벤처 게임 [[사일런트 힐 시리즈]]의 [[알레사 길레스피]]([[쉐릴 메이슨]])잘 찾아보면 공통점이 많아서 호러 게임 팬덤에서 많이 비교되거나 2차 창작 [[팬아트]] 등에서 엮이기도 했다. 물론 사일런트 힐은 1999년도에 발매되었으니 알레사가 더 선배급이다. [[바이오쇼크 시리즈]]의 [[리틀 시스터]]하고 [[2차 창작]]물에서 엮이기도 하며 일본 만화 《[[엘펜리트]]》의 [[루시 (엘펜리트)|루시]], [[스티븐 킹]]의 유명 호러 소설 《캐리》의 여주인공, 더 나아가 만화 《[[AKIRA]]》의 [[시마 테츠오 (AKIRA)|시마 테츠오]]와 비교되기도 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사다코만 아닌 어머니 귀신이라는 점에서 [[주온 시리즈]]의 [[사에키 카야코]]와 공통점도 있다. 《F.E.A.R. 2》에서 알마의 신체 부식 능력이 머리카락처럼 생긴 검은 촉수를 구현화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카야코의 주 능력인 머리카락 소환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 일본에서 제작된 호러 어드벤처 게임 [[콥스 파티 시리즈]]의 중요인물 중 하나인 [[시노자키 사치코]]는 알마의 외향적 특징(검은 장발 + 붉은 원피스)과 매우 비슷한 캐릭터다. 콥스 파티 시리즈의 전신이자 1996년에 발매된 프리웨어 게임 《[[콥스 파티]]》 때부터 사치코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긴 장발에 붉은 옷을 입은 소녀가 나온 것을 보면 어쩌다가 나온 우연의 일치이다. 이 검은 장발과 붉은 옷 귀신이라는 컨셉은 [[MUGEN]] 엔진으로 만들어진 2D [[대전 액션 게임]] 《[[The Black Heart]]》의 노로코도 차용하고 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자면 일본의 [[코단샤]]에서 발매된 《학교괴담》(学校の怪談)과 이를 원작으로 한 1995년에 나온 영화 시리즈에 [http://lineq.jp/q/163625/image/sc0 붉은 옷을 입은 소녀 귀신]이 나온다. 알마가 붉은 옷을 입고 있는 건 개발진이 캐릭터의 상징을 위해 입힌 것이라고 언급했다.
* 같은 개발자인 크레이그 하버드가 만든 호러 FPS 게임 《[[Betrayer]]》의 등장인물인 태비사 마클리와 앨리슨 마클리 자매는 작품내 포지션(작품 내 만악의 근원, 최종 보스격인 핵심인물)도 그렇고 외향적인 요소(죽은 지 오래된 원령, 붉은 옷을 입은 여인)등 알마와 공통점이 매우 많다.
* [[제로 펑추에이션]]의 얏지는 《F.E.A.R. 3》를 리뷰할때 우스갯소리로 피어 1·2·3의 패키지 커버 디자인은 카메라 앞으로 워킹하는 알마를 묘사하고 있다고 언급을 했다. [https://youtu.be/FDBRIC--hOY?t=327 보러가기]


*일본에서 제작된 호러 어드벤쳐 게임 [[콥스파티 시리즈]]의 중요인물중 하나인 [[시노자키 사치코]]는 알마의 영향을 받은 캐릭터로 추정되는데 둘다 붉은색 원피스에 긴 장발머리를 하고 있기때문인것 같다.
== 《바이오하자드 7》의 이블린과 비교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정식 넘버링 타이틀 《[[바이오하자드 7]]》의 최종 보스이자 핵심 악역인 [[이블린 (바이오하자드 7)|이블린]]은 "정신지배 능력부터 시작해 흑색 장발의 원피스를 입은 소녀, 가족에게 집착한다는 성질" 등 알마와 비슷한 점이 매우 많아 국내외 게임 커뮤니티에서 많이 회자되었다. 그 이유는 《바이오하자드 7》의 시나리오 라이터인 [[리처드 피어시]]가 피어 익포와 페맨의 각본을 맡아서이다.


*한때 「게임계 최악의 어머니」상을 받기도 했었는데 일단 알마는 자신의 아이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지만 본인의 부정적인 초능력이 너무 막강하다보니 자식들에게 엄청난 민폐를 끼치기 때문이다. 특히 페텔이 3편에서 파괴신이자 증오의 화신으로 타락해 맛이 간건 과거 알마와 접촉한 영향으로 알마의 부정적인 감정들과 동화되었기때문이고 포인트맨은 1편에서도 그랬지만 알마의 초능력때문에 엄청난 고생을 한데다가 심지어 알마에게 죽기까지 한다. 차라리 애정이 없으면 모를까 알마는 자식들에 대한 모성애가 너무 강하다보니 자신의 능력의 부작용은 생각도 안하고 어떻게해서든 자식들과 직접 대면해서 볼려고 하는 것이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잘못된 애정방식(?)으로 피해를 본 사람은 마이클 베킷이다.
그러나 똑같은 악역에 최종 보스지만 이블린은 베이커 일가를 망가뜨린 천하의 악녀라고 욕을 먹고 알마는 동정받는 등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리고 있는데, 이블린은 동정받을 만한 불행한 과거사 묘사가 없는 걸 넘어서서 작중에서 적대할 수밖에 없는 묘사가 많은 반면, 알마는 알마 개인보다는 그녀의 인생을 망가뜨린 아마캠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가 많고 알마는 왜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당위 설명이 많아서 그렇다. 악행만 두고 보면 오히려 이블린보다 알마의 악행 스케일이 더 큰 편이다.


*피어 시리즈가 알마와 주인공인 포인트맨의 관계묘사에만 치중되다보니 알마와 페텔의 관계묘사는 소홀히되거나 더 나아가 알마는 페텔을 자식취급을 안한다는 극단적인 해석이 나오기도 했었는데 관련문헌들에도 나오다시피 알마는 페텔에게도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피어 3 페텔엔딩은 알마가 페텔을 선택했다가 페텔에게 배신당해 잡아먹힌다는 내용이다.
== 관련 문서 ==
* [[프로젝트 오리진]]
* [[프로젝트 파라곤]]


*호러 영화 [[케빈 인 더 우즈]]에서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다. 특이하게 모티브를 삼은게 아니라 아예 캐릭터자체를 데려왔는데 케빈 인 더 우즈의 알마는 원조 알마와 다르게 반팔의 하얀 원피스를 입고 있어서 눈치채기가 힘들다.
* [[할란 웨이드]]
* [[마이클 베켓]]
* [[포인트맨 (F.E.A.R. 시리즈)|포인트맨]]
* [[팩스톤 페텔]]
* [[아기 (F.E.A.R. 시리즈)|스포일러 주의]]


{{틀:F.E.A.R. 시리즈}}
{{각주}}
{{F.E.A.R. 시리즈 등장인물 목록}}
[[분류:F.E.A.R. 시리즈의 등장인물]]

2023년 11월 7일 (화) 03:55 기준 최신판

알마(Alma / アルマ)는 모노리스 프로덕션의 호러 FPS 게임 F.E.A.R. 시리즈의 등장인물이다.

시리즈 첫 작품인 《F.E.A.R.》에서부터 언급된 베일에 싸인 수수께끼의 여성으로 팩스톤 페텔복제병사들을 이끌고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를 뒤엎어버린 뒤 찰스 해버거를 살해하거나 빌 무디를 고문한 건 바로 알마를 찾기 위해서였다. 빌은 죽기 직전 페텔이 그 여자를 찾게 되면 큰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 때문에 F.E.A.R. 팀과 델타 포스는 페텔과 알마의 관계, 그리고 알마의 정체를 추적하며 아마캠의 숨겨진 프로젝트와 치부를 파헤치게 되었다.

'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정체[편집 | 원본 편집]

"죽여 전부 다 죽여.("Kill them. Kill them all.")
— ???, 팩스톤 페텔 앞에 나타나면서
"내 아기... 당장 내게 돌려줘.("My baby... Give him back to me.")
— 인터벌 9 오번 거리 이상현상 中
Fear Alma 웰페이퍼.gif
《알마 웨이드》
Alma Wade
Almapose.jpg
성별 여성
연령 8세(유령 모습)
26세(육체 모습)
46세(1편, 2편)
47세(3편)
상태 사망(1편 이전)
유령, 언데드(1편, 2편, 3편)
흡수됨(3편 페텔 엔딩)
성불(3편 포인트맨 엔딩)
머리색 검은색
눈동자색 푸른색[1]
붉은색(1편, 3편 컨셉아트들)
노란색(2편, 3편)
보유 초능력 ESP 계통(텔레파시, 정신, 환각, 감각조작, 세뇌, 독심술)
PK 계통(염동력, 파이로키네시스, 텔레포트, 생체 부식)
초자연 계통(유령 소환, 현실 조작)
성우 미국 멜리사 로버츠(1편)
알레시아 글라이델(2·3편)
일본 이치무라 오마(1편)
소속 알마의 유령들
복제병사 부대


오리지널 피어 인트로 동영상에서 페텔의 앞에 나타났고 게임 상에서 포인트맨의 앞에 나타나며 사라지는 붉은 원피스를 입은 수수께끼의 소녀가 바로 알마였다.

알마는 과거 아마캠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에서 진행된 초대형 극비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오리진과 연관된 소녀로 프로젝트 오리진은 복제병사들을 통솔하기 위한 초능력자 지휘관을 양성하는 프로젝트로 프로젝트 퍼시어스와 연계되었다. 선천적으로 강력한 텔레파시를 지닌 알마는 이 프로젝트 오리진의 실험체가 되었고 15세가 되자 이 오리진의 시제품이 될 아이들을 출산했는데 이들이 바로 포인트맨과 팩스톤 페텔, 즉, 알마는 두 시제품의 친어머니이다. 그러나 그녀는 자식들을 빼앗긴 분노로 인해 봉인되었고 페텔이 10세가 되던 해에 사고를 일으켜 아마캠에 의해, 폐기 처분. 요컨대 현재 시점에서는 이미 죽은 지 오래된 인물이며 널리 알려진 소녀의 모습은 영혼으로서의 모습이다.

알마의 본명은 알마 웨이드(Alma Wade)로 아마캠의 핵심 과학자인 할란 웨이드의 또 다른 친딸이자 앨리스 웨이드의 숨겨진 자매이다. 이렇다보니 알마의 본명은 오리지널 피어 엔딩 막바지에서나 밝혀지는 커다란 반전 중 하나이며 후속작 및 게임상에서도 그녀의 풀네임은 문서에서만 언급되고 작중 등장인물들도 알마라고만 부른다.

이러한 정체 때문에 알마는 단순한 F.E.A.R. 시리즈의 얼굴 마담인 캐릭터가 아닌 모든 스토리와 사건의 중심에 서있는 간판 악역(안타고니스트)이자 진 주인공 격 중요인물이다. 단, 오리지널 피어의 확장팩에서는 알마는 비중이 매우 없었는데 타임게이트 스튜디오에서 비벤디의 기획을 받고 멋대로 만든 스토리여서 그렇지, 모노리스 프로덕션 측은 《F.E.A.R. 2》와 관련된 인터뷰에서 "타임게이트 스튜디오가 만든 스토리는 우리가 생각한 것과 방향이 다르다. 익포와 페맨은 다른 세계관으로 봐주길 바라는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것' 으로 우리가 구상한 스토리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피어는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고,(F.E.A.R. was about Alma) 피어 2도 알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런고로 우리는 스토리를 원래의 방법으로 계속 만들고 싶었다." 라고 언급. 알마를 피어 시리즈의 메인 캐릭터라고 인증을 했다. [2]

기원[편집 | 원본 편집]

F.E.A.R. 시리즈가 일본 호러 영화의 영향을 깊게 받은 작품인 만큼 알마는 전체적인 베이스와 핵심 설정(폭주한 초능력자, 검은 생머리를 가진 여성 귀신, 사건의 근원)은 링 시리즈야마무라 사다코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특정 비주얼적 요소(특정한 컬러의 원피스를 입은 소녀 귀신)는 구로사와 기요시의 2001년 호러 영화 《강령》에 등장하는 귀신 소녀 요코에서 따왔다.[3] 이렇다보니 알마는 사다코라는 애칭으로 불려왔고 작중내 유령이지만 서양 공포물에 나오는 악마, 살인마, 유령(Ghost)보다 동양 공포물의 귀신에 매우 가깝다.

그리고 알마의 이름과 일부 특징은 피터 스트라우브의 호러 소설 《고스트 스토리》의 등장인물인 알마 모블리(Alma mobley)에서 따왔다.[4] 그리고 《고스트 스토리》의 영화판(1981년 개봉)에서 알마 모블리의 역은 앨리스 크리드라는 배우가 맡았는데, 앨리스 웨이드는 이 앨리스 크리드의 이름에서 따왔다.

외형 디자인[편집 | 원본 편집]

세 가지 모습의 알마

모든 시리즈를 통틀어 어린 알마(young Alma)는 이마를 깐 검은색 긴 장발에 소매가 긴 붉은색의 원피스를 입고 있으며 발 부분은 소량의 피가 묻어있다. 알마는 《F.E.A.R. 2》를 제외하고 성인 모습보다는 소녀체로 많이 나타나고 패키지 박스 아트 및 홍보용 판촉물에서도 소녀 알마를 많이 내세우고 있다보니 소녀 알마 디자인의 인지도가 더 높다.

그리고 성인 알마(adult Alma)는 소녀 알마와 다르게 얼굴을 덮는 장발에 가슴만 가리고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나체의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성인 모습은 에로틱하기는커녕 매우 기괴한데, 비정상적으로 말라서 뼈밖에 안보이는 데다가 혈관이 다 드러나있고 머리는 산발이기 때문(마귀 알마/Hag Alma)이다. 단, 《F.E.A.R. 2》에서는 알마가 마이클 베켓을 유혹하기 위해 말라비틀어진 모습을 살이 붙고가슴도 커진 매력적인 모습으로 바꾸면서 심의로 성적 묘사가 들어갔다(섹쉬한 알마/HOT Alma).

피어 개발 다큐멘터리에서 나온 알마의 콘셉트 아트에 의하면 초안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한 형체가 없는 유령이였고 디자인이 수정되면서 현재의 붉은 옷을 입은 소녀 귀신과 나체의 성인 여성체로 나뉘게 되었다.

《F.E.A.R. 3》에서 모든 인물들의 외형이 바뀐 만큼 알마도 비주얼적 요소는 특징들을 제외하고 디자인이 달라졌는데, 소녀 알마는 반팔 소매의 원피스에 신발을 신은데다가 온몸이 피칠갑이 된 모습으로 바뀌었으며 성인 알마 또한 피칠갑이 된 것은 물론이고 얼굴을 덮던 앞머리는 사라짐과 동시에 뒷머리가 땅까지 닿을 정도로 길어졌고 배는 임산부처럼 부풀어올랐다. 기존의 긴소매 원피스를 입은 소녀 알마는 컷 신에서만 얼굴을 간간히 비친다.

행적 및 묘사[편집 | 원본 편집]

작중 행적[편집 | 원본 편집]

성격[편집 | 원본 편집]

알마는 작중 흑막이자 최종 보스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어서 그녀의 시점으로 묘사된 작품들이 없어 자세한 성격을 알 수 없지만, 게임 내 묘사와 기록을 통해 어느 정도 성격을 알 수 있다.

어렸을 적에 능력으로 인해 악몽에 시달리거나 우울증을 앓고 있었고 할란의 학대로 제대로 저항을 못해 정신적으로 불안해졌으나 자신에게 해를 가한 자들에게 어떻게든 복수를 하려는 것을 보아 알마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내성적이지만 능동적인 성격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나 좋아하는 것은 집착하거나 어떻게든 수단방법을 안 가리고 가져야 직성이 풀리는 면모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학대받은 영향으로 PTSD를 앓고 있어서 트라우마가 될 법한 것을 보면 매우 히스테릭한 반응을 보이고 관계없는 인물까지 죽이거나 좋아하는 상대가 자신을 받아주지 않으면 도로 적반하장으로 화를 내 해를 입히기도 한다.

즉, 알마는 불행한 과거를 가졌지만 그 영향으로 성격이 매우 망가져서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어린애처럼 충동적으로 표출하고 상관없는 타인들에게 마저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는 가해자가 된 피해자격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번외: F.E.A.R. 프로토타입 영상[편집 | 원본 편집]

E3 2004에 공개된 프로토타입 영상에서는 현재 나온 피어하고 별 차이는 없지만 아마캠 본사에서 델타 포스 일원들을 살해하는 위엄을 떨쳤다. 이 장면은 후일 1편의 인터벌 2 부두가에서 알마의 첫 등장 장면으로 재편집되었다.

보유 초능력[편집 | 원본 편집]

요약하자면 F.E.A.R. 시리즈의 등장한 초능력자 중 제일 강하고 수준 높은 능력을 가진 초능력자이며 《F.E.A.R. 3》부터는 본 시리즈의 세계관 최강자가 되었다.

알마는 기본적으로 텔레파시를 이용해 타인의 음적감정(슬픔, 분노, 히스테리, 불쾌함, 혐오감 등)에 영향을 받아 초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알마와 접촉하거나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자들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우울증에 빠지거나 무기력해지고 건강이 악화가 된다. 이렇게 사람의 음적감정이 강해지면 알마의 정신은 다시 그것에 자극을 받아 초능력이 더욱 강해진다. 페텔은 알마의 초능력 대부분을 이어받았는데 묘사들을 보면 알마가 더 상위호환격.

그리고 알마의 초능력 대부분은 다 파괴적이거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공격적인 형태로 발달해있는데, 할란에게 정신적으로 학대당하면서 증오심과 공포 등 음적감정을 전보다 더 느끼면서 진화·강화된 것이다.

ESP 계통[편집 | 원본 편집]

알마의 기본적인 능력이자 다른 능력들의 토대. 알마가 프로젝트 오리진의 주요 실험체가 된 핵심적인 이유. 알마는 유년기부터 타인의 음적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악몽을 꿨었는데 텔레파시 능력을 제어하지 못해서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타인들의 감정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녀의 텔레파시는 본인이 원한다면 시공간 및 범위, 물량을 무시하고 생판 다른 장소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타인들과 연결할 수 있으며 초자연적인 존재들도 연결이 가능하다. 알마는 당시 금고에 갇혔을때 퍼시어스 공정에 있었던 페텔과 연락을 하기도 했고 포장도 안 뜯어진 복제병사들을 16km 내외로 다 깨우기도 했다.
  • 세뇌 및 오감 조종·환각
텔레파시를 기반으로 해서 알마는 타인들의 정신과 오감(촉각, 미각, 시각, 청각, 후각)들을 가지고 노는 건 간단한 수준으로 게임상 나타나는 환청과 환각 및 이상현상들은 알마의 정신, 오감 조종 초능력에 기원한 것이다. 알마와 연결된 자들은 이상현상에 시달려 정신과 오감들을 지배당해 이상현상을 보는 것은 물론이고 메스꺼움과 불쾌감을 느끼게 되어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되는데 최종적으로 아예 맛이 가버려서 미친 뒤 인육을 먹는 괴물이 되거나 알마에게 빠져 집착하고 숭배를 하게 된다. 더 나아가 불특정 다수에게 알마 자신의 정신세계와 특정 기억을 보여주거나 세뇌할 수 있다. 일반인들도 이 초능력에 장기간 영향을 받으면 정신이 무뎌지는데 초능력자 중 특히 정신력이 약한 자들은 알마에게 저항을 못해 간단히 제압을 당한다. 그만큼 강한 능력이라 정신력이 강하거나 정신 조작 초능력에 어느 정도 면역이 있는 포인트맨과 베켓도 세뇌는 당하지 않았을지언정 알마가 만든 환각 현상에 갇혀 무력화되기도 했다.
본인이 텔레파시를 포함한 정신계통 능력자다보니 당연히 타인들의 마음을 읽는 것도 가능한데, 간접적인 사이코메트리로만 타인의 기억을 읽을 수 있는 페텔과 다르게 알마는 다른 매체물의 독심술사처럼 정신만 연결이 되면 가능하다. 게임상에서는 확실한 묘사가 안나오지만 페텔은 알마가 포인트맨의 마음을 읽을 수 없다고 말하면서 독심술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인증했고 알마가 폭스를 할란으로 착각 내지는 동일시해서 분노로 살해한 것을 보면 그의 기억을 읽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톡스는 알마가 혹시 자신의 기억을 읽어서 트라우마를 일으키게 하는 공포 영화에 나올 법한 짓을 안 했으면 좋겠다고 언급을 했었다.
  • 정신 조종을 통한 육체·능력 강화
알마와 연결된 자들은 정신적으로 지배당하기 때문에 정신 리미터가 풀려 미치는 겸, 무의식 상태로 육체 능력과 맷집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주먹 한방질로 성인 남성 하나를 박살낼 수 있는데 초능력자일 경우에는 잠재능력이 개방되어서 초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 알마와 접촉한 제임스 폭스는 근력이 일시적으로 강해져서 베켓을 들어올렸고 키건은 유령이 되었지만 베켓못지 않는 반사신경 능력으로 그와 호각으로 싸웠다. 3편에서 알마의 산통으로 초능력의 리미터가 풀려버리자 그녀의 영향을 받은 시민들은 미쳐버림과 동시에 특수부대 군인들을 가볍게 찢어발길 정도로 강해졌다. 당시 10세였던 페텔은 알마와 접촉한 뒤 염동력으로 과학자들을 터뜨려 죽인 적이 있으며 하빈저 실패작들도 알마와 연결되어서 강해지는 겸 미친 것.

PK 계통[편집 | 원본 편집]

텔레파시와 마찬가지로 알마의 물리적 초능력의 토대가 되는 능력이다. 알마의 염동력은 단순히 물건을 이동시키는 정도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물건을 마음대로 움직이게 하고 성인 남자도 못드는 엄청 무거운 물체들도 깃털 들어올리듯 가볍게 이동시킨다. 주특기인 생체 부식도 이 염동력에서 나온 능력인데 나노분자 단위의 물질도 하나하나 섬세하게 조종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1편에서는 생체 부식 능력을 포함해 문이 갑자기 닫히거나 유리창이 갑자기 깨지는 식으로만 묘사되었지만 2편에서 이 염동력 사용 연출이 늘어났는데 폭스와 그리핀을 내동댕이쳤고 베켓도 그냥 들어올려 제압한데다가 대량의 철제 박스들도 이동시켰다. 2편 DLC에서는 자동차를 들어올려 폭스트롯 813에게 날려버리기도 했다. 3편에서 알마가 출산의 고통으로 소리칠 때는 더 강해져서 헬리콥터와 포트들을 떨어뜨리거나 건물과 지형들을 파괴할 정도. 피어 프로토타입의 삭제된 영상에서는 델타포스 일원의 팔 하나를 잘라먹기도 했다.
이 텔레포트 능력은 감독판 실사 영상에서 그린 박사에게 써먹었고 2편에서도 써먹었다. 그냥 기본적인 순간이동 능력. 단, 페텔이 자신만 이동하는 수준인 반면 알마는 타인과 물체, 비물질도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1편에서 스펜서 잰카우스키의 유령이 갑자기 사라졌다 나타났다하는 것도 이 능력 때문이고 2편에서는 세뇌한 키건의 유령을 베켓의 머릿속으로 보냈다.
이름답게 발화를 하거나 불을 다루는 건 그녀에겐 식은 죽 먹기 수준. 단, 자주 나타나는 능력은 아니라 당시 과학자들이 알마의 곁에 있을때마다 사지가 불타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 실험단계에서 2명의 과학자들을 불태워 죽었다고 언급되는 것, 1편 한정으로 등장할때 불들과 같이 나오거나 인터벌 2 막바지에 주변을 폭파시키면서 포인트맨을 날려버렸다는 묘사밖에 없다. 오히려 알마가 파이로키네시스를 자주 사용하는 작품은 비공식인 피어 익포가 유일한데 교회를 통째로 불태워서 포인트맨을 위협했다.
  • 생체 부식
알마의 주특기이자 대표적인 초능력으로 주 공격수단이다. 손대지 않고 피부와 근육, 오장육부를 순식간에 녹여버리는 능력으로 게임상 나타나는 피투성이의 해골 오브젝트들은 다 알마의 해당 초능력에 당한 희생자들이다. 이 능력도 시공간, 범위, 물량 제약이 전혀 없어서 본인이 다른 곳에 있어도 죽일 수 있으며 단 몇 초만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녹여버리기도 한다. 원래는 딱히 이렇다할 연출이 없이 희생자가 순식간에 녹아버리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2편에는 머리카락 같은 검은 촉수를 구현화해서 상대를 잡아채 녹이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1편 끝판부에 육체 상태의 알마에게 포옹당하면 즉사해버리기도 한다.

초자연능력 계통[편집 | 원본 편집]

  • 신체 변형 (변신술)
보통 능력자 배틀물의 변신 능력은 자신의 신체를 바꾸는 물리적인 능력이지만 알마는 유령이기 때문에 육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신 영혼의 모습을 바꾸는 초자연적인 능력이다. 이렇다보니 알마는 8세 소녀체로 주로 나타나고 본인이 원하면 성인체로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겉모습 변형도 가능해서 말라비틀어진 모습을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바꾸기도 했다. 단, 이 신체 변형은 자신이 죽은 나이대(26세)와 자신의 기억속에 남은 나이대(8세 이전) 한정으로만 바꿀 수 있고 성별이나 형태 자체를 자유재재로 바꾸지는 못한다.
  • 유령 소환
생체 부식과 더불어 알마의 주특기 중 하나로 이 유령들은 알마에게 살해당한 피해자들의 원념이 구현화된 존재이자 휘하로 귀속된 존재들이다. 정황상 본인의 텔레파시 능력을 이용해 조종하는 듯하다. 알마가 금고에 갇혔을 때는 그저 이상현상에서만 나타났지만 풀려난 이후에는 현실에서도 소환되기 시작해 2편에서는 심심하면 볼 수 있다. 스펜서 잰카우스키와 키건은 알마에게 죽은 뒤 영혼이 귀속당해서 수하로 부려먹혔었다.
3편에서는 단순히 유령만 소환했던 능력이 아예 현실 조작(상상 구현화)의 경지에 이르러서 본인의 악몽 속에 존재했던 괴물들을 실체화하기도 한다. 3편에 등장하는 괴물형 적인 청소부(Scavenger)가 바로 알마가 상상하던 괴물들이며 크립은 자신의 기억속에 있던 할란을 형상화시킨 것이다. 번외로 멀티플레이 모드 진통에서는 알마가 만들어낸 죽음의 구름이 나오기도 한다.

번외[편집 | 원본 편집]

작중 최강의 능력을 가진 초능력자인 만큼 초능력 에너지 지수도 매우 높은 편인데 8세에 금고에 처음 갇혔을 때는 컨테이너의 억제장치를 다 켜야 겨우 제어가 가능한 수준이였고 금고에 갇혔을때도 초능력이 날이 갈수록 강해졌을 때 1편에서는 오번 거리의 시민들에게 악영향을 끼쳤으며 페텔에게 연락을 했었다. 또한 사후에도 여전히 초능력을 무리없이 썼고 더 강해지기도 했으며, 2편에서도 베켓이 알마를 없애기 위해서 초능력 증폭기에 있는 장치들을 셧다운한뒤 알마를 억제해서 영구감금내지는 소멸시킬려고 했으나 실패한 것을 보아서는 알마는 억제실도 통하지 않는 5급 이상 초능력자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렇게 알마는 ESP(텔레파시, 독심술, 정신 조작) 같은 정신적 계통 능력과 염동력(파이로키네시스) 같은 물리적 계통 능력의 한계를 넘어섰고 파생 능력들도 매우 강력한데다가 3편에서는 현실 조작의 경지에 이른 이라고 봐도 될 존재이다. 그러나 작중 등장인물들은 그녀를 통제가 불가능한 최악의 괴물로 표현하고 있다.

약점[편집 | 원본 편집]

단, 알마 역시 완전무결한 최강자는 아니기 때문에 소소한 약점들이 있는데, 크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정신력이 강하거나 정신계통 초능력에 면역이 있는 자
알마의 ESP 초능력은 멀쩡한 사람들을 단기간에 미쳐버리게 할 정도로 강력하지만 면역이 있거나 정신이 강한 자, 초능력이 없는 일반인에게 잘통하지 않거나 안먹히는 약점이 있다. 일례로 포인트맨은 알마와 직접 접촉했는데도 불구하고 정신적으로 미치지는 않았고 세뇌도 당하지 않은데다가 알마는 유일하게 포인트맨의 마음은 전혀 읽지 못했다. 세드릭 그리핀과 마이클 베켓은 포인트맨 같은 면역은 없지만 정신력이 매우 강했기에 알마에게 세뇌당하지 않았는데, 앞의 셋을 제외한 알마의 초능력 영향을 받지 않은 네임드 일반인들은 권진선키아라 스톡스, 더글라스 할러데이, 제네비브 아리스티드, 마뉴엘 모랄레스 등이 있다.
  • 정신불안, 감정조절장애로 인한 불안정한 초능력 컨트롤
알마는 정서적 학대를 받은 과거로 인해 정신이 불안정해짐과 동시에 초능력도 강해졌지만 자신의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무언가를 보거나 외적인 고통에 빠지면 과잉 상태에 돌입해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묘사들이 나온다. 이로인해 본인이 격노하거나 고통을 느껴 부정적으로 변하면 초능력이 비정상적으로 강해져 충동적으로 사람을 죽이거나 더 나아가 지역, 건물들까지 파괴한다. 2편에서는 폭스와 레드 잰카우스키를 본의 아니게 살해해버렸고 3편에서 산고로 사람들을 미치게 만들거나 도시를 다 파괴해버려 뱃속 아기까지 재앙의 근원으로 도매금으로 낙인이 찍히는 것에 기여했다.
  • 경험부족, 지식부족으로 인한 충동적이고 구멍이 많은 계획과 전략
어렸을 때부터 교육은커녕 아무것도 못하고 갇혀 산 영향인지 알마는 후일을 생각안하고 충동적으로 일을 벌이거나 미숙하게 계획을 짜는 일이 종종 나온다. 생전엔 아직 어렸던 페텔과 접촉하는 바람에 동조 사건을 일으켜 페텔의 정신을 망가뜨리고 본인마저 죽음에 이르게 했었으며 몇 년 후 페텔을 무대포로 또 조종하는 바람에 아마캠과 F.E.A.R.팀에게 발각되었고 2편에서는 베켓을 무작정 습격할 뿐 전중후반까지 마땅한 계획도 세우지 않았다. 심지어 최후반부에는 복제병사들을 사용한답시고 폐기된 실패작까지 끌어모아 무작정 돌격만 하다가 베켓 한 명에게 다 전멸해버리기도 했는데 이 광경을 본 모랄레스 병장은 "누군가가 지휘하는 건 아니고 자기네들 멋대로 튀어나오는 것 같다." 라고 언급했었다.

단, 알마에게 있어 이 정도 문제들은 그냥 귀찮은 골칫거리일 뿐으로 실제로 앞서 언급된 포인트맨, 그리핀, 베켓은 생체 부식과 염동력, 파이로키네시스 등 염동력 계통 초능력에는 일절없이 당했으며 세뇌만 당하지 않았지 환각 세계에 갇혀 무력화되는 등, 감각조작 능력에 엄청나게 농락당했다. 전략과 계획 등 머리를 써야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본인의 초능력이 워낙 막강하다보니 딱히 필요가 없었는데 1·2편의 사건들은 미숙한 진행 때문에 잡음이 많았을지언정 결과만 보면 알마의 계획은 다 성공했으며 키건을 이용해서 베켓을 무력화한 것을 보면 전술·전략만 못 짜는 거지 완전히 무지한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제병사들은 알마에게는 편히 쓸만한 도구 중 하나였을 뿐이지 반드시 필요한 전력 수단은 아니었기에 함부로 다룬 것이였다.

일반인 같은 경우에는 초능력자들처럼 단기간에 세뇌시키는 것이 어렵다는거지 그린 박사와 알마를 테스트한 과학자들, 오번 거리 거주민, 페어포트 시 시민들은 알마와 같이 있거나 알마가 있는 곳에 살아 장기간동안 영향받아서 정신이 망가진 케이스다. 상기 알마의 초능력에 당하지 않은 일반인 4명은 정신력과는 별개로 알마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지 않거나 영향에 벗어난 곳에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주제곡[편집 | 원본 편집]

Alma(알마)[편집 | 원본 편집]

피어 1에서 할란 웨이드가 알마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녀를 금고에서 풀어줄 때, 포인트맨이 회상으로 보는 오리진과 관련된 진상에서 나오는 BGM이다. 알마의 정체를 폭로하는 BGM이다.

Take Her To The Vault(그 아이를 금고에 가둬)[편집 | 원본 편집]

『Alma』와 『Alma's Music Box』을 합쳐 만든 어레인지 BGM으로 베켓이 스틸 섬 오리진 시설에 들어가는 순간, 알마의 과거를 볼 때 나온다. 곡의 주제도 『Alma』처럼 알마의 과거를 폭로하는 것이 중심이지만 20초 정도로 매우 짧다.

Alma's Music Box(알마의 오르골)[편집 | 원본 편집]

알마가 생전에 아낀 오르골의 음악으로 아리스티드가 할란의 사무실에 갔을때 음악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오르골을 가져왔다고 한다. 《F.E.A.R. 2》의 메인 테마곡이기도 해서 인트로 영상에 어레인지 버전으로 나왔고 음악 선생으로 추정되는 유령이 웨이드 초등학교 음악실에서 이 음악을 연주했다. 배경설정도 그렇고 사실상 알마의 테마곡 겸 F.E.A.R. 시리즈의 이미지 송으로 고정되어서 《F.E.A.R. 3》에서 인트로 영상 일부는 물론이고 알마가 흥얼거리기도 한다.

트리비아[편집 | 원본 편집]

  • 오리지널 피어에만 있는 이스터 에그로 인터벌 1에서 건물로 들어갈 때 앞에 있는 계단 쪽 책상으로 가로막힌 문을 열려 하면 이상현상과 함께 갑자기 들어가게 된다. 구석에는 붉은 옷을 입은 소녀가 나타나자마자 사라지고 이후 복도에 있는 정문에 들어가면 하얀 플래시백과 함께 "아빠 미워!(I hate you Daddy!)"라는 매우 어린 소녀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즉, 알마의 할란에 대한 감정을 알 수 있는 이스터 에그 이벤트라 볼 수 있다. 할란이 죽은 후에도 알마는 여전히 할란을 두려워함과 동시에 매우 증오하고 있는데 2편에서 폭스 병사를 살해한건 할란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서 분노를 통제하지 못했던 것. 3편에서는 이 아버지를 형상화한 크리프를 보면 놀라서 도망가거나 울기도 한다.
  • 호러 영화 《캐빈 인 더 우즈》에 등장하는 '느리게 걷는 무서운 미국 소녀(American Slow Walking Creepy Girl)'는 이 알마에게서 모티브를 얻은 캐릭터로, 후반부 복도 장면에서 짤막하게 등장한다. 경비원의 살을 녹이더니 자장가 『Hush Little Baby』를 부르면서 등장은 끝. 이 느리게 걷는 무서운 미국 소녀는 원조 알마와 다르게 반팔의 시원한 하얀색 원피스를 입고 있어서 한 번만 보면 사다코로 착각할 정도로 눈치채기 힘들다. 즉, 알마의 원본인 사다코와 알마를 적절히 섞은 것이라 볼 수 있다.
  • 알마는 각종 게임 관련 캐릭터 상을 타거나 순위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는데 COMPLEX 선정 배드 걸 클럽 25위 선정 25위[5], 무서운 게임 캐릭터 10위중 3위[6]최고의 비디오 게임 악역 100위중 선정 18위 [7], 일본의 게임웹진 게임스파크 선정 무서운 호러 게임 크리쳐 3위에 올랐다.[8] 이어서 screwattack 선정 비디오 게임 유령 탑 10위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9] 2010년 8월 26일에 올라온 IGN 선정 비디오 게임 속 악역 인기 73위에 기재되기도 하였다.[10]
  • 1편 기준으로 알마의 성우인 멜리사 로버츠는 본래 앨리스 웨이드의 전담 성우로 일종의 1인 2역이다. 설정상 둘이 자매이니 말이 되는 캐스팅...이려나? 2편에서는 알레시아 글라이델이 알마의 전담 성우로 변경되었는데 목소리톤은 멜리사 로버츠가 연기한 성인 알마에 비해 톤이 낮은 편이다.피어 2 알마 대사 모음집 알레시아 글라이델은 포탈 시리즈의 여주인공인 첼의 모션을 맡은 적이 있으며 모노리스 관련 게임으로는 《컨뎀드 2: 블러드샷》의 몬스터인 여자 인형과 매트릭스 온라인의 여성 플레이어의 목소리를 담당했다.
  • 알마가 태어난 연도는 게임 본편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설정집 아마캠 필드 가이드에서는 페텔은 1995년~1996년 사이에 태어났다고 서술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아 알마는 한 1979년~1980년생이라고 유추가 가능하다. 단, 알마가 처음으로 금고에 갇힌 연도가 1987년이었고 피어 본편 사건이 시작된 년도가 2025년이라는 것을 보아서는 페텔은 1995년에 태어났고 알마는 1979년생일 확률이 높다.
  • 각 시리즈와 설정집마다 알마와 페텔의 관계에 대한 묘사가 천지만별이라 알마는 포인트맨에게 집착하지만 페텔은 싫어해서 냉대했다는 해석이 있다. 하지만 《F.E.A.R.》에서 알마가 먼저 접근을 시도한 건 페텔이었고 《F.E.A.R. 2》에서 알마는 페텔 출산 때도 깨어났다는 서술이 있었고 《F.E.A.R. 3》에선 링크도 안 되는 포인트맨보다 페텔에게 더 관심을 보인 묘사가 있다. 즉, 페텔을 후반부에 죽게 내버려둔 건 당시에 육체를 되찾는 것에 집중하다보니 페텔에게 신경을 못쓴 것이며 그 집요하게 관심을 보인 포인트맨도 이상현상에 빠뜨리는 식으로 괴롭혀서 자신의 능력도 생각하지 않고 포옹해 죽여버리기도 했다.[11] 그나마 객관적이나마 작품 외적으로 보면 F.E.A.R. 시리즈는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아닌 페텔은 포인트맨보다 비중이 떨어져 묘사가 소홀히 되었고 이용하는 모습만 보여주었고 설정충돌로 인해 알마는 페텔에게 애정이 없다고 인식이 된 것이다. 알마는 일단 자식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는데 오리진 형제들은 존재자체도 모르고 30년 이상을 산데다가 알마와 만날때마다 안좋은 일들만 많이 당해서 생물학적 어머니로만 인식할 뿐 그녀에게 애정은 없다. 포인트맨은 자신에게 다가오려는 알마에게 총질을 가한 적이 있었고 [12] 3편에서 잠시나마 죽이려고 했으며 페텔은 2편 DLC에서 알마와 대립 플래그를 찍었을 정도로 그녀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심심하면 크고 작은 게임 웹진에서 선정하는 비디오 게임 속 최악의 어머니 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13]
  • 코나미의 호러 어드벤처 게임 사일런트 힐 시리즈알레사 길레스피(쉐릴 메이슨)와 잘 찾아보면 공통점이 많아서 호러 게임 팬덤에서 많이 비교되거나 2차 창작 팬아트 등에서 엮이기도 했다. 물론 사일런트 힐은 1999년도에 발매되었으니 알레사가 더 선배급이다. 바이오쇼크 시리즈리틀 시스터하고 2차 창작물에서 엮이기도 하며 일본 만화 《엘펜리트》의 루시, 스티븐 킹의 유명 호러 소설 《캐리》의 여주인공, 더 나아가 만화 《AKIRA》의 시마 테츠오와 비교되기도 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사다코만 아닌 어머니 귀신이라는 점에서 주온 시리즈사에키 카야코와 공통점도 있다. 《F.E.A.R. 2》에서 알마의 신체 부식 능력이 머리카락처럼 생긴 검은 촉수를 구현화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카야코의 주 능력인 머리카락 소환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 일본에서 제작된 호러 어드벤처 게임 콥스 파티 시리즈의 중요인물 중 하나인 시노자키 사치코는 알마의 외향적 특징(검은 장발 + 붉은 원피스)과 매우 비슷한 캐릭터다. 콥스 파티 시리즈의 전신이자 1996년에 발매된 프리웨어 게임 《콥스 파티》 때부터 사치코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긴 장발에 붉은 옷을 입은 소녀가 나온 것을 보면 어쩌다가 나온 우연의 일치이다. 이 검은 장발과 붉은 옷 귀신이라는 컨셉은 MUGEN 엔진으로 만들어진 2D 대전 액션 게임The Black Heart》의 노로코도 차용하고 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자면 일본의 코단샤에서 발매된 《학교괴담》(学校の怪談)과 이를 원작으로 한 1995년에 나온 영화 시리즈에 붉은 옷을 입은 소녀 귀신이 나온다. 알마가 붉은 옷을 입고 있는 건 개발진이 캐릭터의 상징을 위해 입힌 것이라고 언급했다.
  • 같은 개발자인 크레이그 하버드가 만든 호러 FPS 게임 《Betrayer》의 등장인물인 태비사 마클리와 앨리슨 마클리 자매는 작품내 포지션(작품 내 만악의 근원, 최종 보스격인 핵심인물)도 그렇고 외향적인 요소(죽은 지 오래된 원령, 붉은 옷을 입은 여인)등 알마와 공통점이 매우 많다.
  • 제로 펑추에이션의 얏지는 《F.E.A.R. 3》를 리뷰할때 우스갯소리로 피어 1·2·3의 패키지 커버 디자인은 카메라 앞으로 워킹하는 알마를 묘사하고 있다고 언급을 했다. 보러가기

《바이오하자드 7》의 이블린과 비교[편집 | 원본 편집]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정식 넘버링 타이틀 《바이오하자드 7》의 최종 보스이자 핵심 악역인 이블린은 "정신지배 능력부터 시작해 흑색 장발의 원피스를 입은 소녀, 가족에게 집착한다는 성질" 등 알마와 비슷한 점이 매우 많아 국내외 게임 커뮤니티에서 많이 회자되었다. 그 이유는 《바이오하자드 7》의 시나리오 라이터인 리처드 피어시가 피어 익포와 페맨의 각본을 맡아서이다.

그러나 똑같은 악역에 최종 보스지만 이블린은 베이커 일가를 망가뜨린 천하의 악녀라고 욕을 먹고 알마는 동정받는 등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리고 있는데, 이블린은 동정받을 만한 불행한 과거사 묘사가 없는 걸 넘어서서 작중에서 적대할 수밖에 없는 묘사가 많은 반면, 알마는 알마 개인보다는 그녀의 인생을 망가뜨린 아마캠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가 많고 알마는 왜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당위 설명이 많아서 그렇다. 악행만 두고 보면 오히려 이블린보다 알마의 악행 스케일이 더 큰 편이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본래 눈색. 포인트맨과 페텔, 할란, 앨리스 역시 벽안이다. 단 알마는 1편에서는 그래픽 문제로 눈동자만 아닌 눈알 텍스쳐자체가 검은색으로 되어 있다.
  2. 출처: 코타쿠 모노리스 사원의 F.E.A.R. 인터뷰
  3. 이 요코도 외모와 공포 연출면에서 사다코와 똑같다는 평을 들었는데 원래 기요시 감독과 나카다 히데오 감독(링 시리즈 감독)은 절친으로 유명해서 영화를 만들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출처: 강령 2013년 9월 15일 작성자: 울프펙
  4. 출처: MOTHER OF THE APOCALYPSE: The F.E.A.R. Series Retrospective 13분 10초 - 알마의 기원 참고로 알마 모블리는 《고스트 스토리》에 나오는 '유령'의 화신 중 하나로 원래 상대에 맞추어서 모습을 바꾸는 유령이다. 이 알마 모블리는 작중에서 아름다운 요부로 묘사되는데 알마의 캐릭터적 원형에도 영향을 어느 정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5. 출처: COMPLEX 배드 걸 클럽 25위
  6. 출처: 무서운 게임 캐릭터 10위
  7. 출처: 최고의 비디오 게임 악역 100위
  8. 출처: 게임스파크 게임에 등장하는 가장 무서운 크리쳐 13위
  9. 출처: screwattack 선정 비디오 게임 유령 탑 10위
  10. 출처 IGN 선정 비디오 게임 속 인기 악역
  11. 이에 아마캠 필드 가이드에서는 왜 알마가 페텔에게 포인트맨에 비해 관심이 없었는지 보충설명을 위해서 페텔 출산 때는 혼수상태 유지에 성공해서 인식을 못했다는 서술을 넣었다. 그러나 정작 피어 2 본편에서 깨어났다고 나와서 부정해버렸고, 한술 더 떠서 2편 알마의 대사집 중에 "Give them back. I want my babies back.(제발 돌려줘. 내 아기을 돌려받길 원해)"라는 대사가 있다. 즉 페텔에게도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12. 피어 1 인터벌 11 마지막에서 오리진 시설로 추정되는 현상에 갇히는데 이때 육체 알마가 포인트맨에게 다가온다. 당연히 알마에게 포옹당하면 즉사하니까 총을 쏴서 알마를 없애버려야 살아남을 수 있다.
  13. 출처: 비디오 게임 속 최악의 어머니들
    출처: 탑 10 최악의 비디오 게임 등장 어머니 비단 이 기사들만 아닌 구글에 영어로 비디오 게임에 등장한 어머니 캐릭터나 최악의 어머니 캐릭터를 치면 관련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는데 그곳에서도 알마는 항상 빠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