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토막글}}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이름 = 공주시 |대표이미지 = Korea-Gongju-Gongsanseong-01.jpg |지도 = Map Gongju-si.png |시기 = |휘장...)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5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마을 정보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 마을이름 = 공주
|이름      = 공주시
| 원어이름 =  
|대표이미지 = Korea-Gongju-Gongsanseong-01.jpg
| 그림 = [[파일:Korea-Gongju-Gongsanseong-01.jpg|300px]]
|지도      = Map Gongju-si.png
| 그림설명 =  
|시기      =  
| 깃발 = Flag_of_Gongju.svg
|휘장      =  
| 깃발설명 =  
|시기이름  = 휘장
| 휘장 =  
|휘장이름  = 브랜드
| 휘장설명 =  
|면적      = 864.29
| 지도 = South Chungcheong-Gongju.svg
|세대      = 48,707
| 지도설명 =  
|세대_조사연도 = <small>2015년1월말</small>
| 표어 =  
|총인구    = 113,294
| 노래 =  
|총인구_조사연도 = <small>2015년1월말</small>
| 종류 = [[시 (행정구역)|시]]
|읍        = 1
| 나라 =  
|면        = 9
| 소속지역 =  
|행정동    = 6
| 수도 =  
|법정동    = 27
| 단체장직책 = 시장
|시장      = [[오시덕]]([[새누리당]])
| 단체장 = [[최원철]] ([[국민의힘]])
|국회의원   = [[정진석 (정치인)|정진석]]([[새누리당]])<small>(공주시·부여군·청양군)</small>
| 입법부 =
|시청소재지 = 공주시 봉황로 1 (봉황동 319)
| 국회의원 = [[정진석 (정치인)|정진석]] ([[국민의힘]]) <small>(공주·부여·청양)</small>
|홈페이지  =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 행정구역 = 6 행정동, 27 법정동, 1 읍, 9 면
|시목      = [[느티나무]]
| 인구 = 105,611
|시화      = [[개나리]]
| 인구밀도 =
|시조      = [[까치]]
| 인구 연도 =
|상징동물  = [[곰]]
| 면적 = 864.29
| 설립일 =
| 해체일 =
| 시간대 =
| ISO =
| 마스코트 =
| 상징 = [[느티나무]] (나무)<br />[[개나리]] (꽃)<br />[[까치]] (새)<br />[[곰]] (동물)
| 웹사이트 =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 비고 =
}}
}}
'''공주시'''(公州市, Gongju C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 (행정구역)|시]]이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이다.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등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매년 10월 [[부여군]]와 합동으로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감영]]이 있었고, 1932년까지 [[충청남도청]] [[도청소재지|소재지]]였다.
시의 중앙으로 [[금강]]이 흐른다. 명소로는 [[공산성]], [[무령왕릉]], [[계룡산 국립공원]], 금강의 나루터였던 [[곰나루]]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공주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등 [[국립대학교]]가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치료감호소]]가 있는 곳이다.


'''공주시'''(公州市, Gongju C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 (행정 구역)|시]]이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시의 중앙으로 [[금강]]이 흐른다.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등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매년 10월 [[부여군]]와 합동으로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감영]]이 있었고, 1932년까지 [[충청남도청]] [[도청소재지|소재지]]였다. 명소로는 [[공산성]], [[무령왕릉]], [[계룡산 국립공원]]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공주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등 [[국립 대학교]]가 있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이다.
<!--
== 역사 ==
== 역사 ==
공주는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538년]] [[백제 성왕]]은 수도를 [[사비 (지명)|사비]] (현재의 [[부여군]])으로 옮겼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라고 불렸다. [[고려 태조]] 23년 처음으로 '''공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고려 성종]] 2년에 12[[목 (행정 구역)|목]]이 설치되었는데 충남지역에서 유일하게 목으로 승격되었다. [[고려 현종]]이 [[고려-요 전쟁#제2차 고려-거란 전쟁|거란의 침입]]을 피하여 나주로 피란할 때, [[웅진|곰나루]]를 건너 공주에 이르러 수일을 머물렀다.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에 이전됨으로써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624년]]에는 [[조선 인조|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일시 몽진하였다. 이괄의 군이 [[개성]]으로 진격하자 [[조선 인조|인조]]는 서울을 버리고 공주로 피란을 왔다.
이와 같던 공주가 중소도시로 축소된 요인으로는 수운의 쇠퇴와 [[경부선]]의 미경유, 도청 이전을 이야기할 수 있다. [[조선시대]] 때 바닷길을 활용한 수송은 해안 지역이 중심적이었고, 육로를 활용한 수송은 대량의 물자를 수송하기에 불리했기에 내륙 지역에서는 강을 활용한 수운이 발달했다.<ref>그 덕분에 [[서울특별시]] 염창동은 바닷가가 아님에도 소금 창고라는 뜻의 이름이 붙을 수 있었으며 가흥창이 있던 [[충주시]] 가흥리와 나루터가 있던 목계 등도 지금과는 달리 상당히 발전한 동네였고, [[논산시]] 강경읍은 내륙임에도 젓갈이 유명한 동네일 수 있었다.</ref> 공주 역시 금강이 통과하는 지역인지라 금강 수운이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시대]] 때 강을 활용한 수송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각종 [[교량|다리]]들이 건설되면서 금강을 활용한 수송은 축소되었다. 더군다나 [[경부선]] [[철도]]는 공주가 아닌 대전을 거치면서 [[호서]] 지역의 교통 중심지는 공주가 아닌 대전이 되어버렸고, 도청 역시 [[대전광역시|대전]]으로 이전하며 이는 공주 지역의 쇠퇴를 유발했다.
=== 약력 ===
* [[1602년]]부터 [[1895년]]까지 [[충청도]] [[감영]] 소재지로서 [[충청도]]의 중심지였다.
* [[1894년]] [[전봉준]]의 [[동학 농민 운동|동학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군과 [[우금치 전투|대전투]]를 치렀으나 패하여 동학혁명은 실패하였다.
* [[1896년]] [[8월 4일]] 충청도를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분리하면서 충청남도의 수부(首府)를 공주에 두었다. <ref>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 관제개정에 관한 안건 (《[[고종실록]]》[[:s:고종실록 33년 8월#8월 4일|33년 8월 4일]]) </ref>
* [[1931년]] [[4월 1일]] 공주면이 공주읍으로 승격하였다.
* [[1932년]] [[충청남도청]]이 공주에서 인근의 [[대전군]]으로 이전하였다.
* [[1986년]] [[1월 1일]]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었다.
* [[1995년]] 1월 1일 공주시와 공주군 일원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공주시가 설치되었다. (11면 8동)
* [[1995년]] [[3월 2일]] 유구면이 유구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0면 8동)
* [[2012년]] [[7월 1일]] [[장기면 (공주)|장기면]] 전역과 [[의당면]], [[반포면]] 일부가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다.
== 식문화 ==
* [[김치피자탕수육]]
== 지리 ==
== 지리 ==
-->
구도심은 [[중학동]], [[옥룡동]], [[웅진동]], [[금학동]]에 위치해있고 금강을 건너면 신도심이 [[신관동]]과 [[월성동]]에 위치한다. 신도심은 특이하게도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도로가 배치되어있다. 유구읍에도 작게 시가지가 존재한다.
== 행정 구역 ==
 
공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로써 충청남도 15개 시,군 중 가장 넓다. 인구는 [[2015년]] 1월말 기준으로 48,707세대, 113,294명이다.
전체적으로 산이 넓게 펼쳐져 있고 또 많아서 굴곡이 많은 지형이 특징이다. 산이 많은 지형탓에 큰 도시로 성장하기 불리하다.
 
[[서산시]]처럼 면적이 꽤 큰 것도 특징이다.
 
== 행정구역 ==
공주시의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로써 충청남도 15개 시,군 중 가장 넓다. 인구는 [[2020년]] 5월말 기준으로 50,512세대, 105,611명이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9%;" align=center
[[파일:Gongju-map.png|대체글=|오른쪽|514x514픽셀]]
!읍면동 !! 한자!!세대 !! 인구 !! 면적 !! 지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99%;" align="center"
!읍면동!!한자 !!세대!! 인구!!면적
|-
|-
| style="background: #f9f9c9;" | '''[[유구읍]]'''||維鳩邑||3,915||8,570 ||101.55 ||rowspan=16|[[파일:Gongju-map.png|450px]]
| style="background: #f9f9c9;" |'''[[유구읍]]'''||維鳩邑||3,862||7,565||101.55
|-
|-
| style="background: #f9f9c9;" | '''[[이인면]]'''||利仁面||1,721||3,788|| 62.95
| style="background: #f9f9c9;" |'''[[이인면]]'''|| 利仁面||1,709||3,363||62.95
|-
|-
| style="background: #f9f9c9;" | '''[[탄천면]]'''||灘川面||1,628||3,422|| 64.15
| style="background: #f9f9c9;" |'''[[탄천면]]'''|| 灘川面||1,617||2,984||64.15
|-
|-
| style="background: #f9f9c9;" | '''[[계룡면]]'''||鷄龍面||3,151||6,288|| 84.08
| style="background: #f9f9c9;" |'''[[계룡면]]'''|| 鷄龍面||3,078||5,681||84.08
|-
|-
| style="background: #f9f9c9;" | '''[[반포면]]'''||反浦面||2,206||4,829|| 78.04
| style="background: #f9f9c9;" |'''[[반포면]]'''|| 反浦面||2,114||4,278||78.04
|-
|-
| style="background: #f9f9c9;" | '''[[의당면]]'''||儀堂面||2,451||5,681|| 65.69
| style="background: #f9f9c9;" |'''[[의당면]]'''|| 儀堂面||2,314||4,705||65.69
|-
|-
| style="background: #f9f9c9;" | '''[[정안면]]'''||正安面||2,440||5,178||108.96
| style="background: #f9f9c9;" |'''[[정안면]]'''|| 正安面||2,466||4,714||108.96
|-
|-
| style="background: #f9f9c9;" | '''[[우성면]]'''||牛城面||2,753||6,099|| 79.54
| style="background: #f9f9c9;" |'''[[우성면]]'''|| 牛城面||2,710||5,325||79.54
|-
|-
| style="background: #f9f9c9;" | '''[[사곡면 (공주시)|사곡면]]'''||寺谷面||1,570||3,303|| 80.13
| style="background: #f9f9c9;" |'''[[사곡면 (공주)|사곡면]]'''||寺谷面||1,512||2,984||80.13
|-
|-
| style="background: #f9f9c9;" | '''[[신풍면]]'''||新豊面||1,561||3,443||80.47
| style="background: #f9f9c9;" |'''[[신풍면]]'''|| 新豊面||1,551||3,264||80.47
|-
|-
|'''[[중학동 (공주시)|중학동]]'''||中學洞||2,880||6,112||1.46
|'''[[중학동 (공주)|중학동]]'''||中學洞||2,512||4,731||1.46
|-
|-
|'''[[웅진동]]'''||熊津洞||3,899||9,294|| 6.61
|'''[[웅진동]]'''||熊津洞||3,931||8,296||6.61
|-
|-
|'''[[금학동]]'''||金鶴洞||2,393||6,080|| 29.99
|'''[[금학동]]'''||金鶴洞||2,452||5,470||29.99
|-
|-
|'''[[옥룡동]]'''||玉龍洞||4,468||10,186||20.41
|'''[[옥룡동]]'''||玉龍洞||4,113||8,084||20.41
|-
|-
|'''[[신관동]]'''||新官洞||8,000||19,852||18.77
|'''[[신관동]]'''||新官洞||8,919||19,614||18.77
|-
|-
|'''[[월송동]]'''||月松洞||3,671||11,169||23.65
|'''[[월송동]]'''||月松洞||5,652||14,553||23.65
|}
|}


<!--
<!--
== 교육 기관 ==
== 교통 ==
== 주요 기관 ==
== 주요 기관 ==
-->
-->
== 출신 인물 ==
 
==교육 기관==
====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
 
====고등학교====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
*[[공주여자고등학교]]
*[[영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충남과학고등학교]]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한일고등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ref>한일고등학교와 함께 공주시 명문고 양대 산맥으로 자리잡고 있는 학교로 전국단위로 학생들을 받으며 고입 내신이 상당히 높다</ref>
 
====중학교====
*[[공주북중학교]]
*[[봉황중학교]]
*[[공주중학교]]
*[[공주여자중학교]]
*[[유구중학교]]
*[[탄천중학교]]
*[[정안중학교]]
*[[우성중학교]]
*[[반포중학교]]
*[[사곡중학교]]
*[[이인중학교]]
*[[공주영명중학교]]
*[[경천중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초등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봉황초등학교]]
*[[교동초등학교]]
*[[중동초등학교]]
*[[신관초등학교]]
*[[신월초등학교]]
*[[효포초등학교]]
*[[우성초등학교]]
*[[의당초등학교]]
*[[경천초등학교]]
*[[탄천초등학교]]
*[[이인초등학교]]
*[[주봉초등학교]]
*[[마곡초등학교]]
*[[학봉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정안초등학교]]
*[[반포초등학교]]
 
== 교통 ==
공주는 [[삼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으로 금강을 건너는 곳이었다. 백제 시대에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와 관련된 [[곰나루]]와 이어져 있는 공산성의 공북루 옆에는 '배다리'의 자취가 남아 있다. 강바닥에 박았던 나무 말뚝들과 섶다리를 받쳐 놓았던 돌무더기들이 있다. 1933년 세워진 공주철교 이전에는 이 배다리를 통하여 삼남대로가 이어졌다. 이 배다리의 이름은 산성교로 목선 25척을 연결하여 고정시켰다. 1920년대에는 자동차까지 통행할 정도로 넓고 견고하게 보수되었다. <ref>박태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1081715431 (우리 산하를 다시 걷다) 제2부-2. 공주 금강 휘끈 지나가기] [[경향신문]]</ref> 공주와 조치원간의 승합차 운행권을 가지고 있었던 김갑순이 사비를 들여 가설하였다.
 
현재에도 충청남도의 교통의 중심지로서, [[1번 국도|국도 1호]], [[23번 국도|23호]], [[32번 국도|32호]], [[36번 국도|36호]], [[29번 국도|39호]], [[40번 국도|40호]], [[43번 국도|43호]] 등이 공주시와 충남 각 지역을 연결한다. 또한 [[논산천안고속도로]]를 통해 북으로는 수도권, 남으로는 호남 지역과도 쉽게 소통되며, [[2009년]] [[5월 28일]] 개통된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를 통해 동서 방향의 교통이 더욱 좋아졌다. 또한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개시했다.
*고속버스:
1.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서울(경부): 30~40분간격 / 금호고속
 
2. 공주 > 광주광역시(광천터미널): 1일6회 / 금호고속
 
3. 공주 > 함평: 1일2회, 광주경유 / 금호고속
 
*시외버스: [[공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수도권 각 지역, [[대전광역시|대전]], [[충남]] 각 지역, [[충북]] [[청주시|청주]], [[강원도]] [[원주시]] 등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2013년 6월부터 [[인천국제공항]]행 시외버스가 개통, 운행 중이다.
*시내버스: 공주시 버스회사는 공주교통으로, 공주시 전역을 운행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세종교통]]과 500번, 502번 버스를 공배하고 있다. [[공주시의 시내버스|공주시내버스]] 300번대 버스가 [[대전광역시]] [[유성구]]까지 운행하며 대전, 세종과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주시 시내버스]]를 참고하도록 한다.
*철도: 2015년에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이인면 신영리에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2015년]] [[4월 2일]]부터 여객 취급을 시행하면서 운영 중이다. 공주시와 [[논산시]]의 경계에 위치해있고 주변이 산이라 매우 불편하다. [[오송역]]으로 인해 역간 거리를 어느 정도는 길게 해주어야하는데 정치적인 이유로 애매한 위치에 만들게 되어서 영 좋지 않은 역이 되어버렸다.
 
==출신 인물==
{{참고|분류:공주시 출신}}
{{참고|분류:공주시 출신}}
== 바깥 고리 ==
==자매 도시==
* {{언어고리|ko|en|ja|zh|vi|}}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공식)]
*{{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 {{언어고리|ko|en|ja|zh|vi|}} [http://tour.gongju.go.kr/ 공주문화관광 (공식)]
*{{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지리적 위치
*{{나라|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중앙 = 충청남도 공주시
*{{나라|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북  = [[천안시|충청남도 천안시]]
*{{나라|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
|북동 = [[세종특별자치시]]
*{{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동  = [[세종특별자치시]]
*{{나라|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나고미정]] (체결 당시는 ''기쿠스이 정'')
|남동 = [[유성구|대전광역시 유성구]]<br />[[계룡시|충청남도 계룡시]]
*{{나라|일본}}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남  = [[논산시|충청남도 논산시]]
*{{나라|일본}} [[시가현]] [[모리야마시]]
|남서 = [[부여군|충청남도 부여군]]
*{{나라|미국}} [[앨라배마주]] [[캘훈군 (앨라배마)|캘훈군]](Calhoun County)
|서  = [[청양군|충청남도 청양군]]
*{{나라|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심양시, 沈阳市)
|북서 = [[아산시|충청남도 아산시]]<br />[[예산군|충청남도 예산군]]
==바깥 고리==
}}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공식)]
*[http://tour.gongju.go.kr/ 공주문화관광 (공식)]
 
{{각주}}
{{각주}}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충청남도의 행정구역]]
[[분류:공주시| ]]
[[분류:공주시| ]]
[[분류:대한민국의 도시]]
[[분류:충청남도의 시]]
{{퍼온문서|공주시||일부}}
{{퍼온문서|공주시||일부}}
{{리브레 맵스 마커|36.45361570618702|127.12035119533539|10|공주시}}

2024년 4월 24일 (수) 21:47 기준 최신판

공주
Korea-Gongju-Gongsanseong-01.jpg
Flag of Gongju.svg
깃발
South Chungcheong-Gongju.svg
지역 정보
종류
시장 최원철 (국민의힘)
국회의원 정진석 (국민의힘) (공주·부여·청양)
행정구역 6 행정동, 27 법정동, 1 읍, 9 면
인구 105,611 명
면적 864.29 km2
기타 정보
상징 느티나무 (나무)
개나리 (꽃)
까치 (새)
(동물)
웹사이트 공주시청

공주시(公州市, Gongju C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이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이다.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공주의 공산성송산리 고분군백제역사유적지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매년 10월 부여군와 합동으로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감영이 있었고, 1932년까지 충청남도청 소재지였다.

시의 중앙으로 금강이 흐른다. 명소로는 공산성, 무령왕릉, 계룡산 국립공원, 금강의 나루터였던 곰나루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공주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국립대학교가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치료감호소가 있는 곳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공주는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538년 백제 성왕은 수도를 사비 (현재의 부여군)으로 옮겼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라고 불렸다. 고려 태조 23년 처음으로 공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고려 성종 2년에 12이 설치되었는데 충남지역에서 유일하게 목으로 승격되었다. 고려 현종거란의 침입을 피하여 나주로 피란할 때, 곰나루를 건너 공주에 이르러 수일을 머물렀다.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가 되었다. 임진왜란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에 이전됨으로써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624년에는 인조이괄의 난으로 일시 몽진하였다. 이괄의 군이 개성으로 진격하자 인조는 서울을 버리고 공주로 피란을 왔다.

이와 같던 공주가 중소도시로 축소된 요인으로는 수운의 쇠퇴와 경부선의 미경유, 도청 이전을 이야기할 수 있다. 조선시대 때 바닷길을 활용한 수송은 해안 지역이 중심적이었고, 육로를 활용한 수송은 대량의 물자를 수송하기에 불리했기에 내륙 지역에서는 강을 활용한 수운이 발달했다.[1] 공주 역시 금강이 통과하는 지역인지라 금강 수운이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시대 때 강을 활용한 수송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각종 다리들이 건설되면서 금강을 활용한 수송은 축소되었다. 더군다나 경부선 철도는 공주가 아닌 대전을 거치면서 호서 지역의 교통 중심지는 공주가 아닌 대전이 되어버렸고, 도청 역시 대전으로 이전하며 이는 공주 지역의 쇠퇴를 유발했다.

약력[편집 | 원본 편집]

식문화[편집 | 원본 편집]

지리[편집 | 원본 편집]

구도심은 중학동, 옥룡동, 웅진동, 금학동에 위치해있고 금강을 건너면 신도심이 신관동월성동에 위치한다. 신도심은 특이하게도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도로가 배치되어있다. 유구읍에도 작게 시가지가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산이 넓게 펼쳐져 있고 또 많아서 굴곡이 많은 지형이 특징이다. 산이 많은 지형탓에 큰 도시로 성장하기 불리하다.

서산시처럼 면적이 꽤 큰 것도 특징이다.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공주시의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로써 충청남도 15개 시,군 중 가장 넓다. 인구는 2020년 5월말 기준으로 50,512세대, 105,611명이다.

읍면동 한자 세대 인구 면적
유구읍 維鳩邑 3,862 7,565 101.55
이인면 利仁面 1,709 3,363 62.95
탄천면 灘川面 1,617 2,984 64.15
계룡면 鷄龍面 3,078 5,681 84.08
반포면 反浦面 2,114 4,278 78.04
의당면 儀堂面 2,314 4,705 65.69
정안면 正安面 2,466 4,714 108.96
우성면 牛城面 2,710 5,325 79.54
사곡면 寺谷面 1,512 2,984 80.13
신풍면 新豊面 1,551 3,264 80.47
중학동 中學洞 2,512 4,731 1.46
웅진동 熊津洞 3,931 8,296 6.61
금학동 金鶴洞 2,452 5,470 29.99
옥룡동 玉龍洞 4,113 8,084 20.41
신관동 新官洞 8,919 19,614 18.77
월송동 月松洞 5,652 14,553 23.65


교육 기관[편집 | 원본 편집]

대학교[편집 | 원본 편집]

고등학교[편집 | 원본 편집]

중학교[편집 | 원본 편집]

초등학교[편집 | 원본 편집]

교통[편집 | 원본 편집]

공주는 삼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으로 금강을 건너는 곳이었다. 백제 시대에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와 관련된 곰나루와 이어져 있는 공산성의 공북루 옆에는 '배다리'의 자취가 남아 있다. 강바닥에 박았던 나무 말뚝들과 섶다리를 받쳐 놓았던 돌무더기들이 있다. 1933년 세워진 공주철교 이전에는 이 배다리를 통하여 삼남대로가 이어졌다. 이 배다리의 이름은 산성교로 목선 25척을 연결하여 고정시켰다. 1920년대에는 자동차까지 통행할 정도로 넓고 견고하게 보수되었다. [4] 공주와 조치원간의 승합차 운행권을 가지고 있었던 김갑순이 사비를 들여 가설하였다.

현재에도 충청남도의 교통의 중심지로서, 국도 1호, 23호, 32호, 36호, 39호, 40호, 43호 등이 공주시와 충남 각 지역을 연결한다. 또한 논산천안고속도로를 통해 북으로는 수도권, 남으로는 호남 지역과도 쉽게 소통되며, 2009년 5월 28일 개통된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를 통해 동서 방향의 교통이 더욱 좋아졌다. 또한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개시했다.

  • 고속버스:

1. 공주 > 서울(경부): 30~40분간격 / 금호고속

2. 공주 > 광주광역시(광천터미널): 1일6회 / 금호고속

3. 공주 > 함평: 1일2회, 광주경유 / 금호고속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자매 도시[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그 덕분에 서울특별시 염창동은 바닷가가 아님에도 소금 창고라는 뜻의 이름이 붙을 수 있었으며 가흥창이 있던 충주시 가흥리와 나루터가 있던 목계 등도 지금과는 달리 상당히 발전한 동네였고, 논산시 강경읍은 내륙임에도 젓갈이 유명한 동네일 수 있었다.
  2.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 관제개정에 관한 안건 (《고종실록33년 8월 4일)
  3. 한일고등학교와 함께 공주시 명문고 양대 산맥으로 자리잡고 있는 학교로 전국단위로 학생들을 받으며 고입 내신이 상당히 높다
  4. 박태순, (우리 산하를 다시 걷다) 제2부-2. 공주 금강 휘끈 지나가기 경향신문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공주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