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성씨 삭제함, 분류:중국의 성씨 추가함)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최(崔)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169,70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최(崔)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169,70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9번째 줄: 8번째 줄:
[[신라]] 계통의 최씨의 기원은 [[신라]] 6부족의 하나인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도리]]'''(蘇伐都利)로 알려져 있다.
[[신라]] 계통의 최씨의 기원은 [[신라]] 6부족의 하나인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도리]]'''(蘇伐都利)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계통으로 [[고구려]] 계통의 최(崔)씨가 있다. 최치원의 금석문으로 알려진 쌍계사 진감선사비에 ‘진감선사’의 속명이 최씨임을 밝히며, 고향은 금마(金馬, 현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익산시)|금마면]])로 적고 있다. 진감선사의 선조에 대해선 [[수나라]] 때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포로가 되어 [[고구려]]에 눌러 살다가 [[고구려]]가 멸망한 뒤 금마로 내려와 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12/06/19/20120619022612.html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 최씨의 유래], 세계일보, 2012년 6월 28일</ref>
또 다른 계통으로 [[고구려]] 계통의 최(崔)씨가 있다. 최치원의 금석문으로 알려진 쌍계사 진감선사비에 ‘진감선사’의 속명이 최씨임을 밝히며, 고향은 금마(金馬, 현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익산)|금마면]])로 적고 있다. 진감선사의 선조에 대해선 [[수나라]] 때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포로가 되어 [[고구려]]에 눌러 살다가 [[고구려]]가 멸망한 뒤 금마로 내려와 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12/06/19/20120619022612.html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 최씨의 유래], 세계일보, 2012년 6월 28일</ref>


== 본관별 시조 ==
== 본관별 시조 ==
15번째 줄: 14번째 줄:
최(崔)씨의 본관은 문헌에 387본까지 기록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전주 최씨|전주]](全州)·[[해주 최씨|해주]](海州)·[[강릉 최씨|강릉]](江陵)·[[탐진 최씨|탐진]](耽津:강진)·[[수성 최씨|수성]](隋城)·[[삭녕 최씨|삭녕]](朔寧)·[[화순 최씨|화순]](和順)·[[강화 최씨|강화]](江華)·[[낭주 최씨|낭주]](朗州)·[[동주 최씨|동주]](東州:철원)·[[우봉 최씨|우봉]](牛峰)·)·[[완산 최씨|완산]](完山)·[[영흥 최씨|영흥]](永興)·[[상원 최씨|상원]](祥原)·[[수원 최씨|수원]](水原) 등 159본이고, 이 중 시조와 계대가 확인되는 본관은 43본이다.
최(崔)씨의 본관은 문헌에 387본까지 기록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전주 최씨|전주]](全州)·[[해주 최씨|해주]](海州)·[[강릉 최씨|강릉]](江陵)·[[탐진 최씨|탐진]](耽津:강진)·[[수성 최씨|수성]](隋城)·[[삭녕 최씨|삭녕]](朔寧)·[[화순 최씨|화순]](和順)·[[강화 최씨|강화]](江華)·[[낭주 최씨|낭주]](朗州)·[[동주 최씨|동주]](東州:철원)·[[우봉 최씨|우봉]](牛峰)·)·[[완산 최씨|완산]](完山)·[[영흥 최씨|영흥]](永興)·[[상원 최씨|상원]](祥原)·[[수원 최씨|수원]](水原) 등 159본이고, 이 중 시조와 계대가 확인되는 본관은 43본이다.


{{Hidden begin|title=본관별 시조}}
{{숨김 시작|title=본관별 시조}}
* '''[[경주 최씨]]'''(慶州 崔氏) 시조 '''[[최치원]]'''(崔致遠, 857년 ~ ?)은 돌산고허촌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으로, 신라 후기의 6두품 출신 학자다. 최씨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본관이지만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을 뿐, 가문이 퇴조하여 상신이나 대제학은 배출하지 못하였다.<ref>[http://www.rootsinfo.co.kr/ 뿌리를 찾아서]</ref> 2000년 인구는 976,820명이다.
* '''[[경주 최씨]]'''(慶州 崔氏) 시조 '''[[최치원]]'''(崔致遠, 857년 ~ ?)은 돌산고허촌의 촌장인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으로, 신라 후기의 6두품 출신 학자다. 최씨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본관이지만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을 뿐, 가문이 퇴조하여 상신이나 대제학은 배출하지 못하였다.<ref>[http://www.rootsinfo.co.kr/ 뿌리를 찾아서]</ref> 2000년 인구는 976,820명이다.
* '''[[동주 최씨]]'''(東州 崔氏) 시조 '''최준옹'''(崔俊邕)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삼한공신(三韓功臣)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에 이르렀다. [[철원 최씨]]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고려]] [[우왕]]의 장인인 '''[[최영]]'''(崔瑩) 장군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175_0540|동주 최씨}}</ref> 2000년 인구는 11,699명이다.
* '''[[동주 최씨]]'''(東州 崔氏) 시조 '''최준옹'''(崔俊邕)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삼한공신(三韓功臣)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에 이르렀다. [[철원 최씨]]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고려]] [[우왕]]의 장인인 '''[[최영]]'''(崔瑩) 장군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225_175_0540|동주 최씨}}</ref> 2000년 인구는 11,699명이다.
39번째 줄: 38번째 줄:
* '''[[충주 최씨]]'''는 '''[[당나라]]''' [[당 무종|무종]] 때 [[산동성]] [[청하 최씨|청하]] 출신 '''최승'''(崔陞)으로, 초명은 '''[[최우]]'''(崔偶)이다. 그는 846년, [[신라]] [[문성왕]] 8년에 신라에 도적이 창궐할 때 [[당나라]] [[당 무종|무종]]의 명을 받고 병마사로 들어와 도적들을 토평하였다. 889년, [[진성여왕]] 3년에 원종(元宗), 경노(京奴)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당나라]] [[당 소종|소종]]의 명을 받아 상장군으로 들어와 반란을 평정하여 은청광록대부에 올랐고 후손들은 충주에 정착하였다. 고려 [[충선왕]] 때 중원백(中原伯)에 봉해진 '''최공의'''(崔公義)를 1세로 하고 있다.
* '''[[충주 최씨]]'''는 '''[[당나라]]''' [[당 무종|무종]] 때 [[산동성]] [[청하 최씨|청하]] 출신 '''최승'''(崔陞)으로, 초명은 '''[[최우]]'''(崔偶)이다. 그는 846년, [[신라]] [[문성왕]] 8년에 신라에 도적이 창궐할 때 [[당나라]] [[당 무종|무종]]의 명을 받고 병마사로 들어와 도적들을 토평하였다. 889년, [[진성여왕]] 3년에 원종(元宗), 경노(京奴)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당나라]] [[당 소종|소종]]의 명을 받아 상장군으로 들어와 반란을 평정하여 은청광록대부에 올랐고 후손들은 충주에 정착하였다. 고려 [[충선왕]] 때 중원백(中原伯)에 봉해진 '''최공의'''(崔公義)를 1세로 하고 있다.


{{hidden end}}
{{숨김 끝}}


== 발음 / 표기 ==
== 발음 / 표기 ==
56번째 줄: 55번째 줄:
* [[렌 (뉴이스트)|최민기]] - 보이그룹 [[뉴이스트]] [[렌 (뉴이스트)|렌]]의 본명.
* [[렌 (뉴이스트)|최민기]] - 보이그룹 [[뉴이스트]] [[렌 (뉴이스트)|렌]]의 본명.
* [[최민식]] - 배우.
* [[최민식]] - 배우.
* [[최민정]] - 쇼트트랙 선수.
* [[민호|최민호]] - 보이그룹 [[샤이니]] [[민호]]의 본명.
* [[민호|최민호]] - 보이그룹 [[샤이니]] [[민호]]의 본명.
* [[범규|최범규]]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범규]]의 본명.
* [[범규|최범규]]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범규]]의 본명.
94번째 줄: 94번째 줄: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인의 성씨}}
[[분류:성씨]]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최씨| ]]
{{퍼온문서|최 (성씨)|15789190}}
{{퍼온문서|최 (성씨)|15789190}}

2022년 3월 1일 (화) 19:27 기준 최신판

(崔)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최(崔)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169,70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기원[편집 | 원본 편집]

최(崔)씨의 기원은 신라 계통과 고구려 계통 등 다양한 계통이 존재한다.

한반도 역사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최(崔)씨는 1세기 평양 대동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었던 ‘최씨 낙랑’이 거론된다. 고구려 기록에 낙랑최리(崔理)가 옥저에서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好童)을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신라 계통의 최씨의 기원은 신라 6부족의 하나인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도리(蘇伐都利)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계통으로 고구려 계통의 최(崔)씨가 있다. 최치원의 금석문으로 알려진 쌍계사 진감선사비에 ‘진감선사’의 속명이 최씨임을 밝히며, 고향은 금마(金馬, 현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로 적고 있다. 진감선사의 선조에 대해선 수나라고구려를 침공했다가 포로가 되어 고구려에 눌러 살다가 고구려가 멸망한 뒤 금마로 내려와 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1]

본관별 시조[편집 | 원본 편집]

최(崔)씨의 본관은 문헌에 387본까지 기록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경주(慶州)·전주(全州)·해주(海州)·강릉(江陵)·탐진(耽津:강진)·수성(隋城)·삭녕(朔寧)·화순(和順)·강화(江華)·낭주(朗州)·동주(東州:철원)·우봉(牛峰)·)·완산(完山)·영흥(永興)·상원(祥原)·수원(水原) 등 159본이고, 이 중 시조와 계대가 확인되는 본관은 43본이다.

발음 / 표기[편집 | 원본 편집]

표준 한국어 로마자 표기는 Choe이고 '최/췌[t͡ɕʰø/t͡ɕʰwe]'로 발음한다.[9] 다만 영어권 국가에서는 보통 Choi라고 표기한다.

최씨 성을 가진 인물[편집 | 원본 편집]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최 (성씨) 문서 15789190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