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광주고속도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파일:KR roadsign L(\d+)\.png(\|\d+px|)\|링크=\d+번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노선|\1}}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도로 정보
{{도로 정보
|노선명 = 무안광주고속도로
|도로이름 = 무안광주고속도로
|노선번호명 = 대한민국 고속국도 12호선
|원어이름 =  
|노선번호 = [[파일:KR_roadsign_E12.png|48px|링크=]]
|도로표지 = [[파일:Korea Expressway No.12.svg|50px]]
|기점 = [[무안공항 나들목]]<br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지도    = [[파일:12 Muan-Gwangju.svg|150px]]
|종점 = [[운수 나들목]]<br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지도설명 =
|연장 = 41.35 km
|도로번호 =
|개통일 = [[2007년]] [[11월 9일]]
|종류    =
|관할 = [[한국도로공사]]
|기점     = [[무안공항 나들목]]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종점     = [[운수 나들목]]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연장     = 41.35 km
|개통일   = [[2007년]] [[11월 9일]]
|폐지일  =
|관할     = [[한국도로공사]]
|비고    =
}}
}}


{{+1|무안광주고속도로}}<br />Muan–Gwangju Expressway<br />務安光州高速道路<br />'''<del>[[공기수송|신선한 공기를 날라다 드립니다]]</del>'''
[[무안군|무안]]과 [[광주광역시|광주]]를 잇는 고속도로 노선으로, 수요가 저조한 것으로 악명 높은 [[무안국제공항]]과 광주를 잇기 위해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고속도로다.
 
== 개요 ==
[[무안군|무안]]과 [[광주광역시|광주]]를 잇는 고속도로 노선으로, 수요가 저조한 것으로 악명 높은 [[무안국제공항]]과 광주를 잇기 위해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고속도로다.  


== 연혁 ==
== 연혁 ==
* [[2002년]] [[12월 5일]]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을 88올림픽고속도로의 연장선으로 지정.
* [[2002년]] [[12월 5일]]: 전남 무안군 망운면-광주 광산구 구간을 88올림픽고속도로의 연장선으로 지정.
* [[2007년]] [[11월 9일]] : [[무안공항 나들목]]-[[나주 나들목]] 30.40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나들목|무안공항]][[나주 나들목|나주]]30.40 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 [[2008년]] [[1월 3일]] : 무안공항 나들목-[[운수 나들목]]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리되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
* [[2008년]] [[1월 3일]]: 무안공항–[[운수 나들목|운수]]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리되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
* [[2008년]] [[5월 28일]] : [[나주 나들목]]-[[운수 나들목]] 10.95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 [[2008년]] [[5월 28일]]: 나주–운수간 10.95 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 [[2009년]] [[9월 29일]] : [[서광산 나들목]] 개통.
* [[2009년]] [[9월 29일]]: [[서광산 나들목]] 개통.


== 노선 정보 ==
== 노선 정보 ==
[[광주광역시]]도심에 자리잡아 각종 민원을 야기하는 광주공항을 대체할 목적으로 건설된 무안공항까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신설된 노선이다. 그러나 개통 이후 주된 이용 패턴은 [[무안국제공항]] 입출입보다는 주로 [[함평 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의 접속을 통한 광주–목포간 통행 수요가 대부분으로, 함평 분기점의 서쪽 구간부터 무안공항 까지는 전국 고속도로중 손꼽히는 저조한 통행량을 자랑한다. 이런 저조한 수요의 원인은 아무래도 광주공항의 이전사업이 순탄치 않은 상황이 주된 원인으로, 광주공항은 태생적으로 공군기지에 민항기를 곁다리로 취급하는 성격의 공항이며, 무한공항이 군사적 용도로 적합하지 않다는 군부의 입장과 적절한 이전부지를 찾지 못하는 상황 및 이전부지에 대한 전폭적인 지역개발을 원하는 [[전라남도]]의 입장이 엇갈리면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reF>[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1081200528776002 전남도와 이견… 진전 없는 軍공항 이전], 전남일보, {{날짜|2017-7-27}}</ref> 무안공항으로 이전된다 하더라도 광주시민들은 제주도행 등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광주송정역]]에서 [[KTX]]나 [[유스퀘어]]에서 시내버스급 배차간격을 자랑하는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등 대체교통수단이 많아서 사실상 이 고속도로의 건설목적을 이루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File:expway_kr_no_12_muan.jpg|노선도
</gallery>
 
[[광주광역시]] 도심에 자리잡아 민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개발까지 저해하는 [[광주공항]]을 대체할 목적으로 [[무안국제공항]]을 짓기로 정하였고, 그에 따라 광주에서 무안공항의 접근을 위하여 신설된 노선이다. 하지만 그러나 현재 이용 패턴은 무안국제공항을 위한 통행보다는 주로 [[서해안고속도로]]와의 접속을 통한 광주–목포간 통행 처리쪽이 주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서해안고속도로와의 분기점에서 서쪽, 즉 무안공항부터 서해안고속도로까지의 구간은 전국 고속도로에서 가장 이용률이 저조한 구간 중 하나가 되었다. 광주공항의 이전 사업이 순탄치 않은 <ref>[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1081200528776002 전남도와 이견… 진전 없는 軍공항 이전], 전남일보, [[2017년]] [[7월 27일]]</ref> 등도 그 원인 중 하나다. 자세한 사항은 무안국제공항 문서를 참조. 다만 광주와 목포간의 도로 연결성을 높여주었기 때문에 함평부터 광주까지의 구간은 딱히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다.


무안광주고속도로는 계획상 [[광주대구고속도로|88올림픽고속도로]]의 서쪽 구간으로 통합되어 건설되었으나, 2008년부로 대통령령에 따라 노선이 분리되면서 법적으로 완벽히 분리된 별개의 노선이다. 다만 노선번호는 88올림픽고속도로와 똑같은 12번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도 두 노선은 통합될 가능성은 높지 않으며, 종점인 운수 나들목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의 시점인 고서 분기점까지는 일반 도로를 경유하여 [[호남고속도로]]에 진입하여야 한다. 추후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완공되면 간접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무안광주고속도로는 계획상 [[광주대구고속도로]](구 88올림픽고속도로)의 서쪽 연장 구간으로 계획되어 건설되었으나, 2008년부로 대통령령에 따라 노선이 분리되면서 별개의 노선이 되었다. 다만 노선번호는 기존 계획대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똑같은 12번을 유지하고 있다. 법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종점에서 광주의 도시고속도로인 제2순환로를 경유하여 광주대구고속도로의 시점인 [[문흥 분기점]]까지 [[자동차전용도로]]망으로 이어져있어 연계는 수월한 편이다.


== 현황 ==
== 현황 ==
78번째 줄: 85번째 줄:
| [[무안공항 나들목]]
| [[무안공항 나들목]]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파일:KR roadsign N77.png|24px|링크=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공항로]]
| {{대한민국 국도 노선|77}} [[77번 국도|공항로]]
|-
|-
! 2<br />TG
! 2<br />TG
84번째 줄: 91번째 줄:
| [[북무안 나들목|북무안 나들목<br />무안공항 요금소]]
| [[북무안 나들목|북무안 나들목<br />무안공항 요금소]]
| ⮧↱<br />↓↑
| ⮧↱<br />↓↑
| [[파일:KR roadsign L60.png|20px|링크=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공항로]]
| {{지방도 노선|60}} [[60번 국가지원지방도|공항로]]
|-
|-
! 3
! 3
90번째 줄: 97번째 줄:
| [[함평 분기점]]
| [[함평 분기점]]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파일:KR roadsign E15.png|24px|링크=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 {{대한민국 고속도로 노선|15}} [[서해안고속도로]]
|-
|-
! SA
! SA
102번째 줄: 109번째 줄:
| [[동함평 나들목]]
| [[동함평 나들목]]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학동로<br />([[파일:KR roadsign N24.png|24px|링크=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4호선|함장로]])
| 학동로<br />({{대한민국 국도 노선|24}} [[24번 국도|함장로]])
|-
|-
! 5
! 5
108번째 줄: 115번째 줄:
| [[문평 나들목]]
| [[문평 나들목]]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파일:KR roadsign L825.png|24px|링크=지방도 제825호선]] [[지방도 제825호선|체암로]]
| {{지방도 노선|825}} [[825번 지방도|체암로]]
|-
|-
! 6
! 6
114번째 줄: 121번째 줄:
| [[나주 나들목]]
| [[나주 나들목]]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파일:KR roadsign L822.png|24px|링크=지방도 제822호선]] [[지방도 제822호선|노안삼도로]]
| {{지방도 노선|822}} [[822번 지방도|노안삼도로]]
|-
|-
! 7
! 7
120번째 줄: 127번째 줄:
| [[서광산 나들목]]
| [[서광산 나들목]]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연산로<br />([[파일:KR roadsign L49.png|20px|링크=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빛가람장성로]])
| 연산로<br />({{지방도 노선|49}} [[49번 국가지원지방도|빛가람장성로]])
|-
|-
! TG
! TG
132번째 줄: 139번째 줄:
| [[운수 나들목]]
| [[운수 나들목]]
| style="line-height: 80%;" | ↲⮤<br />⮧↱
| style="line-height: 80%;" | ↲⮤<br />⮧↱
| 동곡로 ([[호남고속도로]] [[북광산 나들목|북광산]] 방면)<br />([[파일:KR roadsign N22.png|24px|링크=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2호선|어등대로]])
| 동곡로 ([[호남고속도로]] [[북광산 나들목|북광산]] 방면)<br />({{대한민국 국도 노선|22}} [[22번 국도|어등대로]])
|-
|-
! colspan="5" | 무진대로 경유<br />[[파일:KR roadsign N13.png|24px|링크=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사암로]] · [[광주 제2순환로|제2순환로]] ·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청]] 방면 직결
! colspan="5" | 무진대로 경유<br />{{대한민국 국도 노선|13}} [[13번 국도|사암로]] · [[광주 제2순환로|제2순환로]] ·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청]] 방면 직결
|-
|-
|}
|}


== 여담 ==
== 이야깃거리 ==
* [[운수 나들목]] 인근의 터널 이름은 어등산호남대터널이라는 괴팍한 명칭이 붙어있다. 원래 공사 당시만 하더라도 어등산의 산자락을 지나니까 어등산터널로 정해졌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이 터널 바로 인근의 [[호남대학교]]측에서 호남대터널로 명칭을 정해달라 주장하면서 터널의 이름을 한동안 짓지 못하였다가, 결국 [[천안아산역]]과 같은 작명방식으로 합성해서 지어버렸다.
* [[운수 나들목]] 인근의 터널 이름은 어등산호남대터널이라는 괴팍한 명칭이 붙어있다. 원래 공사 당시만 하더라도 어등산의 산자락을 지나므로 어등산터널로 정해졌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이 터널이 지나가는 [[호남대학교]]측에서 고속도로 터널과 연결되는 교량부 건설로 인해 학교 부지를 단절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어등산 자락에 위치한 호남대학교 캠퍼스는 기숙사가 위치한 부지와 본관, 강의동이 위치한 부지 사이로 터널과 교량이 건설되어 단절된 상태이다. 하여 호남대 측에서는 이에 대한 보상으로 호남대터널로 명칭을 정해달라 주장하면서 터널의 이름을 한동안 결정하지 못했다. 결국 [[천안아산역]]과 같은 작명방식으로 두 지명을 합성해서 지어버렸다.


{{각주}}
{{각주}}

2023년 11월 11일 (토) 00:20 기준 최신판

무안광주고속도로
Korea Expressway No.12.svg
12 Muan-Gwangju.svg
도로 정보
기점 무안공항 나들목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종점 운수 나들목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연장 41.35 km
개통일 2007년 11월 9일
관할 한국도로공사

무안광주를 잇는 고속도로 노선으로, 수요가 저조한 것으로 악명 높은 무안국제공항과 광주를 잇기 위해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고속도로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노선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광주광역시 도심에 자리잡아 민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개발까지 저해하는 광주공항을 대체할 목적으로 무안국제공항을 짓기로 정하였고, 그에 따라 광주에서 무안공항의 접근을 위하여 신설된 노선이다. 하지만 그러나 현재 이용 패턴은 무안국제공항을 위한 통행보다는 주로 서해안고속도로와의 접속을 통한 광주–목포간 통행 처리쪽이 주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서해안고속도로와의 분기점에서 서쪽, 즉 무안공항부터 서해안고속도로까지의 구간은 전국 고속도로에서 가장 이용률이 저조한 구간 중 하나가 되었다. 광주공항의 이전 사업이 순탄치 않은 점[1] 등도 그 원인 중 하나다. 자세한 사항은 무안국제공항 문서를 참조. 다만 광주와 목포간의 도로 연결성을 높여주었기 때문에 함평부터 광주까지의 구간은 딱히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다.

무안광주고속도로는 계획상 광주대구고속도로(구 88올림픽고속도로)의 서쪽 연장 구간으로 계획되어 건설되었으나, 2008년부로 대통령령에 따라 노선이 분리되면서 별개의 노선이 되었다. 다만 노선번호는 기존 계획대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똑같은 12번을 유지하고 있다. 법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종점에서 광주의 도시고속도로인 제2순환로를 경유하여 광주대구고속도로의 시점인 문흥 분기점까지 자동차전용도로망으로 이어져있어 연계는 수월한 편이다.

현황[편집 | 원본 편집]

차로수 및 제한속도[편집 | 원본 편집]

2017년 7월 현재 기준
지점명 차로수 제한속도
무안공항 나들목
▼▼▲▲ 왕복 4차로 100 km/h
운수 나들목

구조물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기점 거리는 무안공항 나들목 기준으로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른 값이다.
    • 단, 기울임체는 해당 값이 없어 임의로 가로변에 표시된 기점거리 등을 사용한 경우를 표시한다.
  • 표지판 이정표에 기재된 노선이지만, 거리가 떨어진 노선은 괄호로 표기하였으며, 이 경우 직접 접속된 노선을 기재하였다.
구조물
번호
km 구조물 명칭 진출입 접속 노선
무안국제공항 내부도로 직결
1 0.00 무안공항 나들목 ↲⮤
⮧↱
77 공항로
2
TG
4.65 북무안 나들목
무안공항 요금소
⮧↱
↓↑
60 공항로
3 9.62 함평 분기점 ↲⮤
⮧↱
15 서해안고속도로
SA 12.1x 함평나비 휴게소 ↓↑
4 15.64 동함평 나들목 ↲⮤
⮧↱
학동로
(24 함장로)
5 20.77 문평 나들목 ↲⮤
⮧↱
825 체암로
6 30.40 나주 나들목 ↲⮤
⮧↱
822 노안삼도로
7 34.78 서광산 나들목 ↲⮤
⮧↱
연산로
(49 빛가람장성로)
TG 38.2x 동광산 요금소 ↓↑
8 34.78 운수 나들목 ↲⮤
⮧↱
동곡로 (호남고속도로 북광산 방면)
(22 어등대로)
무진대로 경유
13 사암로 · 제2순환로 · 광주광역시청 방면 직결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 운수 나들목 인근의 터널 이름은 어등산호남대터널이라는 괴팍한 명칭이 붙어있다. 원래 공사 당시만 하더라도 어등산의 산자락을 지나므로 어등산터널로 정해졌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이 터널이 지나가는 호남대학교측에서 고속도로 터널과 연결되는 교량부 건설로 인해 학교 부지를 단절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어등산 자락에 위치한 호남대학교 캠퍼스는 기숙사가 위치한 부지와 본관, 강의동이 위치한 부지 사이로 터널과 교량이 건설되어 단절된 상태이다. 하여 호남대 측에서는 이에 대한 보상으로 호남대터널로 명칭을 정해달라 주장하면서 터널의 이름을 한동안 결정하지 못했다. 결국 천안아산역과 같은 작명방식으로 두 지명을 합성해서 지어버렸다.

각주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목록
남북 1 경부 15 서해안 17 평택파주
익산평택
25 호남
논산천안
27 순천완주 29 세종포천
35 통영대전
중부
37 제2중부 45 중부내륙 55 중앙 65 동해
동서 10 남해 12 무안광주
광주대구
14 함양울산 16 울산 20 새만금포항 30 서산영덕
32 아산청주 40 평택제천 50 영동 52 광주원주 60 서울양양
순환 100 수도권제1순환 300 대전남부순환 400 수도권제2순환 500 광주외곽순환 600 부산외곽순환 700 대구외곽순환
지선 102 남해제1지선 104 남해제2지선 105 남해제3지선 110 인천대교
제2경인
120 경인 130 인천국제공항
151 서천공주 153 평택시흥 173 익산평택지선 171 오산화성
용인서울
202
204
새만금포항지선
251 호남지선
253 고창담양 255 강진광주 292 세종포천 오송지선 301 상주영천 451 중부내륙지선 551 중앙지선
폐선 목록 · 한국도로공사 · 민간투자 노선 및 운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