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기초자치단체
{{마을 정보
|이름=수원시
|마을이름  = 수원
|대표이미지      =수원화성 서문.jpg
|원어이름  =  
|지도=수원시 지도.png
|그림      = [[파일:Bifyu 8.jpg|300px]]
|면적=121.04
|그림설명  =  
|세대=472,194
|깃발      = Flag of Suwon (2022).svg
|세대_조사연도=<small>{{날짜/출력|2016-12-31}}</small>
|깃발설명  =  
|총인구=1,194,041
|휘장      =  
|총인구_조사연도=<small>{{날짜/출력|2016-12-31}}</small>
|휘장설명  =
|일반구=4
|지도      =  
|=
|지도설명  =  
|=
|표어      =
|행정동=56
|노래      =  
|법정동=42
|종류      = [[시 (행정구역)|시]]
|시장 =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나라      =  
|국회의원 = 갑: [[이찬열]] ([[바른미래당]])<br />을: [[백혜련]] ([[더불어민주당]])<br/>병: [[김영진 (1967년)|김영진]] ([[더불어민주당]])<br />정: [[박광온]] ([[더불어민주당]])<br/>무: [[김진표 (정치인)|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소속지역  =  
|시청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41
|수도      =  
|홈페이지        = [http://www.suwon.go.kr http://www.suwon.go.kr]
|단체장직책 = 시장
|시목     = [[소나무]]
|단체장    = 이재준 ([[더불어민주당]])
|시화    = [[진달래]]
|입법부    =
|시조    = [[왜가리과|백로]]
|국회의원   = [[김승원]] ([[더불어민주당]])<br />[[백혜련]] ([[더불어민주당]])<br />[[김영진 (1967년)|김영진]] ([[더불어민주당]])<br />[[박광온]] ([[더불어민주당]])<br />[[김진표 (정치인)|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상징동물        =  
|행정구역  = 4 구
|인구      = 1,192,018
|인구밀도  =  
|인구 연도  = 2020년 기준
|면적      = 121.04
|설립일    =
|해체일    =
|시간대     =
|ISO        =
|마스코트  =
|상징      = [[소나무]] (나무)<br />[[진달래]] (꽃)<br />[[왜가리과|백로]] (새)
|웹사이트  = {{url|http://www.suwon.go.kr}}
|비고      =  
}}
}}
'''수원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 (행정구역)|시]]이자 [[경기도청]] [[도청 소재지|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남쪽으로 [[화성시]], 북쪽으로는 [[의왕시]], 서북쪽으로는 [[안산시]]에 접하고 있다.
'''수원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 (행정구역)|시]]이자 [[경기도청]] [[도청 소재지|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남쪽으로 [[화성시]], 북쪽으로는 [[의왕시]], 서북쪽으로는 [[안산시]]에 접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대한민국]]의 자치시 중에서는 가장 인구가 많으며, [[울산광역시]]보다도 인구가 많아 광역시 승격을 꿈꾸고 있으나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는 광역시 승격이 인구 100만 이상의 조건뿐만 아니라 면적 등의 다양한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도 수원시는 광교신도시, 호매실지구, 세류동 등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의 자치시 중에서는 가장 인구가 많으며, [[울산광역시]]보다도 인구가 많아 광역시 승격을 꿈꾸고 있으나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는 광역시 승격이 인구 100만 이상의 조건뿐만 아니라 면적 등의 다양한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도 수원시는 광교신도시, 호매실지구, 세류동 등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때 [[수원시]], [[화성시]], 그리고 [[오산시]]를 통합하자는 논의가 나오기도 하였다.
한때 같은 수원군이었던 [[수원시]], [[화성시]], 그리고 [[오산시]]를 통합하자는 논의가 나오기도 하였다.


== 역사 ==
== 역사==
{{빈 문단}}
===조선시대 이전===
고조선 시절에는 마한의 소국인 모수국(牟水國)이 존재했었으며 삼국시대에는 매홀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참고로 이때의 중심지는 수원 시내 지역이 아닌 지금의 수원대학교와 융건릉 근처였다고 한다.
 
===조선 시대===
남북국 시대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며 매홀이라고 불렸던 동네가 수성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이후 수원으로 이름이 바뀐다. 조선 정조 때에 이르러 이 동네의 중심지가 바뀌었는데 사도 세자의 무덤을 양주에서 현재의 융건릉 자리로 옮기면서 기존의 수원성을 헐고 지금의 수원 화성으로 옮기게 되었다. 그러면서 수원의 중심지는 지금의 수원대학교 주변에서 지금의 팔달구 자리로 바뀌게 된다. 여담으로 정조가 수도를 이곳으로 옮기고자 했었으나 실패했다고 한다.
 
===근, 현대===
관립 농상공학교가 분리되면서 수원농학교가 들어오게 된다. 이때 세워진 수원농학교는 현재의 서울대 농대의 전신으로 2003년도까지 수원에 있었으나 서울대학교 관악캠으로 옮겼다. 형제 학교인 공업학교와 상업학교는 모두 실업계 고등학교로<ref>공업학교는 현재의 서울공고이며 상업학교는 현재의 선린인터넷 고등학교이다.</ref> 변한것과는 대조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경부선도 들어오게 되는데 원래 용인역을 건설하려고 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수원에 역을 짓게 된다. 여담으로 경부선이 들어올 때에는 본래 여기산에 터널을 뚫으려고 했으나 고종의 요청으로 뚫지 않고 현재의 화서역쪽으로 선로를 우회하여 지었다고 한다. 어쨌든 경부선은 수원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는데 일제가 식민지 수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인선과 수려선을 지어버리는 바람에 수원역이 교통의 요지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행정적으로는 큰 변화가 있었는데 1914년 일제가 수원군과 남양군<ref>현재의 화성 서부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ref>을 통폐합시켜 버렸고 그 결과 아직까지도 화성 서부와 화성 동부 지역은 생활권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같은 행정구역으로 묶이게 되었다. 독립 이후 수원읍 지역은 수원시로 승격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은 화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ref>군청 자리는 수원 시내에 있었다고 한다.</ref> 이후 화성시와 오산시로 승격되었다.


== 지리 ==
== 지리 ==
39번째 줄: 58번째 줄:
! 일반구 !! 한자 !! 면적 (㎢) !! 인구 (명) !! 세대
! 일반구 !! 한자 !! 면적 (㎢) !! 인구 (명) !! 세대
|-
|-
|'''[[장안구]]''' || 長安區 || 33.17 || 296,479 || 115,507
|'''[[장안구]]''' || 長安區 || 33.17 || 276,317 || 115,150
|-
|-
|'''[[권선구]]''' || 勸善區 || 47.31 || 358,393 || 140,772
|'''[[권선구]]''' || 勸善區 || 47.31 || 370,687 || 153,597
|-
|-
|'''[[팔달구]]''' || 八達區 || 12.86 || 198,515 || 88,317
|'''[[팔달구]]''' || 八達區 || 12.86 || 175,396 || 85,059
|-
|-
|'''[[영통구]]''' || 靈通區 || 27.68 || 340,654 || 127,598
|'''[[영통구]]''' || 靈通區 || 27.68 || 369,618 || 148,340
|-
|-
! 수원시 !! 水原市 !! 121.02 !! 1,194,041 !! 472,194
! 수원시 !! 水原市 !! 121.02 !! 1,192,018 !! 502,146
|-
|-
|}* <sup>인구·세대는 2016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sup>
|}* <sup>인구·세대는 2020년 5월 주민등록 기준</sup>


== 교통 ==
== 교통 ==
55번째 줄: 74번째 줄:
* [[KTX]] : ([[영등포역]]) ← [[수원역]] → ([[대전역]])
* [[KTX]] : ([[영등포역]]) ← [[수원역]] → ([[대전역]])
* 일반열차 : ([[안양역]]) ← [[수원역]] → ([[오산역]])
* 일반열차 : ([[안양역]]) ← [[수원역]] → ([[오산역]])
* [[경부선]]({{한국 도시철도2|SM|1}} [[수도권 전철 1호선]])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화서역]] - [[수원역]] - [[세류역]] → ([[병점역]])
* [[경부선]]({{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화서역]] - [[수원역]] - [[세류역]] → ([[병점역]])
* [[분당선]]({{한국 도시철도2|KR|K2}} [[분당선|수도권 전철 분당선]]) : ([[상갈역]]) ← [[청명역]] - [[영통역]] - [[망포역]] - [[매탄권선역]] - [[수원시청역]] - [[매교역]] - [[수원역]]
* [[분당선]]({{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분당선|수도권 전철 분당선]]) : ([[상갈역]]) ← [[청명역]] - [[영통역]] - [[망포역]] - [[매탄권선역]] - [[수원시청역]] - [[매교역]] - [[수원역]]
* [[신분당선]]({{한국 도시철도2|DX|D}} [[신분당선|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 ([[상현역]]) ← [[광교중앙역]] - [[광교역]]
* [[신분당선]]({{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분당}} [[신분당선|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 ([[상현역]]) ← [[광교중앙역]] - [[광교역]]


=== 버스 ===
=== 버스 ===
71번째 줄: 90번째 줄:


; 국도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 [[1번 국도]], [[42번 국도]], [[43번 국도]]


; 지방도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84번 국가지원지방도]], [[98번 국가지원지방도]]
* [[대한민국의 지방도|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15호선]]
* [[대한민국의 지방도|지방도]] : [[309번 지방도]], [[315번 지방도]]


; 대로, 로
; 대로, 로
81번째 줄: 100번째 줄:


== 공공 기관 ==
== 공공 기관 ==
수원시는 [[경기도]]의 행정, 경제의 중심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공공기관이 수원시에 자리잡고 있다. 그 중 경기도청이 가장 대표적인 예. 경기도청은 지은 지 40년이 넘었다. 이로 인해 경기도청은 [[광교신도시]]에 신청사가 건설되어 이전될 예정이다. 경기도청 신청사는 [[신분당선]] [[광교중앙역]] 바로 앞에 지어질 예정이다.
수원시는 [[경기도]]의 행정, 경제의 중심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공공기관이 수원시에 자리잡고 있다. 그 중 경기도청이 가장 대표적인 예. 과거 수원역 인근에 위치해 있던 경기도청은 지은 지 40년이 넘어 [[광교신도시]] 신분당선 광교중앙역 인근에 신청사를 건설하여 이전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경기도교육청]], [[국세청|중부지방국세청]], [[병무청|경인지방병무청]], [[수원지방법원]], 수원보훈지청, [[국토지리정보원]], [[기상청]], [[중소기업청|경기지방중소기업청]], [[경기남부지방경찰청]],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자리잡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경기도교육청]], [[국세청|중부지방국세청]], [[병무청|경인지방병무청]], [[수원지방법원]], 수원보훈지청, [[국토지리정보원]], [[기상청]], [[중소기업청|경기지방중소기업청]], [[경기남부지방경찰청]],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자리잡고 있다.


105번째 줄: 124번째 줄:
== 자매결연 도시 및 우호 도시 ==
== 자매결연 도시 및 우호 도시 ==
; 자매결연 도시
; 자매결연 도시
* {{국기나라|일본}} [[아사히카와 시|아사히카와]]
* {{나라|일본}} [[아사히카와시|아사히카와]]
* {{국기나라|중화인민공화국}} [[지난 시|지난]]
* {{나라|중화인민공화국}} [[지난시|지난]]
*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타운즈빌]]
* {{나라|오스트레일리아}} [[타운즈빌]]
* {{국기나라|인도네시아}} [[반둥]]
* {{나라|인도네시아}} [[반둥]]
* {{국기나라|대한민국}} [[제주시|제주]]
* {{나라|대한민국}} [[제주시|제주]]
* {{국기나라|터키}} [[얄로바]]
* {{나라|터키}} [[얄로바]]
* {{국기나라|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
* {{나라|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
* {{국기나라|멕시코}} [[톨루카]]
* {{나라|멕시코}} [[톨루카]]
* {{국기나라|모로코}} [[페스]]
* {{나라|모로코}} [[페스]]
* {{국기나라|베트남}} [[하이즈엉 성]]
* {{나라|베트남}} [[하이즈엉성]]
* {{국기나라|캄보디아}} [[시엠립 주]]
* {{나라|캄보디아}} [[시엠립주]]
* {{국기나라|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
* {{나라|러시아}} [[니즈니노브고로드]]
* {{국기나라|브라질}} [[쿠리치바]]
* {{나라|브라질}} [[쿠리치바]]
* {{국기나라|대한민국}} [[포항시|포항]]
* {{나라|대한민국}} [[포항시|포항]]
* {{국기나라|대한민국}} [[태안군|태안]]
* {{나라|대한민국}} [[태안군|태안]]
* {{국기나라|독일}} [[프라이부르크]]
* {{나라|독일}} [[프라이부르크]]


; 우호 도시
; 우호 도시
* {{국기나라|중화인민공화국}} [[주하이 시|주하이]]
* {{나라|중화인민공화국}} [[주하이시|주하이]]
* {{국기나라|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시|광저우]]
* {{나라|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시|광저우]]


== 출신 인물 ==
== 출신 인물 ==
133번째 줄: 152번째 줄:
* [http://blog.naver.com/suwonloves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suwonloves 네이버 블로그]
* [http://www.facebook.com/suwonloves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suwonloves 페이스북]
* {{트위터|suwonloves|수원시}}
* <s>{{트위터|suwonloves|수원시}}</s> 2019년 1월 31일부로 운영을 중단한 상태.
 
{{지리적 위치
|중앙 = 경기도 수원시
|북  = [[의왕시|경기도 의왕시]]
|북동 =
|동  = [[용인시|경기도 용인시]]
|남동 =
|남  = [[화성시|경기도 화성시]]
|남서 = [[화성시|경기도 화성시]]
|서  = [[안산시|경기도 안산시]]
|북서 =
}}


{{각주}}
{{각주}}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퍼온문서|수원시||일부}}
{{퍼온문서|수원시||일부}}
[[분류:경기도의 행정구역]]
[[분류:수원시| ]]
[[분류:수원시| ]]
{{리브레 맵스 마커|37.263397320905085|127.02876448631287|10|수원시}}

2023년 11월 27일 (월) 00:38 기준 최신판

수원
Bifyu 8.jpg
Flag of Suwon (2022).svg
깃발
지역 정보
종류
시장 이재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행정구역 4 구
인구 1,192,018 명 (2020년 기준)
면적 121.04 km2
기타 정보
상징 소나무 (나무)
진달래 (꽃)
백로 (새)
웹사이트 www.suwon.go.kr

수원시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남쪽으로 화성시, 북쪽으로는 의왕시, 서북쪽으로는 안산시에 접하고 있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의 자치시 중에서는 가장 인구가 많으며, 울산광역시보다도 인구가 많아 광역시 승격을 꿈꾸고 있으나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는 광역시 승격이 인구 100만 이상의 조건뿐만 아니라 면적 등의 다양한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도 수원시는 광교신도시, 호매실지구, 세류동 등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때 같은 수원군이었던 수원시, 화성시, 그리고 오산시를 통합하자는 논의가 나오기도 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조선시대 이전[편집 | 원본 편집]

고조선 시절에는 마한의 소국인 모수국(牟水國)이 존재했었으며 삼국시대에는 매홀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참고로 이때의 중심지는 수원 시내 지역이 아닌 지금의 수원대학교와 융건릉 근처였다고 한다.

조선 시대[편집 | 원본 편집]

남북국 시대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며 매홀이라고 불렸던 동네가 수성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이후 수원으로 이름이 바뀐다. 조선 정조 때에 이르러 이 동네의 중심지가 바뀌었는데 사도 세자의 무덤을 양주에서 현재의 융건릉 자리로 옮기면서 기존의 수원성을 헐고 지금의 수원 화성으로 옮기게 되었다. 그러면서 수원의 중심지는 지금의 수원대학교 주변에서 지금의 팔달구 자리로 바뀌게 된다. 여담으로 정조가 수도를 이곳으로 옮기고자 했었으나 실패했다고 한다.

근, 현대[편집 | 원본 편집]

관립 농상공학교가 분리되면서 수원농학교가 들어오게 된다. 이때 세워진 수원농학교는 현재의 서울대 농대의 전신으로 2003년도까지 수원에 있었으나 서울대학교 관악캠으로 옮겼다. 형제 학교인 공업학교와 상업학교는 모두 실업계 고등학교로[1] 변한것과는 대조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경부선도 들어오게 되는데 원래 용인역을 건설하려고 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수원에 역을 짓게 된다. 여담으로 경부선이 들어올 때에는 본래 여기산에 터널을 뚫으려고 했으나 고종의 요청으로 뚫지 않고 현재의 화서역쪽으로 선로를 우회하여 지었다고 한다. 어쨌든 경부선은 수원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는데 일제가 식민지 수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인선과 수려선을 지어버리는 바람에 수원역이 교통의 요지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행정적으로는 큰 변화가 있었는데 1914년 일제가 수원군과 남양군[2]을 통폐합시켜 버렸고 그 결과 아직까지도 화성 서부와 화성 동부 지역은 생활권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같은 행정구역으로 묶이게 되었다. 독립 이후 수원읍 지역은 수원시로 승격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은 화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3] 이후 화성시와 오산시로 승격되었다.

지리[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일반구 한자 면적 (㎢) 인구 (명) 세대
장안구 長安區 33.17 276,317 115,150
권선구 勸善區 47.31 370,687 153,597
팔달구 八達區 12.86 175,396 85,059
영통구 靈通區 27.68 369,618 148,340
수원시 水原市 121.02 1,192,018 502,146

* 인구·세대는 2020년 5월 주민등록 기준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철도[편집 | 원본 편집]

버스[편집 | 원본 편집]

도로[편집 | 원본 편집]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대로, 로

공공 기관[편집 | 원본 편집]

수원시는 경기도의 행정, 경제의 중심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공공기관이 수원시에 자리잡고 있다. 그 중 경기도청이 가장 대표적인 예. 과거 수원역 인근에 위치해 있던 경기도청은 지은 지 40년이 넘어 광교신도시 신분당선 광교중앙역 인근에 신청사를 건설하여 이전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경기도교육청, 중부지방국세청, 경인지방병무청, 수원지방법원, 수원보훈지청, 국토지리정보원, 기상청,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경기남부지방경찰청,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자리잡고 있다.

주거 환경[편집 | 원본 편집]

각 구마다 경제격차가 심한 편이다. 동수원 지역에는 영통, 광교 등의 신도시 등이 자라잡았지만 서수원 지역은 아직 개발이 되지 않은 곳이 많다.

산업[편집 | 원본 편집]

교육[편집 | 원본 편집]

문화 · 관광[편집 | 원본 편집]

행사 및 축제[편집 | 원본 편집]

자매결연 도시 및 우호 도시[편집 | 원본 편집]

자매결연 도시
우호 도시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공업학교는 현재의 서울공고이며 상업학교는 현재의 선린인터넷 고등학교이다.
  2. 현재의 화성 서부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3. 군청 자리는 수원 시내에 있었다고 한다.
  4. 명칭과 달리 수원시가 아닌 용인시에 소재하고 있는 나들목이다. 예전 나들목의 명칭은 수원 나들목이였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수원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