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두 판 사이의 차이

(북항 분리)
(감천항 분리)
15번째 줄: 15번째 줄:
통상 "부산항"이라고 뭉뚱그리는 데, 부산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여러군데에 분산되어 성장했다.
통상 "부산항"이라고 뭉뚱그리는 데, 부산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여러군데에 분산되어 성장했다.
* [[부산북항|북항]]
* [[부산북항|북항]]
 
* [[감천항]]·[[다대포항]]
==남항==
==남항==
[[부산 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인근과 영도의 사이의 의 항만구역으로 1975년부터 어항(연안항)으로 따로 구분을 하고 있다. 통상 영도대교 서편을 남항구역으로 보고, 부산대교 동편을 북항구역으로 본다. 순수하게 어항기능만을 담당하며, [[자갈치시장]]이 바로 이 남항의 북쪽에 인접하여 자리하고 있다. 연간 약 30만톤의 수산물을 취급하며, 대한민국 수산업 1번지라 할 수 있는 곳이다.
[[부산 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인근과 영도의 사이의 의 항만구역으로 1975년부터 어항(연안항)으로 따로 구분을 하고 있다. 통상 영도대교 서편을 남항구역으로 보고, 부산대교 동편을 북항구역으로 본다. 순수하게 어항기능만을 담당하며, [[자갈치시장]]이 바로 이 남항의 북쪽에 인접하여 자리하고 있다. 연간 약 30만톤의 수산물을 취급하며, 대한민국 수산업 1번지라 할 수 있는 곳이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방파제]] : 528m
*[[방파제]] : 528m
*파제제 : 421m
*파제제 : 421m
==감천항==
사하구 감천동 일대에 자리하고 있으며, 부산항(북항)의 물동량이 미친듯이 증가하게 되면서 북항의 기능이 마비될 지경에 이르자 고철과 시멘트, 양곡 등의 기능을 아예 통째로 옮겨서 물량을 처리하기로 하고 북항을 보조할 목적으로 감천부두를 개발하기 시작한 항구로 7개의 부두와 관공선 부두, 다대부두를 운영하고 있는 항구이다.
{| class="wikitable"
! 구분!!감천 제1부두!!감천 제2부두!!감천 제3부두!!감천 제4부두!!중앙부두!!감천 제5부두!!감천 제6부두!!감천 제7부두!!다대부두
|-
| 운영회사||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공용부두
|-
| 부두길이||831m||1,062m||1,055m||500m||1,102m||802m||590m||600m||390m
|-
| 전면수심||5.5~8m||9~11m||9~11m||7.5m||6~12m||6~8m||8~13m||13m||7.5m
|-
| 하역능력||잡화2,778천톤||잡화3,615천톤||잡화2,862천톤||잡화783천톤||잡화3,285천톤||잡화4,322천톤||잡화2,719천톤||잡화1,151천톤||-
|-
| 접안능력||8,000톤급 1척</br>6,000톤급 1척</br>5,000톤급 1척</br>3,000톤급 1척</br>2,000톤급 1척||20,000톤급 1척</br>10,000톤급 3척||10,000톤급 1척</br>5,000톤급 4척</br>1,000톤급 4척||5,000톤급 3척||30,000톤급 2척</br>5,000톤급 1척</br>3,000톤급 1척</br>1,000톤급 2척||10,000톤급 2척</br>5,000톤급 4척||30,000톤급 1척</br>20,000톤급 1척</br>10,000톤급 1척</br>5,000톤급 1척||50,000톤급 2척||5,000톤급 2척
|-
| 취급화물||잡화, 어획물||시멘트, 철제, 골재 및 모래, 잡화, 어획물||냉동어획물, 철재, 잡화||부산국제수산물, 도매시장||목재, 잡화, 철재, 관공선||고철, 철재, 원목, 시멘트, 잡화, 어획물||액체, 폐기화물, 시멘트, 어획물, 철재, 잡화, 원목||컨테이너, 철재, 잡화, 목재||잡화
|}
===두도등대===
{{등대
|명칭=두도등대
|그림=
|그림설명=
|번호=2039 / M4355
|위치=[[부산광역시]] [[서구 (부산)|서구]] [[암남동]] 702
|경위도=35°02′55.7″N</br>129°00′54.2″E
|인접항구=[[감천항]], [[다대포항]] [[부산항|부산항 남항]]
|등고=54
|높이=8
|점등일자=
|광파표지/광달거리=7초 3백섬광 / 8해리
|명호 = 204~163
|음파표지/음달거리=
|전파표지/통달거리/주파수=
|관할기관=
}}
[[부산광역시]] [[서구 (부산)|서구]] [[암남동]] 감천항의 입구 부근에 있는 섬인 두도 정상에 위치해 있는 등대로 감천항으로 입항하는 선박들의 주요 항해 목표물이 되는 등대이다. 이 등대 바로 앞에는 감천항으로 들어가는 우현표지인 감천항 등표가 자리하고 있으며, 두도 서편, 감천항 입구 서쪽 앞에 있는 작은 바위섬에는 남방위표지인 아들섬등표가 자리하고 있어 감천항을 오가는 선박의 안전항행을 돕고 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분류:무인등대]]


==부산신항==
==부산신항==
{{youtube|Vma1V4tizbw|||center}}
{{youtube|Vma1V4tizbw|||center}}
==다대포항==


==천성항==
==천성항==

2020년 6월 25일 (목) 23:09 판

북항
  • 釜山港
돌아와요~ 부산항에~[1]

개요

1876년 2월 27일 무역항으로 개항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항구로 대한민국의 항구들 중에서 가장 많은 물동량을 처리하는 명실상부한 대표 관문 역할을 하는 항구이며, 세계 3위의 컨테이너 항만이다.

한반도 동남단에 위치하여 태평양과 아시아대륙을 연결하는 관문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제1의 항만으로서 대한민국 총 해상수출화물의 34%, 컨테이너 화물의 75%, 전국 수산물생산량의 13%를 처리하며, 북항, 남항, 감천항, 신항, 다대포항의 5개 항만으로 구성되어있다.

구성 항만의 물류량을 모두 합치면 2014년 기준으로 146척의 선박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29.2km길이의 안벽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하역능력은 연간 292,140천톤을 처리할 수 있으며, 6개의 컨테이너 터미널과 국제여객터미널 등을 갖추고 있다.

항계

진해시 명동 신명 남단을 기점으로 하여 우도 남동단, 연도 서남단, 가덕도 남측 끝단(북위 34도 59분, 동경 128도 49.5분) 지점, 생도남단, 오륙도 남단, 북위 35도 08분 33.20초,동경 129도 08분 51.60초 지점, 광안대로 남측 축도부 남단(북위 35도 08분 08.90초, 동경129도 06분 53.20초) 및 육지 끝단(북위 35도 08분 06.00초, 동경 129도 06분 44.00초) 지점 을 연결한 선안의 해면 중 다음 각 목의 해면을 제외한 해면 [2]

항만

통상 "부산항"이라고 뭉뚱그리는 데, 부산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여러군데에 분산되어 성장했다.

남항

부산 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인근과 영도의 사이의 의 항만구역으로 1975년부터 어항(연안항)으로 따로 구분을 하고 있다. 통상 영도대교 서편을 남항구역으로 보고, 부산대교 동편을 북항구역으로 본다. 순수하게 어항기능만을 담당하며, 자갈치시장이 바로 이 남항의 북쪽에 인접하여 자리하고 있다. 연간 약 30만톤의 수산물을 취급하며, 대한민국 수산업 1번지라 할 수 있는 곳이다.

부산신항

천성항

본래 선착장 3곳 밖에 없는 작은 포구였으나 200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18년 연말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항만 공사가 한창 진행중으로 가덕도 서쪽 해안가에 방파제 360m, 잠제 30m, 물양장 320m, 선양장 30m, 호안시설 831m, 부대시설 1식 등을 건설하고 있다. 이 항구는 2008년 12월에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부산 서남부의 대표적인 관광형 어항으로 개발중이며, 항구의 위치는 거가대교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역사

  • 1876년 부산포로 개항
  • 1906년 제1부두 축조공사 시작

각주

  1. 원래 가사는 부산항이 아닌 마산항이었다.
  2. 부산지방해양수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