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통영항

분류:
  • 무역항
  • 마리나
통영항 전경
  • 統營港

목차

  • 1 개요
  • 2 항만시설
    • 2.1 내항
    • 2.2 동호항
    • 2.3 서호항
      • 2.3.1 여객선터미널
    • 2.4 도남항
      • 2.4.1 유람선터미널
  • 3 각주

1 개요[편집]

경상남도 통영시의 통영해만 북서쪽에 있는 항구로 통영항은 한국의 나폴리라고 불리울 정도로 경치가 좋기로 유명하다. 위치는 고성반도 남단과 미륵도 사이에 있으며 무역항으로는 1963년 9월에 지정되었다. 이 항구는 수산물 수출의 역할과 어항기능을 겸하고 있는 주요 남해안의 항구 중 하나이다. 항 입구의 폭은 약 2.1km, 만의 길이는 약 3.3km로, 동쪽은 거제도와 마주보고 있으며, 남동쪽에는 한산도, 남서쪽 방향으로는 미륵도가 자리하고 있다.

이 통영항 인근에서 잡히는 수산물은 전국 생산량의 약 10%에 달하는 양으로 연간 27만톤의 수산물이 이 통영항을 통해 집산된다.

2 항만시설[편집]

통영항은 내항, 동호항, 서호항, 도남항의 항구로 구역이 구분된다.

2.1 내항[편집]

북쪽 해안선의 중앙의 포구로 형성된 항구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2 동호항[편집]

북동쪽 해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신항이라 할 수 있는 항구이다. 내항이 좁아지면서 새로이 확충한 어선전용 항만으로 항의 내부에 1~3부두와 수협 1~2부두가 축조되어 있으며 물양장 1,005m가 축조되어 있다. 이 의 시설은 200톤급 미만의 선박까지 접안할 수 있다.

2.3 서호항[편집]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항구이다. 충무운하(통영운하)에서 여객선터미널에 이르는 구역이며, 통영항의 가장 주된 역할을 하는 항구이다. 이 항구는 해안선을 매립하여 약 1km길이의 호안이 축조되어있다. 이 곳에는 수협공판장과 냉동공장 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통영종합여객선터미널이 이 곳에 자리하고 있다. 서호항의 안벽에는 3천톤급 선박의 접안이 가능하며, 하역장비로 50톤급 크레인이 있고, 그 동편의 물양장은 400톤급 1척, 100톤급10척이 동시에 접안가능하며, 무연탄, 시멘트 등을 취급한다.

2.3.1 여객선터미널[편집]

  • 통영-추도 항로 : 한려페리호 / 학림, 송도, 저도, 연대도, 만지도, 한목, 미조 경유
  • 통영-두미, 삼천포항 항로 : 바다랑호 / 우도, 탄항, 상노대, 하노대, 산등, 두미남구, 두미북구 경유, 삼천포항은 4, 9일자에 운항
  • 통영-매물도 항로 : 엔젤3호, 섬사랑3호 / 문어포, 진두, 비진도, 당금, 대항 경유
  • 통영-죽도 항로 : 섬누리호 / 화도, 비산, 서좌, 동좌, 진두, 봉암 경유
  • 통영-금평 항로 : 2000사량호 / 양지, 백학, 진촌, 덕동 경유

2.4 도남항[편집]

도남항 전경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항구이다. 이 도남항 구역에는 유람선터미널, 해상유희공원, 충무관광호텔, 요트계류시설(마리나), 수상분수 등 많은 위락시설과 넓은 주차공간이 확보되어있다. 말 그대로 종합 휴향 레저항으로 개발되어있다. 다만 항방파제를 제외한 항내 안선은 석축호안으로 일반 선박의 접안은 제한된다. 여담으로 이 항구의 좌현표지에 해당하는동방파제등대는 일명 연필등대라고 불리는 특이한 구조물로 되어있다.

2.4.1 유람선터미널[편집]

  • 환타지코스 : 4시간 10분 소요, 통영-해금강-매물도-제승당 코스
  • 해금강코스 : 3시간 10분 소요, 통영-해금강-제승당 코스
  • 매물도코스 : 3시간 10분 소요, 통영-매물도-제승당 코스
  • 비진도코스 : 1시간 소요, 통영-비진도 코스
  • 제승당코스 : 1시간 30분 소요, 통영-제승당 코스
  • 한려수도일원코스 : 2시간 30분 소요, 통영-제승당-한려수도일원
  • 연화도코스 : 3시간 소요, 통영-연화도 코스

3 각주


보기 • 편집
대한민국의 항구 목록(무역항 및 연안항)
무역항
  • 경인항
  • 인천항
  • 서울항1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 완도항
  • 여수항
  • 광양항
  • 하동항
  • 삼천포항
  • 통영항
  • 장승포항
  • 옥포항
  • 고현항
  • 마산항
  • 진해항
  • 부산항
  • 울산항
  • 포항항
  • 호산항
  • 삼척항
  • 동해항
  • 묵호항
  • 옥계항
  • 속초항
  •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비인항
  • 송공항
  • 홍도항
  • 흑산도항
  • 진도항(팽목항)
  • 갈두항(땅끝항)
  • 화흥포항
  • 신마항
  • 녹동신항
  • 나로도항
  • 거문도항
  • 중화항
  • 부산항 남항
  • 구룡포항
  • 강구항
  • 후포항
  • 울릉항
  • 주문진항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 가거항리항

대한민국 내 항구 목록 : 무역항 및 연안항, 국가어항, 지방어항, 어촌정주어항, 마을정주어항, 북한지역 항구
1) 사업중단

보기 • 편집
대한민국 소재 마리나 목록
동해안
  • 강릉항
  • 덕산항
  • 수산항
  • 오산항
  • 양포항
서해안
  • 김포 마리나
  • 목포항
  • 서울 마리나(한강)
  • 전곡항
  • 화원마리나(건설중)
남해안
  • 구산 마리나(건설중)
  • 김녕항
  • 남열항(건설중)
  • 당항포 마리나(건설중)
  • 도남항(통영항)
  • 도두항
  • 명동 마리나(건설중)
  • 물건항
  • 부산항(북항)
  • 백운포 마리나(건설중)
  • 삼천포 마리나
  • 사곡 마리나
  • 소호항
  • 수영만 요트경기장
  • 여수항
  • 완도항
  • 이호항
  • 지세포항
  • 중문 마리나
  • 팽목항(건설중)
  • 하동 마리나(건설중)
  • 이 문서는 2019년 11월 4일 (월) 11: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