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인천항
2012. 9.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 Rep. of Korea Navy 62th Anniversary of Incheon Landing Operation (7998837752).jpg
항구 정보
종류 무역항
위치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관할 인천항만공사
개항일 1883년 1월 1일
부두 8개
선석 126개
  • 仁川港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의 출입구가 되는 항구로 공식적인 항구로써의 개항은 1883년 강화도 조약에 의해서 제물포를 개항하면서 항구의 역사를 시작하게 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해상물류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이 인천항은 조수간만이 워낙에 크고, 수심이 얕은데다 진입하는 해상 항로가 좁아터져서 초대형 선박의 경우 평택항이나 당진항을 이용하거나 아예 광양항이나 부산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구분[편집 | 원본 편집]

인천항은 내항부터 시작하여 북항, 남항, 인천신항으로 구성된 대규모 항구이다.

내항[편집 | 원본 편집]

인천항 갑문 안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한국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가 건설된 곳으로 1910년에 이미 1부두가 건설된 곳이기도 하다. 내항은 자동차, 양곡, 잡화부두 등 총 8개 부두에 5만톤급 48선석이 운영중에 있으며 화물 하역능력은 연간 40,186천톤이다. 좁은 의미의 인천항은 보통 내항만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 1부두 : 잡화, 철재
  • 2부두 : 잡화, 철재
  • 3부두 : 잡화, 철재
  • 4부두 : 잡화, 양곡
  • 5부두 : 양곡, 자동차, 잡화, 철재
  • 6부두 : 잡화
  • 7부두 : 양곡
  • 8부두 : 잡화

인천항 갑문[편집 | 원본 편집]

제1갑문을 통과중인 미 해군 구축함

인천항은 워낙에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장소인지라 선박의 정박 자체가 극도로 제한되는 환경이다. 이에 월미도와 소월미도 인근의 해역을 매립하여 부두를 확장하고 두 섬 사이의 해협에 2기의 갑문을 설치하여 대형 선박들도 내항 부두에 정박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었다. 1갑문은 폭 36m, 길이 363m이며 5만DWT급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며, 2갑문은 폭 22.5m, 길이 202m로 1만 DWT급의 선박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갑문의 하루 최대처리능력은 입출항 각 20척씩 처리가 가능하다.

남항[편집 | 원본 편집]

인천항 갑문 남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이 곳은 컨테이너부두 7선석, 잡화부두 1선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부두, 컨테이너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연안부두), 국제여객터미널·국제크루즈터미널(국제여객부두), 그리고 해경부두도 이쪽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2019년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인천항크루즈터미널이 개장했고, 2020년 6월에는 국제여객터미널이 이전개장했다.

북항과 신항을 제외한 갑문 외부의 모든 외항 구역을 남항이라 칭하기 때문에, 구분이 애매모호하다. 북쪽 축항대로의 해경부두부터 남쪽 송도의 국제여객부두까지 전부 남항에 들어간다. 남항보다 더 남쪽에 있는 신항은 또 별개의 구역이다.

  • 연안여객터미널: 제주항 카 페리는 구 국제여객1터미널을 사용한다. 구 국제여객2터미널은 아직 용처를 찾지 못한 상태.
선사명 선박명 톤수 정원 운항구간 소요시간
하이덱스스토리지(주) 비욘드트러스트호 26,546 854 인천-제주 13시간 30분
고려고속훼리(주) 코리아킹호
코리아피스호
옹진훼미리호
534
302
452
449
336
354
인천-소청도-대청도-백령도 4시간
4시간
5시간
플라잉카페리호
코리아피스호
코리아스타호
452
302
494
411
336
557
인천-소연평도-대연평도 2시간
스마트호
코리아피스호
194
302
304
336
인천-자월도-승봉도-소이작도-대이작도 1시간 35분
코리아나호
코리아익스프레스 카훼리호
스마트호
코리아피스호
226
903
194
302
288
694
304
336
인천-소야도-덕적도 1시간 10분
1시간 50분
예비선박
예비선박
(유)대부해운 대부고속훼리5호 490 600 인천-자월도-승봉도-소이작도-대이작도 2시간 10분
(주)에이치해운 하모니플라워호 2071 564 인천-소청도-대청도-백령도 4시간
(유)대부해운 서해누리호 106 97 인천-대부도-육도-풍도 3시간
  • 국제여객터미널: 2020년 6월부로 송도 부근의 신 터미널의 운영을 시작했다. 신항도 송도에 위치하지만 엄연히 다른 곳이다.
    • 인천 - 잉커우
    • 인천 - 친황다오(천황도)
    • 인천 - 옌타이(연태)
    • 인천 - 다롄(대련)
    • 인천 - 시다오(석도)
    • 인천 - 단둥(단동)
    • 인천 - 웨이하이(위해)
    • 인천 - 칭다오(청도)
    • 인천 - 톈진(천진)
    • 인천 - 롄윈강(연운항)

북항[편집 | 원본 편집]

인천광역시 서구 북성동, 원창동 일대에 건설된 항구로 5만톤급의 17선석 규모의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신항만 개발을 통하여서 완성된 시설로 연간 화물 하역능력은 1,254만톤이다.

인천신항[편집 | 원본 편집]

연수구 송도신도시 남서쪽에 바다를 매립하여 건설중인 항만으로 2020년까지 최대 4천TEU급 컨테이너 전용부두 12선석을 개발하고 연간 화물 하역능력을 33,347천톤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인천신항이 완공되면 인천광역시의 서쪽 해안선은 거의 전부가 항구 구역에 들어가게 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883년 : 강화도 조약에 의해 제물포를 개항. 지금의 인천항이 시작된다.
  • 1930년 : 1910년 대비 총 무역액은 40배로 늘어나게 된다.
  • 1946년 : 한국 총수입의 94%를 차지
  • 1950년 : 인천상륙작전의 주 무대가 되었다. 이 당시 항만시설과 시가지가 상당수 파괴되어 항만기능을 거의 상실하였었다.
  • 1973년 : 제1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시행. 1978년까지 지속된 이 사업으로 인천항에는 갑문방파제, 항만도로 포장 등의 시설이 보강되고, 대한민국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 취급시설을 완공하였다.
  • 1981년 : 제2단계 인천항 개발사업을 추진. 1985년까지 진행된 이 사업은 내항 일부 부두 안벽 연장 및 석탄부두 조성, 커넵이어 시설, 기중기 등의 하역장비를 보강하고, 양곡전용부두와 사일로, 제8부두가 이 사업에서 건설되었다.
  • 2015년 : 신항 1단계 선광신컨테이너 터미널이 개장되었다.
  • 2020년 : 남항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했다.

등대[편집 | 원본 편집]

인천항에는 총 10기의 방파제등대 및 부두등대가 자리하고 있다. 다음은 그 목록

명칭 경위도 광파표지 광달거리
(해리)
높이
(m)
형태 항로표지
갑문남방파제등대 37-27-54.9N
126-35-37.7E
5초 1적색광 18 9 홍색 하부4각 상부원통형 우현표지
갑문북방파제 등대 37-28-08.1N
126-35-41.6E
5초 1녹색광 17 9 백색 하부4각상부원통형 좌현표지
국제여객부두 A호 등대 37-27-17.6N
126-35-36.5E
6초 2황색광 7 5.3 황철탑형 특수표지
국제여객부두 B호 등대 37-27-19.3N
126-35-39.1E
7초 3황색광 7 5.3 황철탑형 특수표지
북방파제 등대 37-27-24.6N
126-35-41.5E
5초 1녹색광 5 15 백원형 콘크리트조 좌현표지
석탄부두 A호 등대 37-26-18N
126-35-13E
7초 1황색광 20 8.8 황원형 콘크리트조 특수표지
석탄부두 B호 등대 37-26-29.7N
126-35-14.9E
5초 1황색광 7 7.8 황원형 콘크리트조 특수표지
역무선 방파제 등대 37-27-15.9N
124-35-29.2E
5초 1홍색광 9 11 홍원형 콘크리트조 우현표지
연안항구 남방파제 등대 37-27-42N
126-35-27E
7초 3홍색광 9 9 홍8각형 콘크리트조 우현표지
연안항구 북방파제 등대 37-27-51.1N
126-35-28.1E
7초 3녹색광 5 9 백8각형 콘크리트조 좌현표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