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Unbihexium(토론)의 편집을 Pika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9번째 줄: 9번째 줄:
* 한국인의 반찬 첩수는 대체로 홀수이다. 3첩, 5첩, 7첩, 9첩 반상이 있다.
* 한국인의 반찬 첩수는 대체로 홀수이다. 3첩, 5첩, 7첩, 9첩 반상이 있다.


{{자연수}}
{{}}
[[분류:수]]
[[분류:수]]

2021년 11월 17일 (수) 16:28 기준 최신판

홀수2로 나눌 수 없는 수를 의미한다.

수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홀수+홀수는 짝수이고, 홀수+짝수는 홀수가 된다. 또 홀수×홀수는 무조건 홀수이고, 홀수×짝수는 무조건 짝수이다.
  • 다항함수 중 상수항이 없으며, 모든 항의 차수가 홀수인 함수는 기함수가 된다. 애초에 기함수라는 용어 자체가 차수가 홀수인 함수라는 특성에서 나왔다.

사회적 의미[편집 | 원본 편집]

  • 고대 그리스에서는 홀수는 남자, 짝수는 여자를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 한국인의 반찬 첩수는 대체로 홀수이다. 3첩, 5첩, 7첩, 9첩 반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