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공배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학술 관련 정보}}"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 *>|<BR *>|<BR */ *>|<Br *>|<Br */ *>|<bR *>|<bR */ *>) +<br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초등학교에서 [[약수]]와 [[배수]]를 배운 뒤에 [[최대공약수]]와 함께 배우게 되는 내용. '''공배수'''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수, 혹은 그 이상의 수들의 '''공통인 배수'''라는 뜻이다. 최소공배수는 당연히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것. 두 수 <math>a,b</math>의 최소공배수를 기호로 <math>\text{lcm}\left(a,b\right)</math>로 표기하며,<ref><math>\text{lcm}</math>은 Least Common Multiple의 줄임말</ref> 더욱 줄이면 <math>\left[a,\,b\right]</math>로 표기하기도 한다.
초등학교에서 [[약수]]와 [[배수]]를 배운 뒤에 [[최대공약수]]와 함께 배우게 되는 내용. '''공배수'''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수, 혹은 그 이상의 수들의 '''공통인 배수'''라는 뜻이다. 최소공배수는 당연히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것. 두 수 <math>a,b</math>의 최소공배수를 기호로 <math>\text{lcm}\left(a,b\right)</math>로 표기하며,<ref><math>\text{lcm}</math>은 Least Common Multiple의 준말</ref> 더욱 줄이면 <math>\left[a,\,b\right]</math>로 표기하기도 한다.


간혹 최'''대'''공배수로 잘못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최대공배수는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간혹 최'''대'''공배수로 잘못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최대공배수는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8번째 줄: 6번째 줄:
== 찾는 법 ==
== 찾는 법 ==
예시로 두 수 10, 12의 공배수를 찾고 싶다고 하자. 먼저 두 수의 배수를 쭉 나열한다.
예시로 두 수 10, 12의 공배수를 찾고 싶다고 하자. 먼저 두 수의 배수를 쭉 나열한다.
{{인용문2|10: 10, 20, 30, 40, 50, 60, 70, ... <br/> 12: 12, 24, 36, 48, 60, 72, ...}}
{{인용문2|10: 10, 20, 30, 40, 50, 60, 70, ... <br /> 12: 12, 24, 36, 48, 60, 72, ...}}
여기서 위아랫줄 동시에 나타나는 수가 바로 공배수이다. 최소공배수는 앞서 설명했듯이 공배수 중 가장 작은 것. 이 예시의 경우에는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여기서 위아랫줄 동시에 나타나는 수가 바로 공배수이다. 최소공배수는 앞서 설명했듯이 공배수 중 가장 작은 것. 이 예시의 경우에는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하지만 숫자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최소공배수를 찾는 게 힘들다면? 이 때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해서 최소공배수를 찾는다. 10과 12를 각각 소인수분해하면,
하지만 숫자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최소공배수를 찾는 게 힘들다면? 이 때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해서 최소공배수를 찾는다. 10과 12를 각각 소인수분해하면,
{{인용문2|<math>10=2\cdot5</math> <br/> <math>12=2^2\cdot3</math>}}
{{인용문2|<math>10=2\cdot5</math> <br /> <math>12=2^2\cdot3</math>}}
이제 중복되는 소인수는 차수가 큰 횟수만큼, 그리고 나머지 소인수를 모두 곱해주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이다. 위 예시에서는 2를 두 번,<ref>2는 중복되는 소인수인데, 12쪽의 2가 차수가 크므로 그 차수만큼(2번) 곱해준다. {{--|콩까지마}}</ref> 3을 한 번, 그리고 5를 한 번 곱한 값, 즉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특히, 숫자가 [[서로소]]이면, 그냥 아무런 생각도 하지않고 두 수를 곱해주기만 하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가 됨을 알 수 있다.
이제 중복되는 소인수는 차수가 큰 횟수만큼, 그리고 나머지 소인수를 모두 곱해주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이다. 위 예시에서는 2를 두 번,<ref>2는 중복되는 소인수인데, 12쪽의 2가 차수가 크므로 그 차수만큼(2번) 곱해준다. {{--|콩까지마}}</ref> 3을 한 번, 그리고 5를 한 번 곱한 값, 즉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특히, 숫자가 [[서로소]]이면, 그냥 아무런 생각도 하지않고 두 수를 곱해주기만 하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가 됨을 알 수 있다.


== 성질 ==
== 성질 ==
두 정수 <math>a,b</math>에 대하여,
두 정수 <math>a,b</math>에 대하여,
# <math>\text{lcm}\left(a,b\right)\mid ab</math>
# <math>\text{lcm}\left(a,b\right)\mid ab</math>


32번째 줄: 29번째 줄:
* [[소인수분해]]
* [[소인수분해]]


{{각주}}
{{수}}
[[분류:정수론]]
[[분류:정수론]]
{{각주}}

2021년 10월 3일 (일) 23:21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초등학교에서 약수배수를 배운 뒤에 최대공약수와 함께 배우게 되는 내용. 공배수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수, 혹은 그 이상의 수들의 공통인 배수라는 뜻이다. 최소공배수는 당연히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것. 두 수 [math]\displaystyle{ a,b }[/math]의 최소공배수를 기호로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 }[/math]로 표기하며,[1] 더욱 줄이면 [math]\displaystyle{ \left[a,\,b\right] }[/math]로 표기하기도 한다.

간혹 최공배수로 잘못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최대공배수는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찾는 법[편집 | 원본 편집]

예시로 두 수 10, 12의 공배수를 찾고 싶다고 하자. 먼저 두 수의 배수를 쭉 나열한다.

10: 10, 20, 30, 40, 50, 60, 70, ...
12: 12, 24, 36, 48, 60, 72, ...

여기서 위아랫줄 동시에 나타나는 수가 바로 공배수이다. 최소공배수는 앞서 설명했듯이 공배수 중 가장 작은 것. 이 예시의 경우에는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하지만 숫자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최소공배수를 찾는 게 힘들다면? 이 때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해서 최소공배수를 찾는다. 10과 12를 각각 소인수분해하면,

[math]\displaystyle{ 10=2\cdot5 }[/math]
[math]\displaystyle{ 12=2^2\cdot3 }[/math]

이제 중복되는 소인수는 차수가 큰 횟수만큼, 그리고 나머지 소인수를 모두 곱해주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이다. 위 예시에서는 2를 두 번,[2] 3을 한 번, 그리고 5를 한 번 곱한 값, 즉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특히, 숫자가 서로소이면, 그냥 아무런 생각도 하지않고 두 수를 곱해주기만 하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가 됨을 알 수 있다.

성질[편집 | 원본 편집]

두 정수 [math]\displaystyle{ a,b }[/math]에 대하여,

  1.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mid ab }[/math]
  1.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gcd\left(a,b\right)=ab }[/math]

최대공약수는 성질이 많은데 얘는... 그나마 있는 하나도 최대공약수가 끼어 있다.

증명[편집 | 원본 편집]

  1. [math]\displaystyle{ \gcd\left(a,b\right)=G }[/math]라 하자. 그럼 적당한 정수 [math]\displaystyle{ m }[/math],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Gm,b=Gn }[/math], ([math]\displaystyle{ m,n }[/math]서로소)가 성립한다. 이 때,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Gmn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Gmn\mid G^2mn=ab }[/math]
  2. [math]\displaystyle{ \gcd\left(a,b\right)=G }[/math]라 하자. 그럼 적당한 정수 [math]\displaystyle{ m,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Gm }[/math], [math]\displaystyle{ b=Gn }[/math], ([math]\displaystyle{ m,n }[/math]서로소)가 성립한다. 이 때,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Gmn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text{lcm}\left(a,b\right)\gcd\left(a,b\right)=G^{2}mn=ab }[/math]

관련 항목[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math]\displaystyle{ \text{lcm} }[/math]은 Least Common Multiple의 준말
  2. 2는 중복되는 소인수인데, 12쪽의 2가 차수가 크므로 그 차수만큼(2번) 곱해준다. 콩까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