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정치


정의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는 사회적 집단의 관점과 이익에 몰두하는 정치 포지션을 의미한다. 정체성 정치에서 사회적 집단의 대상은 젠더, 종교, 장애, 민족, 인종, 성적지향, 문화, 지역, 언어, 등이 있다.

정체성 정치의 범주?

어디까지가 정체성 정치인가에 대해서는 서양 정치학계에서 조차 명확히 정의된 바는 없다. 즉 '정체성 정치'의 기준 자체가 불분명하다. 누가 해석하기 나름이냐인 수준.

막말로 특정 정체성을 가진 이들의 이익과 관점만을 집중적으로 대변하는 움직임이나 사회적 다수자 정체성에 '백인 특권' 따위의 낙인 찍기를 하지 않아도, 정체성 갈등에 기반한 투쟁을 하지 않아도, 단지 사회적으로 차별받는 소수자나 약자가 자신의 정체성에 기반한 차별을 반대하고 권리를 신장하는 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 그 자체도 정체성 정치라고 볼 수도 있고 그냥 이슬람주의래디컬 페미니즘같은 자신의 정체성에 집착하는 이들만 정체성 정치로 칭하기도 하고 그냥 정체성 정치와 그것이 아닌 것을 나누는 개념이나 기준 자체가 상당히 불확실하며 애매모호한 측면이 있다.[1]

정체성 정치가 아닌 것

  • 과격환경운동 : 지구환경을 정체성으로 삼는 것이 아니고 인간보다 환경을 중시하는 환경근본주의가 원인이다. 다만 에코파시즘은 환경근본주의가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과 적대적인 정체성들을 지구환경을 내세워서 말살을 정당화하는 사상이다.[2]
  • 인식전환운동 : 몸 긍정 , 젠더다양성, 생물다양성, 신경다양성이 이에 속한다. 비만권리운동, 성소수자운동, 동물권리운동, 자폐권리운동과 혼동하기 쉬운데 전자는 특정 정체성을 내세우는게 아님 주류 모습만 정상이고 나머지가 비정상이라는 인식을 비판하는 것이라 정체성 정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후자는 특정 정체성의 권익에 집중하기에 정체성 정치에 포함된다.[3]

역사

정체성 정치라는 용어는 1970년대에 최초로 등장했다.[4]이에 조던 피터슨같은 대안우파신좌파운동이 활발했던 1970년대에 생겼으니 신좌파의 특징이라고 주장하지만 원래는 19세기에 우파가 먼저 민족 정체성을 내세워 정체성 정치를 먼저 시작했다.

마르크스주의를 위시로 한 구좌파는 생산수단을 독점하는 자본가 계급을 반대하여 노동자의 단결로 사회주의를 건설하거나 권력을 반대한 아나키즘을 내세우곤 했다. 그러나 이는 노동계급이라는 정체성을 내세운 활동이 아니라 노동자가 단결하여 시장자본주의를 폐지하자는 것이었고 아나키즘도 집단 정체성으로 세계인을 분열시키고 이를 이용해 지도자 권력을 정당화하는 민족주의를 반대하여 반권력을 추구했다.

1960년대에 신좌파가 등장하였는데 일부 신좌파가 마르크스의 이론을 곡해하여 계급투쟁과 정체성을 혼합했고 정체성 갈등과 계급투쟁을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신우파가 신좌파를 탄압하기 시작했고 1990년대에 공산진영이 무너짐에 따라 일부 신좌파가 시장자본주의 체제에 동조하여 마르크스가 말한 계급투쟁을 포기했고 정체성 투쟁으로 노선을 바꾸었다. 또한 주류 리버럴이 오히려 신좌파보타 정체성 정치를 수용하기에 이르렀다.[5]

이러한 부작용이 2010년대 초에 대안우파의 등장으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2016년에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으로 정체성 정치에 대한 비판이 좌파 내부에서도 제기되기 시작했다.

종류

  • 피해호소형 : 주로 사회적 소수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이 피해받고 있다고 알리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구제를 요구하고 있다.[6] 예를 들면 BLM과 각국 여성인권단체들이다.
  • 이기주의형 : 정체성을 팔아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고 있다. 대개 극우정당들이 그러고 있다. [7]대안우파가 좌파, 리버럴을 매도할 때 주로 이야기하는 정체성 정치가 여기에 속한다.
  • 긍지형 : 자신의 정체성이 음지로 숨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들은 퀴어축제, Aspies For Freedom , World Hijab Day를 내세우고 있다.

비판

대안우파의 주장

신좌파가 내세우는 정체성 정치는 소수자 정체성=선, 다수자 정체성=악 이라는 이분법에 빠져 소수자 정체성이 어떠한 패악을 자행해도 다수자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역차별을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하면서 정당화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사고는 마르크스의 계급투쟁론의 연장선이다.

특히 조던 피터슨은 신좌파의 정체성 정치는 백인우월주의, 기독교근본주의, 이슬람근본주의와 다를 바가 없으며 후기에 나치와 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유발한다고 경고했다.

반론

모든 신좌파가 집단위주의 사고방식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마르크스주의에 동조하지 않는 신좌파도 존재한다. 게다가 소수자 정체성에 속하는 여성, 비백인, 성소수자, 비기독교가 내세우는 또 다른 우파사상은 결코 좌파사상이 아니며 마르크스의 이론에 기반한 것도 아니다.

대안우파의 비판은 컬처럴 맑시즘 음모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비서구의 우파사상을 좌파라고 매도하거나 진영논리와 언더도그마에 빠진 일부 좌파를 좌파의 본질적인 특징이라고 매도한 결과이다.

대안우파를 비롯한 주류 우파는 계급투쟁을 마치 운동권이 내세우는 타자에 대한 적대행위로 해석하고 있는데 마르크스가 언급한 계급투쟁은 생산수단의 변화에 따라 계급이 갈등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계급 투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뿐이다. 마르크스의 이론을 이후에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 지배층을 학살하자는 이념으로 곡해하고 후기에 정체성 정치에 빠진 일부 신좌파가 남성, 기독교인, 백인을 죄악시하는 사상으로 곡해했을 뿐이다.

조던 피터슨은 정체성 정치를 배경도 없이 모두 동일시하지만 평상시에 평등주의를 부정하는 피터슨의 입장과 모순적인 시각이다. 다수자 정체성의 입장과 소수자 정체성의 입장은 배경이 같지 않거와 피터슨이 내세우는 나치,소련 사례는 오히려 민족주의가 유발한 것이지 피터슨이 공격하는 소수자 정체성이 유발한 것이 아니다.[8]

(마이클 에릭 다이슨의 말을 인용하자면) 우파들이 사회적 소수자의 정체성 정치를 집단논리라고 비판하는 게 사실 위선적인 이유는 오히려 역사적으로 보면 정체성 정치가 등장하기 전 사회적 소수자들은 거이 언제나 '개인으로서' 대우받지 못했다는 것이며 현재도 사회적 소수자들은 사회적 다수자보다 범주화를 당하는 경우가 상당하다.[9] 게다가 누가 그 '집단'을 발명해 냈느냐도 생각해봐야 한다. 인종, 젠더, 집단 사고 등 그런 이름이 붙은 집단들이 그 용어들을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구좌파의 주장

정통 구좌파들은 정체성 정치가 체제순응적인 문화 정치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10]현대에 발생하는 모든 차별들은 다수자 정체성이 원인이 아니라 시장자본주의를 수호하는 보수우파 지배층이 원인이며 이들은 대중들을 정체성을 내세워 이간질시키는 식으로 체제를 수호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게다가 그들은 미국 민주당같은 리버럴 정당이나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도 비판하고 있는데 이들은 신좌파의 정체성 정치를 수용하여 다수자 정체성에게 죄책감을 주고 시장자본주의와 결탁하고 있다고 사회주의자들이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볼셰비키그룹같은 트로츠키주의 단체는 한국의 자유주의자들이 지지하는 메갈리아-워마드를 또 다른 파시즘 단체라고 정의했으며 이는 시장자본주의가 유발한 사회악에 불과하고 주장하고 있다.

반론

구좌파는 대개 자본주의를 폐지만 하면 자유, 평등, 박애가 저절로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자유, 평등, 박애는 자본주의가 폐지된다고 해서 저절로 실현되지 않는다.

또한 구좌파는 사회자유주의 정당들을 모두 대중들을 속여 자본주의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기꾼 집단으로 매도하지만 모든 사회자유주의자들이 사기꾼들로 구성된 것이 아니고 그들이 모두 정체성 정치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자유주의자들이 사회적 소수자의 정체성 정치를 옹호하는 경우가 있고 이는 진영논리, 언더도그마라고 비판받을 수 있지만 이들이 이기적인 사기꾼이라서 정체성 정치를 내세운다는 구좌파의 매도는 의도곡해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장

정체성 정치가 규정하는 정체성이 구성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며 미시성을 무시하는데 개인을 개인으로 보지 못하고 공통적인 정체성으로 규정하여 같은 정체성 내에서 개인의 미세한 차이를 보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정체성 정치는 정체성을 절대화하기 때문에 시공에 따라 정체성의 정의가 바뀔 수가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개인마다 정체성을 정의하는 사고방식이 제각각인데 이런 측면도 보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현대 주류 사회주의자들의 주장

여기서 말하는 사회주의자는 구좌파나 신좌파로 명확히 나뉘지 않는 21세기 기준의 버니 샌더스 같은 민주사회주의자나 노암 촘스키같은 리버테리언 소셜리스트를 말한다.

현대 사회주의자들이 정체성 정치를 비판하는 논지는 이는 대안우파나 외골수적 구좌파의 정체성 정치 비판과는 다르다. 대안우파나 외골수적 구좌파들과 달리 '정체성'에 기반한 모든 사회적 소수자의 '정치'적 운동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대표자 중심 정체성 정치[11], 다수자 정체성 전체를 기득권으로 상정해 무차별 공격하는 행태를 까는 것이다.

현대 사회주의자들이라고 해서 교조적 마르크스주의자나 정통 트로츠키주의자가 아닌 민주사회주의자, 리버테리언 소셜리스트들 상당수는 소수자 운동 자체는 지지한다. 예시를 들자면 사회주의자들은 BLM이 백인 정체성을 가진 모두에게 백인 특권 운운해 민중을 분열시키는 것에는 비판적일 지언정 BLM이 속된 말로 경찰 개새끼라고 비난하며 경찰권력에 맞서 흑인 권리를 쟁취하는 행위에 있어서는 오히려 지지한다. 또한 페미니즘도 남성 특권 운운하며 중하류층을 포함한 모든 남성을 적대시하며 민중을 분열시키는 분리주의 페미니즘을 반대하는 것이지 노동계급 여성권리에 초점을 맞춘 운동이나 성노동자 권리를 지지하며 남녀의 소득임금격차를 비판하는 페미니즘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12]

즉 이는 정체성 정치#정체성 정치의 범주?에서 서술했듯이 정체성 정치와 그것이 아닌 것을 나누는 개념 자체가 상당히 불확실하며 애매모호하기 때문이다. 사회주의자들이 부정적으로 보는 정체성 정치는 보통 무슨무슨 특권 운운하며 다수자 정체성에 대한 감정적이거나 증오를 통한 민중분열이나 대표자 중심 정체성 정치이지 사회적으로 차별받는 소수자 정체성을 가졌다고 볼 수 있는 여성, 흑인, 장애인, 성소수자 등의 권리 증진과 그러한 정체성과 관련된 이슈에 기반한 모든 운동을 전부 다 반대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13] 즉 대안우파는 사도마조히즘적 심리하에 불평등을 정당화하기 위해 정체성 정치를 부정하는 것이지만 사회주의자들은 오히려 본질적인 평등과 연대를 추구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비판 논지부터가 큰 차이가 있다.

나무위키에서의 서술

나무위키 정체성 정치 문서에선 마르크스주의 내지 공산주의를 노동자 정체성 정치라고 하고 있는데 당연히 근거 없는 소리다. 본인들이 빨아대는 박가분, 슬라보예 지젝이 들어도 피꺼솟할 개소리다 이는 전형적인 서양 극우파들의 문화마르크스주의 음모론에서 기반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나무위키 이용자들 상당수가 마르크스 이론이나 서적을 거이 읽어보지 않았고 "공산주의=나쁜것, 정체성 정치=나쁜 것, 고로 공산주의=노동자들의 정체성 정치"라는 단순무식한 사고에서 저런 주장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허나 공산주의는 자본가들이 무전취식하는 체제에 반대한 것이며 그걸 무너뜨려서 평등을 급진적으로 추구한 것이지 단순히 '노동자 정체성'에 기반한 운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당연히 공산주의가 옳다는 얘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다.

사실 사회주의~공산주의가 정체성 정치라는 것은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 없는 메인스트림 서양 정치학계에서조차도 헛웃음밖에 안 나올 헛소리에 가깝고 굳이 따지자면 오히려 노동조합 운동이 정체성 정치에 가깝겠지만 현실 공산권 국가들은 그러한 노동자 정체성에 기반한(?) 노동조합 운동을 탄압했다. 물론 노동조합 운동이든 사회주의~공산주의 사상이든 조던 피터슨 따위의 학계 아웃사이더 대안우파가 아닌 한 이를 서구권 메인스트림 학계에서 정체성 정치라고 칭하는 미친 또라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나무위키 정체성 정치 문서의 소수는 다수를 억압할 수 없다? 항목에서는 소수자를 수적 개념의 소수로 해석하고 있는데 리브레위키 사회적 소수자 문서에서도 나와있지만 Minorities는 수적 개념의 소수(Few)가 아니라 Majorities에 비해 "사회적으로 권력을 가지지 않은 이들"을 의미한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구상해낸 아리아인은 인도역사상 Minorities에 속한적은 거이 없었다. 당연히 Minorities가 머릿수가 적어도 Majorities가 된다면 그것은 더 이상 Minorities가 아니기 때문에 소수자(Minorities)라고 볼 수 없다. 초부유층, 엘리트, 지식인계층 등은 Few지만 Minorities에 속하지는 않는다.

심지어는 명백하게 우파정권이였던 독일 제국의 극우민족주의에 영향받은 나치즘(=민족사회주의)가 좌파라고 하고 있다. # 북미 자유지상주의자들이나 극우파들이나 하는 헛소리고 웬만한 이성적인 우파들도 나치가 좌파라는 소리는 안한다.[14]확실하게 기억해야 할 것은 나치는 집권 후 제일 먼저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을 불법화하고 우파가 아닌 좌파를 집중적으로 탄압했으며 계급보다 민족을 우선시했고 노동조합을 해산시켰다는 점이다. 주류학계에서는 소련이 극우파라고도 안하지만 나치가 극좌파라고도 안한다. 나치의 독재와 소련의 독재는 둘다 결과물은 극단주의일 지언정 목표와 지향점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냥 나쁜것은 다 좌파라고 하고싶지?[15] 파시즘은 극우가 아니라 중도 전체주의라고 칭하는건 덤 #[16]

이렇게 영미권 극우파의 논리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에도, 나무위키는 자신들이 대안우파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같이 보기

각주

  1. 온건파 강경파 할 거 없이 대안우파들이 이 점을 악용해서 모든 페미니즘, 모든 흑인운동, 거이 모든 장애인 운동, 거이 모든 퀴어운동을 정체성 정치로 칭하면서 정작 정체성 정치를 비판할때는 타자의 대한 적대 때문이라며 핑계대며 정치적 트롤링을 범하곤 한다.
  2. 대안우파는 과격환경운동을 에코파시즘으로 매도하고 있다. 대안우파의 영향을 받고 있는 나무위키 정체성 정치 문서에서 과격환경단체들을 적어놓았다.
  3. 나무위키:정체성정치 문서에서는 신경다양성이 정체성 정치에 포함되어 있지만 잘못된 서술이다.
  4. Wiarda, Howard J. (8 April 2016) [1st pub. Ashgate:2014]. Political Culture, Political Science, and Identity Politics: An Uneasy Alliance. Abingdon: Routledge. ISBN 978-1-317-07885-2. OCLC 982044314. Retrieved 21 February 2018. "There are disputes regarding the origins of the term 'identity politics' .... Almost all authors, even while disagreeing over who was the first to use the term, agree that its original usage goes back to the 1970s and even the 1960s."
  5. 신좌파는 사회주의에서 파생된 이념이고 소련 붕괴 이후 우경화된 2000년대~2010년대에도 신좌파로 분류되는 인사들은 리버럴보다 급진 성향을 띤다. 즉 단순히 정체성 정치를 옹호하는 리버럴이 곧 신좌파라는 것은 나무위키발 선동에 가깝다. 신좌파들은 오히려 정체성 정치에 대한 지지여부 할거없이 2016년 대선때 샌더스를 지지한 경우가 대다수였고 오히려 리버럴 성향 SJW들이 샌더스 정체성이 백인남성이라며 여성인 힐러리를 지지했다.
  6. 물론 일부 남성들도 남성주의를 내세워 피해호소를 하고 있지만 (2010년대 이전엔 아니었지만) 2010년대 이후론 대안우파와 연계되어 거짓희생자의식을 내세우고 있다.
  7. 여기서 극우정당은 사회적 다수자나 서방정체성 뿐만 아니라 이슬람주의, 흑인우월주의, 여성우월주의, 퀴어국민주의, 에코파시즘도 포함한다.
  8. 참고로 우파반공주의자들이 까는 소련은 스탈린 이후의 모습이고 이는 소비에트에 찬성하는 트로츠키주의자, 마르크스-레닌주의자한테도 비판대상이고 소비에트를 부정하는 다른 사회주의자한테도 비판대상이다. 그리고 스탈린은 생산수단을 관료소유로 바꾸는 국가자본주의로 변질시킨데다 민족주의를 내세우는 식으로 소련을 우파국가로 만들었다.
  9. 단적으로 자국에서 자국민이나 다수자가 범죄 저질렀다고 자국의 주류 민족이나 자국민, 다수자 집단 전체를 (젠더 이슈가 아닌 한) 잠재적 범죄자 낙인 찍는 경우는 거이 없다. 그것은 어찌보면 자학이니까.. 하지만 사회적 소수자에게는 범주화해서 판단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온갖 인신공격과 욕설과 관련된 비하적 언어들도 거이 대부분 사회적 강자가 아닌 소수자에 대한 혐오를 기반하고 있다. 그나마 머릿수가 많은 유색인종, 여성, 동성애자 등의 정체성의 경우는 차별/혐오에 있어서 이슈가 되지만 그 외의 소수집단들은 차별을 당해도 목소리조차 내기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10. 미국에서 정체성 정치가 비판받는 이유
  11. 정치적 대표자가 소수자이냐 아니냐임을 따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주의자들은 대표자가 백인남성 성다수자 비장애인이라도 노동계급과 소수자, 사회적 약자를 적극 대변하는게 진보이며 정체성이 소수자여도 대표자가 특수 이익단체에게 수백만 달러를 긁어 모으는 경우라면 진보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12. 이것이 버니 샌더스가 정체성 정치를 비판하면서도 BLM을 지지할 수 있는,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즈가 미투운동에 있어서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에게도 공평하게 해명 기회를 줘야한다고 하거나 섹스토이, 성매매 합법화를 주장하는 등 주류 페미니즘과 충돌하는 논리를 펴면서도 남녀동일임금을 지지하며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자처하는 논지이다. BLM이나 페미니즘 자체를 정체성 정치라고 하더라도 샌더스나 코르테즈를 정체성 정치 운동가로 평가하지는 않는다.
  13. 문제는 나무위키를 비롯한 국내 아노말리들이 이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있으며 체리피킹 내지 룰치킨을 행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샌더스가 정체성 정치을 비판한 적도 있는데 샌더스의 발언 의도나 핵심은 개무시하면서 정체성 정치나 정치적 올바름과 조금이라도 연관되어 있으면 싹 다 부정하고 증오선동 내지 탄압하면서 샌더스를 옹호하는 식이지만 이는 샌더스같은 미국 사회주의자들의 입장을 의도적으로 왜곡한 것이다.
  14. 나치가 소련 침공하기 전까지는 나치당이 극우 취급받지 않았다는 서술도 있으며 좌파들이 나치는 사회주의인데도 극우라고 꼬리자르기를 한다며 Alt-lite적 헛소리를 하는데 나치당의 전신은 독일 노동자당인데 더 거슬러 올라가면 독일 제국 시절에도 극우 정당이였던 독일 조국당(German Fatherland Party)이 있다. 나치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에도 극단적 우파민족주의 내지 극우정당으로 인식되었다. 나치스나 공산주의나 타파해야할 제1 주적은 명백히 서방진영과 세계를 착취하는 영국의 자본가들이었기 때문에 극우가 아니라 진보라는 논지를 펴는데 꼭 나치가 아니더라도 19세기나 20세기 초만 봐도 전통주의적이거나 심지어 봉건체제를 옹호하는 반동주의적 극우들 중에 서방진영과 제국주의, 자본가를 혐오한 사례는 적지 않았으며, 현재도 많은 이슬람주의자들이 자본주의와 서방진영을 혐오하지만 영미극우파들이 아닌 이상 그들은 극우라고 하지 극좌라고 하지는 않는다. 자본주의 반대와 서방지배층 대한 적대감이 곧 좌파는 아니다. 실제로 우파사회주의라는 명칭도 있다.
  15. 물론 사회적 소수자의 정체성 정치도 무조건 나쁜거라고 단정짓기는 그렇고 명암이 존재한다. 그러나 문화마르크스주의 음모론을 믿는 극우파가 아닌한 나치즘이나 스탈린주의와 비교하지는 않는다.
  16. 좌파 파시즘은 정치적 비방을 위해 나온 조어이며, 주류학계에서는 그냥 좌파적 전체주의라고 보지 그것을 파시즘이라고 칭하지 않는다. 물론 주류학계에선 트럼프 같은 우파포퓰리스트들도 파시즘이라고 칭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