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

사단(師團, Division)은 군대의 편제 중 하나로, 육군에서 독자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실질적인 편제이다.

특징

대한민국 국군의 구조상 사단은 육군과 해병대에 존재하는 편제이다. 사단장은 투스타인 소장(少將)이 보임되며, 상비사단 기준 예하에 3개의 보병여단, 1개의 포병여단, 1개의 전차대대를 주력 전투부대로 거느리면서 여타 사단 직할부대를 통합하면 지상전에 있어서 사단 자체의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일정 지역을 점령할 수 있는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급부대인 군단이나 야전군은 직속으로 부릴 수 있는 보병부대가 없고, 대부분 화력지원 위주의 지원부대 위주이며, 기갑여단을 보유한 군단이라 하더라도 완편된 1개 기계화보병사단의 전투력을 갖추기는 어렵다. 즉 군단 직속 전투 여단들은 목적 자체가 군단에 소속된 사단들의 효율적인 작전을 지원하는 구조이고, 실질적인 전투역량을 사단이 발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사단장을 흔히 지휘관의 꽃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국군

보병사단

상비사단 기준으로 전투부대로는 보병여단 3개, 포병여단 1개, 전차대대 1개를 거느린다. 이들 3개 병과는 지상전의 핵심병과이며, 작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포병여단에 소속된 4개의 포병대대중 3개는 각 보병여단을 직접지원하며, 나머지 1개는 사단의 일반지원으로 남는다. 또한 전차대대도 3개의 전차중대를 각 보병여단에 배속하여 보전 합동작전을 수행토록한다.

이외에 사단 직할부대를 각 기능별로 대대급으로 보유하는데, 여기에는 사단 사령부를 구성하는 본부대(본부근무대), 지원임무를 담당하는 정보통신대대, 보급수송대대, 공병대대, 사단의 눈을 담당하는 수색대대, 기타 군사경찰대(옛 헌병대), 보충대, 정비대대, 의무대 등으로 구성된다. 해병사단의 경우 상륙작전 특성에 맞추어 상륙장갑차를 운용하는 상장대대가 편제된다.

기계화보병사단

약칭 기보사. 전차장갑차를 운용하는 기계화 부대로, 보병사단보다 월등한 화력과 기동성을 갖춘 육군의 주력공세를 담당한다. 수색대대 역할을 담당하는 정찰대와 위력수색을 위한 기갑수색대대를 편제한다. 예하 포병여단 장비도 다른 기보여단과 발맞출 수 있도록 자주포로 완비하며, 신형 기갑차량이 개발되면 기보사가 가장 먼저 배속받아 운용검증을 실시한다. 국방개혁 2.0 진행으로 전체적인 기보사의 숫자를 줄이면서 보다 내실있는 구조로 개편중이며, 특히 제7기동군단에 주력 기보사를 대거 배속시켜서 육군의 전략부대 성격을 부여하고 있다.

기보사 통폐합으로 기계화보병사단 개개의 보유 전력은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기동사단인 제8기동사단제11기동사단 소속 기계화보병여단들은 전차대대에 K2 흑표를 배치한 경우가 많다. 흑표가 추가 양산되면 기보사 예하 기계화보병여단 전차대대들에 우선 배치되리라는 추측이 있다.

해병사단

대한민국 해병대는 2개의 해병사단을 편제하고 있다. 해병 1사단은 포항 지역에 배치되어 철저하게 상륙작전 수행에 집중된 국가전략기동의 성격을 가지며, 해병 2사단은 수도권 서부의 김포시강화군 일대의 강안 및 해안경계를 담당한다. 물론 해병 2사단 역시 본질적으로 해병이기 때문에 상륙작전을 위한 편제는 갖추고 있다. 해병사단의 전체적은 편제는 육군 보병사단과 대동소이하지만 상륙작전에 필요한 상륙돌격장갑차를 운용하는 상장대대같은 고유한 편제를 추가적으로 갖춘다.

지역방위사단

옛 향토사단에 해당한다. 경기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배치되며, 제2작전사령부에 소속된다. 보통 광역지자체에 1개의 지역방위사단이 배속되는 형식으로 각 도와 각 광역시마다 1개씩의 방위사단이 편제되는 구조. 평시에는 약 50% 수준의 인원으로 부대를 유지하며, 전시에 나머지 인원을 소집된 예비군을 배속시켜 부대 구성을 완료한다. 지역방위 특성상 예비군 지역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 부대이며, 3면이 바다인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성상 충청북도 및 내륙의 광역시(대전, 대구, 광주)를 제외하면 해안경계 부대는 대부분 갖추고 있다.

동원사단

동원전력사령부에 소속된 부대로, 평시에는 완편 대비 약 20~30% 수준만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인원으로 부대를 운용한다. 이들 부대는 전략예비 성격으로 평시에는 예비군 훈련을 담당하는 정도이나, 전시에는 전방 상비사단의 피해가 극심하여 재편성이 필요한 경우, 동원사단을 완편하여 재편성 부대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구성된다.

각주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육군
해병대
국직부대
분대
(분대장)

(반장)
소대
(소대장)
중대
(중대장)
지역대/
(대장)
대대
(대대장)
연대
(연대장)

(단장)
여단
(여단장)
사단
(사단장)
군단
(군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작전사령부
(사령관)
포병 포반
(포반장)
전포대
(전포대장)
포대
(포대장)
사격대
(사격대장)
대대
(대대장)
포병단
(단장)
해군 중대
(중대장)
편대
(편대장)
대대
(대대장)
전대
(전대장)
전단
(전단장)
기지/방어사령부
(사령관)
함대/잠수함
(사령관)
해군작전사령부
(해군작전사령관)
공군 /
(반장/대장)
중대/편대
(중대장/편대장)
포대/대대
(포대장/대대장)
전대
(전대장)
비행단
(단장)
여단
(여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공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