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병단

포병단(砲兵團, Field Artillery Group)은 다수의 포병대대 지휘통제를 담당하는 포병 지휘제대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육군포병전력은 육군 전력에 비해 상당히 비대하다는 평가를 받는데(우스갯 소리로 포방부라고 부른다), 이는 미군의 편제를 대부분 따르면서도 유독 포병만큼은 구 소련을 포함한 동구권의 공산국가들의 사례를 일정부분 참고한 경향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단급에 포병연대를 배속하고도, 군단급에 별도로 대규모 포병화력을 몰아넣어서 포병여단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 여단이라는 편제 자체가 정해진 규모를 상정하지 않다보니, 같은 포병여단이어도 해당 부대가 주둔한 위치와 상급 제대인 군단의 중요성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십수개의 포병대대가 하나의 여단 아래 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규모 포병부대의 지휘부 부담을 경감시키고, 원활한 화력 운용을 위해서 여단 아래에 을 구성하여 3~5개 정도의 포병대대를 묶어놓은 형태가 유지되고 있다.

육군의 포병단[편집 | 원본 편집]

육군의 포병단은 지형상 대규모 포병 운용이 곤란한 8군단을 제외하면 모두 군단 예하에 편성된 포병여단의 하위 편제에 속한다. 포병여단에 따라 포병단 없이 바로 포병대대를 지휘하는 곳도 있고, 포병단만 3개 이상을 편제하는 대규모 포병여단도 존재하는 등 편차가 존재한다. 포병단의 지휘관은 보통 대령이 보임하며, 이는 일반 보병사단의 포병여단장과 동등한 지위를 의미한다.

포병단은 155mm 이상의 곡사포다연장로켓을 운용하여 통합화력전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못해도 KH-179 견인곡사포가 배치되고 기계화가 진행된 현재는 대부분 K-9 자주곡사포를 운용한다. 다연장로켓으로는 구형 구룡 다연장로켓을 대체하여 M270 MLRS천무 다연장로켓을 운용한다.

제1군단
제1포병여단
제2군단
제2포병여단
제5군단
제5포병여단
제6군단
제6포병여단
제8군단
(군단직할)

각주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육군
해병대
국직부대
분대
(분대장)

(반장)
소대
(소대장)
중대
(중대장)
지역대/
(대장)
대대
(대대장)
연대
(연대장)

(단장)
여단
(여단장)
사단
(사단장)
군단
(군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작전사령부
(사령관)
포병 포반
(포반장)
전포대
(전포대장)
포대
(포대장)
사격대
(사격대장)
대대
(대대장)
포병단
(단장)
해군 중대
(중대장)
편대
(편대장)
대대
(대대장)
전대
(전대장)
전단
(전단장)
기지/방어사령부
(사령관)
함대/잠수함
(사령관)
해군작전사령부
(해군작전사령관)
공군 /
(반장/대장)
중대/편대
(중대장/편대장)
포대/대대
(포대장/대대장)
전대
(전대장)
비행단
(단장)
여단
(여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공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