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왕 (스타크래프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87번째 줄: 187번째 줄:


* 특징
* 특징
: 에너지 150을 소모해 생명체 유닛 하나를 저격하는 스킬. 저격당한 생명체 유닛은 파괴되며 그 자리에서 2마리의 브루들링이 생성되 근처 유닛이나 건물을 공격한다. 공중 유닛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지상의 생명체 유닛에게 먹히며 테란의 팩토리 유닛도 외형은 기계지만 안에 사람이 타고 있어서 브루들링에 파괴당한다. 프로토스의 경우 질럿, 드라군, 하이탬플러, 다크탬플러가 브루들링의 표적이 된다. 즉시 유닛 하나를 지워버리기 때문에 매우 강력한 스킬이지만 에너지 소모가 150으로 매우 높아서 퀸을 다수 보유하는 상황이 아니면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탱크 한두기나 하이탬플러 한두기 지워봐야 전세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기 애매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퀸을 잘 뽑지 않는데 이 스킬을 구경하기 힘든 것도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
: 에너지 150을 소모해 생명체 유닛 하나를 저격하는 스킬. 저격당한 생명체 유닛은 남은 체력 이하여부 없이 바로 파괴되며 그 자리에서 2마리의 브루들링이 생성되어 근처 유닛이나 건물을 공격한다. 다만 종족을 불문하고 모든 공중 유닛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지상 유닛도 '''생명체''' 유닛에게만 먹힌다. 우선 저그와 테란은 모든 지상 유닛이 걸리고(팩토리 유닛은 외형은 기계지만 안에 사람이 타고 있어서 브루들링에 당한다) 프로토스의 경우 질럿, 드라군, 하이탬플러, 다크탬플러가 브루들링의 표적이 된다(프로브와 리버는 순 기계, 아칸과 다크 아칸은 정신체라서 안걸린다). 즉시 유닛 하나를 지워버리기 때문에 매우 강력한 스킬이지만 에너지 소모가 150으로 매우 높아서 퀸을 다수 보유하는 상황이 아니면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탱크 한두기나 하이탬플러 한두기 지워봐야 전세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기 애매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퀸을 잘 뽑지 않는데 이 스킬을 구경하기 힘든 것도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


----
----

2015년 6월 22일 (월) 17:51 판

개요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2에 등장하는 유닛이다. 특이하게 스1에서는 공중유닛, 스2에서는 지상유닛으로 성격이 완전히 변했다.

스타크래프트

기본 정보
영어명 Queen
종족 저그
역할 군락 관리자
무장 -
장갑 저그 갑각
유닛 정보
크기 중형
수송공간 -
시야 10
이동속도 3.75
형태 생체 유닛
방어 능력
HP 120
에너지 200 (+50)
아머 0 (+3)
공격 능력
대지 공격력 -
대공 공격력 -
생산 정보
생산 건물 해처리
레어
하이브
요구 건물 퀸즈 네스트
미네랄 100
가스 100
보급품 2
생산시간 50
단축키 Q
스킬
기본 스킬 패러사이트
커맨드센터 감염
부가 스킬 브루들링
인스네어

특징

저그의 공중 마법 유닛. 직접적인 공격력은 없으나 특색있는 마법 스킬을 다수 보유했다. 보유한 기술들이 전부 유용하지만 막상 실전에서 퀸을 보기는 어려운 편. 일단 퀸이 나오는 시기는 중후반부로 접어드는 시기이고, 대략 이정도 시간이 흐른 상태면 대부분 저그는 목동저그나 다수의 뮤탈리스크 등 가스 소모가 어마어마한 상태이며, 효율성이 높은 디파일러 위주로 마법 유닛을 정리하므로 퀸은 더더욱 존재감이 사라진다.

다만 섬맵 한정으로는 굉장한 위력을 보여준다. 특히 인스네어와 패러사이트의 조합으로 타 종족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드랍을 시도하는 수송선단에 인스네어를 뿌려 발목을 잡은 뒤 뮤탈리스크와 스커지 조합 등으로 손쉽게 방어가 가능하다.

디파일러의 효율성이 높아서 지상전이 대다수인 스타판의 현실상 잊혀진 유닛이라 그저 안습.

전략

  • 대 테란전
  • 대 저그전
  • 대 프로토스전

상성

  • 테란
  • 저그
  • 프로토스

기본 스킬

패러사이트 (Parasite)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 소모자원 에너지 -75
미네랄 - 사거리 12
가스 - 지속시간 영구적
연구 시간 - 효과 시야공유
연구 단축키 - 기술 단축키 R
  • 특징
저그에게 주어진 맵핵. 테란이 컴샛 스테이션의 스캔을 이용해 시도때도없이 대놓고 맵핵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효율성이 더 좋은데 이유는 패러사이트에 감염된 유닛의 시야는 그 유닛이 파괴되거나 메딕의 리스토레이션으로 회복되는 것을 제외하면 무한정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패러사이트를 테란의 사이언스 베슬이나 저그 오버로드, 프로토스 옵저버에 걸면 디텍터의 시야를 공유하는 큰 장점이 존재한다.
테란의 경우 메딕의 리스토레이션으로 지워주면 된다지만, 저그나 프로토스는 한번 패러사이트에 걸린 유닛은 파괴당하는 것 외에는 회복될 방법도 없다. 특히 저그 오버로드는 그 자체가 보급품을 늘리는 유닛이라 함부러 죽이기도 영 애매하고, 프로토스 옵저버는 원래 시야도 넓은 유닛에 디텍터고, 가스도 많이 잡아먹는지라 상대방의 자원낭비를 강제할 수 있다.
어떻게보면 상당히 악랄한 스킬인데 퀸이 실전에서 잘 뽑히지 않는 유닛이다보니 게임상에서 그 모습을 잘 볼 수 없다.
패러사이트에 걸린 유닛은 유닛 정보창에 Parasite Detected라는 경고매세지가 출력되며 다수 선택시 그 유닛만 녹색칸으로 구별된다. 퀸의 이동속도도 빠르고, 패러사이트 스킬의 사거리가 무려 시즈모드의 탱크와 동일한 12나 되기에 작정하고 날리는 패러사이트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

커맨드센터 감염 (Infest command center)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 소모자원 -
미네랄 - 사거리 1
가스 - 지속시간 영구적
연구 시간 - 효과 특수공격
연구 단축키 - 기술 단축키 I
  • 특징
본격 테란 관광용 필살기. 공격을 받아 체력이 50% 이하(체력 750 이하)로 떨어진 커맨드센터가 주위에 있다면 퀸이 해당 건물로 들어가 잠시 후 감염된 커맨드센터로 바뀌면서 저그에게 소유권이 넘어온다. 감염된 커맨드센터에서는 감염된 테란을 생산할 수 있고, 저그의 건물처럼 자동으로 체력이 회복되며 테란의 원래 특징인 건물 띄우고 옮기기도 가능하다. 실상 감염된 테란은 실전에서 효율성이 제로에 가까워 테란을 안드로메다로 관광보낸 경기에서 멋진 마무리를 선사하고 싶을 때 보여주는 이벤트성 스킬이다.

업그레이드

브루들링 (Spawn Broodling)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퀸즈 네스트 소모자원 에너지 -150
미네랄 100 사거리 9
가스 100 지속시간 180[1]
연구 시간 80 효과 시야공유
연구 단축키 B 기술 단축키 B
  • 특징
에너지 150을 소모해 생명체 유닛 하나를 저격하는 스킬. 저격당한 생명체 유닛은 남은 체력 이하여부 없이 바로 파괴되며 그 자리에서 2마리의 브루들링이 생성되어 근처 유닛이나 건물을 공격한다. 다만 종족을 불문하고 모든 공중 유닛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지상 유닛도 생명체 유닛에게만 먹힌다. 우선 저그와 테란은 모든 지상 유닛이 걸리고(팩토리 유닛은 외형은 기계지만 안에 사람이 타고 있어서 브루들링에 당한다) 프로토스의 경우 질럿, 드라군, 하이탬플러, 다크탬플러가 브루들링의 표적이 된다(프로브와 리버는 순 기계, 아칸과 다크 아칸은 정신체라서 안걸린다). 즉시 유닛 하나를 지워버리기 때문에 매우 강력한 스킬이지만 에너지 소모가 150으로 매우 높아서 퀸을 다수 보유하는 상황이 아니면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탱크 한두기나 하이탬플러 한두기 지워봐야 전세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기 애매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퀸을 잘 뽑지 않는데 이 스킬을 구경하기 힘든 것도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

인스네어 (ensnare)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퀸즈 네스트 소모자원 에너지 -75
미네랄 100 사거리 9
가스 100 지속시간 40
연구 시간 80 효과 상태공격
연구 단축키 E 기술 단축키 E
  • 특징
4 X 4 범위안에 발사체를 날려 피격당한 유닛은 이동속도가 기본상태의 50%, 속업을 한 상태면 업그레이드 이전으로 속도가 감소한다. 또한 공격속도도 대략 20% 이상 감소한다. 스팀팩을 사용한 마린이나 파이어뱃은 스팀팩의 효과가 사라진다. 부가적인 효과로는 클로킹 상태의 유닛이 시야에 노출된다. 효과 범위가 넓어보여도 테란 메카닉이나 다수의 드라군, 아칸 같이 크기가 큰 유닛을 상대로는 생각보다 영향력이 적다. 반대로 뭉치려는 경향이 강한 테란 바이오닛, 저글링, 히드라, 뮤탈리스크, 프로토스 질럿 등으로는 범위만 잘 잡으면 인스테어 한방으로 1부대 이상의 병력을 묶어놓을 수 있다. 또한 어떻게든 들이받아야 공격력이 발휘되는 스커지는 인스네어와의 조합이 좋은 유닛이다. 다만 퀸을 실전에서 잘 뽑지 않는점과 인스네어 개발에 따로 자원이 소모되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해 실제로는 이 기술이 쓰여지는 모습을 보기가 쉽지는 않다. 물론 프로들의 경기에서 간혹 인스네어를 조합한 멋진 장면을 연출하는 게임이 몇몇 존재하나 일반적인 현상은 아닌듯.

생식세포 감수분열 (Gamete Meiosis)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퀸즈 네스트 소모자원 -
미네랄 150 사거리 -
가스 150 지속시간 영구적
연구 시간 166 효과 능력향상
연구 단축키 G 기술 단축키 -
  • 특징
퀸의 에너지 최대 보유량을 기본 200에서 250으로 증가시킨다.

스타크래프트 2

여왕
기본 정보
영어명 Queen
종족 저그
역할 군락 관리자
무장 발톱 (대지)
산성 바늘뼈 (대공)
장갑 저그 갑각
유닛 정보
수송공간 2
시야 9
이동속도 0.93
형태 생체 유닛
방어 능력
HP 175
에너지 200
아머 1 (+3)
아머 타입 없음
공격 능력
대지 공격력 4 (+3) X 2
대지 연사력 1
대지 사거리 5
대공 공격력 9 (+3)
대공 연사력 1
대공 사거리 7
생산 정보
생산 건물 해처리
레어
하이브
요구 건물 -
미네랄 150
가스 0
보급품 2
생산시간 50
단축키 Q
스킬
기본 스킬 점막 종양 생성
애벌레 생성
수혈
부가 스킬 잠복

특징

전작과 이름만 같고 성격이 완전히 변한 유닛. 가장 큰 외형적인 특징은 공중 유닛에서 지상 유닛으로 탈바꿈한 것과 2티어 유닛에서 기본 유닛으로 생산 타이밍이 당겨졌다. 또한 기존 마법 유닛에서 공격과 마법을 겸비한 범용 유닛으로 탈바꿈했다. 또한 생산시 애벌레를 소모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 유닛이 성격이 크게 탈바꿈한 원인은 아무래도 초반 저그의 기지 방어가 허술한 단점을 보완하려는 의도와 저그 생산력 증대에 있다. 또한 기지방어시 힐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속도는 매우 느리지만 점막 위에서는 굉장히 빠르게 움직이므로 사실상 기지 방어 및 애벌레 생성을 통한 생산력 증대에 특화된 유닛으로 볼 수 있다.

전략

  • 대 테란전
  • 대 저그전
  • 대 프로토스전

상성

  • 테란
  • 저그
  • 프로토스

기본 스킬

애벌레 생성 (Spawn Larva)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 소모자원 에너지 -25
미네랄 - 사거리 1
가스 - 지속시간 40
연구 시간 - 효과 생산증대
연구 단축키 - 기술 단축키 V
  • 특징
부화장 하나를 지정해 스킬을 사용하면 40초 후 애벌레 4마리가 갑툭튀한다. 사실 갑툭튀라기 보다는 스킬을 시전한 시점에 부화장 위에 4개의 고치가 생성되서 시간이 되면 애벌레가 부화하는 형태지만.. 자체적인 쿨타임은 없어서 부화장이 여러개라면 돌아가면서 스킬을 찍어줄 수 있다. 사실상 스2에서 변모한 여왕의 존재가치는 이 스킬에 달려있다. 전작처럼 대량 생산을 위해 부화장을 여러개 건설하는 단점을 상쇄하는 스킬이기 때문이다. 본진에 부화장 2~3개만 지어놓고 꾸준히 애벌레 생성을 이용하면 삽시간에 수십기의 유닛을 대량 스팸이 가능하다. 자원 상황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타 종족의 생산량을 압도하는 무시무시한 물량을 보여줄 수 있다. 애벌레를 만들기 시작해서 그냥 많이 만들었습니다.

점막 종양 생성 (Create Creep Tumor)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 소모자원 에너지 -25
미네랄 - 사거리 1
가스 - 생성시간 15
연구 시간 - 효과 점막확장
연구 단축키 - 기술 단축키 C
  • 특징
스킬을 사용하면 여왕이 지정된 위치에 이동해 약 15초의 시간을 소모하여 점막 종양을 배설생성한다. 생성된 종양은 1회에 걸쳐 주변 지역에 추가로 종양 하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생성시킨 종양에서 계속 1회에 걸쳐 확장시킬 수 있으니 말 그대로 암세포에 비견될 만큼 점막의 범위를 신속히 확장시킨다. 본작에서 저그 지상유닛들은 점막 위에서 이동속도가 대폭 증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전략적으로 점막을 확장하는 플레이가 중요하다. 다만 팀전에서 같은팀 테란이나 프로토스 유저의 확장을 방해할 우려도 있으므로 신중히 판단해 영역을 확장하자.

수혈 (Transfusion)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 소모자원 에너지 -50
미네랄 - 사거리 7
가스 - 지속시간 일시적
연구 시간 - 효과 체력회복
연구 단축키 - 기술 단축키 T
  • 특징
에너지 50을 소모해 목표로 지정한 생체 유닛이나 건물(저그 한정)의 체력을 125 회복시킨다. 생체 유닛이니 동맹군의 테란이나 프로토스의 광전사같은 유닛도 회복이 가능하다. 쿨타임은 1정도로 매우 짧으니 여왕의 에너지만 충분하다면 단시간에 최대 4기의 유닛/건물의 체력을 회복시켜준다. 주요 활용법은 여왕 2기 이상을 뽑고 기지에 적이 난입한 상황에서 여왕끼리 수혈을 해가면서 버티는 용도, 체력이 너덜너덜해진 가시촉수의 체력을 채워주는 용도, 울트라리스크나 타락귀, 무리군주 같은 탱커 유닛의 체력보충, 파괴되기 직전의 부화장같은 중요 건물의 생명 연장 등이다. 테란 의료선은 체력 회복에 다소 시간이 소모되는데 비하면 여왕은 일시에 높은 체력을 회복시키니 특성상 힐러로서 기능은 탁월하다 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잠복 (Burrow)
연구 정보 기술 정보
건물 부화장 소모자원 -
미네랄 100 사거리 -
가스 100 지속시간 영구적
연구시간 100 효과 잠복
연구 단축키 B 기술 단축키 R
  • 특징
업그레이드시 유닛이 땅속에 파고들어 디텍터 없이는 탐지가 되지 않는다. 전작과는 다르게 잠복에 들어갈 때 2초가 소모되고, 밖으로 나올 때 1초가 소모되는 차이가 있다.

캠페인

군단의 심장에서 여왕에게 적용되는 특성.


각주

  1. 브루들링이 생존하는 최대 시간. 물론 중간에 공격을 받아 체력이 소진되면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