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파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ile|file): +[[파일:))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화폐 정보
|화폐이름 = 남수단 파운드
|원어이름 = South Sudanese Pound 사우스 수다니즈 파운드<sup>[[영어|en]]</sup>
|그림    = BankofSouthSudan.png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남수단}}
|비공식  =
|ISO      = SSP
|기호    = £ (lb)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피아스트 (Piastre)
}}
|지폐    = £20, £50, £100, £500, £1000
|동전    = <s>10p, 20p, 50p, £1, £2</s> (폐지)
|중앙은행 = 남수단은행 (Bank of South Sudan, [[보스|BoSS]])
|인쇄처  =
|조폐국  =
|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수단 파운드]] [1 : 1]<small> (2011.07~)</small>
|이후화폐 =
|비고    =
}}
== 개요 ==
== 개요 ==
2011년 7월 신생국인 [[남수단]]의 통화. 독립 후 아흐레만에 등장하였으니 미리 준비해놓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수단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 교체한 통화이기 때문에 이것도 중동 파운드계 통화라고 할 수도 '''있기는 하다.''' 기호로는 £(lb)를 쓰고, 보조단위로 피아스터를 사용하는 부분까지 똑같다. 하지만 애초에 자신들은 아랍권이 아니라서 수단으로부터 독립한 것이니 동아프리카권에 편입시킨다.  
2011년 7월 신생국인 [[남수단]]의 리라/리브르(파운드) 계열의 통화로, 미리 준비해놓고 있다가 독립이 승인된 후 아흐레만에 배포하였다.
 
=== 환전 및 사용 ===
중앙은행인 남수단은행에서 고시하는 통화는 18개이지만, 공업품/공산품 거래수단으로 쓰이는 인근국 통화([[케냐 실링]], [[탄자니아 실링]], [[이집트 파운드]] 등) 및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 말고는 수요가 절망적이다. 특히 공식 환율이 현실 반영을 거의 못하고 있어서 암시장을 통해 바꿔야 하는데, 이때는 사실상 미국 달러만 바란다고 봐도 무방하다.
 
=== 환율 추이 ===
당초 [[수단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 나갔기 때문에 태초에는 250원(/SS£)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내전과 외부발 경제 쇼크의 악재를 계속 겪으면서 자연스레 공식환율과 암시장환율이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2017년 6월엔 9.8원 미만,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3원대(당시 공식 환율은 7원대)로 거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서 [[막장 국가]] 테크를 착실히 밟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동시기의 북수단 파운드 가치는 250원에서 168원으로 떨어진 정도였으니, 남쪽이 북쪽에 비해 몇십배는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것이다.


[[ISO 4217]]코드는 SSP, [[인플레이션]]은 2016년 추정치로 '''476%'''에 달한다. (순간 인플레이션은 800%까지도 잡혔다!) 2015년 추정치가 100%에 미치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면 남수단 내부에 [[헬게이트]]가 활짝 열린 것으로 추정된다(...) 덧붙여서, 2011년 독립 당시 남수단 파운드는 [[수단 파운드]]와 1:1(당시 250원/£)비로 교환한 것으로 출범한 것이었으나, 2017년 6월엔 '''9.5~9.8원/£'''정도,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3~4원/£'''로 거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서 [[막장 국가]] 테크를 착실히 밟고 있다는 것을 재차 검증하였다. <s>배춧잎이 벼 한포기로 바뀌는 매직!</s><ref>동시기의 북수단 파운드의 가치는 250원에서 168원으로 떨어졌으니, 남쪽이 북쪽에 비해 몇십배는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것이다.</ref>
2022년 8월 8일 기준으로는 공식 환율이 2원 미만(£670/USD)이며, 같은 시기 시장환율은 비싸면 1원 초반, 싸면 0.1원 미만까지(£850~40,000)<ref>암시장 환율은 공적으로 집계되고 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하지 않음을 참고.</ref>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화폐 유통 환경이 거의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흥정으로 미국 달러를 사들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
== 현행권 ==
== 현행권 ==
앞서 언급하였듯 독립 9일차에 처음 배포되었다. 다만 5피아스터 ~ 25피아스터 소액지폐 세 종류는 뜬금없게도 더 나중인 2011년 11월 19일에 배포되었는데, 얼마 풀리지도 못하고 곧바로 회수 및 사장되어서 때아닌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다. {{ㅊ|동전 만들 예산이 후달렸었던 모양이다.}}
이후 심각하고도 가파른 가치저하로 인해 신 고액권(£500 (2018년 6월), £1,000 (2021년 2월))을 추가 발행하였다. 추가 고액권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는 하나, 감당이 안 되도록 인플레이션이 심하기 때문에, 아예 외화 사용으로 시선을 돌리는 눈치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South Sudan Pound Series
! colspan="3" | 남수단 파운드 (유통중)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SSD124.jpg]]<br />£20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4.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r />£50 [[코끼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SSD118.jpg]]<br />£100 [[사자]] & [[폭포]]
|-
|-
| style="text-align: center;" | £0.05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SD120.jpg]]<br />£500
[[타조]]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SD122.jpg]]<br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0.10
|}
[[쿠두]]
 
| style="text-align: center;" | £0.25
{| class="wikitable"
[[나일강]] 상류
! colspan="4" | 남수단 파운드 (사용 불가)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7.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8.jpg|섬네일|centre]]
|-
| style="text-align: center;" | ◀피아스터화
| style="text-align: center;" | 파운드화▶
| style="text-align: center;" | £1
[[기린]]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0.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5
긴 뿔 아프리카 소
| style="text-align: center;" | £10
[[버팔로]] & [[파인애플]]
| style="text-align: center;" | £20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4.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8.jpg|섬네일|centre]]
|-
| style="text-align: center;" | £25
| style="text-align: center;" | £50
[[코끼리]]
| style="text-align: center;" | £100
[[사자]] & [[폭포]]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운드화 앞면(공통)<ref>피아스터화 앞면도 거의 유사하지만, 색 농도나 무늬 배치 등이 약간 다르다.</ref><br />[[파일:SSD1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공란)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br />£0.05 [[타조]]
| style="text-align: center;" | (공란)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SSD104.jpg]]<br />£0.10 [[쿠두]]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br />£0.25 [[나일강]] 상류
|-
|-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SD108.jpg]]<br />£1 [[기린]]
| style="text-align: center;" | (공란)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SD110.jpg]]<br />£5 긴 뿔 아프리카 소
| style="text-align: center;" | (공란)
| style="text-align: center;" | <br />£10 [[버팔로]] & [[파인애플]]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SSD114.jpg]]<br />£25
|}
|}
* 동전은 1, 5, 10, 25, 50피아스터의 5종이 있다.
* 동전은 1, 5, 10, 25, 50피아스터의 5종이 있'''었'''다. 2022년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5피아스터 ~ 25피아스터 지폐 세 종류는 뜬금없게도 2011년 11월 19일 등장했다. {{ㅊ|동전 만들 예산이 후달렸던 모양이다}} 그러나 얼마 풀리지도 못하고 곧바로 회수 및 사장되어서 때아닌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다.
* 2022년 8월 4일부로 £20 미만 권종은 모두 통용 중단되었다.
* 2016년 4월 22일, £25을 £20으로 액면을 바꾸었다. 다만 £25의 통용이 중단되지는 않았다. <s>그보다 지금 남수단중앙은행 홈페이지가 폐쇄된 상태다.</s>
** 2016년 4월 22일에 약간 리뉴얼 하면서 £25을 £20으로 액면을 바꾸었는데, 당시에는 £25의 통용을 중단시키지 않았으나, 2022년 8월 조치에는 포함되었다. 1의 자릿수 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
* 남수단 파운드화의 심각하고도 가파른 가치저하로 인해 2018년 6월 경, 신 고액권인 £500을 발행하였다.


{{각주}}
{{각주}}

2022년 8월 29일 (월) 00:11 기준 최신판

남수단 파운드
South Sudanese Pound 사우스 수다니즈 파운드en
BankofSouthSudan.png
화폐 정보
사용국 남수단
ISO SSP
기호 £ (lb)
보조단위
1/100 피아스트 (Piastre)
지폐 £20, £50, £100, £500, £1000
동전 10p, 20p, 50p, £1, £2 (폐지)
중앙은행 남수단은행 (Bank of South Sudan, BoSS)
이전 화폐
수단 파운드 [1 : 1] (2011.07~)

개요[편집 | 원본 편집]

2011년 7월 신생국인 남수단의 리라/리브르(파운드) 계열의 통화로, 미리 준비해놓고 있다가 독립이 승인된 후 아흐레만에 배포하였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중앙은행인 남수단은행에서 고시하는 통화는 18개이지만, 공업품/공산품 거래수단으로 쓰이는 인근국 통화(케냐 실링, 탄자니아 실링, 이집트 파운드 등) 및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 말고는 수요가 절망적이다. 특히 공식 환율이 현실 반영을 거의 못하고 있어서 암시장을 통해 바꿔야 하는데, 이때는 사실상 미국 달러만 바란다고 봐도 무방하다.

환율 추이[편집 | 원본 편집]

당초 수단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 나갔기 때문에 태초에는 250원(/SS£)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내전과 외부발 경제 쇼크의 악재를 계속 겪으면서 자연스레 공식환율과 암시장환율이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2017년 6월엔 9.8원 미만,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3원대(당시 공식 환율은 7원대)로 거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서 막장 국가 테크를 착실히 밟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동시기의 북수단 파운드 가치는 250원에서 168원으로 떨어진 정도였으니, 남쪽이 북쪽에 비해 몇십배는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2년 8월 8일 기준으로는 공식 환율이 2원 미만(£670/USD)이며, 같은 시기 시장환율은 비싸면 1원 초반, 싸면 0.1원 미만까지(£850~40,000)[1]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화폐 유통 환경이 거의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흥정으로 미국 달러를 사들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현행권[편집 | 원본 편집]

앞서 언급하였듯 독립 9일차에 처음 배포되었다. 다만 5피아스터 ~ 25피아스터 소액지폐 세 종류는 뜬금없게도 더 나중인 2011년 11월 19일에 배포되었는데, 얼마 풀리지도 못하고 곧바로 회수 및 사장되어서 때아닌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다. 동전 만들 예산이 후달렸었던 모양이다.

이후 심각하고도 가파른 가치저하로 인해 신 고액권(£500 (2018년 6월), £1,000 (2021년 2월))을 추가 발행하였다. 추가 고액권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는 하나, 감당이 안 되도록 인플레이션이 심하기 때문에, 아예 외화 사용으로 시선을 돌리는 눈치이다.

남수단 파운드 (유통중)
SSD124.jpg
£20

£50 코끼리
SSD118.jpg
£100 사자 & 폭포
SSD120.jpg
£500
SSD122.jpg
£1,000
남수단 파운드 (사용 불가)
파운드화 앞면(공통)[2]
SSD107.jpg

£0.05 타조
SSD104.jpg
£0.10 쿠두

£0.25 나일강 상류
SSD108.jpg
£1 기린
SSD110.jpg
£5 긴 뿔 아프리카 소

£10 버팔로 & 파인애플
SSD114.jpg
£25
  • 동전은 1, 5, 10, 25, 50피아스터의 5종이 있다. 2022년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2022년 8월 4일부로 £20 미만 권종은 모두 통용 중단되었다.
    • 2016년 4월 22일에 약간 리뉴얼 하면서 £25을 £20으로 액면을 바꾸었는데, 당시에는 £25의 통용을 중단시키지 않았으나, 2022년 8월 조치에는 포함되었다. 1의 자릿수 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

각주

  1. 암시장 환율은 공적으로 집계되고 있는 자료가 없어, 확실하지 않음을 참고.
  2. 피아스터화 앞면도 거의 유사하지만, 색 농도나 무늬 배치 등이 약간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