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0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경상북도의 철도역]]
{{철도역 정보
{{철도역 정보
|이름    = 영천
|역명 = 영천
|원어이름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금완로 98
|글자색  = white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그림    = Yeongcheonstation.jpg
|종별 = 관리역
|그림설명 =
|등급 = 2급
|그림alt  =
|노선1 = [[대구선]]
|주소    =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영천)|완산동]]
|전방면1 = [[가천역|가 천]]
|번호    =  
|전역1 = [[봉정역|봉 정]]
|노선    = [[중앙선]] <small>305.9 km</small><br />[[대구선]] <small>26.1 km</small>
|전거리1 = 1.7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노선2 = [[중앙선|중앙본선]]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전방면2 = [[청량리역|청량리]]
|폐지일  =  
|전역2 = [[북영천역|북영천]]
|코드    = 103
|전거리2 = 2.5
|승강장  =  
|후방면2 = [[경주역|경 주]]
|관련역  =  
|후역2 = [[송포역|송 포]]
|참고    =  
|후거리2 = 5.2
|비고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하위 틀  =  
}}
}}


'''영천역'''(永川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영천시)|완산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영천역'''(永川驛)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의 [[급수탑]]은 [[1937년]]에 세워진 것이다.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급수탑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중앙선]] [[영주역|영주]], [[안동역|안동]] 방면에서 [[대구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북영천역]]에 정차한 뒤에,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북영천삼각선을 따라 바로 [[대구선]]으로 진입한다.


== 연혁 ==
== 연혁 ==
* [[1918년]] [[1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년 11월 4일</ref>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ref>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13호, 1938년 6월 24일</ref>
* [[1941년]] [[3월 1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ref>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7호(1971년 9월 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43호(1975년 12월 29일)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ref>
* [[1985년]] [[6월 1일]] : [[북영천역|북영천]], [[송포역|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 [[1995년]] [[11월 27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 화물취급 중지<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년 10월 20일</ref>
== 인접한 역 ==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대부분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서울로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발 [[중앙선]]경유 [[무궁화호]]가 왕복 2회 있다.


{{인접정차역/열기}}
== 시설 ==
{{인접정차역
{{철도승강장|구조=
|노선 = [[대구선]]{{·}}[[중앙선|중앙본선]]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중앙선 [[아화역|아화]]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전역 = [[하양역|하양]]
|승강장 번호= 1<br />2|승강장 정보='''무궁화호''' [[부전역|부전]] · [[태화강역|태화강]] · [[포항역|포항]] 방면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후역 = [[건천역|건천]]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후방면 = [[포항역|포항]] 방면
}}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대구선]]  [[하양역|하양]] / [[중앙선]] [[신녕역|신녕]]
}}
}}
{{인접정차역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승강장 번호=3<br />4|승강장 정보='''무궁화호''' [[청량리역|청량리]]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
|전역 = [[하양역|하양]]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
{{인접정차역
 
|노선 = [[중앙선|중앙본선]]
=== 급수탑 ===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건축물 정보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중앙선]]
|건물이름 = 영천역 급수탑
|전역 = [[신녕역|신녕]]
|원어이름 =
|전방면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그림    =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그림설명 =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종류    =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주소    =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로]] 447
|소유    =
|착공일  =
|개장일  = 1937년
|철거일  =
|건축    =
|설계    =
|건설    =
|양식    =
|높이    = 18m
|층수    =  
|총면적  =
|대지면적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등록문화재]]
|지정일  = 2003년 1월 28일
|해제일  =
}}
}}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중앙선과 대구선에서 운행하던 증기기관차를 위한 [[급수탑]]으로 외부에는 한국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있다.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영동선]]
 
|전역 = [[의성역|의성]]
== 경유 노선 ==
|전방면 = [[정동진역|정동진]] 방면
{{경유 노선/열기}}
|후역 = [[경주역|경주]]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노선명=312 [[중앙선(도담~경주)]]|노선거리=305.9 km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전방면=[[청량리역|청량리]] 방면|전역=[[북영천역|북영천]]|전거리=2.5 km
|당역='''영천'''
|후방면=[[모량신호장|모량]] 방면|후역=[[아화역|아화]]|후거리=5.2 km }}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210 [[대구선]]|노선거리=26.1 km
|전방면=[[가천역|가천]] 방면|전역=[[금호역 (영천)|금호역]]|전거리=7.4 km
|당역='''영천'''
|후방면=|후역=}}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마음]]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동해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무궁화호]]
|세로수  = 3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중앙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영동동해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동해대구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누리로]]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동해대구선 포항}}
  {{경유 열차 목록/누리로 동해대구선}}
}}
}}
}}
{{인접정차역/닫기}}


{{퍼온문서}}
{{각주}}
 
[[분류:중앙선]][[분류:대구선]]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등록문화유산]]
{{리브레 맵스 마커|35.95923296581211|128.93714547157288|12|영천역}}

2024년 1월 14일 (일) 02:09 기준 최신판

영천
주소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노선 중앙선 305.9 km
대구선 26.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18년 11월 1일
코드 103

영천역(永川驛)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중앙선대구선철도역이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급수탑[편집 | 원본 편집]

영천역 급수탑
건축물 정보
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로 447
개장일 1937년
높이 18m
문화재 정보
종목 등록문화재
지정일 2003년 1월 28일

중앙선과 대구선에서 운행하던 증기기관차를 위한 급수탑으로 외부에는 한국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청량리 방면
북영천 2.5 km
영천 모량 방면
아화 5.2 km
가천 방면
금호역 7.4 km
영천 (종점)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ITX-마음 동해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부전
무궁화호 중앙선 청량리 - 덕소[1]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1]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1] - 서원주 - 원주 - 봉양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영동동해선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동해대구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누리로 동해대구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아화 - 서경주 - 안강 - 포항
중앙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1.0 1.1 1.2 평일, 청량리~제천 구간 열차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