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Pika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4월 22일 (목) 04:34 판 (새 문서: (제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철도건설법」 제4조에 따라 2006년 3월 3일에 고시된 계획이다. 경부고속철도수도권 전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제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철도건설법」 제4조에 따라 2006년 3월 3일에 고시된 계획이다. 경부고속철도수도권 전철 이외에는 매우 제한적으로 철도 투자가 이루어진 것과 이에 따라 낮은 수송 분담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신규 노선 건설에 중점을 두었다.

문제점

제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는 대한민국의 철도망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3개를 꼽는다.

투자부족으로 인해 철도시설 부족 및 낙후
  • 철도 투자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타 교통수단에 비해 속도경쟁력이 취약하고, 여유용량 부족한 구간이 있다.
  • 철도망에 미연결 구간이 많아 불필요한 우회수송 또는 환승으로 인해 통행시간 과다 소요된다.
  • 주요 교통거점시설인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에 철도가 연결되지 않아 연계수송이 곤란하다.
  • 고속철도역에 접근하기 위한 철도 노선 연결이 미흡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고속철도 서비스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지역이 다수 존재한다.
  • 철도역을 중심으로 한 연계교통체계 구축이 미흡하다.
비효율적인 철도시설 운영
  • 동일노선에서 시설 수준이 상이하여 선로 용량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 효율성이 저하된다. (구간에 따라 단선 또는 복선, 전철 또는 비전철 등 달리 운영 및 건설됨)
  • 궤도 및 구조물 노후로 안전운행에 차질이 있다.
  • 열차 집중제어 장치의 설치율이 낮아(53%) 정시성 확보가 곤란하다.
교통시장 및 환경변화에 대응 미흡
  • 고급, 고속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욕구(needs)에 대응하지 못하여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경쟁력이 저하되었다.
  • 교통여건변화에 대응하는 연계수송체제 구축이 미흡하다.

목표와 추진과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가지 목표를 세웠으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8개의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속도경쟁력 대폭 향상
설명: 운행속도 180km/h ~ 200km/h 이상, 대도시간 2~3시간 이내 이동
과제: 전국적으로 고속화된 철도망 확충, 수송애로 구간 시설 확충, 고속화된 철도물류망 형성
접근성 개선
설명: 주요 철도역에 30분 이내 접근
과제: 철도 중심의 연계교통체계 구축, 네트워크 효율 제고를 위해 미연결 구간 확충, 남북철도 연결 및 대륙철도 연계노선 확충
안전성·친환경성·쾌적성 등 향상
설명: 인간·환경 중심적 교통수단으로서 역할 강화
과제: 안전·친환경·쾌적한 철도망 구축, 비용절감형 철도망 구축

전국적으로 고속화된 철도망 확충

기본방향
  • 통일 이전에는 오송을 중심으로 경부축과 호남선·충북선·중앙선 및 원주~강릉 축을 연계하는 X자형을 주축으로 하여 2+6×6 철도망을 구축한다.
    • 2: 고속철도 2개 노선(경부고속철도 및 호남고속철도)으로 국가 철도망의 대골격을 구성한다.
    • 6×6: 남북 6개축 및 동서 6개축으로 고속철도와 연계하여 고속화(최고속도 180km/h ~ 200km/h 이상)된 간선철도망을 구성한다.
남북 6개축 동서 6개축
호남축 서울 ~ 천안 ~ 익산 ~ 목포 동서1축 서울 ~ 춘천 ~ 인제 ~ 속초
서해·전라축 인천 ~ 예산 ~ 익산 ~ 여수 동서2축 평택 ~ 여주 ~ 원주 ~ 강릉
경부축 서울 ~ 대전 ~ 대구 ~ 부산 동서3축 보령 ~ 조치원 ~ 제천 ~ 동해
중부내륙축 수서 ~ 여주 ~ 충주 ~ 진주 동서4축 익산 ~ 무주 ~ 김천 ~ 영덕
중앙축 청량리 ~ 제천 ~ 경주 동서5축 광주 ~ 남원 ~ 대구 ~ 포항
동해축 저진 ~ 강릉 ~ 포항 ~ 부산 남해축 목포 ~ 순천 ~ 진주 ~ 부산
  • 통일 이후에는 부산 ~ 대구 ~ 서울 ~ 개성 ~ 평양 ~ 신의주축과 목포 ~ 서울 ~ 원산 ~ 함흥 ~ 나진축을 연결하는 X자형 한반도 고속 철도망을 구축한다.
사업내용
  • 이미 추진 중인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과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을 조속히 마무리한다.
  • 수송 수요가 높은 구간에 대해 기존선 고속화 또는 신선 건설 구상 등을 통해 전국 고속철도망을 구축한다.
  • 수요 등을 감안하여 고속철도는 설계속도 370km/h 이상, 주요 간선철도는 설계속도 200km/h 이상으로 고속화하여 다른 교통수단과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한다.
  • 고속철도 직결운행 또는 고속용 전기차량의 운행을 위해 전철화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한다. ('04: 39.8% → '15: 73%)
  • 열차 지연으로 인한 속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수요를 감안한 기존선 복선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04:38.1% → '15:64%)
  • 중앙선·태백선·영동선 등 산악지 철도의 선형 불량 구간에 대해 선형 직선화·노반 보강 등 선형을 개량한다.
  • 고속 운행을 위해 궤도 및 구조물을 개선(레일장대화·중량화 등)하고, 차상신호방식(ATP)를 도입한다.
  • 고속열차 투입이 곤란한 구간에 대해서는 고속틸팅열차[1] 및 신소재를 활용한 경량 차량 등을 개발·투입한다.

수송애로 구간 시설 확충

기본방향
  • 용량이 한계에 도달한 노선의 시설 확충으로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해소한다.
  • 대도시 교통난 해소를 위해 광역교통서비스의 공급을 확대한다.
사업내용
  • 고속철도 개통 등에 대비하여, 수도권 철도망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결과에 따라 사업을 추진한다.
  • 여객 및 화물 수송 수요 급증에 따른 용량 부족 해소를 위해 시설을 확충한다.
    • 광양항 화물 및 남해안 지역 여객 증가에 대비: 경전선(동순천~광양 및 광양~진주) 복선화
    • 전라선과 장항선을 연계한 화물 수송망 확충: 군산선(익산~대야) 복선전철화
    • 도담 지역 등 충북 양회 생산 증가에 대비: 중앙선(원주~제천 및 제천~도담) 복선전철화
    • 부산 및 서부 경남권 지역의 여객 증가에 대비: 부전~마산 복선전철 건설
    • 제천·쌍용 지역 양회수송 증가에 대비: 태백선(제천~쌍용) 복선전철화
    • 수도권과 경기·강원간 수요 증가에 대비: 경춘선(금곡~춘천) 복선전철화
  • 대도시 광역교통난 해소를 위해 수송수요가 높은 광역철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 수도권 도심인구 분산 및 서울~춘천간 교통수요 증가에 대비: 중앙선(청량리~덕소) 및 망우~금곡 복선전철화
    • 수도권 서북부지역 교통편의 제공: 의정부~동안 및 용산~문산 복선전철화
    • 수도권 서남부지역 교통편의 제공: 수원~인천 복선전철 건설 및 왕십리~선릉 복선전철 건설
    • 부산 및 울산 지역 교통난 해소: 부산~울산 복선전철화
    • 수도권 남부지역 교통편의 제공: 오리~수원 복선전철 건설
    • 수도권 동남부와 경기도와의 연계: 정자~수원 복선전철 건설
    • 수도권 동남부지역 교통난 해소: 강남~정자 복선전철 건설
    • 수도권 X자형 광역철도망구축과 고속철도 용산역 연계: 용산~강남 복선전철 건설
    • 수도권 X자형 광역철도망구축과 고속철도 광명역 연계: 안산~청량리 복선전철 건설

고속화된 철도물류망 형성

기본방향
  • 주요 간선 고속화, 수송애로 구간을 해소하고, 주요 산업단지·항만등과 연계한 철도망 확충으로 고속화된 철도 화물 운송체계를 구축한다.
  • 철도 즉 H/W뿐만 아니라 화물역 개선, 차량개발 등 S/W 측면도 개선한다.
사업내용
  •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따라 기존 경부선, 호남선을 주요 화물 발생 거점과 연계한 화물 중심 노선으로 전환한다.
    경부선은 경인권·중부권·영남권과, 호남선은 중부권·호남권과 연계 운영한다.
  • 부산항·신항, 광양항 등 2개 항만을 연결(2시간 내 이동), One-Port로 활용하여 수출입화물을 신속히 처리토록 철도망을 구축한다.
    경전선(삼랑진~진주) 복선전철화, 진주~광양 복선화, 광양항 인입선 복선화, 동순천~광양 복선화
  • 중국과 관련한 수출입 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목포 ~ 광주 ~ 익산 ~ 장항 ~ 예산 ~ 인천을 연결하는 서해축 철도망을 구축한다.
    익산~대야 복선전철화, 예산~야목 복선전철화
  • 국가산업단지·항만 중 철도와 연결되지 않은 구간에 대해 단계적으로 인입철도를 연결한다.
  • 대량 화물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이단적 열차(Double Stack Train) 및 피기백(Piggyback) 등 신운송수단의 도입을 적극 검토한다.
  • 기존 화물 열차의 속도 향상을 위해 초고속 컨테이너 화물열차(최고속도 90km/h, 120km/h→150km/h) 개발을 장기적으로 추진한다.
  • 화물역의 물류거점화를 위한 거점화 전략 수립·추진한다.
  • 철도를 중심으로 한 대량 화물의 복합일관수송체제 구축을 위해 복합화물터미널 건설을 추진한다.
  • 철도 화물 운송서비스 수준 제고를 위해 운영을 효율화한다.

철도 중심의 연계교통체계 구축

기본방향
  • 고속철도 접근성을 제고하고, 고속철도 서비스 수혜지역 확대를 위해 고속철도역 중심의 연계교통체계를 확충한다.
  • 일반 철도역도 지역 교통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철도역과 연계한 교통체계를 구축한다.
사업내용
  • 각 권역별 고속철도 접근 철도 노선을 확충한다.
    • 수도권: 광명역간 셔틀전철 운행, 시흥역~시흥 주박기지간 철도 건설, 신안산선 건설, 인천공항철도 건설
    • 중부권: 천안~온양온천 복선전철화, 보령~조치원 철도 건설
    • 대구경북권: 울산~포항 복선 전철화, 대구선 복선전철화
    • 부산경남권: 삼랑진~진주 복선전철화
    • 전라권: 익산~순천 복선전철화
  • 고속철도 접근 편의를 위해 광역직행버스, 리무진 버스, 셔틀버스 도입·확대한다.
  • 일반 철도역도 지역 교통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환승시설을 개선하고, 보행 또는 이동경로의 무장애(Barrier-free)화 등을 추진한다.
  • 철도역의 복합기능 확대를 위해 복합역사화 추진한다.
  • 광역교통계획 수립 시 철도역을 중심으로 한 광역교통체계 구축 방안을 포함시킨다.
  • 주요 공항이 철도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접근 노선을 확충한다.
    인천공항철도 건설 및 제2공항철도 건설 추진

네트워크 효율 제고를 위해 미연결 구간 확충

기본방향
  • 철도 미 연결 구간 확충으로 지역간 교통시설 확보 수준 및 접근시간 차이를 해소한다.
  • 남북 6개축과 동서 6개축에 대해 수송수요 및 투자재원 등을 감안하여 단계적으로 연결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내용
  • 남북축 미연결구간 확충 사업
    • 서해 지역 여객 및 광양·군산항 화물 수송: 장항선 개량 사업 및 예산~야목 철도 연결
    • 동남권~동해권과의 연계 및 향후 대륙철도 연계: 포항~삼척 및 강릉~저진 철도 연결
    • 철도 서비스 소외지역 해소: 여주~문경 철도 연결
    • 중장기적으로 김천~진주, 춘천~원주, 춘천~철원 철도 연결 사업 추진
  • 동서축 미연결구간 확충 사업
    • 서울지역과 강원 북부 지역간 연계: 춘천~속초 철도 건설
    • 중부지역과 강원지역 연계: 원주~강릉 및 평택~원주 철도 건설
    • 서해안과 충북선, 중앙선 등과의 연계: 보령~조치원 철도 건설
    • 중남부권과 경북선, 중앙선, 동해선 연계: 전주~김천 및 김천~영덕 철도 건설
    • 광주 지역과 전라선․경부선, 포항항과의 연계: 광주~대구 및 영천~안강 철도 건설
    • 남서부권과 경전선 및 영남권 연계: 보성~임성리 및 부전~마산 철도 건설

남북철도 연결 및 대륙철도 연계노선 확충

기본방향
  • 남북간 장거리 대량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단절 철도망 연결 및 수도권 우회 노선을 확충한다.
  • 국제 철도 수송체계를 구축하여 남북한 ~ 중국 ~ 러시아 ~ 유럽을 연결하는 철의 실크로드를 구현한다.
사업내용
  • 남북 단절 철도망 연결하여 X형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부산 ~ 신의주축: 부산 ~ 대구 ~ 서울 ~ 개성 ~ 평양 ~ 신의주축
    • 목포 ~ 나진축: 목포 ~ 서울 ~ 원산 ~ 함흥 ~ 나진축
    • 두 축을 보완하는 동해축도 고려
    • 이를 위해 아래 사업 추진
      • 경의선: 문산~군사분계선(12km) 공사 완료('02.12) 후 출입관리사무소(CIQ) 설치 추진('06년 완공)
      • 동해선: 저진~군사분계선 연결('05년말 완공계획) 및 출입관리사무소 설치 추진('06년 완공)
      • 경원선: 신탄리~군사분계선 연결
      • 금강산선: 철원~군사분계선 연결
  • 남북 관계 개선에 따른 남북한 철도 운행에 대비, 남북철도 시스템을 통합하고, 기술 교환을 추진한다.
  • 중국횡단철도(TCR), 만주횡단철도(TMR), 몽골횡단철도(TMGR) 등 국제 철도와의 연계를 추진한다.
    • 중국 연계: 부산/광양 ~ 서울 ~ 평양 ~ 신의주 ~ 단동(중국) ~ TCR ~ TSR
    • 러시아 연계: 부산/광양 ~ 서울 ~ 평양/원산 ~ 두만강 ~ 핫산(러시아) ~ TSR
    • 만주 연계: 부산/광양 ~ 서울 ~ 평양/원산 ~ 남양 ~ 도문(중국) ~ TMR ~ TSR
    • 몽골 연계: 부산/광양 ~ 서울 ~ 평양 ~ 신의주 ~ 단동(중국) ~ 북경(중국) ~ TMGR ~ TSR
    • 이를 위해, 경의선(용산~문산) 복선전철화, 경원선(의정부~동안~신탄리) 복선전철화, 동해선 연결(포항~삼척, 강릉~저진) 등 추진
  • 남북철도 연결 및 대륙철도 연계에 따른 물량증가로 인한 수도권 병목현상 해소를 위한 노선을 확충한다.

안전·친환경·쾌적한 철도망 구축

기본방향
  • 안전성 제고를 위해 시설물의 단계적으로 개량하고, 설비를 확충한다.
  • 친환경성 향상을 위해 설계부터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 제도적 장치를 강구하고 쾌적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한다.
사업내용
  • 안전성 강화
    • 철도건널목 안전관리 강화한다.: 건널목 입체화 추진 및 건널목 안전개량·시설 증설
    • 승강장·선로변 사고 예방을 위해 혼잡역사를 중심으로 지하철 역사 내 안전펜스 및 스크린도어를 단계적으로 설치한다.
    • 선로변 상습 무단횡단 구간(201km)에 안전울타리를 설치하고, 선로·신호 등 시설물 안전상태 감시를 위해 CCTV 설치를 확대한다.
    • 지하 역사·터널 내 화재 등 재난 대비 방재설비를 개량한다.
    • 재해예방을 위한 시설을 개량하고, 지능형 방재시스템을 도입한다.
    • 수해가 반복되는 산악지 철도(중앙선, 영동선, 태백선 등)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개량을 추진한다.
    • 철도차량 안전기준 세부기준을 정비하고, 철도차량 내장재 교체 등 방재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친환경성 강화
    • 사업 계획 단계부터 공공참여(Public Involvement)를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 노선의 선정 및 건설 과정에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계 기법을 마련한다.
    • 철도 차량운행으로부터 발생하는 중금속, 유독성 화학물질, 분진 등 각종 오염물질 저감 기술을 개발한다.
    • 차량운행으로 인한 주변 지역 소음·진동 저감 기술을 개발한다.
  • 쾌적성 향상
    • 물리적 요소에 대한 승차감 개선을 위해 진동, 실내소음, 냉난방 환기, 여압 시스템 등을 향상시킨다.
    • 좌석 요소에 대한 승차감 개선을 위해 인체공학적 좌석을 배치하고, 실내 청결도를 향상시킨다.
    • 시각적 요소에 대한 승차감 개선을 위해 차량 내외부 디자인, 조망권 등의 향상을 추진한다.

비용절감형 철도망 구축

기본방향
  • 철도 건설 기간을 대폭 단축하여, 사업비를 절감하고 수요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한다.
  • 철도 건설 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철도 운영자의 운영 효율화를 도모한다.
사업내용
  • 설계와 시공을 함께 발주하는 단계별 발주방식 Fast Track 공법을 도입하고, 철도 건설 과정의 Module화를 추진한다.
  • 철도 건설단계에서부터 사후 유지관리비용을 고려할 수 있도록 철도시설물 LCC(Life Cycle Cost)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자갈도상보다는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한 콘크리트도상으로 건설한다.
  • 기존 노선에 대해서도 자갈도상의 콘크리트 도상화, 레일장대화 등 시설물개량사업을 지속 추진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킨다.
  • 궤도, 교량, 터널, 전차선 등 철도시설물별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이력관리를 위해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사업 계획

고속철도

노선 사업명 사업구간 총사업비(억원) 연장(km) 사업기간
경부선 경부고속철도 2단계 대전~대구 도심구간 64,828 161 02~10
대구~부산
호남선 호남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의 노선 및 총사업비 등은 기본계획 확정후 반영

일반철도

기 시행중인 사업

전반기('06 ~ '10) 완공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경부선 조치원~대구 전철화 158 6,702 완공('06)
장항선 천안~온양온천 복선전철화 16.5 4,766 완공('08)
장항선 온양온천~군산 복선전제 단선개량 89.2 13,948 일부 개통(신성~주포 제외)
영동선 동백산~도계 철로이설 19.6 4,837 완공('12)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서울역 복선전철 61.5 40,995 완공('10)
경전선 동순천~광양 복선화 10.9 2,539 완공('11)
중앙선 제천~도담 복선전철화 17.4 2,831 완공('11)
전라선 순천~여수 철도개량 40 5,003 완공('15)
전라선 익산~순천 복선전철화 154.2 11,678 완공('11)
중앙선 덕소~원주 복선전철화 90.4 15,264 완공('21[2])
경춘선 금곡~춘천 복선전철화 63.8 18,390 완공('10)
태백선 제천~쌍용 복선전철화 18.3 2,477 일부 개통(제천~입석리), 후속 계획 없음
인천공항
활주로구간
인천공항 활주로
철도건설
복선전철 0.5 345 완공('07)
후반기('11 ~ '15) 완공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경전선 삼랑진~진주 복선전철화 101.4 21,582 일부 개통(낙동강~진주), 후속 계획 없음
중앙선 원주~제천 복선전철화 41.1 10,480 완공('21)
원주~강릉 원주~강릉 복선전철 120 18,652 완공('17)
군산선 익산~대야 복선전철화 16.5 4,062 완공('20)
계속 사업 (2016년 이후)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보성~임성리 보성~임성리 단선철도 79.5 12,979 건설중
여주~충주 여주~충주 단선전철 55.8 5,747 건설중
경전선 진주~광양 복선화 56.1 10,493 건설중
부전~마산 부전~마산 복선전철 51.4 13,962 건설중
동해선 포항~삼척 단선철도 171.3 24,410 일부 개통(포항~영덕)
성남~여주 성남~여주 복선전철 53.8 12,932 완공('16)
소사~원시 소사~원시 복선전철 23.1 13,649 완공('18)
동해선 울산~포항 복선전철화 73.2 20,594 건설중
중부내륙선 충주~문경 단선전철 40 5,912 건설중

신규 사업

전반기 착수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전라선 순천~여수 전철화 40 737
장항선 온양온천~군산 복선전철화 127 12,006
경원선 소요산~신탄리 복선전철화 36.5 10,293
동해선 강릉~저진 단선철도 110.2 18,403
서해선 예산~야목 복선전철 83.9 28,693
대구선 동대구~경주 복선전철화 70.2 15,839
경춘선 청량리~망우 2복선전철화 4.6 5,178
포승~평택 포승~평택 단선철도 30.6 4,121
경원선 신탄리~철원 단선철도 16.2 650
장항선 온양온천~신창 복선전철화 5.2 216
후반기 착수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울진~분천 울진~분천 단선전철 33.1 7,461
영동선 동백산~도계 복선전철화 19.6 4,837
영동선 영주~동백산 복선전철화 69.9 20,133
경전선 동순천~광양 전철화 10.9 193
태백선 쌍용~백산 복선전철화 62.7 18,072
경북내륙선 김천~영덕 단선전철 133.5 29,644
문경선 문경~점촌 전철화 22.3 3,947
춘천~속초 춘천~속초 복선전철 95.1 27,292

광역철도

전반기 완공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중앙선 청량리~덕소 복선전철화 18 6,511 완공('05)
경원선 의정부~동안 복선전철화 22.3 8,110 완공('06)
경춘선 망우~금곡 복선전철화 17.2 5,353 완공('10)
분당선 왕십리~선릉 복선전철 6.6 6,928 완공('12)
신분당선 강남~정자 복선전철 18.5 11,809 완공('11)
경의선 용산~문산 복선전철화 48.6 17,122 완공('09)
후반기 완공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동해남부선 부산~울산 복선전철화 72.1 19,944 일부 개통(부전~일광)
수인선 수원~인천 복선전철 52.8 18,264 완공('20)
오리~수원 오리~수원 복선전철 18.2 15,017 완공('13)
계속 사업 (2016년 이후 완공)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정자~수원 정자~수원 복선전철 18 20,438 일부 개통(정자~광교중앙)
신안산선 청량리~안산 복선전철 40.8 39,220 건설중
신분당선 용산~강남 복선전철 9.9 4,186 건설중
전반기 착수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소사~대곡 소사~대곡 복선전철 16.7 8,863 건설중

추가 검토대상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전주~마산 전주~마산 단선전철 151 26,956
경전선 보성~임성리 복선전철화 79.5 2,226
영동선 도계~동해 복선전철화 34.1 11,104
남원~영동 남원~영동 단선철도 105.6 16,790
경전선 순천~보성 복선전철화 46.6 9,613
경북선 점촌~영주 복선전철화 50.3 12,598
중앙선 도담~영천 복선전철화 153.4 40,038
김전선 김천~전주 단선전철 97.4 17,062
광주~김천 광주~김천 단선전철 200.8 35,845
포항직결선 영천~안강 단선전철 30.5 6,117
나주~완도항 나주~완도항 단선전철 46.5 7,394
경전선 진주~광양 전철화 56.1 1,178
남해선 대구~광주 단선전철 200.7 36,261
충청선 보령~조치원 복선전철 88.8 26,762
중부선 신둔~음성 단선전철 58.4 10,684
중부내륙 김천~진주 단선전철 114.8 19,017
대전~거제 대전~거제 단선전철 217 38,737
오리~오산 오리~오산 복선전철 14.5 6,345
횡계~구절리 횡계~구절리 단선전철 42 4,443
경전선 보성~송정리 복선전철화 50.8 18,232
수도남부순환 광명~판교 복선전철 21 8,979
경원선 용산~청량리 2복선 전철화 12.6 5,204
의정부~철원 의정부~철원 복선전철화 54.2 14,600
중부선 증평~영동 단선전철 84.7 15,191
동해선 포항~동해 복선전철화 179.3 14,872
경북선 김천~점촌 복선전철화 55.5 14,500
영동선 동해~강릉 복선전철화 45.1 12,718
인덕원~신분당선(병점) 인덕원~신분당선(병점) 복선전철 16 17,328
도농~신갈 도농~신갈 복선전철 59 25,220
서해산업선 인주~안흥 단선철도 78 14,722
장항~논산 장항~논산 단선전철 25.3 4,023
춘천~원주 춘천~원주 단선전철 53.5 8,333
천안~문경 천안~문경 단선전철 100.1 15,916
중부선 영동~진주 단선전철 154.2 27,383
수도권우회선 여주~연천 단선전철 108 30,456
동해선 강릉~군사분계선 복선전철화 116 16,059
용인~안성 용인~안성 복선전철 30.4 9,029
평택~원주 평택~원주 복선전철 96 36,442
제2공항철도 신공항~광명 복선전철 46.9 25,050
중부선 진주~거제 단선전철 64.6 12,765
춘천~철원 춘천~철원 단선전철 69.3 13,964
수서~광주 수서~광주 복선전철 19 8,943
삼릉~소래 삼릉~소래 복선전철 28 15,548
수도외부순환 의정부~도농 복선전철 19.9 9,148
녹번~하남 녹번~하남 단선전철 57.6 37,822
교외선 능곡~의정부 복선전철화 29.9 12,225
목포~군산 목포~군산 철도건설 150 25,500

각주

  1. 설계속도 200km/h, 최고 운행속도 180km/h, '08년까지 투입 노선 계획 수립
  2. 서원주까지는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