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동호인/용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개별 항목이 생길때마다 링크 [[추가바람]].
개별 항목이 생길때마다 링크 [[추가바람]].
== 노선 ==
== 노선 ==
* 서지철 - [[서울 지하철]]의 준말.
* 서지철 : [[서울 지하철]]의 준말.
* 부도철, 부지철 - [[부산 도시철도]](부산 지하철)의 준말.
* 부도철, 부지철 : [[부산 도시철도]](부산 지하철)의 준말.
* 인지철 - [[인천 도시철도]]의 준말.
* 인지철 : [[인천 도시철도]]의 준말.
* 공철 - [[공항철도]]의 준말.
* 공철 : [[공항철도]]의 준말.
* 공기철도 - 2단개 구간 개통 전까지 공기수송을 해서 붙여진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별명.
* 공기철도 : 2단개 구간 개통 전까지 공기수송을 해서 붙여진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별명.
* 강남리 마을 전철 - 강남 구간에 역이 너무 많기 때문에 생긴 [[분당선]]의 별명.
* 강남리 마을 전철 : 강남 구간에 역이 너무 많기 때문에 생긴 [[분당선]]의 별명.
* 신붕탁선, 신붕당선 - [[신분당선]]의 별명.
* 신붕탁선, 신붕당선 : [[신분당선]]의 별명.
* 뭥미은하레일 - [[월미은하레일]]의 별명.
* 뭥미은하레일 : [[월미은하레일]]의 별명.
* 고자라인 - 수요가 [[영 좋지 않은 곳|영 좋지 않기]] 때문에 생긴 [[용인경전철]]의 별명.
* 고자라인 : 수요가 [[영 좋지 않은 곳|영 좋지 않기]] 때문에 생긴 [[용인경전철]]의 별명.
* 용경 - 용인경전철의 준말.
* 용경 : 용인경전철의 준말.
* 의경 - [[의정부경전철]]의 준말.
* 의경 : [[의정부경전철]]의 준말.
* 부김경, 브글 - [[부산-김해경전철]]의 준말.
* 부김경, 브글 : [[부산-김해경전철]]의 준말.
* 쥐택시, 좃택시 - [[GTX]]의 별명.
* 쥐택시, 좃택시 : [[GTX]]의 별명.
== 열차 등급 ==
== 열차 등급 ==
* 케텍, 크특스 - [[KTX]](케이티엑스)를 한글로 줄여 적은 것.
* 케텍, 크특스 : [[KTX]](케이티엑스)를 한글로 줄여 적은 것.
* 개택시, 코리안 택시 - KTX의 별명.
* 개택시, 코리안 택시 : KTX의 별명.
* 아택시, 잉택시 - [[ITX]]의 별명.
* 아택시, 잉택시 : [[ITX]]의 별명.
** 잉청춘 - [[ITX-청춘]]의 별명.
** 잉청춘 : [[ITX-청춘]]의 별명.
** 잉마을, 잉새말 - [[ITX-새마을]]의 별명.
** 잉마을, 잉새말 : [[ITX-새마을]]의 별명.
* 통큰열차 - [[통큰치킨]]처럼 통이 큰 가격 때문에 생긴 [[통근열차]]의 별명.
* 통큰열차 : [[통큰치킨]]처럼 통이 큰 가격 때문에 생긴 [[통근열차]]의 별명.
* 급헬 - 가축수송을 하는 급행열차(특히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의 별명.
* 급헬 : 가축수송을 하는 급행열차(특히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의 별명.
== 운행 계통 ==
* [[근성열차]] : 운행거리가 매우 길고 소요 시간도 매우 긴 장거리 열차를 이르는 말.
* 서대동부 :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을 이르는 말. 또는 그 역에만 정차하는 열차를 이르는 말.
* 용익광목 : 서대동부의 자매품으로 [[용산역]], [[익산역]], [[광주송정역]], [[목포역]]을 이르는 말. 또는 그 역에만 정차하는 열차를 이르는 말.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에 [[서대전역]]을 경유했을 때는 용서익광목이였다.
* 광셔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광명역|광명]]셔틀의 줄임말. 
* 용급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용산행 급행열차의 줄임말.
* 천급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천안역|천안]]행 급행열차의 줄임말.
* 동급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동인천역|동인천]]행 급행열차의 줄임말.
== 역 ==
== 역 ==
* 스도 - [[스크린도어]]의 준말.
* 스도 : [[스크린도어]]의 준말.
* [[바로타]] - 개찰구 바로 앞에 승강장이 있는 역 구조를 이르는 말.
* [[바로타]] : 개찰구 바로 앞에 승강장이 있는 역 구조를 이르는 말.
* [[막장환승]] - 환승 거리가 긴 것을 이르는 말
* [[막장환승]] : 환승 거리가 긴 것을 이르는 말
* [[개념환승]] - 환승 거리가 짧은 것을 이르는 말.
* [[개념환승]] : 환승 거리가 짧은 것을 이르는 말.
* ㅇㅅ - [[오송역]]의 별명.
* ㅇㅅ - [[오송역]]의 별명.
* 광명국제공항 - 공항처럼 쓸떼없이 으리으리하게 지어서 생긴 [[광명역]]의 별명.
* 광명국제공항 : 공항처럼 쓸떼없이 으리으리하게 지어서 생긴 [[광명역]]의 별명.
* 헬도림 - [[신도림역]]의 별명.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헬도림 : [[신도림역]]의 별명.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ㅊㅅㄷㅇㄱ, 철싸대입구 - [[이수역]]의 별명.
* ㅊㅅㄷㅇㄱ, 철싸대입구 : [[이수역]]의 별명.
* 왕본좌 - 환승 노선이 많기 때문에 생긴 [[왕십리역]]의 별명.
* 왕본좌 : 환승 노선이 많기 때문에 생긴 [[왕십리역]]의 별명.
* 압구정소싸움역, 압구정소타기역 - [[압구정로데오역]]의 별명.  
* 압구정소싸움역, 압구정소타기역 : [[압구정로데오역]]의 별명.  
* 국제없無지구역 - 사람이 없기 때문에 생긴 [[국제업무지구역]]의 별명.
* 국제없無지구역 : 사람이 없기 때문에 생긴 [[국제업무지구역]]의 별명.
== 차량 ==
== 차량 ==
* 알바 - 다른 노선에 속한 차량이 임시로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관광열차 전용 견인기가 다른 편성의 열차를 견인하는 경우도 여기 해당된다.
* 알바 : 다른 노선에 속한 차량이 임시로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관광열차 전용 견인기가 다른 편성의 열차를 견인하는 경우도 여기 해당된다.
* 상어 - [[KTX-I]]의 벌명. [[KTX-산천]]과 구별하기 위해 생겨난 별명인 듯 하다.
* 상어 : [[KTX-I]]의 별명. [[KTX-산천]]과 구별하기 위해 생겨난 별명인 듯 하다.
* 싸다싸 - [[CDC]]의 별명.
* [[와인산천]] : 와인색깔 도색을 한 KTX-산천의 별명.  
** 싸궁화 - [[RDC]]의 별명.
* 싸다싸 : [[CDC]]의 별명.
* 나도싸 - [[NDC]]의 별명.
** 싸궁화 : [[RDC]]의 별명.
* 특대 - [[특대형 디젤전기기관차]]의 준말.
* 나도싸 : [[NDC]]의 별명.
* 봉고 - 봉고차처럼 생겨서 붙여진 [[7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별명.
* 특대 : [[특대형 디젤전기기관차]]의 준말.
* 보기 - [[보조기관차]]의 준말.
* 봉고 : 봉고차처럼 생겨서 붙여진 [[7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별명.
* 리미트 - [[SLS중공업|디자인 리미트]]에서 만든 [[무궁화호]] 객차를 이르는 말.
* 보기 : [[보조기관차]]의 준말.
* 초저항 - 1974년부터 1989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전동차다.
* 리미트 : [[SLS중공업|디자인 리미트]]에서 만든 [[무궁화호]] 객차를 이르는 말.
* 중저항 -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초저항 : 1974년부터 1989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전동차다.
* 신저항 -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중저항 :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개조저항 - 1999년 이후로 도입, 개조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 신저항 :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납작이 -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VVVF]] 전동차다.
* 개조저항 : 1999년 이후로 도입, 개조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 동글이 -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납작이 :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VVVF]] 전동차다.
* 뱀눈이 - 2005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동글이 :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자석도색 - 문짝의 도색이 막대[[자석]]과 닮아서 붙여진 코레일의 전동차 도색을 이르는 말.
* 뱀눈이 : 2005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자석도색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 다니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전동차 도색을 이르는 말. 왜인지는 [[등짝을 보자|문짝을 보자]]. 막대[[자석]]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호랑이 도색 : 1990년대까지 쓰던 기관차의 주황-검정색의 얼룩줄무늬 도색을 이르는 말.
*호랑이 도색 : 1990년대까지 쓰던 기관차의 주황-검정색의 얼룩줄무늬 도색을 이르는 말.
*구도색 : 철도청 시절 쓰던 녹색 계열의 기관차 도색을 이르는 말.
*구도색 : 철도청 시절 쓰던 녹색 계열의 기관차 도색을 이르는 말.
 
* 코마개 : [[연결기]] 커버의 별명.
== 운영사, 관련 기관 ==
== 운영사, 관련 기관 ==
* 서메 - [[서울메트로]]의 준말.
* 서메 : [[서울메트로]]의 준말.
* 도철, 서도철 -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준말.
* 도철, 서도철 :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준말.
* 인교공, 인메 - [[인천교통공사]](인천메트로)의 준말.
* 인교공, 인메 : [[인천교통공사]](인천메트로)의 준말.
* 부교공 - [[부산교통공사]]의 준말.
* 부교공 : [[부산교통공사]]의 준말.
* 구토부, 구토고통부, 구토해악부 - [[국토교통부]](국토해양부)의 별명.
* 구토부, 구토고통부, 구토해악부 : [[국토교통부]](국토해양부)의 별명.
* 한철공, 코렐 -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준말.
* 한철공, 코렐 :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준말.
* 꾸려일 - 코레일의 별명.
* 꾸려일 : 코레일의 별명.
* 철시공 -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준말.
* 철시공 :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준말.
* 매각공단 - 철도 [[민영화]] 논란 때문에 생긴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별명.
* 매각공단 : 철도 [[민영화]] 논란 때문에 생긴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별명.
* 절도공사, 절도공단 - [[KBS]]의 코미디 프로그램인 [[폭소클럽]]의 '택배왔습니다'라는 코너에서 생긴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별명.
* 절도공사, 절도공단 : [[KBS]]의 코미디 프로그램인 [[폭소클럽]]의 '택배왔습니다'라는 코너에서 생긴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별명.
* 돈일본 - 돈을 많이 벌기로 유명해서 생긴 [[동일본 여객철도]]의 별명.
* 돈일본 : 돈을 많이 벌기로 유명해서 생긴 [[동일본 여객철도]]의 별명.
* 돈카이 - 이것도 돈일본에 이어서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생긴 [[도카이 여객철도]]의 별명.
* 돈카이 : 이것도 돈일본에 이어서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생긴 [[도카이 여객철도]]의 별명.
== 철도 동호인, 철도 문화 관련 ==
== 철도 동호인, 철도 문화 관련 ==
* 철덕, 철덕후 - [[철도 동호인]]의 별명.
* 철덕, 철덕후 : [[철도 동호인]]의 별명.
* [[도중하차]] - 교통을 소재로 한 매드 무비를 이르는 말. [[니코동]]의 '대단한 도중하차 시리즈'가 시초다.
* [[도중하차]] : 교통을 소재로 한 매드 무비를 이르는 말. [[니코동]]의 '대단한 도중하차 시리즈'가 시초다.
* [[철싸대]] - 철도 싸이코 대원의 줄임말로 철도계에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철싸대]] : 철도 싸이코 대원의 줄임말로 철도계에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철모 - [[철도모형]]의 준말
* 철모 : [[철도모형]]의 준말
* 철박 - [[철도박물관]]의 준말.
* 철박 : [[철도박물관]]의 준말.
== 기타 ==
== 기타 ==
* [[공기수송]] -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공기수송]] :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지옥철 - 지옥같이 혼잡한 지하철을 이르는 말.
* 지옥철 : 지옥같이 혼잡한 지하철을 이르는 말.
* [[티스푼 공사]] - 티스푼으로 파서 공사하듯이 느린 공사를 이르는 말.
* [[티스푼 공사]] : 티스푼으로 파서 공사하듯이 느린 공사를 이르는 말.
* [[근성열차]] - 운행거리가 매우 길고 소요 시간도 매우 긴 장거리 열차를 이르는 말.
* 뾲선 : [[복복선]]을 두 글자로 줄여서 쓴 말.
* 뾲선 - [[복복선]]을 두 글자로 줄여서 쓴 말.


[[분류:철도]] [[분류:속어]]
[[분류:철도]] [[분류:속어]]

2016년 4월 27일 (수) 18:20 판

개요

공식적인 철도 용어는 아니지만 철도와 관련된 속어, 은어들을 정리한 항목이다.

개별 항목이 생길때마다 링크 추가바람.

노선

열차 등급

  • 케텍, 크특스 : KTX(케이티엑스)를 한글로 줄여 적은 것.
  • 개택시, 코리안 택시 : KTX의 별명.
  • 아택시, 잉택시 : ITX의 별명.
  • 통큰열차 : 통큰치킨처럼 통이 큰 가격 때문에 생긴 통근열차의 별명.
  • 급헬 : 가축수송을 하는 급행열차(특히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의 별명.

운행 계통

  • 근성열차 : 운행거리가 매우 길고 소요 시간도 매우 긴 장거리 열차를 이르는 말.
  • 서대동부 :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을 이르는 말. 또는 그 역에만 정차하는 열차를 이르는 말.
  • 용익광목 : 서대동부의 자매품으로 용산역, 익산역, 광주송정역, 목포역을 이르는 말. 또는 그 역에만 정차하는 열차를 이르는 말.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에 서대전역을 경유했을 때는 용서익광목이였다.
  • 광셔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광명셔틀의 줄임말.
  • 용급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용산행 급행열차의 줄임말.
  • 천급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천안행 급행열차의 줄임말.
  • 동급 :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동인천행 급행열차의 줄임말.

차량

운영사, 관련 기관

철도 동호인, 철도 문화 관련

  • 철덕, 철덕후 : 철도 동호인의 별명.
  • 도중하차 : 교통을 소재로 한 매드 무비를 이르는 말. 니코동의 '대단한 도중하차 시리즈'가 시초다.
  • 철싸대 : 철도 싸이코 대원의 줄임말로 철도계에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철모 : 철도모형의 준말
  • 철박 : 철도박물관의 준말.

기타

  • 공기수송 :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지옥철 : 지옥같이 혼잡한 지하철을 이르는 말.
  • 티스푼 공사 : 티스푼으로 파서 공사하듯이 느린 공사를 이르는 말.
  • 뾲선 : 복복선을 두 글자로 줄여서 쓴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