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MELCO: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Irice7350(토론)의 편집을 Pika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차량 정보
{{철도차량 정보
|차량명 =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MELCO
|차량이름 =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MELCO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seoulmetro 2000 melco chopper.jpg]]
|그림 = seoulmetro_2000_melco_chopper.jpg
|그림설명 = 214편성
|그림설명 = 214편성
|운영    = [[서울교통공사]]
|량수 = 10
|설계    =  
|편성구조 = 10량 1편성
|제작    = [[현대로템|현대정공]]<br />[[현대로템|대우중공업]]<br />[[현대로템|한진중공업]]
|동력방식 = 미쓰비시 MB-3268-A형 직류직권전동기
|제작연도 = 1983~1984년<br />1989~1994년
|전기방식 = [[가공전차선]] 집전기<br />[[직류]] 1,500 V
|생산량  =  
|제어방식 = 쵸퍼제어
|정원    =  
|기관형식 =
|편성구조 = 1편성 10량
|전동기형식 = 직류직권전동기
|편성길이 =  
|기어비 = 15:98
|전장     = 19,500 mm
|차륜배열 =
|전폭     = 3,120 mm
|차륜직경 =
|전고     = 3,750 mm
|기동가속도 = 3.0
|중량    = 377 t
|영업최고속도 = 80
|궤간    = 1,435 mm ([[표준궤]])
|설계최고속도 = 110
|최고속도 = 80 km/h
|감속도 = 상용 최대 3.5 km/h/s<br />비상 4.5
|엔진    = 직류직권전동기
|기관출력 =  
|출력    = 3,600 kW
|전동기출력 = 150
|견인력  =  
|편성출력 = 3,600
|가속도  = 3.0 km/h/s
|출력 =
|감속도  = 3.5 km/h/s (상용)<br />4.5 km/h/s (비상)
|견인력 =
|제동    = 회생제동 병용<br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용도 = 통근형 전동차
|전기    =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
|차량정원 =
|제어    = 쵸퍼제어
|편성정원 =  
|보안    = [[ATS]]
|편성길이 =
|비고     =  
|전장 = 19,500
|전폭 = 3,120
|전고 = 3,750
|차량중량 = Mc: 41.5t<br />M1: 41.5t<br />M2: 41.5t<br />T: 32
|편성중량 = 377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표준궤]] 1,435
|구동장치 =  
|MT비 = 6M 4T
|보안장치 = [[ATS]]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br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설계사 =
|제작사 = [[현대로템|현대정공]]<br />[[현대로템|대우중공업]]<br />[[현대로템|한진중공업]]
|제작연도 = 1983~1984년<br />1989~1994년
|운영회사 = [[서울교통공사]]
|생산량 =
|사용량 = 7편성 70량<ref>2019년 12월 기준</ref>
|도입단가 =
|비고 =  
}}
}}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동시에 도입된 차량이다. 2호선 차량은 모두 쵸퍼제어를 채택하였으며, 전장기 부품 제작사에 따라 MELCO형과 GEC형으로 나뉘는데, MELCO는 일본의 미쓰비시사('''M'''itsubishi '''EL'''ectronic '''CO'''rporation)의 약자를 의미한다. MELCO형 차량은 일부편성이 3,4호선에서 넘어온 GEC형 차량과 다르게 오로지 2호선 전용으로 도입되어 운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동시에 도입된 차량이다. 2호선 차량은 모두 쵸퍼제어를 채택하였으며, 전장기 부품 제작사에 따라 MELCO형과 GEC형으로 나뉘는데, MELCO는 일본의 미쓰비시사('''M'''itsubishi '''EL'''ectronic '''CO'''rporation)의 약자를 의미한다. MELCO형 차량은 일부편성이 3,4호선에서 넘어온 GEC형 차량과 다르게 오로지 2호선 전용으로 도입되어 운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62번째 줄: 39번째 줄:
1983~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맞추어 4량 24개 편성(215~238)과 6량 1개 편성(239)이 도입되었다. 1986~1993년 사이에는 6량화 증차분을 포함하여 무동력차 48량및 6량 6개 편성(240~245)이 도입되었다.1991~1993년 사이에는 수도권 전철 10량화 계획에 따라 증차분 116량을 도입하여 60편성을 완성하였고, 추가편성 반입이 완료된 1995년 당시 MELCO형 차량은 총 10량 44개 편성이 운행되었었다.
1983~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맞추어 4량 24개 편성(215~238)과 6량 1개 편성(239)이 도입되었다. 1986~1993년 사이에는 6량화 증차분을 포함하여 무동력차 48량및 6량 6개 편성(240~245)이 도입되었다.1991~1993년 사이에는 수도권 전철 10량화 계획에 따라 증차분 116량을 도입하여 60편성을 완성하였고, 추가편성 반입이 완료된 1995년 당시 MELCO형 차량은 총 10량 44개 편성이 운행되었었다.


1호선의 개조저항과 유사하게 1~2차 도입분의 내구연한 도래에 따른 대량 폐차가 진행되면서 나중에 도입된 증차분을 따로 묶어서 운전객차 조성 등을 거쳐 232~239 8개 편성은 개조된 상태로 운행중에 있다. MELCO형 차량은 내구연한이 도래하는 관계로 최대 2022년 이후에는 모두 퇴역할 예정이다.
1호선의 개조저항과 유사하게 1~2차 도입분의 내구연한 도래에 따른 대량 폐차가 진행되면서 나중에 도입된 증차분을 따로 묶어서 운전객차 조성 등을 거쳐 232~239 8개 편성은 개조된 상태로 운행중에 있다. MELCO형 차량은 내구연한이 도래하는 관계로 2020년에 237편성을 끝으로 모두 퇴역했다.


== 운용 ==
== 운용 ==
91번째 줄: 68번째 줄:


=== 운용 노선 ===
=== 운용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운행하던 MELCO형 차량은 내구연한 도래로 인해 2005~2007년 사이에 대거 퇴역하였고, {{현재년}}년 현재 7편성만 운행중에 있다. 개조를 받지않은 원형 그대로의 편성은 214편성이 유일하며 이 차량도 2022년에는 퇴역할 예정이다. 나머지 개조된 6편성(232~235, 237~238) 역시 2022년까지 운행 후 퇴역할 예정이다. 현재 운행중인 차량들은 모두 10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내선순환, 외선순환에 투입된다. 퇴역한 MELCO형 차량의 빈자리는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2세대|VVVF]] 차량들로 대체되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운행하던 MELCO형 차량은 내구연한 도래로 인해 2005~2007년 사이에 대거 퇴역하였고, [[2020년]] 현재 3편성만 운행중에 있다. 남아있던 차량 중 유일하게 미개조 차량이었던 214편성은 [[2020년]] [[4월 16일]], 마지막 운행 후 [[2020년]] [[6월 17일]], 폐차 및 반출되었으며, 신형 4차분으로 대차되면서 2호선 미개조 MELCO 쵸퍼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개조형 차량들 역시 대부분이 퇴역하여 현재 233편성, 235편성, 237편성만이 MELCO 쵸퍼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이마저도 [[2020년]] [[10월]]이 되면 못 보게 된다. 따라서 최후의 3개 개조분이 퇴역하면, 2호선을 오랫동안 누비고 다녔던 2호선의 얼굴과 같은 MELCO 차량은 전멸하게 된다. 퇴역한 MELCO형 차량의 빈자리는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 (현대로템 2세대)|VVVF]] 차량들로 대체되었다.


==이야깃거리==
==이야깃거리==
98번째 줄: 75번째 줄:
{{각주}}
{{각주}}
{{수도권 전철 차량}}
{{수도권 전철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1]]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2023년 11월 5일 (일) 15:15 기준 최신판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MELCO
Seoulmetro 2000 melco chopper.jpg
214편성
철도차량 정보
운영 서울교통공사
제작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제작연도 1983~1984년
1989~1994년
구조 1편성 10량
제원
전장 19,500 mm
전폭 3,120 mm
전고 3,750 mm
중량 377 t
궤간 1,435 mm (표준궤)
최고속도 80 km/h
엔진 직류직권전동기
출력 3,600 kW
가속도 3.0 km/h/s
감속도 3.5 km/h/s (상용)
4.5 km/h/s (비상)
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전기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
제어 쵸퍼제어
보안 ATS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동시에 도입된 차량이다. 2호선 차량은 모두 쵸퍼제어를 채택하였으며, 전장기 부품 제작사에 따라 MELCO형과 GEC형으로 나뉘는데, MELCO는 일본의 미쓰비시사(Mitsubishi ELectronic COrporation)의 약자를 의미한다. MELCO형 차량은 일부편성이 3,4호선에서 넘어온 GEC형 차량과 다르게 오로지 2호선 전용으로 도입되어 운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1983~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맞추어 4량 24개 편성(215~238)과 6량 1개 편성(239)이 도입되었다. 1986~1993년 사이에는 6량화 증차분을 포함하여 무동력차 48량및 6량 6개 편성(240~245)이 도입되었다.1991~1993년 사이에는 수도권 전철 10량화 계획에 따라 증차분 116량을 도입하여 60편성을 완성하였고, 추가편성 반입이 완료된 1995년 당시 MELCO형 차량은 총 10량 44개 편성이 운행되었었다.

1호선의 개조저항과 유사하게 1~2차 도입분의 내구연한 도래에 따른 대량 폐차가 진행되면서 나중에 도입된 증차분을 따로 묶어서 운전객차 조성 등을 거쳐 232~239 8개 편성은 개조된 상태로 운행중에 있다. MELCO형 차량은 내구연한이 도래하는 관계로 2020년에 237편성을 끝으로 모두 퇴역했다.

운용[편집 | 원본 편집]

← 내선순환
20XX
Mc
21XX
M'
22XX
T
23XX
T
24XX
M'
25XX
M
26XX
T
27XX
T
28XX
M'
29XX
Mc
외선순환 →
  • Mc / 동력객차 (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운용 노선[편집 | 원본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운행하던 MELCO형 차량은 내구연한 도래로 인해 2005~2007년 사이에 대거 퇴역하였고, 2020년 현재 3편성만 운행중에 있다. 남아있던 차량 중 유일하게 미개조 차량이었던 214편성은 2020년 4월 16일, 마지막 운행 후 2020년 6월 17일, 폐차 및 반출되었으며, 신형 4차분으로 대차되면서 2호선 미개조 MELCO 쵸퍼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개조형 차량들 역시 대부분이 퇴역하여 현재 233편성, 235편성, 237편성만이 MELCO 쵸퍼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이마저도 2020년 10월이 되면 못 보게 된다. 따라서 최후의 3개 개조분이 퇴역하면, 2호선을 오랫동안 누비고 다녔던 2호선의 얼굴과 같은 MELCO 차량은 전멸하게 된다. 퇴역한 MELCO형 차량의 빈자리는 VVVF 차량들로 대체되었다.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 1호선에 도입된 저항제어 차량의 특성상 발열문제와 가감속간 충격 등 승차감 문제가 지적된 전례가 있어서인지 2호선 차량은 쵸퍼제어를 대거 도입하게 되었다. 1호선과 다르게 지하구간이 많은 2호선 특성상 쵸퍼제어는 저항제어에 비해 발열문제로 인한 지옥철 문제가 상당히 완화되었고, 가감속간 충격도 거의 느껴지지 않았으므로 승차감 불만도 많이 해소되었다. 다만 초기에 도입된 편성들은 피스톤식 공기압축기를 적용하였기에 출입문 취급시 엄청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공기압축기 개조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였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