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마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9번째 줄: 89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전동차]]
[[분류:전동차]]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2]]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2022년 8월 18일 (목) 06:42 판

EMU-150
Emu150 render.jpg
철도차량 정보
운영 한국철도공사
제작 다원시스
제작연도 2018~
생산량 150량[1]
정원 4량: 264명
6량: 392명
구조 4량(Tc-M'-M'-Tc)
6량(Tc-M'-T-M-M'-Tc)
제원
전장 23,500 mm
전폭 3,150 mm
전고 3,850 mm
궤간 1435 mm
최고속도 150 km/h
가속도 65 km/h까지 2.5 km/h/s
감속도 상용: 3.0 km/h/s
비상: 4.0 km/h/s
전기 교류 25kV
제어 VVVF-IGBT
보안 ATS, ATP

다원시스 정읍 공장에서 출고된 초도편성

장기적으로 무궁화호 등급을 대체할 열차로 도입되며, 한국철도공사의 기조에 따라 간선형 전기동차로 제작되는 열차이다.

도입 배경

노후화가 진행중인 무궁화호 객차들 및 RDC 디젤동차를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되는 열차이다. 무궁화호 대체는 6량 1편성으로, RDC 대체는 4량 1편성으로 조성하여 1차분 총 150량이 발주되었으며,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한국철도공사에 인도된다. 철도공사측은 장기적으로 여객열차는 전동차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서 기존 디젤기관차가 끌던 무궁화호 객차의 대체분을 신규 발주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도태시킬 예정이며, RDC 역시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열차이고 이미 노후화된 열차여서 대차분을 동일한 스펙으로 편성 구조만 달리하여 발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운행 등급

기존 새마을 등급을 대체하기 위하여 도입한 210000호대ITX-새마을 등급으로 운행하고 있으므로, 이 기조에 따라 무궁화호 대체 등급으로 도입되는 이 열차도 ITX + 등급명으로 운행할 것으로 보인다. 철도공사측이 사실상 무궁화호 등급을 자연스럽게 도태시킨다는 계획을 진행중에 있으므로 ITX-새마을로 재래선 일반 간선열차 명칭을 일원화 시킬 가능성도 남아있다. 프로젝트 명칭인 EMU는 Electric Multiple Unit의 약자이고 뒤에 붙은 150이라는 숫자는 최고속도를 의미한다. 유사한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된 EMU-260이 KTX-이음이라는 명칭을 부여받은 전례를 고려하면 ITX-새마을로 유지되거나 다른 이름이 붙여진다 하더라도 순우리말 단어가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특징

현대로템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다원시스가 처음 수주한 장거리 간선 전동차여서 전두부 디자인이 나름 파격적인 형상을 취한다. 색상 기조는 ITX-새마을로 운행중인 전동차와 유사한 검은색 바탕에 빨간색을 조합하였다. 최근 개발된 열차이니만큼 유선형으로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을 보여준다. 연결기 역시 복합열차 운행을 염두에 두고 복합연결기를 채택하였으며, KTX-산천과 유사하게 자동 개폐 수납식 연결기 커버를 적용하였다. 210000호대가 수동식 연결기 커버를 적용한 것과 차별화된 요소.

편성구조

6량

부산 · 광주 · 목포 · 여수EXPO · 진주
6호차
운전실 · 일반실
Tc
5호차
일반실
M'
4호차
일반실
M
3호차
일반실
T
2호차
일반실
M'
1호차
운전실 · 일반실
Tc
서울 · 용산
  • Tc / 무동력차 (운전실, 객실 설치),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M' / 동력객차 (객실 설치),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M / 동력객차 (객실 설치), 주변환장치
  • T / 무동력차 (객실 설치)

4량

마산 · 태화강 · 영덕 · 포항 · 진주
4호차
운전실 · 일반실
Tc
3호차
일반실
M'
2호차
일반실
M'
1호차
운전실 · 일반실
Tc
동대구
  • Tc / 무동력차 (운전실, 객실 설치),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M' / 동력객차 (객실 설치),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현황

다원시스에서 2018년부터 제작을 시작하였으나 제작과정에서 용접 마감 문제나 설계 변경 요인으로 납기일이 계획보다 지연되어[2]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철도공사측에 인도된다. 납품받은 열차들은 시운전 검증을 거쳐 기존 무궁화호가 운행하던 노선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태백선, 영동선, 충북선 무궁화호를 대체하는 110량 가량이 2차분으로 추가 발주될 예정이다.


각주

  1. 4량 편성과 6량 편성으로 발주된 1차 도입분
  2. 코레일 "EMU-150, 제작사 용접기술력 부족으로 납기 지연", 철도경제, 2021년 10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