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롱도르

Raute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23일 (목) 16:08 판 (새 문서: '''Ballon d'Or''' == 개요 == 프랑스 언론 프랑스 풋볼에서 축구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최초의 시상은 1956년으로 프랑스 풋볼의 기자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Ballon d'Or

개요

프랑스 언론 프랑스 풋볼에서 축구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최초의 시상은 1956년으로 프랑스 풋볼의 기자 가브리엘 아노가 동료 기자들과 함께 투표하여 만들었다. '황금의 공'이라는 뜻으로 원 발음은 발롱 도흐에 가깝지만 띄어쓰기 없이 영어식 표기인 발롱도르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유럽 올해의 선수'라고 표기하기도 하며, 유럽 축구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개인상으로 여겨졌다. 2010년부터 FIFA 올해의 선수와 통합되어 FIFA 발롱도르가 되었으나 선정 방식이 크게 바뀌어 기록상 별개의 상으로 취급한다.[1]

특징

국가별 1명의 기자를 선정하여 5명의 선수를 뽑아달라고 의뢰한 뒤 1위 5점부터 5위 1점까지 점수를 차등적으로 배분한다. 최초에는 16개국 기자 16명이 참가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기자단이 확대되었고 참가하는 기자가 바뀌기도 했다. 특히 큰 변화는 2번 있었는데 1994년에 30개국에서 UEFA 가입 49개국으로 늘어났고, 2007년에는 기존의 UEFA 가입국뿐만 아니라 FIFA 월드컵에 진출한 경험이 있는 국가들까지 확대해 96개국으로 대폭 늘어났다. FIFA 발롱도르와 통합될 때까지 96개국으로 유지했으며, 통합 후 85% 이상의 기자들이 FIFA 발롱도르 기자단에 합류했다.

펠레디에고 마라도나 같은 선수가 수상하지 못한 이유는 국적 제한 때문인데, 1994년까지는 유럽 클럽에서 뛰는 유럽 국적의 선수만 수상할 수 있었고, 이중국적자도 非유럽국가의 대표팀에서 뛴다면 수상할 수 없었다. 1995년부터 국적제한이 폐지되었으며, 2007년부터 전세계 모든 선수를 대상으로 바뀌었다. 물론 수상자는 없다 수상 기준은 당연히 선수의 활약상이지만 트로피도 제법 중시하는 편이고 특히 국제대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편이라 우승 없이 수상한 선수는 극히 드물고, 1978년의 케빈 키건을 제외하면 월드컵 활약 없이 수상한 선수가 없다. 한 해 최고의 선수를 뽑는 만큼 이름값보다는 그때 그때의 활약상에 따라 갈리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점에서 FIFA 올해의 선수와 비교되곤 했다. 또한 12월에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에 추춘제인 유럽리그의 활약상과는 조금 다른 결과가 나올 때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1977년의 케빈 키건이다. 이변 전문가

보통 3위까지 시상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발롱도르만 시상하며 나머지는 점수 순위일 뿐이다. 소수의 기자들이 투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위권이 아니면 줄세우는 의미가 없는 편이며, 설사 탑5에 들었다 하더라도 1위가 압도적인 득표를 기록했다면 세부 순위는 신뢰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차라리 '1위표를 이 정도나 받았으니 대단한 활약을 했다'나 '후보로 꼽혔으니 매우 뛰어난 활약을 했다' 정도로 이해하는 편이 낫다. 또한 어디까지나 한 해를 결산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매년 수상 난이도가 동일하지 않으며, 발롱도르의 수로 선수의 실력과 위상을 그대로 가늠할 수 없다. 케빈 키건은 발롱도르 2연패에 성공했지만 발롱도르 1개인 에우제비우바비 찰턴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으며, 아예 발롱도르가 없는 동시대의 파울 브라이트너보다 낫다고 하기도 어렵다. 고통받는 키건 그냥 '이때는 이 선수가 최고였다' 정도로 이해하는 게 적절하다. 덤으로 국적제한 없는 팬투표인 옹즈도르와 비교해보면 재미있다. 세부 득표는 연도별 문서 참고.

수상자

연도 1위 클럽 2위 클럽 3위 클럽
1956 잉글랜드 스탠리 매튜스 잉글랜드 블랙풀 스페인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프랑스 레이몽 코파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1957 스페인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잉글랜드 빌리 라이트 잉글랜드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프랑스 레이몽 코파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1958 프랑스 레이몽 코파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독일 헬무트 란 독일 로트-바이스 에센 프랑스 쥐스트 퐁텐 프랑스 스타드 랭스
1959 스페인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프랑스 레이몽 코파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웨일스 존 찰스 이탈리아 유벤투스
1960 스페인 루이스 수아레스 스페인 바르셀로나 스페인 푸슈카시 페렌츠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독일 우베 젤러 독일 함부르크
1961 이탈리아 오마르 시보리 이탈리아 유벤투스 스페인 루이스 수아레스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잉글랜드 조니 헤인스 잉글랜드 풀럼
1962 체코슬로바키아 요제프 마소푸스트 체코슬로바키아 두클라 프라하 포르투갈 에우제비우 포르투갈 벤피카 독일 카를-하인츠 슈넬링거 독일 쾰른
1963 소련 레프 야신 소련 디나모 모스크바 이탈리아 지아니 리베라 이탈리아 밀란 잉글랜드 지미 그리스 잉글랜드 토트넘 핫스퍼
1964 스코틀랜드 데니스 로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스페인 루이스 수아레스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스페인 아만시오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1965 포르투갈 에우제비우 포르투갈 벤피카 이탈리아 지아친토 파케티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스페인 루이스 수아레스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1966 잉글랜드 바비 찰턴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포르투갈 에우제비우 포르투갈 벤피카 독일 프란츠 베켄바우어 독일 바이에른 뮌헨
1967 헝가리 알베르트 플로리안 헝가리 페렌츠바로시 잉글랜드 바비 찰턴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스코틀랜드 지미 존스톤 스코틀랜드 셀틱
1968 북아일랜드 조지 베스트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잉글랜드 바비 찰턴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드라간 자이치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츠르베나 즈베즈다
1969 이탈리아 지아니 리베라 이탈리아 밀란 이탈리아 루이지 리바 이탈리아 칼리아리 독일 게르트 뮐러 독일 바이에른 뮌헨
1970 독일 게르트 뮐러 독일 바이에른 뮌헨 잉글랜드 바비 무어 잉글랜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이탈리아 루이지 리바 이탈리아 칼리아리
1971 네덜란드 요한 크루이프 네덜란드 아약스 이탈리아 산드로 마촐라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북아일랜드 조지 베스트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72 독일 프란츠 베켄바우어 독일 바이에른 뮌헨 독일 게르트 뮐러
독일 귄터 네처
독일 바이에른 뮌헨
독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1973 네덜란드 요한 크루이프 스페인 바르셀로나 이탈리아 디노 조프 이탈리아 유벤투스 독일 게르트 뮐러 독일 바이에른 뮌헨
1974 네덜란드 요한 크루이프 스페인 바르셀로나 독일 프란츠 베켄바우어 독일 바이에른 뮌헨 폴란드 카지미에슈 데이나 폴란드 레기아 바르샤바
1975 소련 올레흐 블로힌 소련 디나모 키예프 독일 프란츠 베켄바우어 독일 바이에른 뮌헨 네덜란드 요한 크루이프 스페인 바르셀로나
1976 독일 프란츠 베켄바우어 독일 바이에른 뮌헨 네덜란드 롭 렌센브링크 벨기에 안더레흐트 체코슬로바키아 이보 빅토르 체코슬로바키아 두클라 프라하
1977 덴마크 알란 시몬센 독일 묀헨글라트바흐 잉글랜드 케빈 키건 독일 함부르크 프랑스 미셸 플라티니 프랑스 낭시
1978 잉글랜드 케빈 키건 독일 함부르크 오스트리아 한스 크란클 스페인 바르셀로나 네덜란드 롭 렌센브링크 벨기에 안더레흐트
1979 잉글랜드 케빈 키건 독일 함부르크 독일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독일 바이에른 뮌헨 네덜란드 뤼트 크롤 네덜란드 아약스
1980 독일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독일 바이에른 뮌헨 독일 베른트 슈스터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미셸 플라티니 프랑스 생테티엔
1981 독일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독일 바이에른 뮌헨 독일 파울 브라이트너 독일 바이에른 뮌헨 독일 베른트 슈스터 스페인 바르셀로나
1982 이탈리아 파올로 로시 이탈리아 유벤투스 프랑스 알랭 지레스 프랑스 보르도 폴란드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이탈리아 유벤투스
1983 프랑스 미셸 플라티니 이탈리아 유벤투스 스코틀랜드 케니 달글리시 잉글랜드 리버풀 덴마크 알란 시몬센 덴마크 바일레 BK
1984 프랑스 미셸 플라티니 이탈리아 유벤투스 프랑스 장 티가나 프랑스 보르도 덴마크 프레벤 엘케어 이탈리아 베로나
1985 프랑스 미셸 플라티니 이탈리아 유벤투스 덴마크 프레벤 엘케어 이탈리아 베로나 독일 베른트 슈스터 스페인 바르셀로나
1986 소련 이고르 벨라노프 소련 디나모 키예프 잉글랜드 게리 리네커 스페인 바르셀로나 스페인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1987 네덜란드 뤼트 휠리트 이탈리아 밀란 포르투갈 파울루 푸트레 스페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스페인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1988 네덜란드 마르코 판 바스턴 이탈리아 밀란 네덜란드 뤼트 휠리트 이탈리아 밀란 네덜란드 프랑크 레이카르트 이탈리아 밀란
1989 네덜란드 마르코 판 바스턴 이탈리아 밀란 이탈리아 프랑코 바레시 이탈리아 밀란 네덜란드 프랑크 레이카르트 이탈리아 밀란
1990 독일 로타 마테우스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이탈리아 살바토레 스킬라치 이탈리아 유벤투스 독일 안드레아스 브레메 프랑스 인테르나치오날레
1991 프랑스 장-피에르 파팽 프랑스 마르세유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데얀 사비체비치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다르코 판체프
독일 로타 마테우스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츠르베나 즈베즈다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츠르베나 즈베즈다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 -
1992 네덜란드 마르코 판 바스턴 이탈리아 밀란 불가리아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스페인 바르셀로나 네덜란드 데니스 베르캄프 네덜란드 아약스
1993 이탈리아 로베르토 바죠 이탈리아 유벤투스 네덜란드 데니스 베르캄프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프랑스 에릭 칸토나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4 불가리아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스페인 바르셀로나 이탈리아 로베르토 바죠 이탈리아 유벤투스 이탈리아 파올로 말디니 이탈리아 밀란
1995 라이베리아 조지 웨아 이탈리아 밀란 독일 위르겐 클린스만 독일 바이에른 뮌헨 핀란드 야리 리트마넨 네덜란드 아약스
1996 독일 마티아스 자머 독일 도르트문트 브라질 호나우두 스페인 바르셀로나 잉글랜드 앨런 시어러 잉글랜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1997 브라질 호나우두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연방공화국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프랑스 지네딘 지단 이탈리아 유벤투스
1998 프랑스 지네딘 지단 이탈리아 유벤투스 크로아티아 다보르 슈케르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브라질 호나우두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1999 브라질 히바우두 스페인 바르셀로나 잉글랜드 데이비드 베컴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우크라이나 안드리 셰브첸코 이탈리아 밀란
2000 포르투갈 루이스 피구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프랑스 지네딘 지단 이탈리아 유벤투스 우크라이나 안드리 셰브첸코 이탈리아 밀란
2001 잉글랜드 마이클 오언 잉글랜드 리버풀 스페인 라울 곤살레스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독일 올리버 칸 독일 바이에른 뮌헨
2002 브라질 호나우두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브라질 호베르투 카를루스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독일 올리버 칸 독일 바이에른 뮌헨
2003 체코 파벨 네드베드 이탈리아 유벤투스 프랑스 티에리 앙리 잉글랜드 아스날 이탈리아 파올로 말디니 이탈리아 밀란
2004 우크라이나 안드리 셰브첸코 이탈리아 밀란 포르투갈 데쿠 스페인 바르셀로나 브라질 호나우지뉴 스페인 바르셀로나
2005 브라질 호나우지뉴 스페인 바르셀로나 잉글랜드 프랭크 램파드 잉글랜드 첼시 잉글랜드 스티븐 제라드 잉글랜드 리버풀
2006 이탈리아 파비오 칸나바로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이탈리아 잔루이지 부폰 이탈리아 유벤투스 프랑스 티에리 앙리 잉글랜드 아스날
2007 브라질 카카 이탈리아 밀란 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스페인 바르셀로나
2008 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스페인 바르셀로나 스페인 페르난도 토레스 잉글랜드 리버풀
2009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스페인 바르셀로나 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잉글랜드 맨유 스페인 사비 에르난데스 스페인 바르셀로나

  1. 발롱도르는 100% 기자단 투표지만 FIFA 발롱도르는 기자단의 비중이 33%밖에 되지 않으며 기자단의 출신국가도 전세계로 확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