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원칙적으로 해당 시설물의 교통목적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한 장비나 공사열차를 제외한 일반 여객 및 화물, 차량의 출입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제3자가 계약을 통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전용철도에 다시 분기를 설치하거나 하기도 한다.
원칙적으로 해당 시설물의 교통목적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한 장비나 공사열차를 제외한 일반 여객 및 화물, 차량의 출입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제3자가 계약을 통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전용철도에 다시 분기를 설치하거나 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전용철도는 화물운행, 그것도 특정 시설이 소요하는 특정한 화물 취급을 위해서 설치, 운영된다. 다만 철도차량의 운행과 관련해서는 사유기관차를 사용하는 경우와 [[한국철도공사]]에 운행을 위탁하는 사례 양쪽 모두 존재한다. 대개 대규모 공장이나 창고, 군사시설 등에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다. 대개는 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일반철도]] 등에 접속하여 철도차량이 출입하는 형태로 건설되지만, 일부 아예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온전히 시설 내부 수송용도로 쓰는 곳도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전용철도는 화물운행, 그것도 특정 시설이 소요하는 특정한 화물 취급을 위해서 설치, 운영된다. 다만 철도차량의 운행과 관련해서는 사유기관차를 사용하는 경우와 [[한국철도공사]]에 운행을 위탁하는 사례 양쪽 모두 존재한다. 대개 대규모 공장이나 창고, 군사시설 등에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다. 대개는 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일반철도]] 등에 접속하여 철도차량이 출입하는 [[인입선]] 형태로 건설되지만, 일부 아예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온전히 시설 내부 수송용도로 쓰는 곳도 존재한다.


전용철도에 관한 규제는 철도사업법의 제4장에서 규정하고 있다. 사업용 철도에 비해서는 건설이나 운영에 대한 규제가 적은 편인데, 일반 대중이 전용철도를 이용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법령에서는 전용철도의 등록, 양수도, 상속, 휴폐업, 등록의 취소 및 정지, 운영개선명령 등이 규정된 정도로 사업용 철도가 여러 가지 규제에 묶인 것에 비하면 아주 단촐한 수준이다.
전용철도에 관한 규제는 철도사업법의 제4장에서 규정하고 있다. 사업용 철도에 비해서는 건설이나 운영에 대한 규제가 적은 편인데, 일반 대중이 전용철도를 이용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법령에서는 전용철도의 등록, 양수도, 상속, 휴폐업, 등록의 취소 및 정지, 운영개선명령 등이 규정된 정도로 사업용 철도가 여러 가지 규제에 묶인 것에 비하면 아주 단촐한 수준이다.

2021년 7월 17일 (토) 23:08 판

전용철도(專用鐵道, dedicated railroad)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오로지 사용자 자신의 수요에 따라 특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하거나 운영하는 철도이다.[1]

개요

전용철도는 흔히 전용선이라 부르는 철도로, 철도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이른바 사업용 철도와 달리 특정 공장이나 시설물의 교통만을 처리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철도를 말한다. 현실적으로는 철도공사 등과 같은 철도사업자가 소유, 관리하지 않는 특정 시설에 전속된 철도들을 말하며, 이 점에서 국가가 소유하고 철도공사가 관리하는 화물지선과는 구분된다. 이런 설치의 연원으로 인해 청원선(請願線)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칙적으로 해당 시설물의 교통목적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위한 장비나 공사열차를 제외한 일반 여객 및 화물, 차량의 출입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제3자가 계약을 통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전용철도에 다시 분기를 설치하거나 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전용철도는 화물운행, 그것도 특정 시설이 소요하는 특정한 화물 취급을 위해서 설치, 운영된다. 다만 철도차량의 운행과 관련해서는 사유기관차를 사용하는 경우와 한국철도공사에 운행을 위탁하는 사례 양쪽 모두 존재한다. 대개 대규모 공장이나 창고, 군사시설 등에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다. 대개는 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일반철도 등에 접속하여 철도차량이 출입하는 인입선 형태로 건설되지만, 일부 아예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온전히 시설 내부 수송용도로 쓰는 곳도 존재한다.

전용철도에 관한 규제는 철도사업법의 제4장에서 규정하고 있다. 사업용 철도에 비해서는 건설이나 운영에 대한 규제가 적은 편인데, 일반 대중이 전용철도를 이용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법령에서는 전용철도의 등록, 양수도, 상속, 휴폐업, 등록의 취소 및 정지, 운영개선명령 등이 규정된 정도로 사업용 철도가 여러 가지 규제에 묶인 것에 비하면 아주 단촐한 수준이다.

현황

2013년 작성된 자료에 따르면, 일반 전용철도는 76개 선, 군용 전용철도는 47개 선이 정부에 등록되어 있다고 한다. [2]

전용철도의 대부분은 철도역 인근에 위치한 시멘트 사일로 등이 대부분으로, 전용선 연장은 대개 그리 길지 않은 편이며, 심지어 전담하는 입환기를 두지 않고 도착한 화물열차를 사용해 바로 입환을 실시하는 전용측선 등으로 불리는 소규모의 전용선이다. 그러나, 입석리역이나 도담역, 삼곡역 등에 위치한 전용선은 제법 노선 연장이 수 키로미터에 달하며 여러 개의 선로로 구성된 구내까지 갖추고 있다.

이외에 주요 항만이나 제철소 등지에도 전용선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공식/비공식적 명칭이 알려진 경우도 꽤 있다.

사라진 노선까지 포함할 경우 전용철도 중 가장 압권은 서천화력선인데, 영업 당시 대한민국 내의 전용철도 중 유일하게 신호에 의한 운행을 하였었으며, 임시로나마 여객취급을 하기도 하였으며 심지어 중간역까지 보유하고 있었다.

군용 전용철도는 대한민국 육군 또는 공군 소속이 대부분이며, 일부 미군이 사용하는 노선이 존재한다. 깊게 알면 코렁탕을 먹을 수 있으니 이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의외의 역에 설치되어 생각외로 긴 노선이 많다.

목록

일반 전용철도

등록번호 노선 사용자 구간 km 비고
일반 제01호 서천화력발전소선 한국중부발전㈜ 간치-동백정 21.726 폐선. 통칭 서천화력선
일반 제02호 삼척공장선 동양시멘트㈜ 삼척역구내 2.541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04호 동해화력발전소선 한국동서발전㈜ 동해역구내 2.997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05호 영월공장선 태봉광업㈜ 쌍룡역구내 0.700
일반 제07호 부산 진아산업선 진아산업㈜ 우암역구내
일반 제08호 여수 남해화학선 남해화학㈜ 적량-칠비 3.625
일반 제10호 포항제철소선 (주)포스코
일반 제11호 흥국사터미널선 (주)LG화학 흥국사역구내 1.057
일반 제12호 나주공장선 (주)LG화학 나주역구내 4.694
일반 제13호 덕소공장선 아세아시멘트㈜ 덕소역구내 0.455
일반 제14호 수원공장선 아세아시멘트㈜ 수원역구내 0.533
일반 제15호 석탄부두선 인천항만공사 인천-석탄부두 7.734
일반 제16호 대전공장선 아세아시멘트㈜ 정비창구내 1.050
일반 제17호 대구공장선 아세아시멘트㈜ 약목역구내 1.319
일반 제18호 홍성공장선 아세아시멘트㈜ 신성역구내 1.379
일반 제19호 제천공장선 아세아시멘트㈜ 입석리역구내 9.411
일반 제20호 상덕광업소선 (주)경동 통리역구내 3.735 통칭 경동전용선
일반 제21호 대구저유소선 GS칼텍스㈜ 청천역구내 1.389
일반 제22호 온산공장선 S-OiL㈜ 온산-(S-oil) 4.380
일반 제23호 묵호저유소선 S-OiL㈜ 묵호항역구내 0.298 폐선
일반 제24호 초성리영업소선 라파즈한라시멘트㈜ 초성리역구내 0.845
일반 제25호 매포영업소선 라파즈한라시멘트㈜ 매포역구내 0.551
일반 제26호 옥계공장선 라파즈한라시멘트㈜ 옥계역구내 9.614
일반 제27호 장항공장선 한솔제지㈜ 장항화물역구내 0.789 폐선
일반 제28호 제천저유소선 GS칼텍스㈜ 장락역구내 0.364 폐선
일반 제29호 단양공장선 성신양회㈜ 도담역구내 11.821
일반 제30호 수색공장선 성신양회㈜ 수색역구내 0.547
일반 제31호 안동공장선 성신양회㈜ 무릉역구내 0.703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32호 홍성공장선 성신양회㈜ 홍성역구내 폐선 (2008년 12월 1일)
일반 제33호 논산공장선 성신양회㈜ 연무대역구내 0.404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34호 춘천공장선 성신양회㈜ 춘천역구내
일반 제35호 부강공장선 성신양회㈜ 부강역구내 3.204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36호 김해공장선 성신양회㈜ 한림정역구내 0.344
일반 제37호 단양공장선 한일시멘트㈜ 도담역구내 13.315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39호 영등포공장선 한일시멘트㈜ 오류동역구내 0.924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40호 흑석리공장선 한일시멘트㈜ 흑석리역구내 0.385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41호 전주공장선 한일시멘트㈜ 북전주-인입선 0.512
일반 제43호 포항공장선 한일시멘트㈜ 효자괴동 0.645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44호 석항사무소선 대한석탄공사 석항역구내 3.014
일반 제45호 호남사무소선 대한석탄공사 와룡-인입선 1.615
일반 제47호 단양공장선 현대시멘트㈜ 삼곡역구내 13.701
일반 제48호 영월공장선 현대시멘트㈜ 입석리역구내 14.266
일반 제49호 대전공장선 현대시멘트㈜ 정비창구내 0.355
일반 제50호 대구공장선 현대시멘트㈜ 신동역구내 1.112
일반 제51호 김해공장선 현대시멘트㈜ 한림정역구내 0.275
일반 제52호 전주공장선 (주)휴비스 북전주-인입선 0.701
일반 제53호 영동화력발전처선 한국남동발전㈜ 안인역구내 2.579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55호 비료공장선(울산) 동부한농화학 울산-울산항 폐선
일반 제56호 장항공장선 엘에스메탈㈜ 장항화물역구내 0.776 폐선
일반 제58호 인천저유소선 GS칼텍스㈜ 인천역구내(추정) 0.250
일반 제59호 장성공장선 고려시멘트㈜ 장성역구내 4.120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60호 군산 페이퍼코리아선 페이퍼코리아㈜ 군산화물역구내 폐선 (2009년 12월 31일)
일반 제61호 대전대성연탄선 대성연탄공업사
일반 제62호 제천지점선 (주)경동개발 장락역구내 0.089 폐선
일반 제63호 세창글로벌․흥진에너지 연탄선 세창글로벌․흥진에너지 회덕역구내 1.226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64호 수색 남송시멘트선 ㈜남송시멘트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65호 홍성지점선 (주)태양중공업 화양역구내 0.6 폐선 추정
일반 제66호 동해공장선 쌍용양회공업㈜ 삼화역구내
일반 제67호 영월공장선 쌍용양회공업㈜ 쌍룡역구내 9.427
일반 제68호 팔당출하공장선 쌍용양회공업㈜ 팔당역구내 0.864
일반 제69호 매포공장선 쌍용양회공업㈜ 매포역구내 1.365
일반 제70호 문경공장선 쌍용양회공업㈜ 주평역구내 2.870
일반 제71호 대구출하공장선 쌍용양회공업㈜ 폐선 (2008년 2월 14일)
일반 제72호 여수공장선 쌍용양회공업㈜ (구)여수역구내 폐선 (2009년 8월 20일)
일반 제73호 광양제철소선 ㈜포스코 51.6km
일반 제74호 부산공장선 동아제분㈜ 부산진역구내 폐선. 항만 철도인입선
일반 제75호 전주공장선 ㈜전주페이퍼 북전주-인입선 3.010
일반 제77호 여수공장선 삼남석유화학㈜ 적량역구내 0.642
일반 제78호 경북 봉화선 (주)영풍 석포제련소 석포역구내 0.695
일반 제80호 영주영업소선 흥구석유㈜ 영주역구내 0.135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81호 창원공장선 (주)로템 신창원역구내 3.289
일반 제83호 포항공장선 현대제철(주) 괴동역구내 1.061 폐선
일반 제84호 대전물류센터선 SK에너지㈜ 회덕역구내 1.554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85호 대구물류센터선 SK에너지㈜ 청천역구내 1.541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86호 울산 CLX선 SK에너지㈜ 장생포역구내 14.543 폐선
일반 제88호 여수공장선 GS칼텍스㈜ 적량역구내 4.924
일반 제89호 삼학외항 석탄부두선 목포지방해양항만청 목포역구내 폐선 (2013년 12월 5일)
일반 제90호 부천 옥길동선 KG케미칼㈜ 오류동역구내 5.3 폐선. 경기화학선으로도 불림
일반 제91호 로윈선 (주)로윈 김천-옥산 0.577
일반 제92호 대구공장선 한일시멘트㈜ 고모보수기지구내 0.814 국가소유 전용철도
일반 제93호 상덕광업소선 ㈜경동 도계역구내
- 인천광역시 도시철도 차량반입선 인천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 동암역구내 0.086
- 제철원료선 태금역구내 3.3 항만 철도인입선
- 제철제품선 태금역구내 2.0 항만 철도인입선
- LG정유 1호선 적량역구내 0.5 항만 철도인입선
- 쌍용유조선 묵호항역구내 0.1 항만 철도인입선
- 우편집중국선 서울우편집중국 용산역구내 0.3 폐선
- 석공선 대한석탄공사 수색역구내 0.3 폐선
- 강원산업선 강원산업 수색역구내 0.2 폐선
- 동화운수선 동화운수, 성신양회공업 수색역구내 0.1 폐선
- 삼평물산선 삼평물산 수색역구내 0.089 폐선
- 일양통상선 일양통상 수색역구내 0.2 폐선.
- 일양2번선 일양통상 수색역구내 0.1 폐선.
- 성신동화선 동화산업사 수색역구내 0.1 폐선.
- 수색선 (주)일양통상 수색역구내 0.534 폐선. 국가소유 전용철도.
- 차량시험정비기지선 한국철도시설공단 화전역구내 5.1 폐선. 현재의 고양기지선으로 추정.
- 인천제철선 인천제철 인천역구내 2.9 폐선
- 동양화학선 동양화학 인천역 4.0 폐선
- 흥국선 흥국상사 인천역 1.6 폐선
- SK선 SK 인천역 2.3 폐선
- 제2동국제강선 동국제강 인천역 2.2 폐선
- 광명주박기지선 한국철도시설공단 금천구청역구내 7.2 현재의 경부고속선
- 로템공장선 동국제강 의왕역구내 0.6 폐선
- 한국석유선 한국석유공업 의왕역 0.2 폐선
- 금강고려선 금강고려 수원역구내 0.3 폐선
- 쌍용양회선 쌍용양회 옥마역구내 0.4 폐선
- LG정유선 LG정유 가수원역구내 0.2 폐선
- 고철오송궤도선 한국철도시설공단 오송역구내 3.7 현재의 오송정비기지선
- 한일시멘트선 한일시멘트 반야월역구내 0.5
- 쌍용양회선 쌍용양회 반야월역구내 0.4
- 고려차량선 고려차량㈜ 가야역구내 0.290
- 삼성정밀선 삼성정밀화학 울산-울산항 2.1 폐선
- 울산 태원물산선 태원물산㈜ 울산-울산항 3.794 폐선
- 석고선 진해화학 진해 6.8 폐선
- 삼양선(T.P.A) 삼양사 북전주 1.3 폐선
- 한일연탄선 한일연료 북전주구내 0.8 폐선
- 한국제분선 한국제분 목포역구내 1.3 폐선. 항만 철도인입선
- 동양양회선 동양시멘트 여수역구내 0.5 폐선
- 발전소선 한국전력 영월역구내 3.1 폐선
- 한국카바이트선 태경산업 예미역구내 0.2 폐선
- 삼척탄좌선 삼척탄좌 고한역구내 0.3 폐선
- 한일시멘트선 한일시멘트 평은역구내 0.5 폐선
- 양회선 쌍용양회 묵호항역구내 0.3 폐선
? 대한석탄공사 전용선 대한석탄공사 화순역구내 12.400 폐선. 국가소유 전용철도. 화순선, 복암선으로도 불림.
? 대한석탄공사 청원선 대한석탄공사 화순역구내 0.616 폐선
? 한국석유 청원선 한국석유공업㈜ 울산-장생포 0.190 폐선 추정
? 초량연탄 청원선 ㈜초량연탄 우암-차량재생창 0.190 폐선 추정
? 부산지방해양항만청 6부두 청원선 부산지방해양항만청 부산진-우암 0.190 폐선 추정
? 대한연탄선 대한연탄산업 정비창구내 0.092 폐선 추정

국군 전용철도

등록번호 노선 구간 km 비고
국군 제1호 해군 군수사령부선 진해역구내
국군 제2호 공군 제8전투비행단 보급대대선 원주역구내 0.305
국군 제3호 육군 종합정비창선 덕산선 0.5
국군 제4호 공군 제5전술공수비행단선 구포역구내
국군 제5호 공군 제19전투비행단선 동량역구내 2.742
국군 제6호 육군 제5219부대선
국군 제7호 공군 제18전투비행단선 안인역구내 0.171
국군 제8호 공군 제1전투비행단선 광주송정역구내
국군 제9호 육군 제3800부대선
국군 제10호 육군 제2탄약창선 영천역구내 2.080
국군 제11호 육군 제1991부대선 전의역구내 0.81
국군 제12호 육군 제6탄약창선 관촌역구내 2.742
국군 제13호 육군 제2군수지원사령부 15보급대대선
국군 제14호 육군 제5713부대(16보급대대)선
국군 제15호 육군 제5713부대(16보급대대) 164중대선
국군 제16호 육군 제5713부대(16보급대대) 261중대선
국군 제17호 육군 5163부대(85정비대대)선
국군 제18호 육군 제2보급창선
국군 제19호 공군 제3훈련비행단선 개양역구내 10.839 통칭 사천선
국군 제20호 육군 제6606부대선
국군 제21호 육군 훈련소선
국군 제22호 육군 제3893부대 1중대선 소정리역구내 0.892
국군 제23호 육군 제3893부대 2중대선 동량역구내 1.961
국군 제24호 공군 제17전투비행단선 오근장역구내 1.950
국군 제25호 육군 제6875부대(제1보급창)선
국군 제26호 육군 제3군수지원사령부 80정비대대선 8.656
국군 제27호 육군 제3군수지원사령부 10보급대대선 8.656
국군 제28호 육군 제3군수지원사령부 11보급대대선
국군 제29호 육군 제3군수지원사령부 제1052부대 원릉선 원릉역구내
국군 제30호 육군 제3군수지원사령부 제1052부대 문산수집소선 문산역구내
국군 제31호 육군 제3630부대(일영)선 일영역구내
국군 제32호 육균 제6보급창선 부평역구내 3.66
국군 제33호 공군 제16전투비행단선
국군 제34호 국군 수송사령부 항만운양단(진해)선
국군 제36호 육군 제5792부대 신창원 탄약고선
국군 제37호 공군 제20전투비행단선 홍성역구내 1.011 제50호 동명 노선으로 대체
국군 제38호 공군 제8572부대(제3보급창)선 영천역구내 0.617
국군 제40호 육군 제1137부대(제12보급대대)선
국군 제41호 육군 제5탄약창선 관촌역구내 2.665
국군 제42호 육군 제2017부대선 김유정역구내
국군 제43호 육군 제9217부대선 금천구청역구내 0.727
국군 제44호 공군 제10전투비행단선
국군 제45호 육군 제10보급대대 103중대선 부평역구내 0.982
국군 제47호 육군 제7639부대선 원주역구내 2.446
국군 제48호 육군 제8197부대선 원주역구내 2.446
국군 제49호 공군 제11전투비행단선 청천역구내 12.375 통칭 K-2 인입선
국군 제50호 공군 제20전투비행단선
국군 제51호 장성역 적하대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