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파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화폐 정보
|현지어 명칭 = South Sudanese Pound<small> ([[영어|en]])</small>
|다른 언어명 = 사우스 수다니즈 파운드<small></small>
|그림1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_설명 =
|사용국 = {{국기|남수단}}
|비공식 사용국 =
|iso 코드 = SSP
|기호 = £ (lb)
|보조단위_비율_1 = 1/100
|보조단위_이름_1 = 피아스트 (Piastre)
|보조단위_비율_2 =
|보조단위_이름_2 =
|지폐 = £5, £10, £20, £50, £100, £500<br/><small>희귀 : £0.05, £0.10, £0.25, £1, £25</small>
|동전 = 10p, 20p, 50p, £1, £2
|발행 기관 = 남수단 은행 (Bank of South Sudan)
|인쇄처 =
|조폐국 =
|인플레이션 = 476%<small> (2016년 추정치)</small><ref>순간 인플레이션은 800%까지도 잡혔다! 2015년 추정치로는 100%에 미치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면 독립 후 정착 실패로 인해 [[헬게이트]]가 활짝 열린 것으로 추정된다(...)</ref>
|환율 = 7.5원/£<small> (2019.10.14 기준, 계산값)</small>
|고정환율 =
|전신 = [[수단 파운드]] [1 : 1]<small> (2011.07~)</small>
|후신 =
}}
== 개요 ==
== 개요 ==
2011년 7월 신생국인 [[남수단]]의 통화. 독립 후 아흐레만에 등장하였으니 미리 준비해놓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수단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 교체한 통화이기 때문에 이것도 중동 파운드계 통화라고 할 수도 '''있기는 하다.''' 기호로는 £(lb)를 쓰고, 보조단위로 피아스터를 사용하는 부분까지 똑같다. 하지만 애초에 자신들은 아랍권이 아니라서 수단으로부터 독립한 것이니 동아프리카권에 편입시킨다.  
2011년 7월 신생국인 [[남수단]]의 리라/리브르(파운드) 계열 통화. 독립 후 아흐레만에 등장하였으니 미리 준비해놓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ISO 4217]]코드는 SSP, [[인플레이션]]은 2016년 추정치로 '''476%'''에 달한다. (순간 인플레이션은 800%까지도 잡혔다!) 2015년 추정치가 100%에 미치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면 남수단 내부에 [[헬게이트]]가 활짝 열린 것으로 추정된다(...) 덧붙여서, 2011년 독립 당시 남수단 파운드는 [[수단 파운드]]1:1(당시 250원/£)비로 교환한 것으로 출범한 것이었으나, 2017년 6월엔 '''9.5~9.8원/£'''정도,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3~4원/£'''로 거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서 [[막장 국가]] 테크를 착실히 밟고 있다는 것을 재차 검증하였다. <s>배춧잎이 벼 한포기로 바뀌는 매직!</s><ref>동시기의 북수단 파운드의 가치는 250원에서 168원으로 떨어졌으니, 남쪽이 북쪽에 비해 몇십배는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것이다.</ref>
[[수단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당시 250원/£) 교체한 통화이기 때문에 이것도 중동 파운드(리라)계 통화라고 할 수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2017년 6월엔 '''9.5~9.8원/£'''정도,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3~4원/£'''로 거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서 [[막장 국가]] 테크를 착실히 밟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s>배춧잎이 벼 한포기로 바뀌는 매직!</s><ref>동시기의 북수단 파운드 가치는 250원에서 168원으로 떨어진 정도였으니, 남쪽이 북쪽에 비해 몇십배는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것이다.</ref>


=== 환전 및 사용 ===
{{-}}
== 현행권 ==
== 현행권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South Sudan Pound Series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South Sudan Poun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4.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File:SSD1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
|-
| style="text-align: center;" | £0.05
| style="text-align: center;" | £0.05
20번째 줄: 48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7.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8.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08.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피아스터화
| style="text-align: center;" | ◀피아스터화
28번째 줄: 56번째 줄:
[[기린]]
[[기린]]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0.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0.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38번째 줄: 66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20
| style="text-align: center;" | £20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4.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4.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8.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SSD118.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25
| style="text-align: center;" | £25

2019년 10월 14일 (월) 01:46 판

{{{화폐이름}}}
화폐 정보
사용국 남수단
기호 £ (lb)
지폐 £5, £10, £20, £50, £100, £500
희귀 : £0.05, £0.10, £0.25, £1, £25
동전 10p, 20p, 50p, £1, £2
환율 7.5원/£ (2019.10.14 기준, 계산값)

개요

2011년 7월 신생국인 남수단의 리라/리브르(파운드) 계열 통화. 독립 후 아흐레만에 등장하였으니 미리 준비해놓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수단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당시 250원/£) 교체한 통화이기 때문에 이것도 중동 파운드(리라)계 통화라고 할 수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2017년 6월엔 9.5~9.8원/£정도,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3~4원/£로 거래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서 막장 국가 테크를 착실히 밟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배춧잎이 벼 한포기로 바뀌는 매직![1]

환전 및 사용

현행권

South Sudan Pound Series
SSD104.jpg
£0.05

타조

£0.10

쿠두

£0.25

나일강 상류

SSD107.jpg SSD108.jpg
◀피아스터화 파운드화▶ £1

기린

SSD110.jpg
£5

긴 뿔 아프리카 소

£10

버팔로 & 파인애플

£20
SSD114.jpg SSD118.jpg
£25 £50

코끼리

£100

사자 & 폭포

(공란) (공란)
£500 (공란) (공란)
  • 동전은 1, 5, 10, 25, 50피아스터의 5종이 있다.
  • 5피아스터 ~ 25피아스터 지폐 세 종류는 뜬금없게도 2011년 11월 19일 등장했다. 동전 만들 예산이 후달렸던 모양이다 그러나 얼마 풀리지도 못하고 곧바로 회수 및 사장되어서 때아닌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다.
  • 2016년 4월 22일, £25을 £20으로 액면을 바꾸었다. 다만 £25의 통용이 중단되지는 않았다. 그보다 지금 남수단중앙은행 홈페이지가 폐쇄된 상태다.
  • 남수단 파운드화의 심각하고도 가파른 가치저하로 인해 2018년 6월 경, 신 고액권인 £500을 발행하였다.

각주

  1. 동시기의 북수단 파운드 가치는 250원에서 168원으로 떨어진 정도였으니, 남쪽이 북쪽에 비해 몇십배는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