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PAGENAME|pagename|문서이름)\}\} +{{풀기:문서이름}}))
잔글 ('틀:마을 정보' 표준화 v2.0)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을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이름=담양군
|마을이름      = 담양군
|대표이미지 =
|원어이름      =  
|지도=
|그림        =  
|면적= 455
|그림설명      =  
|세대= 22,334
|깃발        =  
|세대_조사연도=<small>2017.1</small>
|깃발설명      =  
|인구= 48,300
|휘장        =  
|인구_조사연도=<small>2017.1</small>
|휘장설명      =  
|하위 행정구역3 명칭=
|지도        =  
|하위 행정구역3=1
|지도설명      =  
|하위 행정구역4 명칭=
|표어        =  
|하위 행정구역4=11
|노래        =  
|하위 행정구역1 명칭=행정동
|종류        =  
|하위 행정구역1=|하위 행정구역2 명칭=법정동
|나라        =  
|하위 행정구역2=|지도자 직함=군수
|소속지역      =  
|지도자=최형식
|수도        =  
|지도자2 직함=국회의원
|단체장직책      = 군수
|지도자2=이개호 <small>([[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small>
|단체장        = 최형식
|관청명=담양군청
|입법부        =  
|관청소재지=전남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객사리)
|국회의원       =
|홈페이지        = [http://www.damyang.go.kr/index.damyang?contentsSid=1 담양군청]
|행정구역      =  
|상징1 종류=군목
|인구        = 48,300
|상징1=|상징2 종류=군화
|인구밀도      =  
|상징2=|상징3 종류=군조
|인구 연도      =  
|상징3=|상징동물        =  
|면적        = 455
|시간대        =  
|ISO        =  
|마스코트      =  
|상징        =  
|웹사이트      =  
|비고        =  
}}
}}
'''담양군'''(潭陽郡, Damyang county)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 (행정구역)|군]]이다. 동쪽으로는 [[곡성군]], 서쪽으로는 [[장성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북구 (광주)|북구]]와 [[화순군]], 북쪽으로는 [[전라북도]] [[순창군]]에 접해 있다. 대나무의 고장이라고도 불린다.
'''담양군'''(潭陽郡, Damyang county)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 (행정구역)|군]]이다. 동쪽으로는 [[곡성군]], 서쪽으로는 [[장성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북구 (광주)|북구]]와 [[화순군]], 북쪽으로는 [[전라북도]] [[순창군]]에 접해 있다. 대나무의 고장이라고도 불린다.

2022년 3월 24일 (목) 06:05 판

{{{이름}}}

담양군(潭陽郡, Damyang county)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이다. 동쪽으로는 곡성군, 서쪽으로는 장성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북구화순군, 북쪽으로는 전라북도 순창군에 접해 있다. 대나무의 고장이라고도 불린다.

역사

  • 조선시대에 담양도호부(담양읍, 용면, 월산면, 금성면, 대전면, 수북면, 봉산면, 무정면)와 창평현(창평면, 고서면, 대덕면, 가사문학면)으로 분리된 지역이었다.
  • 1914년 창평군을 폐군하여 담양군에 편입하였다. 광주군의 갈전면, 대치면이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장성군 갑향면이 대전면으로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13면)
  • 1931년 구암면을 봉산면으로 개칭했다.
  • 1932년 무면과 정면을 무정면으로 합면하였다. (12면)
  • 1943년 담양면이 담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읍 11면)
  • 1955년 광산군 석곡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가 남면에 편입되었다.
  • 1957년 남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가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 2019년 남면을 가사문학면으로 개칭했다.

지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행정구역

담양군의 행정구역은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

초등학교

  • 담양읍: 담양남초등학교, 담양동초등학교, 담주초등학교
  • 용면: 용면초등학교
  • 월산면: 월산초등학교
  • 금성면: 금성초등학교
  • 대전면: 한재초등학교
  • 수북면: 수북초등학교
  • 봉산면: 봉산초등학교
  • 무정면: 무정초등학교
  • 고서면: 고서초등학교
  • 창평면: 창평초등학교
  • 대덕면: 만덕초등학교
  • 가사문학면: 담양 남면초등학교

중학교

읍 지역에 있는 담양중학교는 남중, 담양여중은 여중이고 나머지는 모두 남녀공학이다. 7개 교 전체 공립 중학교이다.

  • 담양중학교 (담양읍)
  • 담양여자중학교 (담양읍)
  • 담양금성중학교 (금성면)
  • 한재중학교 (대전면)
  • 담양수북중학교 (수북면)
  • 담양고서중학교 (고서면)
  • 창평중학교 (창평면)

고등학교

  • 일반고교
    담양고등학교 (담양읍), 창평고등학교 (창평면)
  • 인문계 특성화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대전면)
  • 특성화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담양읍)

창평고등학교는 전라남도에서 대학 잘 보내는 고등학교로 알려져있다. 한빛고등학교는 예절 교육을 잘 하는 학교로 알려진 듯.

교통

바로 아래가 광주, 그 중에서도 가장 도로 교통망이 잘 갖추어진 북구라서 담양 역시 교통이 잘 되어 있다.

도로

고속도로

국도

3개 국도가 담양읍에서 교차한다. 담양읍에서의 도로가 외곽 대체도로 없이 읍내의 도로가 그대로 국도로 지정되어서 길이 좁다.

경제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남서부에 넓은 논밭이 펼쳐져 있다. 또한 대나무를 주 소재로 한 관광업이 성하다.

주요 기관

문화·관광

출신 인물

자매 도시

기타

지리적 표시제에 담양 죽순딸기가 등록되어있다.

충청북도 단양군과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담양이 대나무라는 이미지가 잘 박힌 편이라 단양을 담양으로 헷갈리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발음이 너무 비슷해서 담양과 단양 모두 알고 있는 사람이어도 헷갈린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대전면은 대전광역시와 관계없다.

장흥에도 대덕면이 있었지만 1980년 대덕읍으로 승격되어서 담양군 대덕면과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관련 사이트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담양군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