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4세대): 두 판 사이의 차이

(Otstn1010 (토론)의 743682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차량 정보
{{철도차량 정보
|차량명 = 코레일 통근형 4세대 VVVF 전동차<br /><small>(공통사항)</small>
|차량이름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br />(현대로템 4세대)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1호선_14차분.jpg]]
|그림 = korail_vvvf_4th_gen_image.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렌더링 이미지
|운영    = [[한국철도공사]]
|량수 = 4 ~ 10
|설계    =  
|편성구조 =
|제작    =  
|동력방식 =  
|제작연도 =  
|전기방식 = [[가공전차선]] 집전기<br />[[교류]] 25,000 V 60 Hz
|생산량  =  
|제어방식 = AC VVVF 인버터 1C4M<br />IGBT
|정원    =  
|기관형식 =  
|편성구조 = 1편성 10량/6량/4량/2량
|전동기형식 = 3상 교류 유도전동기
|편성길이 =  
|기어비 =  
|전장    =  
|차륜배열 =  
|전폭    =  
|차륜직경 =
|전고    =  
|기동가속도 =  
|중량    =  
|영업최고속도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설계최고속도 =  
|최고속도 =  
|감속도 =  
|엔진    = WN드라이브
|기관출력 =  
|출력    =  
|전동기출력 =  
|견인력  =  
|편성출력 =
|가속도  =  
|출력 =
|감속도  =  
|견인력 =
|제동    = 회생제동 병용<br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용도 = 통근형 전동차
|전기    =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차량정원 = 148 (선두) / 160 (중간)
|제어    = AC VVVF 인버터 1C4M<br />IGBT
|편성정원 =  
|보안    = [[ATS]](동해선·1호선)<br />[[ATC]](3·4호선)<br />[[ATS]]·[[ATP]](대구권)
|편성길이 =
|비고     =  
|전장 =  
|전폭 =  
|전고 =  
|차량중량 = 27.5 ~ 42
|편성중량 =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표준궤]] 1,435
|구동장치 =  
|MT비 = 2M 2T
|보안장치 = [[ATS]]
|구동방식 = WN드라이브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br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설계사 =
|제작사 =
|제작연도 =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생산량 =
|사용량 =
|도입단가 =
|비고 =  
}}
}}


== 개요 ==
[[현대로템]]에서 제작하고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통근형 전동차이다.
이 문서에서는 [[한국철도공사]]의 VVVF 제어를 사용하는 통근형 전동차 중 3세대 이후 도입할 예정인 4세대 전동차에 대하여 서술한다.


== 현황 ==
성능상 VVVF 3세대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초기 디자인의 전두부 형상이 툭 튀어나온 형상이 철도 동호계에서는 마치 오리 주둥이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주둥이'''라는 못마땅한 별칭을 붙여주기도 하였다. 이후 개정된 디자인 시안이 나오면서 주둥이 논란은 다소간 사그라들었다. 이는 철도안전법의 충돌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타오름 방지장치가 커졌으며 그 뒤에 CEM을 장착했기 때문이다.
=== 도입예정 ===
* 381000호대 : [[동해선]] [[일광역|일광]] ~ [[태화강역|태화강]] 연장에 대비하여 도입할 예정이다.
* 312000호대 : [[수도권 전철 1호선]] 차량 교체분<ref name=hmg1>[http://blog.hmgjournal.com/MediaCenter/News/Press-Releases/hrotem-korail-128-171018.blg#utm_source=twitter_hmg_kr&utm_medium=social 코레일 전기동차 128량 사업 낙찰], 현대자동차그룹 저널, 2017.10.18.</ref>
* 341000호대 :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 교체분<ref name=hmg1 />
* 차호 미정 : 경원선 복원구간 운행분<ref name=hmg1 />


== 사양 ==
[[파일:korail_vvvf_4th_gen_image2.jpg|섬네일|||충격과 공포의 초기 디자인안]]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File:korail_vvvf_4th_gen_image2.jpg|충격과 공포의 초기 디자인안
3세대까지만 해도 차내 [[여객안내기]]가 LCD인 경우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처럼 LCD를 2개 설치하고(앞뒤 총 4개), 양쪽 화면에 똑같은 내용만 띄우면서 광고화면이 안내화면보다 크게 나와서 불편함이 많았으나, 4세대부터는 한쪽 LCD를 안내전용으로 바꿔서 안내 시인성이 매우 좋아졌다. 부가적으로 운전실 윈드실드에 설치된 와이퍼가 1단에서 1개가 늘어난 좌우 2단으로 늘어나게 되었는데<ref>3세대 전동차도 후기형 모델은 2단 와이퍼가 적용되었다.</ref>, 이는 [[KTX-산천/2세대|KTX-산천 2세대]] 차량의 경우와 동일하게 비상시 백업용으로 공압식 와이퍼를 추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File:seulmetro_vvvf_4th_image.jpg|[[서울교통공사]]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에 도입할 전동차 이미지, 사실상 형제차량이다.
 
== 종류 ==
크게 2018년, 2019~2020년, 2021~2023년 차량으로 나뉜다.
 
=== 381000호대 2차분 (2018)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동해선 2차분.jpg|동해선 영업운행중인 4세대 381017편성
</gallery>
 
[[동해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태화광 연장 개통을 위해 도입했다.
 
7편성(2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8111~38117호: 2018년 제작
 
=== 311000호대 12차분 (2019) ===
[[서울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 일부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아래의 319000호대 3차분과 함께 발주했다.<ref>[http://blog.hmgjournal.com/MediaCenter/News/Press-Releases/hrotem-korail-128-171018.blg#utm_source=twitter_hmg_kr&utm_medium=social 코레일 전기동차 128량 사업 낙찰], 현대자동차그룹 저널, 2017.10.18.</ref>
 
4편성(4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1204~31207호: 2019년 제작
 
=== 319000호대 3차분 (2019) ===
[[서울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연천 연장 개통을 위해 도입하였으나, 인천~연천간 10량 전동차가 투입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reF>최초 계획은 6량 셔틀열차로 광운대~연천 구간만 운행하는 것이었다.</ref>되면서 6량 편성이 운행 가능한 수인분당선 구간(인천~오이도)투입되는중이다. 3개 편성만 제작하였으므로 수인분당선 열차로 이적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3편성(1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1908~31910호: 2019년 제작
 
=== 311000호대 13차분 (2021~2022) ===
[[서울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남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도색 스타일이 크게 달라지면서 동해선 투입분과 달리 날렵해 보이는 인상이다. 그런데 앞선 차량과 달리 초기운용에 상당한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누리로처럼 승강장과 간섭이 나거나, 팬터그래프의 수전에 문제가 있거나, 스크린도어 정위치 정차장치와 호환이 안 되는 등 진통이 상당하다.
 
아래의 341000호대 5차분, 351000호대 9차분, 3000호대 2차분과 함께 발주했다.<ref>[https://blog.hyundai-rotem.co.kr/394 현대로템, 코레일 노후 전동차 교체 사업 수주], 현대로템 블로그</ref>
 
8편성(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1208~31214호: 2021년 제작
* 31215호: 2022년 제작
 
=== 341000호대 5차분 (2021~2022)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korail_3vf_4th_gen.jpg|1호선 도색을 적용하고 운행중인 4호선 신차 341031편성
</gallery>
</gallery>


성능상 VVVF 3세대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두부 형상이 3세대의 뱀눈이를 탈피하여 새롭게 변화하여 세대교체가 이뤄진다. 초기 디자인이 공개된 이후 철도 동호계에서는 툭 튀어나온 전두부 하단의 형상이 마치 오리 주둥이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주둥이'''라는 못마땅한 별칭을 붙여주기도 하였다. 철도안전법이 개정되면서 열차간 충돌 발생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돌에너지흡수장치(CEM)<ref>Collision Energy Managemnet</ref>를 설치하면서 하단부 형상이 튀어나와 보이는 것.
[[서울 도시철도 4호선|4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VVVF 1/2차분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1호선 차량 부족현상으로 1호선 도색을 하고 1호선에 먼저 투입되었다.<ref>그러나, 35편성부터는 원래의 하늘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ref>


이후 개정된 디자인 시안이 나오면서 주둥이 논란은 다소간 사그라들었고, 서울교통공사에서 2호선 신형차량을 [[현대로템]]과 계약<ref>[https://www.hyundai-rotem.co.kr/PRCenter/News_View.asp?type=%EC%96%B8%EB%A1%A0%EB%B3%B4%EB%8F%84&idx=3884 현대로템, 서울 2호선 전동차 214량 사업 낙찰], 현대로템, {{날짜|2017-7-21}}</ref>하면서 이와 동일한 디자인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youtube|h46tCAThhc8|||가운데|2021년 새로운 도색을 적용한 4세대 차량}}
4호선용으로 발주된 일부 차량은 1호선에 임시 투입되면서 기존 1호선의 자석도색을 적용했으나, 1호선용으로 발주한 차량들은 기존 자석도색을 탈피한 심플한 도색을 적용하였다.


== 운용 ==
18편성(1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81 / [[동해선]] ===
* 34138~34140호: 2021년 제작
[[파일:동해선 2차분.jpg|thumb]]
* 34141~34155호: 2022년 제작
현재 동해선 [[부전역|부전]] ~ [[일광역|일광]] 구간을 운행중인 3세대 개량형 모델인 '''삼눈이'''의 후속 모델로 도입될 예정이다. 현재 3세대 전동차는 모두 10편성 40량이 운행중이므로, 4세대 열차 도입시 열번은 381X11부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 편성구조
=== 351000호대 9차분 (2021~2022) ===
{| class="wikitable"
[[수인·분당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1/2차분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18편성(10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5144~35147호: 2021년 제작
* 35148~35179호: 2022년 제작
 
=== 3000호대 9차분 (2022~2023) ===
[[서울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1차분 일부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서류상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이나 실질적으로는 [[서울교통공사]]에 검수를 위탁하므로 [[지축차량사업소]]와 [[수서차량사업소]]에서 정비를 받는다. 차호 역시 정비 편의를 위하여 서울교통공사의 차량들과 동일하게 3000호대를 유지한다.
 
18편성(1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87~393호: 2022년 제작
* 394호: 2023년 제작
 
=== 392000호대 (2023~2024) ===
[[대구권 광역철도]] 입선용 차량이다. 중전철이면서도 대구권 운행환경에 맞추어 2량 1편성으로 조성되었다. 2량이기 때문에 무동력차는 존재하지 않으며, 1위측은 무동력대차, 2위측은 동력대차로 구성되어 MT비는 1:1을 유지했다.
 
* 39201~39207호: 2023년 제작
* 39208~39209호: 2024년 제작
 
=== 341000호대 6차분 및 351000호대 10차분 (2024 예정) ===
4호선 5편성과 수인·분당선 4편성을 통합발주했다.
 
== 편성 ==
=== 10량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 colspan="4" style="text-align: left;" | 부전
! 방향
|- style="line-height: 125%; background: #eee; text-align: center;"
| colspan="10" | <div style="float: left;">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381 0__<br />'''Tc'''
|- style="text-align: center;"
| 381 1__<br />'''M''''
! 호차
| 381 2__<br />'''M''''
| 1호차
| 381 9__<br />'''Tc'''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7호차
| 8호차
| 9호차
| 10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3120__<br />3410__<br />30__<br />'''Tc'''
| 3121__<br />3411__<br />31__<br />'''M'''
| 3122__<br />3412__<br />32__<br />'''M''''
| 3123__<br />3413__<br />33__<br />'''T'''
| 3124__<br />3414__<br />34__<br />'''M''''
| 3125__<br />3415__<br />35__<br />'''T1'''
| 3126__<br />3416__<br />36__<br />'''T'''
| 3127__<br />3417__<br />37__<br />'''M'''
| 3128__<br />3418__<br />38__<br />'''M''''
| 3129__<br />3419__<br />39__<br />'''Tc'''
|-
|-
| colspan="4" style="text-align: right;" | 태화강 →
|}
 
* 312___는 311000호대, 341___는 341000호대, 3___는 3000호대 열차의 번호이다.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T1:'''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6량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 colspan="4" | <nowiki />
! 방향
* '''Tc''' / 무동력객차 (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colspan="6"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M'''' /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3190__<br />'''Tc'''
| 3191__<br />'''M'''
| 3192__<br />'''M''''
| 3193__<br />'''T'''
| 3194__<br />'''M''''
| 3819__<br />'''Tc'''
|-
|-
|}
|}


=== 341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4호선 차량 교체용으로 발주했으며, 도색 스타일이 크게 달라지면서 동해선 투입분과 달리 날렵해 보이는 인상이다. 차번은 4호선에 준하나 1호선 차량 품귀현상으로 1호선 도색을 하고 1호선에 먼저 투입되었다.
|-
! 방향
| colspan="6"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3510__<br />'''Tc'''
| 3511__<br />'''M'''
| 3512__<br />'''M''''
| 3513__<br />'''M'''
| 3514__<br />'''M''''
| 3519__<br />'''Tc'''
|-
|}
 
* 319___는 319000호대, 351___는 351000호대 열차의 번호이다.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편성구조
=== 4량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 colspan="10" style="text-align: left;" | 당고개
! 방향
|- style="line-height: 125%; background: #eee; text-align: center;"
| colspan="4" | <div style="float: left;">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341 0__<br />'''Tc'''
|- style="text-align: center;"
| 341 1__<br />'''M'''
! 호차
| 341 2__<br />'''M''''
| 1호차
| 341 3__<br />'''T2'''
| 2호차
| 341 4__<br />'''M''''
| 3호차
| 341 5__<br />'''T1'''
| 4호차
| 341 6__<br />'''T2'''
|- style="text-align: center;"
| 341 7__<br />'''M'''
! 차량
| 341 8__<br />'''M''''
| 3810__<br />'''Tc'''
| 341 9__<br />'''Tc'''
| 3811__<br />'''M''''
| 3812__<br />'''M''''
| 3819__<br />'''Tc'''
|-
|-
| colspan="10" style="text-align: right;" | 오이도 →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2량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 colspan="10" | <nowiki />
! 방향
* '''Tc''' / 무동력객차 (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colspan="2"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T1''' /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style="text-align: center;"
* '''T2''' / 무동력객차, 장비 없음
! 호차
* '''M''' /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1호차
* '''M'''' /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2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39200_<br />'''M'c'''
| 39290_<br />'''M'c'''
|-
|-
|}
|}
* '''M'c''' 운전실, 동력대차, 집전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공기압축기, 축전기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1세대 ]] - 코레일 최초의 VVVF 전동차. 철도 동호인들은 흔히 '''납작이'''로 부르는 계열.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 - 철도 동호인들은 흔히 '''뱀눈이''', '''삼눈이'''로 부르는 계열.
*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2세대 ]] - 철도 동호인들은 흔히 '''동글이'''로 부르는 계열.
*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3세대 ]] - 철도 동호인들은 흔히 '''뱀눈이''', '''삼눈이'''로 부르는 계열.


{{각주}}
{{각주}}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수도권 전철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2024년 1월 28일 (일) 22:23 기준 최신판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4세대)
1호선 14차분.jpg
철도차량 정보
운영 한국철도공사
구조 1편성 10량/6량/4량/2량
제원
궤간 1,435 mm (표준궤)
엔진 WN드라이브
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전기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제어 AC VVVF 인버터 1C4M
IGBT
보안 ATS(동해선·1호선)
ATC(3·4호선)
ATS·ATP(대구권)

현대로템에서 제작하고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통근형 전동차이다.

성능상 VVVF 3세대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초기 디자인의 전두부 형상이 툭 튀어나온 형상이 철도 동호계에서는 마치 오리 주둥이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주둥이라는 못마땅한 별칭을 붙여주기도 하였다. 이후 개정된 디자인 시안이 나오면서 주둥이 논란은 다소간 사그라들었다. 이는 철도안전법의 충돌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타오름 방지장치가 커졌으며 그 뒤에 CEM을 장착했기 때문이다.

충격과 공포의 초기 디자인안

3세대까지만 해도 차내 여객안내기가 LCD인 경우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처럼 LCD를 2개 설치하고(앞뒤 총 4개), 양쪽 화면에 똑같은 내용만 띄우면서 광고화면이 안내화면보다 크게 나와서 불편함이 많았으나, 4세대부터는 한쪽 LCD를 안내전용으로 바꿔서 안내 시인성이 매우 좋아졌다. 부가적으로 운전실 윈드실드에 설치된 와이퍼가 1단에서 1개가 늘어난 좌우 2단으로 늘어나게 되었는데[1], 이는 KTX-산천 2세대 차량의 경우와 동일하게 비상시 백업용으로 공압식 와이퍼를 추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크게 2018년, 2019~2020년, 2021~2023년 차량으로 나뉜다.

381000호대 2차분 (2018)[편집 | 원본 편집]

동해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태화광 연장 개통을 위해 도입했다.

7편성(2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8111~38117호: 2018년 제작

311000호대 12차분 (2019)[편집 | 원본 편집]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 일부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아래의 319000호대 3차분과 함께 발주했다.[2]

4편성(4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1204~31207호: 2019년 제작

319000호대 3차분 (2019)[편집 | 원본 편집]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연천 연장 개통을 위해 도입하였으나, 인천~연천간 10량 전동차가 투입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3]되면서 6량 편성이 운행 가능한 수인분당선 구간(인천~오이도)에 투입되는중이다. 3개 편성만 제작하였으므로 수인분당선 열차로 이적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3편성(1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1908~31910호: 2019년 제작

311000호대 13차분 (2021~2022)[편집 | 원본 편집]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남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도색 스타일이 크게 달라지면서 동해선 투입분과 달리 날렵해 보이는 인상이다. 그런데 앞선 차량과 달리 초기운용에 상당한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누리로처럼 승강장과 간섭이 나거나, 팬터그래프의 수전에 문제가 있거나, 스크린도어 정위치 정차장치와 호환이 안 되는 등 진통이 상당하다.

아래의 341000호대 5차분, 351000호대 9차분, 3000호대 2차분과 함께 발주했다.[4]

8편성(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1208~31214호: 2021년 제작
  • 31215호: 2022년 제작

341000호대 5차분 (2021~2022)[편집 | 원본 편집]

4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VVVF 1/2차분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1호선 차량 부족현상으로 1호선 도색을 하고 1호선에 먼저 투입되었다.[5]

2021년 새로운 도색을 적용한 4세대 차량

4호선용으로 발주된 일부 차량은 1호선에 임시 투입되면서 기존 1호선의 자석도색을 적용했으나, 1호선용으로 발주한 차량들은 기존 자석도색을 탈피한 심플한 도색을 적용하였다.

18편성(1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4138~34140호: 2021년 제작
  • 34141~34155호: 2022년 제작

351000호대 9차분 (2021~2022)[편집 | 원본 편집]

수인·분당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1/2차분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18편성(10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5144~35147호: 2021년 제작
  • 35148~35179호: 2022년 제작

3000호대 9차분 (2022~2023)[편집 | 원본 편집]

3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10량의 전동차이다. 1차분 일부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서류상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이나 실질적으로는 서울교통공사에 검수를 위탁하므로 지축차량사업소수서차량사업소에서 정비를 받는다. 차호 역시 정비 편의를 위하여 서울교통공사의 차량들과 동일하게 3000호대를 유지한다.

18편성(1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87~393호: 2022년 제작
  • 394호: 2023년 제작

392000호대 (2023~2024)[편집 | 원본 편집]

대구권 광역철도 입선용 차량이다. 중전철이면서도 대구권 운행환경에 맞추어 2량 1편성으로 조성되었다. 2량이기 때문에 무동력차는 존재하지 않으며, 1위측은 무동력대차, 2위측은 동력대차로 구성되어 MT비는 1:1을 유지했다.

  • 39201~39207호: 2023년 제작
  • 39208~39209호: 2024년 제작

341000호대 6차분 및 351000호대 10차분 (2024 예정)[편집 | 원본 편집]

4호선 5편성과 수인·분당선 4편성을 통합발주했다.

편성[편집 | 원본 편집]

10량[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3120__
3410__
30__
Tc
3121__
3411__
31__
M
3122__
3412__
32__
M'
3123__
3413__
33__
T
3124__
3414__
34__
M'
3125__
3415__
35__
T1
3126__
3416__
36__
T
3127__
3417__
37__
M
3128__
3418__
38__
M'
3129__
3419__
39__
Tc
  • 312___는 311000호대, 341___는 341000호대, 3___는 3000호대 열차의 번호이다.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T1: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6량[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3190__
Tc
3191__
M
3192__
M'
3193__
T
3194__
M'
3819__
Tc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3510__
Tc
3511__
M
3512__
M'
3513__
M
3514__
M'
3519__
Tc
  • 319___는 319000호대, 351___는 351000호대 열차의 번호이다.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4량[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3810__
Tc
3811__
M'
3812__
M'
3819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2량[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차량 39200_
M'c
39290_
M'c
  • M'c 운전실, 동력대차, 집전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공기압축기, 축전기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3세대 전동차도 후기형 모델은 2단 와이퍼가 적용되었다.
  2. 코레일 전기동차 128량 사업 낙찰, 현대자동차그룹 저널, 2017.10.18.
  3. 최초 계획은 6량 셔틀열차로 광운대~연천 구간만 운행하는 것이었다.
  4. 현대로템, 코레일 노후 전동차 교체 사업 수주, 현대로템 블로그
  5. 그러나, 35편성부터는 원래의 하늘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