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하지야 압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f)(I|i)(L|l)(E|e): +[[\1파일:))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압하지야 아프사르 = 압하지아 압살
|원어이름 = Аҧсны Аҧсар 압스니 압살<sup>[[압하스어|ab]]</sup>
|그림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압하지야}} (명목상)
|비공식  =
|ISO      = (미설정)
|기호    = (미설정)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이름 = (없음)
}}
|지폐    = 25, 500프사르크
|동전    = 1, 2, 3, 5, 10, 20, 25, 50, 100프사르크
|중앙은행 = 압하지야 은행 (Аҧсны Абанк)
|인쇄처  =
|조폐국  =
|환율    =
|고정환율 = [[러시아 루블|RUB]] 10 = 1 압살
|이전화폐 =
|이후화폐 =
|비고    =
}}


[[File:ABKHAZIA-500-A.jpg|섬네일|right|최초의 500압살화 기념지폐 (2018)]]
== 개요 ==
압하지아 압살(=[[아프사르]], аҧсар)는 [[조지아]]의 서북쪽, 러시아 국경지대 인근에 자리한 [[미승인국]] [[압하지아]](Аҧсны́)에서 '''설정한''' 통화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통용화폐를 발행하고 있지 않고 [[러시아 루블]]을 가져다 쓰고 있어서, 보여주기식 명목상의 통화에 불과하다. 환율은 1압살=10루블의 고정환이다.
'''압하지아 압살'''(압하지아 [[아프사르]])는 [[조지아 (나라)|조지아]]의 서북쪽, 러시아 국경지대 인근에 자리한 [[미승인국]] [[압하지야]]([[압하스]])에서 '''설정한''' 통화이다. 복수형은 아프사르크=압사르크(аԥсарк), 앞에 다른 단어가 연결될 때는 가장 앞의 '아(А)'가 생략되어 프살/프사르크(ҧсар/ҧсарк)로 쓴다.


2008년에 기념동전(10압살 은화)의 형태로 처음 실물 압살화가 발행되었고, 지폐는 마찬가지로 기념지폐(500압살)의 형태로 2018년 9월 29일에 발행되었다.
다만 실제로는 통용화폐를 발행하지 않고 [[러시아 루블]]을 가져다 쓰고 있어서, 실상은 보여주기식 명목상의 통화에 불과하다. 고정환으로 설정된 환율은 기념지폐 배포시 및 기념화폐 회수시에만 적용된다.
 
== 현찰 시리즈 ==
압하지야에서 발행하는 화폐들은 모두 중앙은행이 법정통화로 지정하지 '''않아서''' 시중 유통력을 전혀 보장하지 않지만, 은행으로 되갖고오는 경우엔 러시아 루블로 환불해주기는 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 동전 ===
2008년에 기념동전(10압살 은화)의 형태로 처음 실물 압살화가 발행되었고, 이후 꾸준하게 다양한 액면을 가진 기념동전을 생산하고 있다. 2023년 5월 현재까지는 100압살이 최고액면이다.
 
=== 지폐 ===
지폐는 2018년 9월 29일에 기념지폐의 형태로 500압살권 1만 장(A1810000001 ~ A181010000, 160mm×65mm)을 처음으로 발행하였다. 이어 2023년 5월 22일에 또다른 기념지폐인 25압살을 1만 5천장(A2310000001 ~ A231015000, 160mm×65mm) 발행하였다.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width:50%;"| [[파일:ABKHAZIA-500-A.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50%;"| [[파일:ABKHAZIA-25-A-Small.jpg]]
|-
| 압하지야 전쟁 승전 25주년, 최초의 기념지폐 (2018년, 500압살)
| 압하지야 전쟁 승전 30주년, 두번째 기념지폐 (2023년, 25압살)
|}


{{각주}}
{{각주}}
{{유럽의 화폐}}
{{유럽의 화폐}}
[[분류:화폐]]

2023년 9월 8일 (금) 03:47 기준 최신판

압하지야 아프사르 = 압하지아 압살
Аҧсны Аҧсар 압스니 압살ab
화폐 정보
사용국 압하지야 (명목상)
ISO (미설정)
기호 (미설정)
보조단위
(없음)
지폐 25, 500프사르크
동전 1, 2, 3, 5, 10, 20, 25, 50, 100프사르크
중앙은행 압하지야 은행 (Аҧсны Абанк)
고정환율 RUB 10 = 1 압살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압하지아 압살(압하지아 아프사르)는 조지아의 서북쪽, 러시아 국경지대 인근에 자리한 미승인국 압하지야(압하스)에서 설정한 통화이다. 복수형은 아프사르크=압사르크(аԥсарк), 앞에 다른 단어가 연결될 때는 가장 앞의 '아(А)'가 생략되어 프살/프사르크(ҧсар/ҧсарк)로 쓴다.

다만 실제로는 통용화폐를 발행하지 않고 러시아 루블을 가져다 쓰고 있어서, 실상은 보여주기식 명목상의 통화에 불과하다. 고정환으로 설정된 환율은 기념지폐 배포시 및 기념화폐 회수시에만 적용된다.

현찰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압하지야에서 발행하는 화폐들은 모두 중앙은행이 법정통화로 지정하지 않아서 시중 유통력을 전혀 보장하지 않지만, 은행으로 되갖고오는 경우엔 러시아 루블로 환불해주기는 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동전[편집 | 원본 편집]

2008년에 기념동전(10압살 은화)의 형태로 처음 실물 압살화가 발행되었고, 이후 꾸준하게 다양한 액면을 가진 기념동전을 생산하고 있다. 2023년 5월 현재까지는 100압살이 최고액면이다.

지폐[편집 | 원본 편집]

지폐는 2018년 9월 29일에 기념지폐의 형태로 500압살권 1만 장(A1810000001 ~ A181010000, 160mm×65mm)을 처음으로 발행하였다. 이어 2023년 5월 22일에 또다른 기념지폐인 25압살을 1만 5천장(A2310000001 ~ A231015000, 160mm×65mm) 발행하였다.

ABKHAZIA-500-A.jpg ABKHAZIA-25-A-Small.jpg
압하지야 전쟁 승전 25주년, 최초의 기념지폐 (2018년, 500압살) 압하지야 전쟁 승전 30주년, 두번째 기념지폐 (2023년, 25압살)

각주

  1. 여기에 해당하는 이전 화폐는 동전도 교환대상에 해당한다. 단, 유로화를 제외한 통화는 유효하더라도 모두 유로화로 교환한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