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노선명=(.*)\|노선거리 +|노선번호={{경유 노선/번호|\1}}|노선명=\1|노선거리))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상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진영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그림    = Korail0jinyeong2.jpg
|역명    = 진영역
|그림설명 =  
|그림    = [[파일:Korail0jinyeong2.jpg]]
|그림alt =  
|역번호  =  
|주소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br />(설창리)
|역등급 =  
|번호     =  
|역코드  = 56
|주소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br/>(설창리)
|개업일  = {{날짜/출력|1905-5-13}}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br/>부산경남본부 [[밀양역|밀양관리역]]
|승강장  = 
|운임구역 =  
|노선    = [[경전선]] <small>14.1 km</small>
|노선    = [[경전선]] <small>14.1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05년]] [[5월 13일]]
|폐지일  =
|코드    = 56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진영역'''(進永驛)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설창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다.  
'''진영역'''(進永驛)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설창리에 있는 [[경전선]]의 [[철도역]]이다. 원래 진영읍의 중심지에 있었는데, 경전선 이설로 현 위치로 옮겨졌다.


== 개요 ==
== 역사 ==
[[김해시]]의 북서부 외곽 지역이고, [[창원시]]와 인접한 [[진영읍]]에 위치하고 있으나 모든 [[경전선]] 일반 열차와 일부 [[한국고속철도|KTX]]가 정차한다는 점에서 [[김해시]] 일대의 대부분의 철도 여객 수송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와 사저가 있는 [[봉하마을]]이 인접해 있다. <ref>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일마다 노무현재단에서 임시전세열차탑승을 신청받는다.</ref>[[경전선]]은 이 역에서 [[덕산역]]을 거쳐 [[창원역]]으로 가는 방식이었는데, [[복선]] 전철화 관계로 진영 - 덕산 구간의 폐선 및 [[덕산선]] 분리로 이어져 [[경전선]] 열차는 [[진례역]]으로 향한다. 당시 개역하던 [[1905년]]부터 [[진영읍]] 중심지인 진영리에 역이 위치해 있었으나,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복선]] 전철화 개통과 함께 [[진영읍]]의 외곽인 설창리로 역사를 이전하여 영업하고 있다. [[2013년]] [[9월 27일]]부터는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추가로 정차한다.
* [[1905년]] [[5월 13일]]: [[마산선]] 개통과 함께 개업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10년]] [[9월 1일]]: 화물 취급 중지<ref>국토해양부고시 제2010-582호</ref>
*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삼랑진역|삼랑진]] ~ [[마산약|마산]] 복선전철화 개통과 함께 역사 이전<ref>국토해양부고시 제2010-918호</ref>, [[KTX]] 운행 개시
* [[2014년]] [[6월 1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 역명 유래 ==
== 시설 ==
진영이라고 칭하게 됨은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군사들의 진영의 형국이며 금병산은 상제봉조형으로 보고 여래리 동쪽을 장군대좌형의 명당으로 보았기 때문이라는 설에서 유래하였다.
[[승강장]]은 2면 4선식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경전선 KTX의 수요가 많아 일부 열차를 [[KTX-I]]로 바꾸기로 하였다. 그런데 진영역의 승강장은 [[KTX-산천]]에 맞춘 300m여서, 임시로 나무 데크를 이용하여 승강장을 연장하였다.<ref>KTX-I의 길이는 388m</ref> 임시 승강장은 위에 고압 송전탑이 있어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고,<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5/06/0200000000AKR20110506082700052.HTML KTX열차보다 짧은 진영역 승강장..승객들 불편]《연합뉴스》2011.5.6</ref>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17년]]경 승강장 개량을 완료하였다.<ref>[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905_0012336417&cID=10811&pID=10800 코레일, 진영역 KTX 정차 승강장 개선], 뉴시스</ref>


== 역사 ==
원래 수요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KTX 정차에 고민이 있었는데,<ref>[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727014022 “인구 50만 김해 KTX 왜 안서”], 서울신문</ref> 예상보다 이용객이 많아 2018년에 주차장을 확장했다.<ref>[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410_0000277363&cID=10812&pID=10800 김해시, 진영역 주차장 확대 광장 조성], 뉴시스, 2018.04.10.</ref>
* [[1905년]] [[5월 13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43년]] [[9월 10일]] : 역사 신축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10년]] [[9월 1일]] : 화물취급 중지<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582호, 2010년 8월 31일</ref>
* [[2010년]] [[12월 15일]] : [[경전선]] [[복선]] 전철화에 따른 역사 이전,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개시<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 2010-918호, 2010년 12월 13일</ref>
* [[2013년]] [[9월 27일]] : [[남도해양관광열차]] 정차 개시
* [[2014년]] [[6월 1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 역 구조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와 사저가 있는 [[봉하마을]]이 인접해 있어,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일마다 임시전세열차를 운행한다.
[[승강장]]은 2면 4선식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 승강장 ===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한림정역|한림정]]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한림정역|한림정]]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왼쪽 승강장=4번 승강장<br />3번 승강장|승강장 정보='''KTX ·ITX-새마을 ·무궁화호'''<br />[[마산역|마산]]·[[순천역|순천]]·[[목포역|목포]] 방면
  |승강장 번호=4번<br />3번|승강장 정보='''KTX ·ITX-새마을 ·무궁화호'''<br />[[마산역|마산]]·[[순천역|순천]]·[[목포역|목포]]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한림정역|한림정]]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한림정역|한림정]] →
48번째 줄: 48번째 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왼쪽 승강장=2번 승강장<br />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KTX ·ITX-새마을 ·무궁화호'''<br />[[삼랑진역|삼랑진]] · [[부전역|부전]] · [[밀양역|밀양]] · [[대구역|대구]] · [[서울역|서울]] 방면
  |승강장 번호=2번<br />1번|승강장 정보='''KTX ·ITX-새마을 ·무궁화호'''<br />[[삼랑진역|삼랑진]] · [[부전역|부전]] · [[밀양역|밀양]] · [[대구역|대구]] · [[서울역|서울]]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전선]] [[진례역|진례]]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전선]] [[진례역|진례]]
  }}
  }}
}}
}}
== 논란 ==
원래 KTX를 [[진례역]]에 세우려던 걸 진영역에 세우다 보니 잡음이 많았다. 진영역 정차 경위는 [[경전선#고속철도]]에 정리되어 있다.
* 주차장 확장 사업
*: 진영역의 주차장이 당초 교통정책연구원의 수요 예측과 달리, KTX가 정차하면서 기존 85면의 주차장으로는 턱없이 부족해 주차장을 확장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민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김해시]]의 관계자는 "2012년 초부터 주차장 확장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보며, 추가 주차장 조성 사업을 위해 발빠르게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ref>[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110502_0008083611 김해 진영역사 주차장 부족… '확장'시급]《뉴시스》2011.5.2</ref> 다만 그렇게 말만 하고 2018년에야 역전광장 사업을 시작했다.<ref>[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410_0000277363&cID=10812&pID=10800 김해시, 진영역 주차장 확대 광장 조성], 뉴시스, 2018.04.10.</ref>
* KTX 승강장 확장 사업
*: [[경전선]]의 [[한국고속철도|KTX]] 이용객이 증가하자 [[2011년]] [[5월 1일]]부터 경전선을 운행하는 일부 열차에 [[KTX-I]]이 투입되었다. 당초 진영역은 [[KTX-산천]]이 정차할 수 있는 10량 규모인 300미터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1편성 20량, 388m의 길이를 자랑하는 KTX-I 보다 88미터가 짧아 승강장이 열차를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자 나무 데크으로 임시로 승강장을 연장하였는데, 임시로 연장된 승강장 위에는 지붕이 없고, 전차선 지주가 그대로 드러나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컸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5/06/0200000000AKR20110506082700052.HTML KTX열차보다 짧은 진영역 승강장..승객들 불편]《연합뉴스》2011.5.6</ref>
*: 이용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철도공사는 [[한국철도시설공단]]에 시설 증·개축을 요구했으며,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대한민국 국토해양부|국토해양부]]와 협의 끝에 [[2012년]]까지 승강장을 확장했다.


== 옛 진영역사 ==
== 옛 진영역사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145-1 (진영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은 온전히 보존되어 있지만 내부로는 들어갈 수 없다. 진영읍의 중심지에 위치하며 인접거리에 [[진영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145-1 (진영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은 온전히 보존되어 있지만 내부로는 들어갈 수 없다. 진영읍의 중심지에 위치하며 인접거리에 [[진영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연계 시내버스 노선으로는 김해 시내를 오가는 [[김해시의 시내버스|11번]], [[김해시의 시내버스|14번]]이 있으며 창원 시내를 오가는 [[창원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35번]](대방동 방면), [[창원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45번]]([[경남대학교|경남대]] 방면) 또한 운행하고 있다.
연계 시내버스 노선으로는 김해 시내를 오가는 [[김해시의 시내버스|11번]], [[김해시의 시내버스|14번]]이 있으며 창원 시내를 오가는 [[창원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35번]](대방동 방면), [[창원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45번]]([[경남대학교|경남대]] 방면) 또한 운행하고 있다.
71번째 줄: 62번째 줄:


현재 승강장은 철거되었고, 역사는 방치되어 있으나 2015년부터 옛 진영역 일대 공원화를 계획하고 있다.
현재 승강장은 철거되었고, 역사는 방치되어 있으나 2015년부터 옛 진영역 일대 공원화를 계획하고 있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번호={{경유 노선/번호|경전선}}|노선명=경전선|노선거리=14.1 km
|노선명=307 [[경전선]]|노선거리=14.1 km
|전방면=[[삼랑진역|삼랑진]] 방면|전역=[[한림정역|한림정]]|전거리=4.3 km
|전방면=[[삼랑진역|삼랑진]] 방면|전역=[[한림정역|한림정]]|전거리=4.3 km
|당역='''진영'''
|당역='''진영'''
80번째 줄: 72번째 줄: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열차 ==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한국고속철도{{!}}KTX]]}}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한국/KTX/경전선|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ITX-새마을]]}}
|열차종류 = [[KTX]]
{{경유 열차 목록/한국/ITX-새마을/경전선|표시=표시}}
|세로수  = 1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4}}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서울-진주|표시=표시|계통칸=3}}
  {{경유 열차 목록/KTX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동대구-진주|연장=1|운행편수=1일 8왕복<br />(진주 연장 1왕복)}}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표시=표시}}
|열차종류 = [[SRT]]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남도해양열차|S-Train]]|1|}}
|세로수  = 1
{{경유 열차 목록/한국/S-Train 경전선|표시=표시}}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경유 열차 목록/SRT 경전선}}
 
}}
== 승하차량 ==
{{경유 열차 목록/종류
<div style="overflow:auto;">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450px"
|세로수  = 1
|-
|노선    =  
| colspan="9"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진영역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전선}}
|-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경유 열차 목록/종류
!colspan=2 |전체
|열차종류 = [[무궁화호]]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KTX
|세로수  = 2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 ITX-새마을
|노선    =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무궁화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경전선 동대구}}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경전선}}
! 승차량
}}
! 하차량
{{경유 열차 목록/종류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승차량
|열차종류 = [[남도해양열차]]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하차량
|세로수  = 1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 승차량
|노선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 하차량
  {{경유 열차 목록/남도해양열차 경전선}}
!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승차량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하차량
}}
|-
|'''2017'''
|}
</div>
=== KTX ===
*[[동대구역|동대구]], [[서울역|서울]] 방면 수요가 압도적이다. [[마산역]]처럼 기존선 경유의 특성인 저렴한 운임을 무기로 삼아 동대구행 승객을 상당히 유인하고 있다.
 
=== 일반열차 ===


{{각주}}
{{각주}}
{{퍼온문서|진영역}}


[[분류:경전선]]
[[분류:경전선]]
[[분류:김해시의 철도역]]
[[분류:경상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밀양관리역]]

2023년 9월 20일 (수) 15:32 기준 최신판

진영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
(설창리)
노선 경전선 14.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1905년 5월 13일
코드 56

진영역(進永驛)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설창리에 있는 경전선철도역이다. 원래 진영읍의 중심지에 있었는데, 경전선 이설로 현 위치로 옮겨졌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은 2면 4선식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경전선 KTX의 수요가 많아 일부 열차를 KTX-I로 바꾸기로 하였다. 그런데 진영역의 승강장은 KTX-산천에 맞춘 300m여서, 임시로 나무 데크를 이용하여 승강장을 연장하였다.[3] 임시 승강장은 위에 고압 송전탑이 있어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고,[4]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17년경 승강장 개량을 완료하였다.[5]

원래 수요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KTX 정차에 고민이 있었는데,[6] 예상보다 이용객이 많아 2018년에 주차장을 확장했다.[7]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와 사저가 있는 봉하마을이 인접해 있어,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일마다 임시전세열차를 운행한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옛 진영역사[편집 | 원본 편집]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145-1 (진영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은 온전히 보존되어 있지만 내부로는 들어갈 수 없다. 진영읍의 중심지에 위치하며 인접거리에 진영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연계 시내버스 노선으로는 김해 시내를 오가는 11번, 14번이 있으며 창원 시내를 오가는 35번(대방동 방면), 45번(경남대 방면) 또한 운행하고 있다.

2010년 복선전철화 개통이 다가오는 시점에 이르러 문화관광부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와 사저가 있는 봉하마을이 인접해 있는 점을 살려 복선 전철화로 이전되면서 폐쇄되는 진영리의 구 역사와 경전선 폐 철로를 활용하여 레일바이크를 설치하는 등 간이역 관광자원화사업을 주도하여 추진하기 시작했으나, 비슷한 시기에 민선 5기에 접어들어 취임한 김맹곤 시장이 시 예산의 과다투입으로 난색을 표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8][9] 한편 이 지역 주민들과 이 지역을 지역구로 하는 국회의원 최철국이 노무현 대통령의 유산을 기려 역명에 노무현을 병기할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10][11]

현재 승강장은 철거되었고, 역사는 방치되어 있으나 2015년부터 옛 진영역 일대 공원화를 계획하고 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삼랑진 방면
한림정 4.3 km
진영 광주송정 방면
진례 3.9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경전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SRT 경전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ITX-새마을 경전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무궁화호 경전선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경전선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12]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남도해양열차 경전선 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광양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 - 명봉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582호
  2.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918호
  3. KTX-I의 길이는 388m
  4. KTX열차보다 짧은 진영역 승강장..승객들 불편《연합뉴스》2011.5.6
  5. 코레일, 진영역 KTX 정차 승강장 개선, 뉴시스
  6. “인구 50만 김해 KTX 왜 안서”, 서울신문
  7. 김해시, 진영역 주차장 확대 광장 조성, 뉴시스, 2018.04.10.
  8. 故 노前 대통령 고향 관광자원화사업 '하세월' 되나, 《뉴시스》2010.7.27
  9. 이 일대의 선로는 현재 철거되어 흔적만 남아있다.
  10. “고속철 진영역 정차를”…주민 ‘노무현역’ 병기 요청《서울신문》2010.10.27
  11. 최철국 "진영역, 노무현역 병행표기하자"《노컷뉴스》2010.10.14
  12. 부전~목포 구간 열차는 미정차